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성지는 ‘성지(Sacred sites)’의 일종으로 자연적인 지 역뿐만 아니라 인공적이거나 기념물적인 지역까지도 포괄 하고 있으며(한국보호지역포럼, 2002). 그 범위는 나무 한 그루에서부터 한 지역 전체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당수의 자연성지는 종교를 연원으로 하는 환경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제기구에서도 다양한 계획과 협약, 선언 등을 통해 자연성지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IUCN에서는 6개의 보호지역 카테고리 전반에 걸쳐 자연성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보다 명확한 인식과 관리를 위한 개선이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자연성지가 지니는 생물 다양성뿐만 아니라 사회적·문화적·미적 가치를 아우르는 통 합적 개념으로서 인류의 유·무형적 유산에 해당함을 공감하 는 추세에 있다. 국내에서는 성황당이나 신당수, 돌탑 등이 민간신앙과 결 합하여 해당 지역주민들에게 신성시되면서, 오늘날까지 자 연성지로서의 모습을 이어오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일부 국립공원이나 자연문화재(천연기념물, 명승) 등의 보호구 역 내에 소재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신앙의 대상으로서 행 해지는 제례나 굿 등의 향토유적, 무형문화재 등의 지방문 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법적으로 지정된 보호지역 외부에 자연성지가 위치할 경우 자연성지의 인정과 보전·관 리에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도 자연성지에 대한 제도적 기반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관련 연구 또한 시원적 단계에 있다. 관련 연구들은 주로 당산목이나 당산숲 등을 중심으로 입지적 특성, 생물다양성, 식생현황 등 생물학적 연구가 주 를 이루고 있으며, 마을행사를 중심으로 하는 민속학적 연 구가 수반되고 있다. 이는 당산제의 대부분이 나무 앞에서 제를 모시기 때문에 노거수나 신당수 등 수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입석이나 돌탑은 당산제와 별개의 것으로 구분하는 경향을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그러나 당산이 나 무, 입석, 돌탑 등 여러 형태의 신체를 가질 수 있고 실제 마을의 돌탑 중 57.1%가 제례의 대상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은(국립무형유산원, 2015), 돌탑을 신앙의 대상으로 보아 야 할 당위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돌탑은 노거수나 산, 폭포 등 기존 자연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민간신앙과 달리 돌이 지닌 반영구적 특성에 기인한 신앙적 대상이자 주민들이 정성을 들여 쌓아올린 원초적, 인공적 산물이라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으나 민속학적 연구 외 자연성지 관점에 서 돌탑을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자연성지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자연성지가 지니는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산디마을의 숭배 대상인 돌탑에 적용하여 자연성지로 서 지니는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 상인 산디마을 돌탑은 탑제와 함께 1998년 대전광역시 무 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지속적인 보호관리가 이루어지고 있 으며, 전국의 돌탑 신앙 가운데 가장 원형적인 모습을 간직 했다는 평을 듣고 있어(경향신문 2011년 1월 10일자 보도 자료) 마을의 돌탑신앙을 살펴보는 데 대표성을 지닐 것으 로 판단된다. 자연성지는 특정 민족이나 공동체에게 특별한 영적 중요 성을 갖는 육상 또는 해상의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으며(한 국보호지역포럼, 2002), 지역의 문화적 가치와 패러다임에 의한 보호의식 형성, 주변 자연환경의 보전, 경관과 미적가 치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지역 공동체와 관련된 자연성지들은 자연환경의 보호가 제도적으로 정비되기 이전부터 오랜 기간에 걸쳐 자연보호 와 관련한 윤리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또한 일반 자연환경 에 비해 그 자체로서의 영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 의 종교적 신앙심에 기원한 경외심, 보호의식 등의 패러다 임이 오랜 시간 지속되면서 변화나 훼손의 위험을 피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보호의식은 신앙의 대상물뿐만 아니라 그 주변 자연환경까지도 보전의 대상으로 여겨져 왔다. 오랜 기간 동안 지역공동체들은 마을 내 기금을 통해 성지를 보 호함으로써 주변의 화초나 수목, 지형, 하천 등이 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그 결과 자연성지 일대는 최 소한의 인공적 개입만이 이루어졌으며, 토산물을 재료로 하 고,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경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산디마을의 돌탑신앙 또한 산디마을 주민들의 보호의식 과 관련지을 수 있다. 과거로부터 신성시되어오던 돌탑은 1970년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행해졌던 미신타파운동에 도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제관으로 선정된 주민은 탑제를 앞두고 엄격한 금기와 재계를 수행하는 등 탑제를 경건한 의식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그 대상 또한 보호의 대상 으로 여기게 되었으며, 탑이 무너질 경우 주민들의 자구적 인 보수가 시행되기도 하였다. 또한 금강 하류지역으로 갈 수록 돌탑신앙이 점차 희소해지고, 서해를 끼고 있는 보령· 서산·홍성·태안 등의 내포지역에서는 전승되는 사례를 찾아 볼 수 없다는 점에서 희소성이 크다(강성복, 2011). 산디마을의 돌탑은 마을 입구 계류를 사이에 두고 위치한 2개의 탑으로 할아버지탑, 할머니탑으로 불리고 있다. 돌탑 의 형태는 잡석을 쌓아올린 원추형으로 국내 돌탑에서 나타 나는 전형적인 유형에 해당한다. 할아버지탑은 산비탈의 경 사에 기대어 축조되어 있으며, 작은 머릿돌을 올려두었다. 할머니탑 또한 원추형 돌탑으로 두 그루의 노거수에 면해 있으며, 뾰족한 형태의 머릿돌이 세워져 있다. 또한 돌탑 주면에는 휀스가 둘러져 있으며, 수림지가 우거져 있다. 산 디마을의 구조는 예로부터 벌집 또는 장군 형국으로 마을입 구가 마을을 드나드는 유일한 통로였으며, 좁을수록 마을이 풍요로워 진다고 여겨지고 있었다. 이에 과거에는 마을 입 구에 울창한 숲이 조성하여, 풍수비보의 기능을 부여했으 며, 1938년에 세워진 조림불망비(造林不忘碑)에 의하면 골 짜기에 부는 강한 바람을 막고자 하는 방풍림의 역할을 하 기도 하였다(이필영, 2001). 돌탑은 이 수림지의 경계에 위 치하여 마을의 입구를 상징하는 장승이자, 외부로부터의 나 쁜 기운을 막아주는 서낭신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매년 정 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탑제를 지내고 있다. 한편, 오늘날 자연성지는 외부의 위협요소가 산재하고 있다. 자연성지가 제도권에 의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 지속적인 보호관리 뿐만 아니라 자연성지로서의 인정 자체 도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자연성지의 위협 요인으로는 개발사업에 따른 자연성지의 침범과 현대화에 따른 신앙체 계의 전환 등을 들 수 있다. 산디마을 일대는 개발제한구역으로 설정되어 외부의 개 발압력은 확인되지 않으나, 국가에서 시행한 마을 진입도로 의 변화가 주변 환경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을로 진입하는 소로는 과거 우마차 한 대가 지나갈 정도로 좁은 길이었으나, 1959년 미군부대가 장동 일대로 들어오면서 확장되었으며(중도일보 2017년 9월 1일자 보도자료), 2012 년, 2014년 두 차례에 걸쳐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대덕구청 에서 진입도로를 확장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또한 2015 년 산디마을 진입로 주변에 오토캠핑장이 조성되면서 마을 의 수림지와 시내 면적이 상당부분 축소, 파편화되었으며, 2012년 실시한 하천정비공사는 할아버지탑과 할머니탑 사 이의 시냇물 주변에 콘크리트 제방과 징검다리를 설치하면 서 과거의 경관이 변화하게 되었다. 이외에 현대화에 따른 신앙체계의 전환은 마을 내부적으 로 탑제의 전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마을 주민의 노령화 와 젊은 층의 이주로 인한 공동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이주해온 주민들은 마을 행사에 불참하면서 탑 제의 준비와 시행이 필요한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일례 로 탑제 이후 실시하는 풍물놀이 또한 마을 주민으로 충당 하기 어려움에 따라 대전시와 대덕문화원에서 풍물놀이패 를 지원하고 있으며, 마을 주민들이 갹출하는 금줄의 양도 상당부분 감소하여 외부의 인력을 들여 탑제를 준비하고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산디마을 돌탑은 오랜 기간 동안 산디 마을 주민들에게 서낭신, 액막이, 풍수적 비보 장치로서 신 성시되어 왔으며, 자구적인 보수가 이루어지는 등 지역 공 동체의 보호의식이 보존요인으로 작용해왔다. 이에 따라 주 변의 수림지와 시내 등 주변의 자연경관까지도 보호되는 등 자연성지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도로확장 이나 하천정비 등의 개발 사업에 의해 자연성지의 파편화가 이루어졌으며 현대화에 따른 탑제 수행 인력의 부족 및 전 통 신앙에 대한 무관심 등이 위협요인으로 도출되었다.
This study proposes a numerical model to explain the closely placed double modes in the vibration of a layered stone pagoda system. The friction surface between the stones is modelled as the Timoshenko finite element while each stone layer is modelled as a rigid body. It is assumed that the irregular asperity on the friction surface enables the stone to be excited. This results in the closely placed modes that are composed of natural modes and self-excited mode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a set of modal testing and analysis for a layered stone pagoda mock-up model has been conducted and a set of closely placed double modes are extracted. Applying the extended sensitivity-based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 the various system parameters are identified so that the modal parameters of the proposed numerical model are the same with those of the experimental mock-up. For a horizontal impulse excitation, the simulated acceleration responses are compared with measurements.
강희안의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되어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조선 초기 안견파(安堅派) 화풍이 풍미하 고 있던 당시와는 달리 색다른 경향의 화풍을 보이고 있다. 이런 화풍을 선도하는 강희안은 이 작품에서 활달하고 세련된 필치(筆致)로 문인사대 부의 기품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새로움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에서 나타나는 수석(壽石) 소재의 관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 그림은 너무나 유명한 그림으로 전해오기에 후대에 그림 제목, 즉 명칭을 제명(題名)할 당시에 무엇보다 그동안‘물을 바라보는 있는 고사(高士)’라는 해석이 일반적으로 되어있 었던 그 시대 상황과, 이와 비슷한 유형의 동시대 풍속화 등의 제목을 참 고하여 이 그림에 대한 명칭을 제명(題名)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불리어져 온 명칭을 수용하면서, 그림에 등장하 는 수석 소재의 인식을 중점으로 새로운 작품 명칭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 그림에서 고사가 바라보는 것은‘물(水)’만이 아니고, 물 위에 드러나 있는‘괴석(怪石)’으로 표현된 수석(壽石)을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 본 연 구의 논지이다. 여기에서는 옛 그림 한 점을 놓고 작가는 어떤 사람이었 는지, 그림이 그려 질 당시에 작가의 시대적 상황은 어떠했는지, 또한 작 가가 그림을 통해 무엇을 표현하고자 했는지를 미학적 방법으로 접근한 다. 특히 조선시대 문인사대부들의 애석(愛石) 취미생활 등의 환경적 요 소와,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작품에 나타난 구도상의 조형성 등을 고려하여 본 연구자가 여러 정황을 내놓음으로써 이 작품 명칭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The study is the development of stone processing machines for larger blocks of stone for more than 2 meters. The wire saw were replaced by the cutting of existing prototypes and employed as a new form of cutting tools equipped with industrial diamonds. In addition, a turn table was developed to enable the milling of large blocks of stone allowing them to spin. On the other hand, large processing machinery has been imported and used mostly by Chinese machinery and has caused many inconveniences in managing and using equipment.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domestic production products to remain unstable, thus maintaining the nation`s crumbling granite industry. As a result, it is uncomfortable to find domestic products,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domestic stone industry. Therefore, we look forwar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domestic stone industry through this development.
It is basis of building phylogeny of Chinese Characters to study phase and dating of Chinese Characters Font. Therefore, the precondition of ontological researching of Chinese Characters on a certain stage is phase and dating the styl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o this kind of researching. The Stone Inscription of Wei, Jin, south and North Dynasties is in the transition stage of the Chinese characters from the clerical script to the regular script. It is more difficult to determine the Font of the stone inscription. This paper try to do some practical researches through selecting some typical stone inscription from The Database of Stone Inscription of Wei-Jin and South and North Dynasties《魏晉南北朝石刻數據庫》and making comparison between them. The database was made by Center for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ECNU.
Citing Zhouyi has formed a considerable number of allusive forms in Stone Inscriptions from Wei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o Sui Tang and the Five Dynasties, many of which has disappeared from the Chinese Dictionary. This paper mainly collates the allusive forms of citing Qian、 Zhun and Meng in Stone Inscriptions, and interprets the meanings of the allusive forms which are not in the Chinese Dictionary, and differentiates the meanings of the allusive forms in the Chinese dictionary.
돌그릇 제품은 특성상 강도가 있으면서도 무겁고 취약하여 가공이 매우 어렵고, 작업환경의 열악, 작업 공간과 작업능률의 비효율성 등의 단점이 있다. 본 연구개발을 통해 각기 다른 2대의 가공기계에서 2공정에 의해 2명이 작업하던 돌솥 본체가공을 1인에 의해 1대의 기계에서 2공정의 작업을 거쳐 가공을 완료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작업공간의 효율적 배치와 작업자의 환경 및 안전을 고려한 자동 돌솥 본체 가공 전용 기계를 개발하였다.
미리찌 증후군은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들 중 2% 이하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이다. 담낭관 변이와 동반된 미리찌 증후 군의 경우는 수술 중 변이의 발견이 어렵고, 수술 후 합병증이 높아 수술적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본 증례는 과거 복강경 담 낭절제술을 받은 상태에서, 담관염 소견으로 방문하여 저위 합류 담낭관의 잔여 담낭관에 담석이 감돈되어 발생한 미리 찌 증후군을 진단하고, 내시경으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사례 이다. 저위합류 담낭관과 같은 해부학적 변이를 동반한 미리 찌 증후군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어렵거나, 불완전할 수 있다. 이에 내시경 역행담췌관조영술을 통한 인공배액관 삽입술 및 UDCA 약물요법 이후 풍선확장술을 이용한 담석 제거술이 수술적 치료의 대안 치료로 고려될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s the stone cutter design that can rotate and change the cutting side of the stone automatically by the combination structures of the rotatable and foldable plates. Foldable plates are consisted with the iron plate and the hydraulic cylinders system(1500W pump power) which can generate high pressure to raise the plates and the stone. Additionally, rotatable plates are designed by gear system which has high gear ratio(1:8) for rotating heavy stone(5ton) easily. We analyzed the movement of the stone and investigated the total system of the stone cutter including a rotator and a tilter. Moreover, we constructed a control board to control the system accurately. This system can induce high quality cutting process controlled within errors of 5% and also reduce the process time from about 20 min to 90 sec by the automatic system.
석재 굴림석을 보도 및 건축석으로 사용하기 위해 석재 굴림통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굴림석을 제작한 다음 굴림석에 대하여 기계적 성질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석재 굴림통 시스템의 대한 출구부와 입구부에 대하여 굴림통 출구부 보다 입구부에서 진동이 높게 측정되었다. 포천석으로 만들어진 석재 굴림석에 대하여 압축강도, 흡수율, 비중을 측정한 결과 122MPa, 0.2%, 2.64g/m3을 얻었다. 포천석 석재 굴림석에 대하여 치수 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표준편차가 0.02 이하로 측정되었다. 포천석 석재 굴림석에 대하여 굴림도를 측정한 결과 92.5% 이상의 R15 값이 측정 되어 측정되었다.
This study is for the safety display device to the transportation of the road that are installed on the boundary stone. This device includes an upper side that is located and fixed on the boundary stone top, and a side that is fixed on the boundary stone front. Solar cell convert light of solar to electric energy is equipped inside the upper side. the device’s side part is consisted 3 part. the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from the solar cell to charge the battery,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night, and the LED unit for flashing traffic sign in night. furthermore this device can be installed easily on the boundary stone. and it can help driver to aware road and boundary stone by improving visibility in night time.
본 연구개발은 2m 이상 대형 석재에 대한 가공기계 개발에 관한 것으로서, 종전에 강철재 원형톱을 회전시켜 석재를 절단하던 방식을 개선하여 와이어에 공업용 다이아몬드를 장착한 와이어 쏘우를 절단도 구로 채용하였다. 또한 부수장치로 거대 석재를 전후좌우 및 회전이 가능하여 다각도 가공이 가능하도록 턴테이블식 공작물 베드를 설계 및 개발하였다. 한편 대형 석재 가공기계는 대부분 중국산 기계가 수입되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장비 관리 및 사용에 있어서 여러 가지 불편한 점들이 산재해 있으나 국내 생산 제품이 전무하여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어렵게 국내 석재산업을 유지하여 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개발을 통해서 국내 석재산업의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
In this study, we develop mobile stone cutting machine containing the cut and frame, the frame vertically conveying part and the cutting upper and lower conveying part. The cutting part has saw and it cuts stone. The frame has cutting part, vertically conveying part of can slide on main frame and the main frame has horizontal conveying part. It can move cutting part. Mobile stone cutting machine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frame vertically conveying part is installed vehicle and it conveying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utting vertically conveying part is installed frame. It can transfer cutting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oduced after the design of new equipment in order to cut the stone roll prototype. The newly designed equipment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be dressed in rolls automatically through the use of a conveyor belt. The introduction of new stone cutters were expected to be achieved productivity improvements of 15% compared to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s.
플라스틱 담도스텐트는 주로 양성 혹은 악성 담도 폐쇄시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스텐트의 폐색은 스텐트 사용으로 인 해 발생하는 가장 큰 단점으로 이로 인해 스텐트의 개존 기간은 약 3개월이며 교체를 요하게 된다. 담도스텐트를 장기간 거치시 스텐트가 오히려 담석 형성의 병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저자들은 4년간 플라스틱 담도스텐트 거치 후 발생 한 stent-stone complex의 증례를 경험하였다. Stent-stone complex는 기계적 쇄석술과 풍선 도관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으며 모든 이물이 그러하듯이 스텐트도 장기간 거치시 담석 형성의 새로운 병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sex- and age-associated clinico-metabolic characteristics of urinary stone patient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n data from 2,009 consecutive patients presenting with their first urinary stone episode between 2005 and 2013. Of the 2,009 patients, 1,426 (71.0%) satisfied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enrolled in the study. Patients were grouped by age (<60, ≥60 years old) and sex. The medical history and 24 hr urinary chemistry results of each patient were obtained. The mean age of the 165 (11.6%) patients aged 60 or over was 65.5 ± 4.2 years. Body mass index was greater in elderly females than in younger females (p=0.031). After stratification by sex and age, lower urinary excretion of calcium and uric acid was a protective factor for both sexes among the elderly (p<0.05, each, respectively). Low urine pH was a common risk factor for both sexes among the elderly (p=0.013 in males, p=0.047 in females, respectively), whereas lower citrate excretion was a risk factor for only the elderly female group (p=0.004). With regard to urinary metabolic abnormalities, elderly females showed higher incidence of hypocitraturia compared to younger females (p=0.049).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ex- and age-associated clinico-metabolic characteristics of urinary stone patients. Thus, it is important to tailor metabolic evaluation and medical prevention therapies for patient according to sex and gender characteristics.
A rapid urbanization has increased the portion of paved layer that results in the change of water circulation system. This change leads to frequent events of flooding, drought, and urban heat island. To resolve these issues, permeable pavement system based on Low Impact Development (LID) concept is being applied to international urban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ational design procedure for the permeable pavement system that reflects our environmental conditions. iDue to inherent characteristics of permeable pavement system, water infiltrates thorough the layers so it may reduce the bearing capacity of sub-layers. In this study, an effor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geogrid reinforced crushed stone subbase layer based on field experimental program along with a limited numerical analysis. It reveals that geogrid reinforced sections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by close to 20%. In addition, a light weight deflectomenter (LWDT) appears to be promising for the compaction quality control of crushed stone subbase layer in order to construct qualified permeable pavement systems.
청동기시대의 생업도구인 마제석기는 요령지역의 점토대토기 문화가 유입됨에 따라 점차 쇠퇴하게 된 다. 점토대토기 문화의 파급경로와 유입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이견이 있지만, 이로 인해 나타나는 한국식 동검문화의 성립, 원형점토대토기의 사용, 지석묘의 소멸과 목관묘의 등장, 마제석기의 쇠퇴 등 문화적 변 화는 부인할 수 없다. 특히, 금속제 도구의 등장은 획기적인 변화라 할 수 있다. 마제석기 소멸의 직접적 인 요인은 삼각형점토대 문화와 관련된 전국계 철기문화이다. 본고는 철기문화의 출현이 명확한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점토대옹의 발생순서에 따라 원형점토대토기 단 계(Ⅰ기), 원형점토대토기와 삼각형점토대토기가 공반되는 단계(Ⅱ기), 원형점토대토기가 소멸되고 삼각형 점토대토기만 보이는 단계(Ⅲ기), 삼각형점토대토기와 와질토기가 공반되는 단계(Ⅳ기)로 설정하고, 마제 석기를 대체하는 금속기는 기왕의 연구성과를 통하여 석검→세형동검·철검, 석촉→철촉, 석부→철부, 석착 →철착·철사, 석겸·반월형석도→철겸으로 파악하였다. Ⅰ기는 B.C. 4C 말∼B.C. 3C 후엽으로 유(무)경식석검, 평기식무경촉, 합인석부, 편평편인석부, 주상편 인석부, 주형석도, 석겸 등 다양한 석기가 공존하며 세형동검의 등장으로 석검은 쇠퇴기에 접어든다. Ⅱ기 는 B.C. 2C 전엽∼B.C. 2C 중엽까지로 전국계 철기가 유입되는 단계로서 Ⅰ기에 비해 마제석기의 수량이 급감한다. Ⅲ기는 B.C. 2C 후엽∼B.C. 1C 전엽까지로 주상편인석부·유구석부→판상·주조철부, 석착→ 철착·철사, 석도·석겸→철겸으로 대체된다. Ⅳ기는 B.C. 1C 중엽∼B.C. 1C 후엽까지로 와질토기가 등 장하는 시기로서 석촉→철촉, 합인석부·편평편인석부→판상·단조철부로 바뀐다. 늦어도 기원 전후를 기 점으로 지석, 연석 등을 제외한 대부분 기종의 석기가 철기로 대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