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

        8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박온실가스 규제를 위한 SEEMP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기술 중 선박에너지절감을 위한 조치는 하드웨어 적인 장비를 선박에 탑재하여 구현하거나, 인적교육 및 운항패턴 개선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선체저항개선을 위 한 기술 중 하드웨어적인 장비 개조를 통해 구현되는 기술은 현존선에 적용하는데 장비의 규모 등에 의한 제약이 발생한다. 반면 소프트웨어 적인 에너지절감기술의 구현은 저렴한 도입비용과 하드웨어적인 방식에 비해 높은 에너지 절감효과를 보이며, 선종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적 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IT 기술을 이용한 선박에너지절감기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 기반의 선박에너지절감 기술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3개 선종에 대한 실선 모델링 기반의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육상시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성능검증 방법은 6개의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에너지절감기술 적용 전후의 운항결과로부터 에너지절감효과를 비교·분석하고, 해상상태 에 따른 구간별 비교결과를 통해 IT기반 에너지절감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벌크, 컨테이너, VLCC 선종을 이용한 육상시험 결과 컨테이너선의 연료절감률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육상시험 대상선박 모두 선박에너지절감시스템 사용전과 비교하여 연료절감효과를 보였다.
        82.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mping Station is amended ('15.1.6) a special law (hereinafter siteukbeop) on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facility has been incorporated into kinds of facilities.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siteukbeop drainage pumping stations as part of condition assessment techniques detailed guidelines established for drainage pumping stations being incorporated into the new facility as amended.
        83.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y the revision of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15 .1.6), coastal structures(breakwaters) was selected as management target. In this study, it is aim to introduce assessment methods for performing precision check-up and precision safety inspection of the coastal structures(breakwaters).
        85.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s of mindfulness as a cop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ppraisals and effort/persistence in university dance clas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28 undergraduates (78 males, 350 females) ranging in age from 18 to 27 (M=20.18, SD= 1.62). Data were analyzed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IBM SPSS Statistic 21 and AMOS 21. Result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revealed that challenge appraisal predicted mindfulness, which, in turn, linked to students effort and persistence. In contrast, threat appraisal was unrelated to mindfulness, which, in turn, was not predictive of students' effort and persiste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hallenge appraisal to stressful events and effort/persistence in dance classes.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mindfulness in stress are discussed.
        86.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he evaluation and effects of mindfulness· acceptance, commitment(MAC) approach on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golf performance in elite golfer.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the three golfers registered by KLPGA. All of golfers received the same measures given at pre- and post-7 treatment :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AAQ-16: Bond et al 2000), golf performance (scores average, putting average, birdies average, GIR %, par save% par break%, recover average). MAC strategies of this study were mindfulness, acceptance, defusion, commitment, and value. Results: during 7 treatments of mindfulness⋅acceptance commitment, acceptance & action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golf performance of three golfers was improved. Conclusion: MAC training is evaluated to contribute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golf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erience the MAC training for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ntinuous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golf players. In particular, it is recommended to learn psychological flexibility to focus on current awareness, non-judgmental acceptance, decentralized attention of mindfulness, and commitment for value behavior. The detail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87.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Athletes' subjective responses to competition are dynamic and complex states, most often encompassing more than one emotion associated with specific types of appraisal and action tendencies, and mediated by various situational and personal fact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boxers' cognitive appraisals and performance strategies in a pre-competition setting.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65 male and female boxing athletes aged from 13 to 19 years. They completed a multi-sectional questionnaires measuring the types of cognitive appraisals, emotions, and performance strategies. For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Athletes' positive emotion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llenge appraisal and self talk, as well as challenge appraisal and conditioning in a pre-competition setting. But Athletes' negative emotions didn't mediate the relationships threat appraisal and performance strategies.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athletes' challenge appraisal, positive emotion, and performance strategies are highly related constructs. It is also important that coaches should have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adolescent boxing athletes in stressful competition in order to develop efficient performance strategies.
        88.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통제와 조절원리에 근거한 PST와 수용원리 중심의 마음챙김·수용전념 접근의 효과를 비교분석하여 PST의 한계를 탐색하고 심리지원 프로그램(MAC 전략)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각 종목별 협회에 등록(2011, 11월 현재)되어 있는 고등부 남자 운동선수(양궁; 13명, 사격; 13명) 총 26명이었다. 측정내용은 집단별 훈련 전, 후 심리기술, 마음챙김 수준, 수용·행동수준, 지각된 수행력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집단간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기술 중 심상, 성취력, 각성은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고, 주의력은 심리기술훈련 집단과 마음챙김·수용전념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았다. 자신감은 마음챙김·수용전념 집단, 심리기술훈련 집단, 통제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 하위요인 중 현재자각, 비판단적 수용, 탈 중심화 주의는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고, 주의집중은 마음챙김·수용전념 집단이 심리기술훈련 집단, 통제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선수들의 수용행동 수준은 마음챙김·수용전념 집단이 심리기술훈련 집단과 통제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지각된 수행수준은 집단 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마음챙김·수용전념집단과 심리기술훈련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훈련참여 후 지각된 수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결과에 대한 세부 내용이 논의되었다.
        89.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9개정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라 정보 과목의 수행평가가 잘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 방침에 적합한 서술형 수행평가 문항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특별시 중학교 중 정보를 선택한 113개 학교를 대상으로 수행평가 실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여전히 수행평가 항목 중 타자연습과 같은 단순한 기능 위주의 실기 평가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학생들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중학교 정보 과목의 한 개 단원을 대상으로 서술형 수행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항이 학교 현장에서 평가 자료로 활용되어 정보 과목의 평가 방법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90.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래의 음악교과의 실기 평가는 평가에 대한 형평성과 공정성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냈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해서 평가 준거는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음악교과의 평가 목적과 장점을 발휘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타당한 음악과 평가을 위하여 음악 교과의 수행평가 준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음악 수행평가 준거는 Rief의 분류에 따라 내적 준거와 외적 준거로 나누었다(Rief L, 1990: 24). 내적 준거는 음악교과 내용의 요소와 특성, 외적준거는 음악 수행과제의 활용도 및 유용성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음악 수행평가 준거는 내적, 외적 준거의 특성에 따라 영역을 나누고 하위 요소로서 19개의 세부 영역을 개발하였다.
        91.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스포츠 경쟁 상황에서 고교 운동선수의 인지평가(도전과 위협), 정서조절, 정서 및 수행만족간의 구조적 관계와 연구모형의 교차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1(N =169, 남자=120명, 여자=49명)은 국문판 인지평가와 정서조절 질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였고, 연구 2(N =473, 남자=318명, 여자=155명)는 경쟁 시 인지평가와 수행만족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정서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1에서 시행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인지평가 질문지와 정서조절 질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는 3개의 가설적 매개모형을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재평가, 억제)과 유쾌한 정서가 도전상태와 수행만족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며, 정서 억제와 유쾌한 정서는 위협상태와 수행만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다중집단분석의 결과 구조계수는 집단 간에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경쟁 시 선수들의 정서조절 전략과 정서반응의 역할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92.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에 따라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가 각 놀이 영역별로 어떻게 나타나며,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만 5세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는 106.50(SD=12.49)으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과정의 특성의 발현 정도는 순차처리가 가장 높았고, 계획기능, 동시처리, 주의집중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52.57%로, 중간 정도의 일치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에 따른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가 높은 집단의 유아가 보통 집단의 유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전체적인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에 따른 집단 간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영역별로 살펴보면, 언어 영역에서 높은 집단과 보통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3.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 목적은 체육 수행평가의 중요성을 고려하면서 2×2 성취목표성향의 수준에 따라서 자기핸디캡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성취목표 성향이 자기핸디캡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516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2×2 성취목표성향 질문지, 자기핸디캡 질문지를 배포하고 수행평가 중요도를 평정하게 했으며 기술통계치, 공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숙달 접근은 높고 숙달회피 성향은 낮은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자기핸디캡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수행접근이 높고 수행회피가 낮은 집단과 수행접근과 수행회피가 모두 낮은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자기핸디캡이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숙달회피와 수행회피 성향은 자기핸디캡에 정적으로, 숙달접근 및 수행접근 성향은 자기핸디캡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회피 성향이 자기핸디캡에 대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제시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했다.
        94.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교 경제교육평가의 목적, 내용, 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교수․학습 과정에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은 평가 문항의 개발을 통해서이다. 이렇게 개발된 평가 문항에 대한 현장 적용은 개발된 평가 문항의 적합성 및 실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매우 중요한 절차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교육평가를 위하여 8개 예시 수행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 적용을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타당도, 신뢰도, 실생활 맥락성, 실용도의 4가지 구비 요건을 분석 준거로 하여 초등 수준에 해당하는 4개 예시 수행평가 문항과 중등 수준에 해당하는 4개 예시 수행평가 문항 각각의 적합성을 분석하여, 각 문항이 지니는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95.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술 교육(technology education)은 교육의 목적에 따라 두 분야 즉 일반 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기술 교육과 직업 교육(vocational education)으로서의 기술교육으로 나누어진다. 일반 교육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기술 교육은 보통 '기술 교육'으로 부르며 이때의 기술 교육은 좁은 의미에서의 기술 교육이며 기술 교과 교육이라고도 부른다. 직업 교육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기술 교육은 보통 '공업 교육'으로 부른다. 기술 교육의 좋은 보기는 중학교의 기술․산업과 교육과 일반계 고등학교의 기술과 교육이며, 공업 교육의 대표적인 보기는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이다. 과거 공업 혁명 이전의 기술 교육(technology education)은 동서를 막론하고 직업 교육의 일환으로 이루어져 왔다.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비롯된 공업 혁명 이후 세계는 농업 사회에서 공업 사회로 바뀌었고, 현재는 후기 공업 사회에서 정보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말미암은 사회 변화는 사회 전체의 짜임새는 물론 개개인의 삶의 모양새까지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이렇게 사람과 사회에 대한 기술의 영향력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현대 또는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이에게 기술적인 지식 및 능력과 기술에 대한 올바른 태도가 절실히 요청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기술에 관한 지식, 태도, 능력을 가르치려는 노력이 학교 교육에서 보편화되어 기술 교육이 일반 교육의 주요 부분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개인과 사회의 변화 또한 더욱 더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공업 교육과 아울러 기술 교육의 중요성은 기술의 영향력이 증대됨에 따라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기술 교육에서는 다른 교육 분야와는 달리 지식의 이해 정도뿐 만 아니라 사고력, 판단력, 만들기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이 강조되기 때문에 실천적인 태도와 기술적인 활동의 체험 즉 실험․실습 활동이 매우 중요시된다. 따라서 기술 교과 교육에서의 학습자의 평가는 다른 교과와 같이 지식의 이해 정도를 평가해야 할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실기 능력, 일에 대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 기계와 도구를 다루는 능력, 일의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 정보의 이용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균형 있게 평가해야 한다. 또한, 일의 결과뿐 만 아니라 계획 및 진행 과정에 대한 계속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기술 교육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기술 교육에서의 학습 평가는 대부분 지식의 이해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지필 검사를 위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실험․실습을 통해 평가해야 할 기술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기술적 능력에 대한 평가가 공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기술 교과 수업의 결과는 외적인 활동에 의해 나타나고, 직접적인 체험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 경험을 수반하기 때문에 지필 검사만으로는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없다. 기술 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평가는 지필 검사, 관찰에 의한 평가, 실습 진행 과정 및 완제품의 평가, 면접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지식, 이해, 태도, 능력의 각 영역이 고르게 평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바로 수행 평가 방법의 도입이다. 수행 평가의 도입은 현재 기술 교육에서의 평가의 단점, 즉 학생의 지식, 태도, 능력 및 기능 등 다양한 행동 영역에 대한 평가가 균형 있게 이루어지지 않고, 평가 형태에 있어서도 지필 검사에 의한 상대 평가에만 주로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평가된 결과가 교수-학습 과정에 잘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보완할 수 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