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7

        8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itics,” the last of W. B. Yeats’s Collected Poems (Richard Finneran’s New Edition), ends with the poet's wish for fulfillment of sexual desire and love: “But O that I were young again / And held her in my arms.” Yeats wrote this poem in May 1938, eight months before his death. In another poem, “A Prayer for Old Age,” written in 1934, the poet prays that he “may seem . . . A foolish, passionate man.” In these and other poems of Yeats’s last years, “lust and rage” really seem to “dance attendance upon [his] old age” and “spur [him] into song” (“The Spur”).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last years of Yeats’s life and poetry in terms of sexuality and love.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discusses the Steinach operation which Yeats underwent in 1934, when he was 68 years old. Although it is uncertain that the operation had brought the poet the expected “second puberty,” it seems to have had an psychologically positive effect upon his writing of poetry. During the last five years after the operation, Yeats wrote almost fifty poems, which is surprising number considering his old age and precarious health. In this part of the paper, the present writer reads some poems in which the poet's feeling and thought about sexuality and love in these final years of his life are most clearly expressed: “A Prayer for Old Age,” “The Spur,” “The Wild Old Wicked Man,” and the sequence of “Supernatural Songs.” After the operation Yeats met Margot Ruddock, Dorothy Wellesley, Ethel Mannin, and Edith Shackleton Heald, all of them being young, pretty, and intelligent women. They were poets (Ruddock and Wellesley), a novelist (Mannin), and a journalist (Heald).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deals with the poet’s meetings with these women, and reads the poems which are based upon, and reveal the nature of, their relations: “Margot,” “Sweet Dancer,” “A Crazed Girl,” “To Dorothy Wellesley,” and “The Three Bushes.”
        6,900원
        83.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85.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study of courtly love poetry, which is one of the oldest literary conventions, I attempt to read both Yeats and Shakespe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love, and art has been a motif on which the poets of all ages have speculated. Perfect love between lovers fades with time and deep furrows on the tender face of the young beloved take place because of an inexorable time. Against such an irresistible time, artists make creative efforts to preserve the lover’s beauty in their works. In Sonnets, Shakespeare feeling nervous about the youth’s beauty ending just in his own lifetime, intends to write poems to keep the beauty eternal. As the poet admires the young handsome man, he wants to make his beauty and friendship with him everlasting in his poetry. In his Sonnets the poet neither deals directly with the destructive time nor shows the paradoxical will against it. Simply adapting to the powerful time and accepting the weakness of man, the poet wishes that beauty will live for good. Meanwhile, as modern poet Yeats started with romantic lyrics and wrote many love poems reflecting the traditional conventions. Yeats accepts certain conventions such as the woman as goddess, Muse and aesthetic object (Cullingford 20). As a presence in real life, the woman extolled by the poet throughout his whole life cannot escape the influence of time. Saddened by the fact that his love is forgotten from the memory of people, the poet chooses to remain the last to write poetry for her. And he shows a strong will to overcome the destructive time and portrays time as a positive influence that deepens the beloved’s nobleness. As mentioned above, though two poets’ responses to time are different, there seems to be an agreement in their poetry as to the fact that love and beauty can be made eternal through art and poetry. These great poets confirm the truth that the immortality of art goes beyond time.
        4,600원
        86.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love poets, Donne and Yeats have things in common: both, breaking from the conventional views of woman and love, search for the reconciliation and harmony between man and woman, as well as body and soul. They seem to be well aware it is not realistic to see the female image as “a complete beauty and perfect morality,” as is usually supported and reinforced by society and its literary conventions. The social demand for chaste, heavenly woman and its literary representation rob woman of her true, humane beauty and of her true virtue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y confine man to a role of chivalric, submissive, but hopeless suitor. Donne and Yeats believe that the distorted image of woman and her relationship with man hinder true love or communion between them. The two poets try to understand both sexes on the same condition, that is, the condition of human being. And this idea is magnificently realized not only in Donne’s The Songs and Sonnets but also in Yeats’s “Crazy Jane poems” and in some of his pieces in A Woman Young and Old. As for the matter of body and soul, both poets criticize the binary way of thinking in which human body is nothing but a mean, vulgar exterior while soul is a holy, ideal interior where we should reside for good. Donne and Yeats are wise enough to know that body and soul are interdependent, and that it is, therefore, impossible to exclude or disregard either of them. They agree that the two elements are indispensable for tru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To embody this perspective effectively, Donne and Yeats introduce some characteristic personae in their poetry: an unfaithful woman who betrays and dosen’t feel guilty, one who boldly follows her feelings and desire, and one who relishes the pleasure of body and values it as high as, or even higher than, her soul. Through these unconventional female personae, Donne and Yeats are able to disclose the futility of moral, spiritual values that do not have true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They subvert the false conception that soul is superior to body, and paint a new and true picture of human being: an inevitable dynamism, balance and harmony between body and soul.
        6,100원
        87.
        2020.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s purpose was to empirically research the effect of brand image and brand love on brand commitment, and positive word of mouth. We analyzed research data from 267 customers at electronics stores in Ho Chi Minh City, Vietnam.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the research sample. The measurement applied a 5-point Likert scale classifying from 1= completely disagree and 5= completely agre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model was recommended. The Partial Least Squares method was done to examine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e had estimated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through Cronbach’s alpha and composite reliability. Besides, we had assessed discriminant validity through the Fornell-Larcker standard. The outcome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brand imag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brand love. Besid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eclared that brand image was positively related to brand commitment.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brand image was positively linked to positive word of mouth. Likewise, the findings of the study disclosed that brand love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commitment and positive word of mouth.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firmed that brand commitment was positively linked to word of mouth.
        88.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의 심리적 독백을 푸코의 파레시아 개념으로 접근하여 인류보편적인 도덕적 삶의 양태를 포착하려한다. 진실에 대하여 실천적으로 접근한 푸코의 파레시아는 자 기의식 지도라는 측면에서 자기비판의 개념을 포함한다. 특히 나카야마겐은 기독교 역사에서 파레시아가 가지는 의미로 중간적인 로고스적 인 간상을 추구하게 한다고 지적한다. 즉 기독교가 초월적 사랑을 이상적 으로 추구하지만, 현실적으로 차선의 방안으로 윤리적인 결혼을 제시하곤 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 는 극단적인 두 사랑, 이드와 초자아개념을 형이상학적 기상과 같이 결 합하고, 양자 사이의 윤리적 삶의 양태를 고민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엘리엇의 심리적 독백을 사고실험으로 간주하고, 그가 인간의 도 덕적 삶의 한 양태로 극단적 개념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실을 추구하는 것임을 규명한다.
        89.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네 사중주』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의 내용과 엘리엇이 묘사한 “사랑”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먼저 대다수의 평자들이 『네 사 중주』의 중심에는 기독교적 사고가 내포되었다고 주장한다. 즉,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관계를 묘사하면서 인간이 하나님의 뜻을 찾고 순종하게 되면 무시간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내용이 『네 사중주』 전체의 핵심 내용이라 주장한다. 그리고 엘리엇이 묘사하는 “사랑” 역시 기독교적 논리와 유사하다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부연하면 사랑은 만물을 이동 또는 변화시키는 원동력이지만 개인적 욕구나 이기심이 배제되어야만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논리가 『네 사중주』에 그대로 투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9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모더니즘의 최초시라고 평가받고 있는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1915)에 나타난 엘리엇의 다양한 모더니즘 기교를 천착하는 것이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에서 구축된 모더니즘의 대 표 시인 엘리엇의 시적 기교는 인간의 자아를 성적 본능인 이드, 자아, 초자아로 구분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제임스의 “의식의 흐름”의 영향으로 낭만주의나 빅토리아조 시인들의 기교와 확연히 다르다. 엘리엇은 신중하고 우유부단한 화자 프루프록의 내적 독백, 즉 백일몽을 통하여 무의식 속에서 관능적인 여인들과의 조우 단절을 묘사함으로써 모더니즘의 한 주제인 도시 생활 속의 “소외”(疏外)를 표출하고 있다. 아 울러 시인은 베르그송 시간관의 영향으로 기계적인 “시계 시간”보다 프루프록 의식의 “심리 시간”을 수월하게 표출하고 있다. 또한 엘리엇의 모더니즘 기교는 독특한 은유, 직유, 환유, 상징 그리고 형이상시인들의 기상(奇想)보다 더 복잡한 기상의 사용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화자의 망설이는 (무)의식 또는 잠재의식을 투사하고 있는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는 확실히 그의 전통적인 하버드 습작시와 모더니즘 대표시 황무지 사이의 간극을 연결하는 혁신적인 모더니즘 최초의 시이다.
        91.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에서 나타나는 시적 화자의 불안의 기분은 엘리엇의 초기시에 보여주는 다른 여러 감정들처럼 현대인들의 실존에 대한 이해와 밀접하게 맞물려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적 화자의 불안의 감정을 하이데거의 초기 사상에서 비중 있게 다뤄진 불안의 의미와 함께 분석함으로써, 불안의 실존론적 의미에 주목하고자 한다. 실존론적 의미에서 프루프록의 불안은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존재를 깨 닫게 되는 기분이다. 불안은 자기를 상실한 채 비본래적으로 살아가는 시적 화자에게, 섬뜩함으로부터 존재를 알려오며 양심의 목소리를 통해 본래적인 삶의 가능성을 개시하는 기분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엇은 프루프록의 불안을 통해 어둡고 절망적인 현대사회를 진단하기 보다는 불안을 통해 오히려 자기를 상실한 현대인들의 실존 회복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불안은 하이데거의 초기 사상에 해당하는 존재와 시간과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에서 “무”와의 관련성을 가지고 깊이 있게 사유되고 있다. 불안과 불안이 드러내는 무의 성격은 「프루프록」에서 시적화자의 불안과 불안이 가져다주는 “압도적인 문제” 를 해석하는 바탕이 된다.
        92.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양심에 대한 루터의 가르침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서 루 터의 양심 개념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 째, 루터는 양심의 문제를 단순히 도덕·윤리적 차원이 아닌, 근본적으로 인 간과 하나님의 관계, 특히 구원론의 틀 안에서 다룬다. 둘째, 양심의 판단 대상이 되는 것은 개별적 행위이기 전에 한 인간 전체다. 셋째, 양심은 하 나님의 판단을 따를 때 제대로 기능한다. 넷째, 양심에 대한 루터의 가르침 은 법과 복음, 믿음과 사랑, 그리고 ‘~으로부터의 자유’와 ‘~을 향한 자유’ 라는 신학적 주제들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여섯째, 루터는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서 양심의 문제를 정립하고 나서, 이 토대 위에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양심 문제를 다룬다.
        9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 』에서 화자 프루프록은 상징계의 주체 이자 욕망의 결핍을 느끼는 현대인의 전형, 탈주를 꿈꾸는 자이다. 그는 타인/대타자의 욕망에 의해 소외되어 있는 한, 진정한 자신, 진정한 주 체로 태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주체가 상징계에 들어갈 때 존재는 타자 적 이미지와 언어에 의해 소외된다. 그리고 주체탄생이란 소외를 댓가 로 지불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미켈란젤로, 여인, 인어는 프루프록의 주체에 대응되는 대타자로서 시니피앙의 연쇄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엘리엇은 억압된 인간의 욕망이 끊임없이 무의식의 구멍/환상 으로 출몰하여 미끄러지는 상징계의 전형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이때 되돌아오는 것은 대상 a와 실재계로서, 이들은 환상적 형태로 상징계에 침투하였다.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 는 값싼 식당과 호텔, 여인 들의 방, 바닷가, 바다 소녀의 방의 배경을 따라, 노란 안개, 향기, 베개, 복숭아, 인어의 노래 등으로 재현되는 대상 a등을 소개한다. 무엇보다도 이 시는 시적화자/주체가 대상 a를 통하여 상징계의 틈을 발견하고, 자 신의 쾌락을 추구하여, 시니피앙에 의하여 자신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언술행위의 주체/진정한 주체의 해방을 이루는 상징계의 연쇄작용을 효 율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95.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주 목적은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사랑 노래」에 나타 난 근대성과 시간의 의제가 지닌 중요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산업화 와 도시화의 결과로 인간소외 현상이 심화되는 후기 근대의 도시로 부터 탈주하고자 하는 프루프록은 대립적인 인간관계가 해소된 마법 화된 시공간을 꿈꾼다. ‘상상적인 동일시’를 통해 구성된 이 세계는 기본적으로 여성적인 영역으로, 방안의 여인들로 대표되는 이 공간 에서는 교감과 친밀성을 바탕으로 하는 인간관계가 유지되고 있다. 또한 프루프록은 동일한 것의 반복을 특징으로 하는 근대의 일상적 시간을 특이성과 우발성이 충만한 차이의 시간으로 대체하고자 한 다. 하지만, 프루프록을 표준화하고 사물화하는 근대성의 시선의 회 귀와 더불어 그는 인간의 시간이 중단된 신화적 세계에 감금되며, 이것은 사회적 존재로서의 프루프록의 상징적 죽음을 의미한다.
        96.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호남출신의 문인 頤齋 黃胤錫(1729∼1791)이 아내와 小室에 대해 남 긴 기록을 통해 그가 자신의 배우자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어떻게 애정을 표현했는지 그의 한시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당시 鄕儒가 가졌던 배 우자에 대한 의식의 일면을 알아보려 한다. 본고는 그의 시 중에서 특히 아내와 소실을 대상으로 지은 작품에 주목했다. 이재는 20세에 남원에 살던 창원 정씨와 혼례를 올렸는데 24세부터 과거와 학 업을 위해 아내와 떨어져 지냈고, 38세에 음보로 장릉 참봉의 일을 하게 되면서 부터는 더욱 긴 시간 동안 집안일은 아내에게 맡긴 채 객지생활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때문에 가까이에서 부모님을 모시지 못하는 아쉬움과 어린 자식들이 커나가 는 모습을 곁에서 지켜보지 못하는 서글픔 등과 함께 이 모든 가정사를 홀로 도 맡아 책임지고 있는 아내에 대한 미안함과 고마움이 그가 남긴 일기의 곳곳에 서 드러난다. 특히 아내는 일상적인 가정사 이외에도 이재가 객지에 머무는 동안 출산이나 死産·어린 자식의 夭折 등 큰 어려움들을 홀로 견뎌내야 했다. 이처럼 아내는 홀로 고생만 하다가 48세의 나이로 먼저 세상을 떠났고 따라서 이재가 현감이 되었을 때는 정작 그 영광을 함께 누릴 수 없었다. 이재는 이점을 무엇보다도 아쉬워했고 그래서 아내가 세상을 떠난 뒤 아내의 생일이나 기일이 되면 지난 날을 회상하며 그녀를 추모하곤 했다. 남자가 홀로 객지 생활을 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았기에 장릉 참봉 시절부터 주위 사람들은 이재에게 첩을 들여 의식주를 돌보게 하는 것을 권유했고 이재 역시 첩을 들이는 것을 염두에 두기는 했다. 하지만 가족들과의 관계나 경제적 인 문제 때문에 차일피일 미루다가 아내가 세상을 떠나고 喪期를 마친 뒤에야 小室을 맞이하게 되었다. 하지만 小室은 황윤석과 함께 머무는 것이 아니라 고향의 집에 머물며 며느리 의 빈자리를 대신해야 했으므로 이재는 여전히 홀로 객지에서 벼슬살이를 할 수 밖에 없었다. 다행스럽게도 소실을 들인 2년 뒤에 목천현감이 되어 어머니· 자식들과 함께 소실도 목천현에서 함께 기거하게 되었지만, 이 무렵 소실은 병 이 들어 현감생활 내내 치료를 받아야 하는 처지였다. 이재는 소실의 병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면서 의원을 초빙하고 탕약 을 제공하며 성심껏 소실을 보살폈고 소실 역시 병중에서도 안주인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목천현에서 파직되고 수년 간 고향에 머 물다가 다시 전의현감에 오르고 이듬해 최종적으로 벼슬을 떠나 고향에 머무를 때까지 소실은 이재의 곁에서 아내의 역할을 충실하게 해주었고 이런 소실에 대해 이재는 고마운 마음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97.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liot was impressed with Charles Baudelaire’s technical mastery and particularly with his employment of symbolic imagery as a means of representing a spiritual or emotional state of modern man. This paper makes it clear that Baudelaire’s decadent metropolitan settings appear in Eliot’s early poetry including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This paper argues that Eliot not merely presents the imagery of the sordid common life of a metropolis but attempts to transform such imagery to disclose the symbolic landscape in the protagonist’s mind. Eliot recalls from his past life memory and daily observations concrete physical equivalents for intangible feelings of modern humans. This paper shows how all the scenery of the poem, indoor and outdoor, is transferred to the psychological landscape of Prufrock himself. And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e symbolist device of objective correlative, then, in Eliot’s hands, renders the complexity of modern human experience as well.
        9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루터10년 프로젝트가 2008년부터 독일에서 진행 중에 있다. ‘종교개혁과 관용’은 루터10년 프로젝트 중 2013년 연중 주제이다. 이 글은 루터10년 프로젝트 중 2013년의 연중테마인 ‘종교개혁과 관용’을 루터에게만 제한했다. 루터의 불관용적 태도는 교황, 이슬람, 농민 그리고 유대인에 대한 입장에서 볼 수 있으나, 여기서는 농민, 이슬람 그리고 유대교에 대한 루터의 입장만을 다룰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관용이라는 현시대적 요청 앞에서 불관용적 태도를 지적한 루터비판에 무조건 동조 내지는 무조건적인 변호에 있는 것이 아니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관용은 근대의 산물이며, 종교개혁 시대에는 아직 발아하지 못했다. 루터의 행동은 신학적 행동이었으며, 루터의 입장 역시 신학적 입장이었음을 드러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는 루터의 입장을 그의 저서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농민전쟁, 이슬람 그리고 유대인에 대한 믿음과 사랑이 상호 긴장을 이루지만, 믿음을 중시한 나머지 자신의 신학적 판단을 따라가는 확고부동한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9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루터의 여성관을 살펴보기 위해서 우선 그의 글에서 발견되는 여성혐오증에 대한 거부에 주목한다. 그리고 여성혐오증의 근저에 깔려있는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영-육 이원론과 남-녀 이원론의 사고를 고찰한다. 루터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 의해서 의롭게 된다는 신학적 토대 위에, 영-육 이원론과 남-녀 이원론의 논법이 아닌 믿음과 사랑의 논법을 사용한다. 그는 우선 믿음을 척도 삼아 “영”/영적인 것과 “육”/육적인 것을 구분함으로써 남성은 영에 여성은 육에, 그럼으로써 남성은 영적인 것에, 여성은 육적인 것에 연계하는 구분법을 거부하고, 여남을 막론하고 모두 영적인 존재가 되고 영적인 삶을 살거나 혹은 육적인 존재가 되고 육적인 삶을 살거나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믿음의 열매인 사랑의 삶을 사는 것 자체가 고행이요 금욕생활로서, 이것이 바로 “육”을 죽이고 “영”을 살리는 삶이라고 강조한다. 이러한 믿음과 사랑의 논법에 근거하여 루터는 여성들 안에서도 수녀원 생활과 결혼/가정생활 그리고 수녀와 아내/엄마의 신분에 고착되어 있던 영적 신분과 세속 신분이라는 또 다른 이원론적 사고방식을 용납하지 않는다. 루터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전자와 후자의 관계를 뒤바꾸어 놓는다. 믿음과 사랑의 논법에 의하면 아내/엄마의 신분은 세속 영역에 속한 가정 안에서의 신분이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믿음으로 자신을 온전히 맡기고, 사랑의 실천을 마다하지 않는 아내/엄마는 어느 누구보다도 영적 신분의 사람들이다. 무엇보다도 루터의 눈에 아내라는 여성은 하나님이 각 남편에게 특별히 허락해 주신 배필이요, 가장 가까운 이웃으로서 사랑의 법에 따라 섬겨야 할 존재다. 그리고 엄마라는 여성은 루터가 인간 제도들 중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정의 여주인일 뿐만 아니라, 소명의 차원에서 자녀들의 사도, 감독, 그리고 제사장이다.
        10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and “Portrait of a Lady,” two major works of T. S. Eliot’s early poems, have been regarded as a kind of ramatic monologues. Many critics indicated that Eliot’s use of dramatic monologue was different from Victorian poets’, so they called Eliot’s dramatic monologues “interior monologues” or “psychologues.” However, some critics like Won-Chung Kim insisted that Eliot’s and Robert Browning’s dramatic monologues shared som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ir masterpieces,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and “My Last Duchess.” In this paper, my premise is that Eliot’s dramatic monologues are different from Victorian poets’ like Browning’s because I think that Eliot changed the technique of dramatic monologue to reflect the spirit of his age, that is,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early 20th century, many writers including Eliot thought that the self is illogical and split, and claimed that they should focus on the human consciousness and try to find the method to express it. In his early poems, Eliot expressed the speakers’ consciousness that was divided. Some critics has also indicated that the speakers of Eliot’ early poems have self-conscious character caused by the split self. To create this character of the speakers, I think, Eliot adapted the technique of dramatic monologue. While the traditional dramatic monologues focus on showing the speakers’ values, Eliot’s show the conflict of the speakers’ doubling self that produces the effect of irony. The speakers’ doubling self consists of the superficial and the fundamental self. One represents the self that tries to conform to the life style of the bourgeois world and is very concerned about people’s judgment. The other represents the self that longs for something higher, more emotional and spiritual. When this doubling self collides with each other and causes conflict, the speaker observes himself in a dramatic way, that is, as a object. Then, the speaker returns to his daily life agai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