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9

        81.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이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경기지역의 과거 송이발생지와 발생가능지역을 중심으로 ’99∼’00년간 송이 발생현황 및 식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내 송이발생 지역은 조사지역 19개 지역중 여주군 강천면 걸은리 등 16개 지역이었고 년간 발생량은 총470∼600kg정도였으며, 여주군 강천면 걸은리, 북내면 도전리와 포천군 영중면 금주리 등 일부지역은 현재까지 양호한 식생환경조건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향후 지속적인 적송림의 유지관리가 요구되었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식생변화 등으로 송이발생량이 대폭 감소하였거나 발생되지 않았다. 2. 도내 조사지역의 송이버섯은 9월 12∼15일에 발생되기 시작하여 9월말에 최성기, 10월 7∼9일경 마무리 되었고 송이발생전후의 기온과 지온은 9월 5∼7일경에 송이자실체 발생을 위해 자극을 받기 시작하는 온도인 19℃ 이하로 낮아졌고, 그 후 약 5∼7일 이후에 송이자실체가 발생되었으며, 송이발생기간동안 기온은 12∼18℃, 지온은 14∼18℃를 유지하였다. 3. 송이 발생지점의 적송밀도는 100㎡당 5.1∼27.1그루, 수령은 15∼50년생, 수고는 4∼11m이었고, 활엽수 및 관목의 밀도가 43∼80%로 높아 간벌과 적송의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유기물층의 깊이는 여주, 포천지역은 3.5∼4.5㎝, 양평, 가평, 광주는 7.2∼7.7㎝였으며 울폐도는 50∼75%범위였다. 5. 토성은 조사지역 모두 사질토였고 토양pH는 4.3∼5.1, 유기물함량은 3.91∼8.28 범위였다.
        4,000원
        8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의 축령산은 해발 879m로 광주산맥에 이어져 한국의 중부지역 북동부에 위치한다. 축령산 일대에는 한국의 특산식물 및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종이 흔히 분포하는 지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북방계 식물과 남방계 식물의 한계선이 교차하는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서울에서 거리가 가깝고 경관이 뛰어나 많은 관광객들의 탐방이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관광객들의 지속적인 탐방은 등산로를 중심으로 주변 식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인위적인 훼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등산로 주변의 잡초 군락에 대해 2001년 8월에서 2002년 9월까지 식물사회학적인 조사를 수행하여 등산로 주변에 형성된 군락을 유형화하고 그 환경조건을 분석하였다. 등산로 주변 잡초 군락은 6군락 4하위 단위로 구분되었다: A. 질경이 군락, A-a. 개망초 하위군락. A-b. 길뚝사초 하위군락. B. 큰개별꽃 군락, B-a. 대사초 군락. B-b. 가는네잎갈퀴 군락, C. 칡 군락, D. 조록싸리 군락, E. 산딸기 군락, F. 주름조개풀 군락. 이상의 군락을 구성하는 총 식물의 종류는 28과 83속 17변종 120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출현 식물은 질경이, 개망초, 주걱망초, 칡. 조록싸리, 산딸기, 쑥, 제비쑥. 큰까치수염 등 주로 호광성이며 답압에 강한 식물들로 나타났다. 모든 조사구를 Bray-Curtis 서열법에 의해 서열화한 결과는 대체로 식물사회학적 표 조작에서 얻어진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4,000원
        85.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 사적공간의 효율적인 관리와 보존방안을 위하여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조선 왕릉의 대표적인 능인 동구릉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식생을 군락으로 구분해보면 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 (Quercus serrata-Quercus mon-golica commnunity), 오리나무군락 (Alnus japonica community), 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의 하위군락으로는 아까시나
        4,300원
        86.
        200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8년 6월부터 2000년 4월까지 모두 총 6차례에 걸쳐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의 관속식물조사를 수행한 결과 모두 112과 415속 688종 1아종 116변종 12품종으로 817종류의 식물이 조사되었다. 임상은 주로 신갈나무를 비롯한 참나무류가 우점한 가운데 다양한 낙엽활엽수종이 분포하고, 잣나무, 낙엽송 조림지가 일부지역을 대표한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모두 16종류가 분포했는데. 그 중 10종류가 새롭게 확인되었으며 특히, 북방계 식물로 너도바람꽃의 분포와 주요 약용식물인 백부자, 백작약, 미치광이풀, 가시오갈피 등과 남부지방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개족도리의 출현은 이 지역이 식물분포학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임을 알 수 있다. 특산식물은 모두 35종류로 왕느릅나무, 점현호색, 토현삼, 고려엉겅퀴 등 22종류가 새롭게 추가 되었다. 귀화식물은 모두 39종류로 확인되었는데, 이 중 30종류가 새롭게 출현한 종류이며. 주변지역에 비해 낮은 귀화율(Nl)과 높은 자연파괴도(Ul)가 나타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대상지역은 보존가치가 많은 식물자원이 분포하고 있으나 많은 탐방객의 출입과 주변 개발 등으로 자연파괴가 가속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방문객 수 제한이나 자연휴식년제를 통한 생태계 보존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5,500원
        87.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9년 9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서울시 한남동과 경기도 과천시 두 지역을 중심으로 대기 중 수은의 농도를 시간대별로 관측하였다. 두 지역의 여러 가지 여건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 지역의 농도는 각각 5.34(N=2576), 5.25ngm-3(N=1992)를 기록하였다. 본 자료를 이용하여 양 지역의 농도 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24시간 주기로 볼 때, 한남동 지역은 야간대에 그리고 과천 지역은 주간대에 높은 강도를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적으로는 한남동 지역에서 겨울 그리고 과천 지역에서는 여름에 최고농도를 기록하였다. 양 지역에서 수은의 농도를 조절하는 요인을 여러 가지 통계적 기법으로 고찰하였다. 본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연구 지역의 대기중의 수은 분포는 지역적 발생원의 차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600원
        88.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화성군 남양지역과 안산시 탄도지역에 분포하는 두 퇴적분지는 백악기(80-90Ma) 퇴적분지로서 10개의 암상과 5개의 상조합으로 구분된다. 상조합 I은 괴상 역암상, 정상점이층리 역암상, 역점이층리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적선상지에서 암설류와 판류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I는 괴상 이암상, 괴상 사암상, 엽층리 사암상, 괴상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적선상지와 망상평원 환경에서 판류와 부유 퇴적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II은 괴상 이암상, 엽층리 이암상, 괴상 사암상과 호층을 이루는 하도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범람원에서 홍수시에 부유 퇴적과 하도 메꿈작용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V는 괴상 역암상, 정상점이층리 역암상, 괴상 사암상, 정상점이층리 사암상, 엽층리 사암상, 호층을 이루는 이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상지 삼각주에서 암설류와 저탁류에 의해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V는 괴상 이암상, 엽층리 이암상, 엽층리 사암상, 호층을 이루는 괴상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수에서 부유 퇴적과 저밀도 저탁류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남양분지에서 상조합 I은 분지의 동쪽과 남쪽 부분에 분포하며, 상조합 II는 남북의 대상 분포를 이루며 분지의 중앙부에 분포하고, 상조합 III은 분지의 서쪽부분에 분포한다. 탄도분지에서 상조합 II는 분지 동쪽 중앙부와 북서쪽에 분포하고, 상조합 IV는 분지 남서부에 그리고 상조합 V는 분지 중앙부에 분포한다. 상조합 대비는 남양분지에서 상조합 I과 II는 층서적으로 하부에 그리고 상조합 III은 상부에 분포하고, 탄도분지에서 상조합 II와 IV는 하부에 그리고 IV와 V는 상부에 분포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암상분포 양상은 남양분지는 처음에는 충적선상지와 충적선상지평원/망상평원이 교호하다가 범람원으로 발전하였으며, 탄도분지는 처음에는 선상지 삼각주와 충적평원/망상평원이 교호하며 발달했다가 나중에는 호수환경에서 발전한것으로 해석된다.
        5,500원
        89.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변 토지이용과 수질이 서로 다른 도시하천인 양재천(서울)과 산지하천인 사기막천(경기도)에서 부착조류 동태 파악을 위해 1996년 3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월별 및 격월별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양재천의 영양염류 농도는 총질소가 8.9 mg/l 총인이 0.42 mg/l로 사기막천 (총질소 농도: 1.9 mg/l, 총인농도: 0.13 mg/l)보다 3~4배 가량 높았다. 부착조류 생체량 역시 양재천에서 평균 62±67 mg/l로 평균 17±11 mg/l인 사기막천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두 지점 모두 봄에 높은 생체량을 보였고 여름동안은 생체량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름동안의 집중호우에 의한 탁류 유입 및 하상구조의 교란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양재천의 경우 전체 출현종 중 호오탁성종이 50.0%, 광적응성종이 48.8%를 차지하였고 호청수성종은 1.2%로 현저히 낮은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사기막천에서는 전체 출현종 중 호청수성종이 54.6%, 광적응성종이 44.6%, 호오탁성종은 0.8%의 출현율을 나타내어 양재천과는 대조적이었다. 조사기간 중 종조성 역시 양재천에서는 호오탁성종으로 분류되는 Navicula subminuscula과 Nitzschia palea가 사기막천에서는 호청수성종으로 분류되는 Achnanthes convergens와 광적응성종으로 분류되는 Cymbella minuta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어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4,000원
        91.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urban form of Korean citie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influence of commercial development was the main cause of these changes. Commerce became a important function of existing cities, and the new type of commercial towns emerged at the important spots of traffic routes. In both cases streets became dominant element of urban form. Mainly commercial buildings aggregated along the streets, and to obtain higher land use intensity shape of lots became narrow and deep. Koyang(高陽) shows the most significant example of this new type of lot and lot pattern. Approximately 30 narrow and deep type of lots lined on each side of street forming about 390 meters long linear commercial town. Similar examples were found at the outside of south gate of Suwon(水原), Nuwon(樓院), and Pangyo(板橋).
        5,400원
        92.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hropometry, dietary attitudes and the other factors of 201 children in day-care centers according to their parents' income level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uch as height, weight, skinfold thickness, blood pressure, and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completed by the children's moth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growth of children was normal according to Korean standa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hropometry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s. The scores of eating habits of children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income levels. That is, the score was the lowest in the low-income group. Children generally prefer one-dish meal or snacks, while the preference levels of kimchi, seasoned vegetable and beans broiled in soysauce were lower than those cf other foods. In the questions to know mothers' nutrition knowledge, we could see that they didn't know well about protein, breast-feeding, weaning and balance in nutrients.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mothe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w income group, which shows close relationship with low-score eating habits of their children. Th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was affected by the mother's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education level, the better children's eating habit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planning and applic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mothers especially in the low income group.
        4,000원
        93.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emporary dietary life of residence in Kyunggi province. People living in Kimpo, Yoju districts(farm villages), Kapyung districts (mountain villages) and Hwasung districts (fishing village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s subjects from August S to 19,1997.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ooked rice was a staple food. However nuddles and soojaebees(soup with dough flakes) was taken as lunch or snacks but Juk(rice guel) or Dduk(rice cake) was not treated as a meal. 2. Dishes were consisted with soup or chigae, kimchi and namul(seasoned vegetables), and fishes, meats, salted sea foods, dried fishes, jangacchi(dried seasoning radish) were also taken by sometimes. 3. Soy sauce, bean paste, red pepper bean paste were made by every home even if they were very busy. 4. Festival days such as New Year's Day, daeborum(the 15th day of January), chusok(mid-autumn festival), and kosaa(October ceremony) and dongee(one of 24 seasons by lunar calendar) are skipped oftenly and slowly forgotten by people. They do not celebrate Samgin-nal(the third day of March), Buddha's birthday(the 8th day of April by lunar calendar), danoh(the 5th day of May), yoodoo(the 15th day of June), chilsok(the 7th day of July), Jungyang(the 9th day of September) and the last day of the year either 5. Due to improved kitchen system, we couldn't see the old kitchen devices.
        4,200원
        9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수리산 군포시험림의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64개의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64개 조사구는 DCA ordination분석에 의하여 리기테다소나무군집(군집 I), 소나무군집(군집 II), 소나무-신갈나무군집(군집 III), 굴참나무군집(군집 IV), 갈참나무군집(군집 V), 졸참나무군집(군집 VI), 서어나무군집(군집 VII)으로 분리되었다. 식물군집구조분석결과 천이예측은 명확하지 않았으나 군집 I, 군집 III은 참나무류군집으로 천이가 예측되었고 군집II, 군집IV, 군집V, 군집VI은 현 군집을 유지할 것으로 추정되어 기후극상으로의 변화는 예측할 수 없었으며, 군집 VII은 기후극상으로서 계속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0.7430~1.3025이었고 토양산도는 전지역이 pH 4.16~5.13이었다.
        5,500원
        97.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enerally, the culture of dietary life in a country is closely related to the heritage of racial culture, and it is very important to inherit and develop the culture of the traditional dietary life.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f dietary life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for 521 housewives living in Seoul and Kyonggido.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T-test, 2 (Chi-square)-test, dispersio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onsciousness of Traditional Foods. They thought that traditional foods were Sinsollo, sorts of beverage, Dduk (Korean cake), Kim-chi, Hankwa (Korean cookies), and Kujolpan, and that traditional foods were proud for its various tastes. But they thought the cuisine of the traditional food is very complicated, accordingly the frequency of traditional food was decreased. Therefore they thought that its tastes was important to develop and spread traditional foods. 2. Dietary Life Behaviors for Traditional Food. They take traditional foods on big holidays and religious service days. It is their mother who taught them the traditional cooking method. Most ftequently used cooking method is boiling. They gave their children a traditional snack such as 'Dduk (Korean cake), noodles, and fried food. Frequency of taking beverage, Hankwa (Korean cookies), Juk (guel) and Dduk (Korean cake) have been decreased. 3. The Correlation of General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Knowledge, Dietary Life Behaviors of Traditional food. The older they are, the more eager to teach traditional food cooking, to preserve the traditional table setting, to give their children traditional snack and the more traditional dietary life behaviors are.
        6,700원
        98.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s about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conventional rural houses in Kyung-gi province. It alms to identify the pattern of chang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hanges of the site plan and plan. The site of study is Samga Village, in YongIn County, near Seoul. The study discusses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during the three decades from 1960 to 1980. The basic information was obtained through field research and site analysis, and the study relies predominatly on observational and statistical analysis. Four developmental stages can be clearly identified which are ; (1) Traditional type, (2)Modified-traditional type, (3) Saemaul type, and (4) The type of urban houses. The analysis was done through identification of changing site plan and plan.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changes of these elements show a certain pattern of sequential steps which also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ur developmental stages mentioned above. The pattern of site design was consistantly maintained while plan and building system became very different However,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Korean rural houses was the process of producing a certain type of architecture that is not universal but uniquely Korean.
        4,600원
        99.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several aspects of food-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Seven hundred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do area were randomly selected.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It was consisted of weight concern, nutritional knowledge, meal frequency, preference of snacks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eating behavi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es: 1. The 66.5% of males and 87.9% of females were concerned about weight control. While 42% of male respondents wanted weight gain and 43% weight loss, most of female respondents wanted to lose weight. 2. The score of nutritional knowledge of mal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 of females (p<0.01). 3. The meal frequency was 3.4 times a day for male students and 3.6 for female students. But males showed higher frequency rates in three regular meals and females showed higher rates in snacking.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considered that supper was the most important meal of the day and skipped breakfast frequently. 4. Fruits, beverage and milk were favorite snacking items for college student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selection of food items by snacking time. Carbonated drinks and coffee were frequently selected by morning male and female snackers. Noodles and cookies were preferred by males and cookies were preferred by females as afternoon snack. Fruits were most often preferred by both males and females in the evening. 5. Physical tiredness and/or psychological factors were observed to influence the amount of food intake. After increase of food intake, male students felt more comfortable than female students who were afraid of their weight gain.
        4,000원
        100.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lves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pirits brew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Seoul, Kyonnggi-do, Chungchung-do-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ir varieties and fermenting methods and also compa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ir features. It is found first of all that there are a wide range of variety in the kinds of liquors. Among the 21 spirits investigated, not a single one resembles any one of the remaining in terms of the raw material, and the brewing method and process. Secondly, all of them use locally produced grains and can be classifiable as belonging to the common category of yakju (clean spirit) with fragrant elements add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health or decreasing any harmful effects after drink. Thirdly, these traditional folk wines are characterized by the addition of secondarily fermented spirits. The more secondarily fermented spirit a wine has, the more fragrant and palatable it becomes and also the less harmful. Fourthly, all the spirits of this region are fermented by using yeast kodupap (steamed rice). The brewing temperature is usually around 15~20℃ for 5~8 days or 3~4 days for the majority of the cases. Fifthly, purifying is done with the yongsoo (strainer), the sieve, traditional Korean paper, etc. As such, we can say that all the brewers endeavor to maintain Korean traditional methods of wine making.
        4,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