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7

        81.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의 월동생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휴면 유기시기에 지역별로 유충을 채집하여 휴면용을 얻은후 수원과 진주등에 묻고 월동용의 생존욜과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휴면용의 월동 중 생존육은 5%미만으로 매우 낮은 반면, 인공사육용기에 담아서 흙에 묻었을 경우 60%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항온조건에서 발육기간은 지역이나 시험연도 또는 보관환경에 따라 20.4일에서는 43.9일로 개체간 변이가 컸다. 월동양상은 30일 이내에 우화하는 개체들과 30일이상 걸리는 개체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30일 이상인 개체의 비율은 중부지방이 남부지방보다 높았다. 반면 중부지방에서 채칩한 개체를 남부지역인 진주 야외조건에 보관할 경우 그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000원
        82.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밀양에서 끝동매미충 개체군의 월동상채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동하는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 현황은 월동초기인 12월 5일에 4령약충이 약 77~7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약 15~17%의 3령약충과 약 3%의 5령약충이었다.이러한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 비율은 월동중 채집시기와 함께 2령약충과 3령약충의비율이 상재덕으로 감소하고 5령약충의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여 이듬해 2월 20일에는 5령약충의 비율이 13~16% 였으며, 월동후기인 3월에는 5령약충과 성충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였 3월 19일에는 5령약충이 약 70-71%였고, 4월 8일에는 성충의 비율이 약 47~50%를 차지하였다. 끝동매미충의 두 월동기간 시기별 영기수성 현황을 수치로 환산한 평균령기는 월동초기인 12월 5일에는 각각 약 3.91령기와 3.86령기였으며, 이듬해 2월 20일에는 각각 4.11령기와 4.07령기, 3월 19일 에는 각각 약 4.75령기와 4.79령기였고, 4월 8일에는 각각 약 5.42령기와 5.45령기였다. 한편 끝동매미충의 시기별 영기구성 및 평균령기는 두 월동기간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끝동매미충이 월동에 들어가는 초기(11월 12월상순)의 기온과 월동후기(3월)의 기온에 따라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끝동매미충의 채집기간 평균령기를 비교한 발육지수의 값이 대체로 1.0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월동중에도 끝동매미충은 발육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끝동매미충의 월동장소별 채집밀도는 보리밭보다 휴반에 서 현저히 높았다.
        4,000원
        8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밀양에서 월동하는 애멸구 개체군의 월동생태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동 애멸구의 영구성 비율은 12월상순에 4령충(약 60%)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3령충(약 30%), 5령충(약 6%), 2령충(약 3.4%), 성충 및 1령충 순서였다. 이러한 월동 애멸구의 영구성 비율과 순서는 채집시기에 따라 변화였으며, 그 결과 3월상순에는 5령충(47-50%)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4령충(44-46%)이었으며, 4월상순에는 성충이 약 75-81%를 차지하였다. 월동 애멸구의 발육상황을 수치로 나타낸 평균령기는 월동기간동안 계속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채집년도간 평균령기의 차이는 연도간 월동기간중의 온도차이에 따른 월동 애멸구 영구성 비율의 차이에 따른 결과였다. 애멸구의 체중도 월동기간동안 계속하여 증가하였다. 월동기간동안 애멸구으 채집밀도는 보리밭보다 휴반에서 월등하게 높았다. 월동기간동안 애멸구 약충기생봉에 의한 기생률은 평균 약 21%였다.
        4,000원
        84.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장(圃場)에서 월동(越冬)하고 있는 벼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 균핵(菌核)의 밀도(密度)와 그 활성(活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1986년(年) 12월(月)에 이리(裡里), 나주(羅州), 진주(晋州), 대구(大邱)의 포장(圃場)에서 균핵(菌核)을 채집(採集)하여 발아력(發芽力)과 병원성(病原性)을 조사(調査)하였다. 균핵(菌核)의 밀도(密度)는 이리(裡里), 나주(羅州), 진주(晋州), 대구(大邱) 지역(地域)이 각각(各各) ha당 였으며 지역(地域)에 따라 그중 (평균(平均) 60%)가 발아력(發芽力)이 있었고 발아(發芽)된 균핵중(菌核中) 평균(平均) 49%가 벼품종(品種) 진흥(振興)에 병원성(病原性)이 있었다. 따라서 발아력(發芽力)과 병원성(病原性)을 동시(同時)에 가진 균핵(菌核)의 비율(比率)은 전체균핵(全體菌核)의 29%였다. 균핵(菌核)으로부터 분리(分離)한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은 배지(培地)에서의 균총형태(菌叢形態)에 따라 3가지 유형(類形)으로 대별(大別)되었으나 유형(類形)이나 균핵(菌核)의 크기, 균핵형성량(菌核形成量)은 진흥(振興)에 대(對)한 병원성(病原性)과 아무런 상관(相關)이 없었다. 10%의 편차(偏差)안에서 평균균핵밀도(平均菌核密度)를 95% 신뢰(信賴)하기 위하여 필요(必要)한 단순임의(單純任意) 표본수(標本數)는 이리(裡里), 나주(羅州), 진주(晋州), 대구(大邱)에서 각각(各各) 41, 132, 232, 395개소(個所)로 산출(算出)되었다.
        4,000원
        85.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남지방의 밤 집단재배단지에서 피해가 확대되고 있는 밤바구미의 피해율, 발생시기, 토중의 월동부위, 월동후의 사충율의 변이에 대한 시험을 계획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남지방 밤 단지의 밤바구미 피해율은 담장 , 광양 , 승주 였으며 이 지역은 참나무류가 많이 혼재되어 있었다. 2. 월동유충의 약 가 1년차에 우화되었고, 가 2년차에, 그리고 가 3년차로 계속 월동중이었다. 3. 밤바구미의 우화시기는 7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였고 그 최성기는 8월 중순에서 9월 상순이었다. 4. 밤바구미 피해종실로부터의 유충 탈출시기는 10월 상순부터 11월 상순이었다. 5. 밤바구미의 난기는 5.95일, 용기는 17.17일, 성충의 수명은 암컷 9.10일, 숫컷 7.03일 이었으며 유충기간은 매우 다양하여 측정하기 어려웠다. 6. 밤바구미는 월동유충은 상중 에 많이 분포하였다. 7. 월동후 일수경과에 따른 사충율과는 고도의 유의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4,000원
        86.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 심식나방의 발생생태를 구명하기 위하여 휴면 유기 및 종료시간, 휴면타파에 미치는 저온의 영향, 휴면후 월동유충의 용화시간 및 이에 대한 강우조건의 영향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숭아심식나방의 휴면은 최초 7월하순에 탈과하는 유충부터 시작되었으며, 8월중순에 약 가 휴면하였고, 9월 상순 이후 탈과하는 유충은 모두 휴면하였다. 2. 휴면유기는 산란시기와 관계가 있어서 6월하순7월하순에 산란되어 발육한 유충부터 휴면하기 시작하나, 년도별 발육시간중의 온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3. 휴면이 종료되는 시기는 12월상순 경이었으며, 1월이후에 가온하는 개체는 거의 모두 용화하였다. 4. 휴면타파에는 5, 의 저온이 효과적이었으며 저온요구기간은 약 1개월이상이었다. 그러나 이하의 저온은 휴면타파를 억제하였다. 5. 포장에서 월동후 유충의 5월중하순에 시작되었으나, 온도조건 외에도 5월7월의 강우가 월동유충의 발육에 중요한 요인으로 토양이 심히 건조한 경우 용화가 지연되었으며 유충의 사망률도 높았다.
        4,000원
        87.
        197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 볏짚 제품내에 들어있는 월도 이화명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Phostoxin 훈증제를 기온상태에서 들이 프라스틱 chamber를 사용하여 농도 및 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동유충은 처리 48시간, 옹은 24시간, 성충은 8시간에서 의 살충율 얻었다. 2. 약제의 사용농도 보다는 처리시간의 장단에 따라서 살충효과의 차이가 있었다.
        3,000원
        88.
        197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밀, 보리 붉은곰팡이병균의 분생포자 및 자낭각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을 수량적으로 연구하고, 분생포자의 제1차 전염원으로서의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토양에서의 일동상태를 조사하였다. 1. 균주 진주 1은 연속광선조사구에서는 광암교호구 및 암처리구보다 분생포자 형성이 많았다. 균주 수원 3은 암처리에서도 진주 1의 광처리보다 분생포자 형성이 많았으며, 광암교호구에서는 배양일 8일후 현저히 증가하였다. 2. 두 균주 모두 자낭각 형성에는 광선이 필요했고, 수원 3은 연속광선처리에서도 미숙 자낭각만을, 진주 1은 암처리를 제외한 다른 처리에서 많은 성숙자낭각 및 미숙자낭각을 형성했다. 분생포자 형성과 자낭각형성은 균주간에 차이가 있었고, 진주 1은 분생포자 형성량은 적으나, 자낭각형성은 많았고, 수인 3은 그와 반대였다. 3. 분생포자는 각각 의 토양습도에서 겨울동안 그 수가 현저하게 감소했으나, 이듬해 3월부터 토양습도에 관계없이 그 수가 증가했다 즉 밀, 보리 붉은곰팡이병균의 분생포자는 토양에서 월동할 수 있었으며, 1차 전염원의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4,000원
        89.
        197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 탄저병은 매년 특정기간의 과실에 한하여 발병한다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지간에서 자낭각의 형으로 월동하는 것으로 보고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과, 포도, 아까시아 등의 공시나무가지에 병균이 감염되어서 포자퇴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아 본 병균은 나무가지에서 월동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던 자낭세대가 접종된 공시나무가지의 병환부의 껍질속과 병과의 표피밑에서 검출되었으므로 자낭각의 형으로 지간에서 월동하여 일차전염원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3,000원
        9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Most of cases in korea, distributed herbal medications are storaged in room temperature and it causes many insect pests during storage. Despite the fact, there is little research about storage conditions. Temperature and humidity in storehouse are highly related with pests’ overwintering, generation length and the number of occurrence in summer. Consequently, in this research, major pests’ overwintering was studied by reviewing facility condi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in major regional storehouses. The results of this would help to develop how to manage pest occurrence in distributed herbal medications. Methods and Results : For this study, storage facilities was investigated at different regions including Gyeongdong Market in Seoul, the pharmaceutical company in Daegu and farmhouse in Youngcheon by monitering temperature, humidity, ventilator,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on ground and underground places from June 2014 to July 2016. including Upon investigation, most of building using for storage had simple ventilators. Whereas in case of farmhouse, it is vulnerable to maintaining quality. Because most farmhouse had temporary buildings which are difficult to control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ddition, among the other surveyed warehouses, Basement in the Gyeongdong Market had most favorable condition for pest overwintering. The lowest temperature of it was seldom below zero maintaining level of about 1.5℃ and average temperature was about 10℃ in underground warehouse during winter. And the ground warehouse of Daegu had similar pattern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that of Seoul in that being over 0℃ even in the winter. In Youngcheon, the temperature of farmhouse was below zero degree and the daily r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was wide. It caused difficulty of overwintering of insect pests but possible to inhabit. Conclusion : According to a study by Han-Mo, Koo(1997), it was impossible to overwinter for Lasioderma serricorne F. which is dominant medicinal plants’ pest in north of the Chungcheong region’s warehouse due to low temperature. But in case of investigated warehouses, it was possible to overwinter because of the high temperature in office building or basement storage area. In order to make prediction of pest occurrence and comprehensive measures, it is urgent to take more investigation by regional groups and types of storage.
        9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wa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pest of rice for the 1960s and 1970s in Korea. Recently, it is newly recognized as a potential risk factor to the biomass yield of bioenergy crops. The current research was firstly conducted to investigate overwintering larvae population density and pattern of rice stem borer attacking Miscanthus sacchariflorus cv. Geodae 1 which is referred to as an ideal lignocellulosic bioenergy crop in Korea. Population density of larvae per 1 m2 in stems and rhizomes at the Miscanthus experimental plots and rates of damage (wormhole, abscission) of M. sacchariflorus cv. Goedae 1 were investigated from October 2012 to March 2013. The population of larvae per 1 m2 in stems of Miscanthus were 23, 4, 1, and 1 in October, November, December 2012, and January 2013, respectively. Over the same period, the population of larvae in basal stem rots and rhizomes were increased, whereas decreased in stems. Interestingly, the positions of larvae for overwintering in Miscanthus were confirmed to 5~10 cm below the soil surface such as basal stem rot and rhizome, whereas the most common overwintering position known in rice is a part of stem on the ground such as rice straw and rice stubble. It would suggest that the larvae gradually moved to bottom of stems and rhizomes in soil in line with decline in temperature. Moreover, the damage rates of stems per 1 m2 were up to more than 50% in some places. In conclusion, this might be the first report that rice stem borer could affect the productivity of biomass of Miscanthus in case of mass cultivation. Moreover, it should be necessary to make a decision in insect control management for this bioenergy feedstock and other related crops.
        9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ea plants growing under natural condition meet various stresses. The tea plants often subjected to adverse condition like low temperature and high light intensity during overwintering. Because tea plant is adapted well to low light intensity, higher light intensity might induce negative effects on tea growth at open field (exposed habitat). We investigated tea plant planted with the seeds of wild tea trees growing at Unsu-ri, Hwagaemyun, Hadong-gun on Nov. in 2008. The experimental field for juvenile tea plants was located in the hill neighboring GSNU at Jinju, Korea. We divided the field into open, semi-shaded, and shaded condition. Light intensity (PAR) at open condition was two times and twenty times higher than at semi-shaded and shaded condition, respectively. Growth of tea plants was highly dependent on light condition, the plants at open field was extremely poor as compared to plants grown at shaded field. Height of plants at open, semi-shaded, and shaded field were 14, 17.3, and 17.8 cm, respectively. Leaf size was also greater in plants grown at shaded field. Photosynthesis-related chlorophyll fluorescence (quantum yield) was also higher in shaded plants. Fv/Fm value of plants grown at open fields was lower by 50% as compared to that of the plants grown at shaded field. Chlorophyll content measured by SPAD meter also indicated higher value in open field plant than shaded plants. Our results suggested the photoinhibition during overwintering period strongly affects the growth juvenile tea plants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il moisture content between open and shaded condition.
        93.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 재배농가에 자운영 안정적 입모확보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운영 지속재배와 매년파종시 입모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지속재배포장에서 가을철 토양 속 자운영 종자는 이앙전 로타리는 토양표면에서 15 cm깊이까지 고루 분포한 반면, 부분경운 이앙시는 주로 10 cm깊이 이하에서 대부분 분포하였다. 2. 자운영 지속재배시 출아깊이는 부분경운 이앙시 1~3 cm. 로터리경운 이앙시 1~5 cm에서 출아가 되었다. 3. 자운영 지속재배는 표면에서 출아하는 매년파종 자운영보다 월동전 뿌리 길이가 깊어 월동율이 높고 논 정지 작업시 종자가 토양과 고루 혼합이 되어 입모균일도가 10.6~11.7% 가량 높아 입모수 확보가 유리하였다. 4. 자운영 지속재배시 건물생산성은 수분부족 및 저온 등기상환경이 불량 할 경우 매년파종보다 건물생산성은 높았으나 환경조건이 양호할 경우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9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edling establishment, winter survival rate and dry mater production of chinese milk vetch(Astragalus sinicus L.) in natural reseeding practice was compared with annual seeding during the period of 2006-2007. Generally, practicing natural reseeding technology gives higher seedling stand than the annual seeding because of high seeding survival rate. The high seedling survival rate in naturally reseeded plant is related to the longer root length than that of the annual-seeded plant. In annual seeding, most of seeds stayed on the soil surface and root can not easily penetrate the soil. However, in natural reseeding technology, the seeds are incorporated into the soil during land preparation and they emerged from the soil at 0 to 5cm depths, thereby it has longer root length. This long root length contributes to greater ability to survive even low temperature and low soil moisture condition during winter. The dry matter production in natural seeding was higher than the annual seeding at the early growth stage but the later it was similar in both natural reseeding and annual seeding.
        95.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rossability, seed dormancy and overwintering ability of rice plant in GM (glufosinate ammonium-resistant lines. Iksan 483 and Milyang 204) and non-GM (their parents) or red rice (Andongaengmi). Seed-setting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M and non-GM rice varieties. Iksan 483 and Milyang 204 showed the similar level of seed germination rate from 30 to 50 days after heading as compared to non-GM rice varieties. After overwintering in paddy field, seed germination rate of GM and non-GM rice varieties ranged from 14.3 % to 57.6 % in dry soil condition, but there was no germination in wet-soil except red rice. The result in wet-soil condition may help to set up a strategy for reducing the risk of gene flow of transgene via dispersal of seeds of GM plants. The crossability, seed dormancy and seed overwintering of Iksan 483 and Milyang 204, herbicide resistant GM rice varie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non-GM rice varieties. The results might be helpful to reduce the risk of transgene dispersal from GM crop via seeds and pollens.
        96.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verwintering capacity, closely related to winter hardiness, of Chinese milk vetch planted with different sowing times and sowing practices was investigated to improve the incorporation into cropping system in Korea. The tolerance to low temperature was evaluated with LT50 using leaf disc leaching method. Dry weight of CMV was reduced remarkably with delayed planting from Sep. 5 to Oct. 20. The differences in tolerance to freezing temperature were not conspicuous among CMV genotypes,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genotype (collections at different regions) were due to the plant architecture, mainly to the leaf angle. The crouching genotype collected at centr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which showed excellent freezing tolerant, has planophile leaves. The feature of internal constituents of CMV genotypes did not show any noticeabl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freezing tolerance which evaluated by leaf disc leaching experiment. To overcome the poor overwintering capacity, tolerant genotype should be developed by selection with considering the plant architecture. The reduction of CMV growth during overwintering period was ameliorated with furrow-sowing under late-sown condition, therefore, when the CMV is inevitably sown late after recommended time, the seeds should be sown on furrow to overcome the cold stress.
        97.
        199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콤바인 수확답에서 탈립된 종자의 월동중 활성검정 및 품종별 탈립량에 따른 이형주 발생정도와 양상을 검토, 벼 종자 순도유지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저 하였던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탈립종자의 시기별 발아율은 일반형, 통일형 모두 경과시기가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발아세의 경시적 변화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조사시기에 따른 종자 단백질의 전기영동적 차이에 있어서 팔공벼, 삼강벼 공히 단백질 Band에 농ㆍ담의 차이가 있었다. 3. 생태형별 이형주 발생율은 일반형 품종이 통일형 품종에 비하여 이형주는 대비품종에 비해 초장, 주당경수, 엽장, 절간장, 수장 및 수당립수 등의 형질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1차 지경보다는 2차지경에서 저하율이 컸으며 수당 영화수에 대한 상관정도는 2차지경이 높았다. 4. 이형주 종자의 발아능력은 대비품종에 비해 대차가 없었고 종자수량에 있어서 일반형 품종이 평균 5.1kg /10a, 통일형 품종이 평균 0.9kg /10a 였으며, 생태형별 대비품종에 대한 혼입비율은 일반형 품종이 0.7%, 통일형 품종이 0.1% 정도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