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9

        8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 주변의 전통 소나무숲을 선정하여 숲의 구조와 생장실태를 조사하고, 양호한 생장과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 소나무숲은 강원도 영서지역에 분포하는 12개소를 선정하였다. 숲의 조성시기는 개소별로 최소 50~최대 200년 전이었고, 소나무의 평균 흉고직경과 밀도는 각각 27~52cm, 0.5~9.3주/100m2이었다. 생장기반인 토양환경은 소나무 생장에 대개 양호한 편이었으나, 토성이 사토로서 보비력이 낮은 2개소의 경우 토양양분이 현저하게 낮았다. 일부 숲은 복토, 답압 등으로 인해 근계생장 장해에 따른 수세저하가 나타났다. 수간의 수피탈저 및 공동피해가 6개소에서 발생하였고, 그 원인은 인위적 외상, 전정 부주의, 동해 등이었다. 병해는 그을음잎마름병, 갈색무늬병 등이 6개소에서 발생하였고 피해정도는 경미하였다. 충해의 경우는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로서 피해정도는 6개소에서 경미하였으나, 2개소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현저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대상 소나무숲의 생장저해를 야기하는 주 요인은 양분부족, 복토 및 답압, 수간훼손, 병충해 등이었다. 이들 원인별 문제점을 개선하여 해당 소나무숲을 보전할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관리방안은 유기물과 석회 시용, 복토 제거, 토양굴기와 자갈포설, 목도설치 또는 우드칩 포장, 목책 및 보호틀 제공, 수간 외과수술, 수세강화, 수간주사 등 생장환경을 개선하거나 수간훼손과 병충해를 제어할 대책을 포함하였다.
        4,000원
        8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동북진흥전략, 특히 '5점 1선 연해경제벨트' 전략과 ‘창지투 개발·개방 선도구’ 전략에 따른 “중국의 신 비즈니스 거점화 전략”을 동북지역의 투자환경 평가를 통해 그 가능성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동북 3성은 러시아, 몽골, 한반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입지조건(Location advantage)를 바탕으로 교통․물류의 중심지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는 만큼 동북아 경제협력의 허브(Hub)로서 역할 잠재력이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첫째, 오는 2020년까지 대련이 동북아국제항운센터와 국제물류센터로 건설될 경우 '5점 1선' 연해경제벨트는 국제경쟁력을 갖춘 臨港 산업글러스터로 부상할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창지투 개발·개방 선도구’ 전략은 두만강 개발계획(TRADP)과 연계되는 만큼 두만강지역 배후권역(러시아의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몽골, 중국 동북지역, 북한, 한국의 동해안, 일본의 서해안)의 교통 및 물류 발전 잠재력이 크기 때문이다. 셋째, 중앙정부의 동북진흥정책과 함께 동북 3성의 지방정부 역시 각자의 상황을 고려한 지방정부 차원의 개발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다자간 지역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역내 국가들 간의 경제적 상호보완성이 강화될 경우 동북 3성은 “과거=심천”, “현재=상해 포동”에 이어 “미래=동북”이라는 중국정부의 "신 비즈니스 거점화: NBH(New Business Hub)" 전략은 그 목표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8,700원
        8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sumption behavior and perception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EAPs) by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onbuk area, Ko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9 university students(male 33.0%, female 67.0%).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es was completed using SPSS v. 12.0.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purchased EAPs was 70.9%. Of those, 87.2% had EAPs purchased by their mothers. The most purchased EAPs were vegetables, the primary reason for which was the perception of ``good for health``(73.1%). The main information source about EAPs was ``familes/freinds``. The average scores of ``attitude toward EAPs``, ``knowledge toward EAPs``, ``concern toward EAPs`` were 3.76±0.57, 2.91±0.61 and 3.29±0.43, respectively. With regards to ``attitude toward EAPs``,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elf-reported health status``(p<0.05). With regard to ``knowledge toward EAPs`` and ``concern toward EAPs``,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upplements for health`` (p<0.05; p<0.001). For university students` right choices of EAPs, information and consumer education wthin the university curriculum on these products are necessary.
        4,000원
        87.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지역의 지형은 해안과 인접한 소규모의 곡저평야에 속한다. 이 곡저평야는 낮은 구릉지 사이 개석된 곳에 충적물이 매적되어 형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안정동위원소비 분석과 토양유기탄소 분석을 이용하여 과거의 기후환경 복원을 시도하였다. I 시기(약 6,600±60 yr B.P.-5,350±60 yr B.P.)는 전반적으로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환경이었으나, 건습변화에 있어서는 약건조(또는 약습윤)→습윤의 미변화가 감지된다. II 시기(약 5,350±60 yr B.P.-2,200 yr B.P.)는 현재와 비슷한 온난습윤한 기후환경을 나타낸다. 4,720±60 yr B.P.와 4,210±50 yr B.P. 사이는 전체 퇴적층 중 가장 습윤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4,210±50 yr B.P. 이후에는 점차 습윤에서 약습윤(또는 약건조)환경으로 이행하는 과정이 나타난다. III 시기(약 2,200 yr B.P.-210±60 yr B.P.)는 앞선 두 시기와 확연히 구분되며, 약습윤(또는 약건조)의 기후환경을 나타낸다.
        4,000원
        8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exploratory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EAPs) perception on EAPs consumption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to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in Chung-buk area by the help of h o m teachers of each school. Out of 500 questionnaires administered, a total of 305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yielding a response rate of 61%. Regarding buying behavior, 89.6% of respondents have ever bought EAPs, among them, 52.9% usually bought in a mart. The reason to buy EAPs was mostly safety(57.6%), nutrition & health(30.4%), and quality(7.0%). The 11 item representing the attitude and knowledge were analyzed, resulting in three distinct dimensions-`attitude`, `knowledge`, and `concern`. The knowledge level of EAPs was slightly higher than medium. Concerning the influence of EAPs perception on EAPs consumption behavior, the more having high knowledge and attitude level on EAPs, the more lead to the EAPs consumption behavior. This implici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enhance the knowledge level and positive attitude towards EAPs.
        4,000원
        8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earance of norovirus in the water for food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and the influence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factors of norovirus in order to work out basic data to predict the detection of norovirus. Among 82 samples of water for food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norovirus appeared in 7 samples and the rate of appearance was 8.5%. As for the type of norovirus, one samples contained GI type (genotype GI-6) and six samples contained GII type (genotype GII-2, GII-4, GII-12). In the regression model of prediction of norovirus, the rate of appearance was correlated with NH₃-N, total solids and the consumption of KMnO₄, out of such variables as NH₃-N, total solids, the consumption of KMnO4, depth, chloride and total colony counts, and its contribution rate for effectiveness was 78.60%.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 of environment upon the detection of noroviru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predictable regression formula for appearance rate of norovirus was expressed as -1.818 + 42.677 [NH₃-N] + 0.023 [total solids] + 0.762[consumption of KMnO₄] -0.009 [depth] -0.146 [chloride] + 0.007 [total colony counts] (R = 0.904, R² = 0.818,adjusted R² = 0.786, p < 0.05).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upon the detection of norovirus were NH₃-N, total solids and the consumption of KMnO₄. In other words, when the measured values of NH₃-N, total solids and the consumption of KMnO₄ were higher, the possibility of appearance of norovirus increased.
        4,000원
        95.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해안 고흥, 해남, 완도, 보길도지역에 분포하는 황칠나무개체군 생육지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그리고 입지환경 등을 조사하였으며, 자생지의 기상요인을 분석하여 생육가능지역을 추정하였다. 황칠나무군락은 종조성의 차이에 의해 구실잣밤나무군과 서어나무군으로 구분되었다. 상대기여도에 의한 우점도값은 전체적으로 동백나무(100.0), 붉가시나무(88.6), 구실잣밤나무(55.8), 황칠나무(41.4), 마삭줄(23.8), 사스레피나무 (19.9), 광나무(11.5
        4,000원
        97.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민통선이북지역은 주민들의 열악한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지역개발이냐 자연환경보전이냐의 상반되는 의견으로 끊임없는 논란을 야기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민통선이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과 공무원들의 민통선 일원의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과 자연환경보전 및 개발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파주시와 연천군 민통선지역 주민 265명과 시 군공무원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민과 공무원들은 민통선 일원의 우수한 자연경관과 자연환경 및 다양한 생물종 보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이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연환경은 많이 훼손되어 잘 보전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연천지역 주민은 더 그렇다고 응답했다. 전체적으로 주민들이 자연환경보전을 우선시하거나 최소한 보전과 조화를 이룬 개발을 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지역 공무원들 또한 지역의 발전을 위한 희생적인 태도가 강한 것으로 파악되어 민통선지역에 대한 지속가능발전의 인식 토대는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역별로 처한 상황에 따라 주민과 공무원간의 의견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파주지역의 경우 주민들이 지역개발을 더 원하는 데 비하여 공무원들은 환경훼손에 대한 우려와 자연환경보전 의지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 갈등이 예상되었다. 향후 지역개발과 자연환경보전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하여 자연환경에 대한 학술조사와함페 주민의 의사를 충분히 반영하고 조화롭게 진행되도록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에 대한 심층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4,200원
        9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parents had regarding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eing used for school foodservice. A trained practitioner surveyed 221 parents of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using a questionnaire, after which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by a Chi-square test. Overall, the parent's responses regarding the foodservice were positive. However, most of the parents do not participate (65%) in the school foodservice if they work, and those that do participate primarily work as meal service aides (58.1%). Parents indicated that the work of urgent field of inspection on food materials (69.9%), and the reason of an agreement (98.2%) for them were the students' health (68.4%). In addition, most parents were positive about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foods used in the school with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51.6%) and felt that the government should pay the additional expense associated with their replacement. Furthermore, the majority of the parent's surveyed felt that children should be supplied with vegetables (54.9%) purchased directly from farms. The parents' satisfaction with the meal service (25.1%) was lower than that of the students (54.1%). The reason for the satisfaction reported by the parents was concern regarding the health of their children (53.3%).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he parents (47.3%) responded that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differ from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because insecticides and fertilizer were not used. The main objection parents had to using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was their cost (59.1%), and most parents felt that a realistic solution to this problem was unified purchase (41.4%). Besides, a problem when replacing with them was the expensive price (38.1%) and true or false (37.7%),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59.5%) was selected the most in an effect of using them, diversity of the product (39.1%) and price reduction (32.6%) for a solution of the increase of using them.
        4,200원
        99.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끝동매미충은 흡즙에 의한 벼 잎의 황변, 분얼수 감소 및 임실장해 등의 직접적인 피해를 줄뿐만 아니라, 벼 오갈병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2006년 끝동매미충에 의한 벼 오갈병이 발생되어 90%이상의 발병주율을 보였던 전북지역 친환경 벼 재배지역에 발생하는 끝동매미충의 월동 밀도 및 월동충태의 보독충률을 2007년 12월부터 2008년 4월에 걸쳐 조사하여 월동충태의 밀도변화를 예측하여 예찰 및 방제에 이용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북 김제시 친환경농업지역에서 월동하는 끝동매미충의 밀도 및 충태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08년 1월 하순에 0.25m2당 15마리가 채집되어 월동개체군 밀도가 이시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월부터 3월 중순까지는 월동개체군의 90% 이상이 4령 약충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영기 변화를 보이며 5령 약충의 출현과 함께 4월 상순부터 성충이 발생하는 개체군 충태 변동양상을 보였다. 벼오갈병이 발생하였던 친환경 벼 재배지에서 2008년 1월부터 3월까지 채집된 월동 끝동매미충 보독충률은 벼 오갈병 특이 프라이머인 RDR3 -C20 & RDR3-M40을 이용하여 RT-PCR 검정했을 때 월동 초기인 1월 초에는 4.0%의 보독충률을 보였으며, 3월에 10.3%가 보독되어있었으며, 평균 7.4%의 보독충률을 나타내었다.
        100.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