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1

        81.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의 국제경영활동에 대한 중요한 외생적 환경인 현지국 정부와의 마찰이라는 이론적 모델을 인도네시아 국민차육성적책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독자모델로 자국산업을 발전시킨 한국과는 달리 다국적기업을 불러들여 자동차산업을 육성한 인도네시아에선 1990년대 중반 미흡한 기술이전 등을 둘러싸고 정부와 현지진출 다국적기업간에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인도네시아정부는 독자모델인 `티모르`라는 국민차를 개발하여 이에 특별한 세제상의 혜택을 주며 내국기업이 직접 생산·판매하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는 현지진출 다국적기업의 국제경영활동을 제약하는 것으로 이들 기업의 강한 반발은 물론 투자국의 반발을 초래하고, 결국 IMF 개입과 WTO분쟁해결기구의 결정에 의해 무산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과거와 달리 오늘날의 WTO체제하에서는 다국적기업 경영활동을 일방적으로 규제하려는 현지정부개입은 외부적 제약요인 때문에 실패로 끝나기 쉽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 연구가 우리기업의 국제경영에 주는 시사점은 현지국 정부와의 마찰발생시 한국정부와 전략적 동맹을 맺은 WTO를 통한 대응전략이 국제경영의 위험과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좋은 경영전략이라는 점이다.
        6,600원
        82.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의 다국적성 및 다국적성과 무형자산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다국적성과 글로벌 학습간의 상호작용이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기업을 실증분석 대상으로 하여 검증을 시도하였다. 회귀분석 결과는 다국적성이 기업의 가치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며 한국기업의 경우 국제진출이 일천하여 지역적으로 분산된 경영활동들을 효과적으로 통합, 조정하는데 지출되는 비용이 신 기술을 접하거나 국가 간에 존재하는 제품가격과 요소비용의 차이를 아비트라쥐함으로써 얻는 이점을 초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한 회귀분석 결과는 기업의 기술수준과 다국적성, 마케팅능력과 다국적성, 그리고 글로벌 학습과 다국적성 등 세 개의 상호작용 변수들 중에서 두 개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기업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케팅능력과 다국적성간의 상호작용을 대표하는 변수의 회귀계수는 정의 값을 가지며 이는 다국적 기업은 광고비를 여러 시장에 배분함으로써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를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술수준과 다국적성의 상호작용을 대표하는 변수의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다는 회귀분석 결과는 해외 투자한 한국기업들의 기술력이 국제경쟁력을 가진 무형자산으로 기능할 수 있는 수준에 미달되기 때문에 다국적성과 상호 작용하여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는데 기여하고 있지 못함을 시사한다. 회귀분석 결과는 또한 글로벌 학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기업의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글로벌 학습과 다국적성의 상호작용은 기업의 가치에 부의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최근에 정보와 운송기술의 급속한 진보로 국제거래에 따르는 의사소통비용과 수송비용이 대폭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표준절차의 수립, 소프트웨어 솔루션의 구축, 대면 커뮤니케이션, 실연이나 협상, 그리고 문제해결을 위한 공동노력 등 글로벌 학습에 필요한 범세계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비용이 우리의 예상과는 달리 매우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6,900원
        83.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초투자와 후속투자는 그 전략적 동기나 결정요인 그리고 투자행태 등이 크게 다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이를 구분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취급해 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론적인 측면에서 후속투자의 개념과 선행 이론 및 실증연구를 체계화하여 정리하고, 실증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92개 해외진출 전자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후속투자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초통계적인 측면에서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후속투자를 더 많이 수행하고 있다는 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나 개발도상국과 선진국간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로짓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 우리나라 전자기업의 후속투자에는 기업의 규모, 자산의 특유성, 지식집약도, 문화적 거리, 해외투자 위험, 현지국에 대한 투자경험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정요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즉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자산의 특유성 및 지식집약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문화적 거리와 해외투자 위험이 낮을수록 후속투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어 현지국에 대한 투자경험도 후속투자를 촉진시키는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후속투자에 관한 이러한 연구 및 실증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전자기업의 최초투자 및 후속투자전략 수립에 여러가지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지금까지 최초투자와 후속투자를 구분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이루어졌던 해외투자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 이론연구 및 실증연구를 이론적·실증적인 측면에서 크게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500원
        8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국제화전략이 시간적 흐름에 따라 어떻게 전이되는가를 연구한 것으로, Jarillo & Martinez의 연구에서 제시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전략모형을 발전시킨 Taggart의 새로운 I-R 모형을 한국내 59개 제조 다국적기업 자회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에 근거하여 한국형 I-R 모형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Taggart란의 연구와 동일하게 I-R 모형의 4분면 중 Low I-Low R에 위치하여 무활동적 국제화 전략을 수행하고 있는 자회사 군집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과거(5년전)와 비교한 현재의 국제화전략 전이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상당히 큰 변화의 폭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으로는 우리나라의 급작스러운 경제적 구조변화(IMF 구제금융)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한편 자회사의 국제화전략 중 High I-High R에 위치하여 활동적 국제화전략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들에게서 대외경쟁력과 수익성이 높게 인지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선행연구에서와 동일하게 자회사의 국제화전략 변화는 진출시장에서 요구하는 기본적인 전략수행 차이에 기인하고 있다고 결론 짓는다.
        8,300원
        87.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 관리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이 문화적 배경이 다른 본사 파견관리자와 현지인 관리자의 직무성과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분석코자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 기업이라는 특수한 문화환경에 놓인 관리자의 직무는 크게 개인에 내재된 개인적 요인과, 관리자의 직무가 수행되는 상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였다. 개인적 요인은 그것이 개인의 본원적 특성인가 아니면 후천적 성격을 지녔는가에 따라 관리자의 개성적 측면과 그가 보유한 기술적 측면으로 구분하였고 상황적 요인은 직무가 수행되는 환경과 여건을 말하는 것으로 시간제약, 직무 수행인원의 수 등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에 진출해 있는 미국기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본국관리자인 미국인관리자와 현지인 관리자인 한국인관리자에게 각각의 개인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이 직무에 미치는 중요도를 평가해주도록 요청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분산분석 결과, 미국인관리자는 한국인관리자에 비해 개인적 요인 가운데 본원적 특성인 관리자의 개성이 직무성과에 더 중요하게 작용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이는 동료간 협력과 인화를 중시하는 한국인관리자의 집단주의적 문화배경과 조직내의 경쟁과 개인의 자아성취를 존중하는 미국인관리자의 개인주의 문화의 문화적 차이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후천적으로 습득되는 기술 요인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중요도 평가에서는 두 그룹간 유의할만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다국적기업은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서 기술적 측면의 관리자간 문화차이는 상당부분 해소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진다. 상황적 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는 미국인관리자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평가하고 있는데 가설 검증을 통하여 확인된 두 그룹간 차이는 기존의 비교문화 연구에서 제시하는 고배경/저배경문화.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의 분석 틀로써 설명할 수가 있을 것이다.
        5,700원
        88.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 論文은 현지국의 政治的 危險이 다국적기업의 해외직접투자방식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현지국의 위험이 해외직접투자로의 진출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어온 편이나 , 해외직접투자방식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도외시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치적 위험을 크게 (1) 收用危險 (2) 運營危險 (3) 移轉危險의 세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미국 140개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硏究結果, 정치적 위험, 즉 수용위험, 운영위험, 이전위험이 높은 국가들로 진출할 때에는 조사대상기업들은 투자방식으로 單獨投資보다는 合作投資를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진출전략은 국유화, 수용, 현지산 사용요구, 현지국 화폐의 불태환성 등에 따르는 정치적 위험부담을 줄이고, 현지파트너와의 합작을 통해 이러한 정치적 위험을 분담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결정에 따른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내기업들도 사회주의나 공산주의 국가들과 같이 정치적 위험이 비교적 높은 국가들에다 직접투자를 행할 때에는 본국이나 현지국 또는 제삼국의 파트너와의 合作提携등을 통해 정치적 위험부담을 낮추는 진출방안을 적극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요컨대, 현지국의 정치적 상황이나 시장환경에 따라 전략적으로 해외직접투자방식을 결정, 사용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4,500원
        90.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세계경제는 범세계화 시대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즉, 국별로 시장인 분리되어 있고 경쟁이 국지적 양상을 띠며 세계시장의 접근에 수출이 지배적인 수단으로 통용되던 초기의 국제화시대와 달리 세계시장이 통합되고 경쟁이 범세계화하며 생산의 국제화가 보편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범세계화시대에서 제기되는 중요한 질문은 기업과 국가간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할 것이며 국가의 입장에서 자국기업의 생산범세계화가 모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로 집약될 것이다. 첫번째 질문에 관하여 본고는 오늘날 기업과 국가, 세계간의 삼자관계는 더이상 국제경제론 이라는 기존의 준거틀에 의하여 분석될 수 없다는 점과 범세계화시대의 세계경제는 이제 경제학과 경영학의 공유분야(interface)로서 새로운 준거틀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본고는 그동안 발전해온 다국적기업론과 교환양식론, 메조산업체론을 기초로 다국적기업과 국가가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는 세계경제론이라는 새로운 준거틀을 세워보고자 시도할 것이다. 이렇게 세워진 세계경제론을 토대로 두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본고는 생산에서의 경쟁력 형태를 유형화할 것이다. 그동안 경쟁력에 관한 연구가 경쟁력의 원천과 시장에서의 형태에 집중되어 생산의 범세계화가 모국의 생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에 적절하지 않았다. 본고는 생산에서 나타나는 경쟁력의 형태를 제품수명주기론을 기초로 제품기술과 공정기술, 마케팅기술로 구분함으로써 다국적기업이 어느 기술에 입각하여 국제생산을 수행하는가에 따라 모국 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것을 추론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다국적기업이 현지생산하는 제품의 경쟁력의 핵심원천이 제품기술과 마케팅기술일 경우 현지생산은 모국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지 않지만 공정기술일 경우 모국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킨 것으로 예상된다.
        8,000원
        91.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에 진출해 있는 외국자본에 대한 조세우대제도를 구체적으로 종합검토하고 현행 국제조세 체계하에서 이러한 정책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 있어 외국인직접투자와 조세유인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Hartman의 모형을 이용했다. 검증결과, 유보이익재투자에 대한 조세감면정책의 영향은 예상했던대로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규자금을 통한 투자와 조세감면제도의 관계를 보면 부의 관계가 상당히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동 결과는 최근들어 조세감면혜택이 지속적으로 축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직접투자는 증가되었다는 것을 말하며 조세감면혜택이 신규자금조달에 의한 외국인투자 규모증대에는 큰 영향요인이 아님을 시사한다. 이러한 검증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조세제도 개선방안은, 유보이익재투자 확대나 첨단기술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최소한의 감면조항은 바람직하나 외국인 투자에만 해당되는 조세우대조항을 점차로 폐지하여 국내투자와의 조세형평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조세중립성(Tax Neutrality)을 확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6,100원
        92.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국적 영업활동과 관련된 어떠한 특수요인들이 실제로 다국적기업의 자본구조에 영향을 미칠것인가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몇몇 문헌들은 다국적기업의 채무비율이 순수국내기업의 채무비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다는 검증결과를 제시하고 있는 바,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가 초래된 원인을 자본구조의 일반적 결정요인들을 살펴봄으로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재무이론에서는 자본구조의 일반적 결정요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세가지 요인-파산위험, 대리인 비용, 비부체감세율등-에 대하여 다국적기업과 국내기업간 비교의 관점에서 검증을 시도해 보았다. 검증결과, 다국적기업의 대리인비용과 비부채감세율이 국내기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크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는 바로 다국적기업의 부채비율이 국내기업의 그것에 비하여 낮다는 기존연구결과에 대한 원인규명이 되며 동시에 다국적영업활동에 따른 다국적기업특수요인이 자본구조에 유의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즉 다국적기업이 낮은 부채비율은, 첫째 대리인비용과 관련하여 볼때 기업특유 자산의 존재 및 정치적위험 가능성등의 다국적기업 특유요인으로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며, 둘째 비부채감세율과 관련하여 외국세액공제등을 포함한 국제조세제도도 또다른 영향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이다.
        6,600원
        93.
        2021.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문의 연구은‘제도이론(Institutional T heory)’이 다국적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전략 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연구성과를 이론적으로 풍부하게 확장하였다. 또한, 중국 다국적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전략 결정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이론적 분석방법을 했으며, 실천적으로는 정부와 기업의 관련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본문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94.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적외항선사를 대상으로 DEA에 의한 Malmquist 생산성지수를 측정하여 주요 재무비율(수익성, 재무안정성, 유 동성, 효율성, 생산성 간에 영향 관계와 판별력을 규명하여 생산성을 개선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2017년에 비하여 2018년에 생산성(MPI)이 증대한 선사보다 감소한 선사가 11개 많다. 생산성 감소는 주로 내부환경의 영향을 받는 기술적 효율성 변화지수(TECI)의 감소가 주요인이며, 생산성이 증대된 선사는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는 기술변화지수(TCI)의 증대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생산성(MPI)과 경영효율성(CRS) 간의 강 한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 선사 내부요인에 의한 기술적 효율성변화지수(TEC)는 효율적인 선사가 유의적으로 높은데 순수효율성 변화가 아니고 규모효율성변화의 차이에 기인한다. 용선비/매출 비율은 생산성이 높은 선사(0.17)가 낮은 선사(0.21)에 비하여 낮고, 매출액영업이 익률은 MPI>1인 선사는 7%인데 MPI<1인 선사는 1%에 불과하여 용선비 규모와 영업수익성은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다. 따라서 외항선사는 용선비중을 줄이고 내부적인 경영효율 개선을 통한 규모 효율과 생산성을 증대시켜야만 채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95.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 기업가치의 대용변수로 활용된 투하자산수익률과 재무구조(부채비율)은 정(+)의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재무적 곤경에 처하기 이전에는 자기자본비용보다 절세효과가 있는 부채의 자본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기업가치와 재무구조는 정(+)의 관련이 있다 는 정태적 절충이론과 부합되는 결과이다. 또한, 영업수익성(EBITDA/매출), 투자안전성, 총자산 성장률, 순운전자본 그리고 감가상각비는 재무구조(부채비율)와 부(-)의 관련성을 띠고 있다. 이는 성장률이 낮을수록 부채비율이 높다는 Jensen의 부채의 통제가설과 수익성과 현금흐름이 높은 기업은 내부자금조달이 원활하므로 부채비율이 낮다는 자금순위이론에 부합되는 연구결과이다. 연료비, 차입금, 총자산회전율, 금 융비용, 용선료, 유형자산율은 부채비율과 유의적인 정(+)의 관련성을 띠고 있다. 이는 대리이론과 부합되는 결과이며 파산한 H선사처럼 과도한 용선료가 우리나라 외항선사의 재무구조를 압박하는 요인으로 확인하였다.
        96.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업재무분야에 있어 최적의 자본구조에 관한 내용은 주된 이슈이자 관심분야로 남아있다. 즉, 최적의 자본조달 형태의 결정은 기업의 현금흐름에 대한 유동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기업의 재무건전성과 자금조달의 토대인 기업가치 극대화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은 부채만기의 결정에 관해 실증하고자 하였으나, 개별 산업적 특성이 분명하게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확보라는 주요 자본조달 의사결정이 요구되고 있는 국적외항선사들을 중심으로 부채만기결정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 기업의 규모, 자산의 만기, 유동성, 성장옵션, 기업의 우량성이 해운기업의 부채만기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장옵션의 경우 부채만기와 부(-)의 관계가 존재하였으며, 세금과 레버리지는 부채의 만기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97.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국적일반화물선 공식안전성평가(Formal Safety Assessment, 이하 FSA) 연구의 1, 2 단계에 해당하는 위험요소 식별(Hazard identification) 및 식별된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도 분석(Risk analysis) 결과를 소개한 "국적일반화물선 초기안전성평가 연구(1)"에 이어 FSA 연구의 3, 4 그리고 5단계를 수행한 내용으로, 국적일반화물선의 운용 중 발생 가능한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위험도제어방안들(Risk Control Options)을 식별하는 단계(Step 3)와 식별된 위험도제어방안들 중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하여 선별된 위험도제어방안들을 대상으로 한 비용-효과 평가 단계(Step 4: Cost-Benefit Assessment) 그리고 비용-효과 평가의 결과를 정리하여 국적일반화물선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단계(Step 5: Recommendation for Decision Making)의 결과를 소개하였다.
        9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IMO에서는 산적화물선 및 유조선, 대형여객선에 이어 '일반화물선의 안전(general cargo ships safety)'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IMO, 2006a)되고 있으며, 본격적인 논의를 위한 준비 작업으로 국제선급협회(IACS)를 통한 공식안전성평가(Formal Safety Assessment, 이하 FSA)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FSA란 위험도(risk)분석과 비용-효과 평가(cost-benefit assessment)를 바탕으로 인명, 해양환경 및 재산의 보호를 포함한 해사안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구조화되고 체계적인 방법론으로서 새로운 법규의 평가, 기존법규와 새로운 (제안) 법규와의 비교, 그리고 여러 이해관계자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법규 변경/개발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다(IMO, 2007). 본 연구는 국적일반화물선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수단으로서 IMO FSA방법론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향후 IMO에서의 '일반화물선 안전'에 대한 논의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적일반화물선에 대한 FSA의 1, 2 단계에 해당하는 위험요소 식별(Hazard identification) 및 사고시나리오에 대한 위험도 분석(Risk analysis) 결과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99.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게임에도 다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음성인식에 대한 요구와 여러 나라의 서로 다른 언어로 표현된 음성을 하나의 음성 모델로 표현하는 다국어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언어로 구성되어 있는 음성을 하나의 음성 모델로 표현할 수 있는 다국어 음성인식 시스템의 발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국어 음성 모델을 통합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기본 연구로 한국어 음성과 영어 음성을 국제음소기호(IPA)로 인식하는 시스템을 연구하였고 한국어와 영어 음소를 동시에 만족하는 IPA모델을 찾는데 중점을 두어 실험한 결과 한국어 음성에 대하여 90.62%, 영어 음성에 대하여 91.71%라는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다.
        100.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국인선원 고용 확대의 주된 요인으로 주장되고 있는 선원의 부족문제, 그 중에서도 국적외항상선의 해기사의 수급현황을 객관적인 자료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외국인 해기사의 고용범위 조정에 대한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해기사의 수급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3 4급 해기사의 신규양성 공급 상황을 조사하였고, 해기사의 취업 및 이직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적외항상선 척수의 증감상황을 조사하여 선복량의 증가에 따른 해기사의 신규수요 현황도 조사하는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한 해기사의 수급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적외항상선에 공급되는 해기사는 매년 64명 정도가 남아도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