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8

        10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선량 γ선 조사가 기내 유기한 대지와 수미 감자 소괴경의 맹아율과 식물체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효과 등을 알아보고자 감자 소괴경의 저장기간별로 γ선을 0.5~30Gy 까지 조사하여 pot실험을 수행하였다. 감자 소괴경의 휴면과 생육에 대한 저선량 γ선 효과는 품종과 저장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대지 품종의 경우 대체로 2,4,8Gy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맹아 출현율을 보였고,
        4,000원
        103.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분자 물질 용액에 감자 절편을 침지시의 탈수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1) 비정상 상태(unsteady state)에서의 확산 식을 초기시간에 대해 단순화시킨 모델, (2) 침지시간별로 수분확산계수와 평균화산계수를 비교하여 탈수현상을 설명하고자 한 모델, (3) 물질이동에 대한 Fick의 제2법칙을 무한평판의 조건에서 전체 시간에 대해 전개한 모델 등 3가지 모델을 가정하여 검토한 결과 PEG용액에 감자절편을 침지했을 때 물질이동의 동력학적인 해석은 Fick의 제2법칙에 근거한 모델이 잘 적용되었으며 수분의 확산계수를 추정한 결과 8×10exp(-7)∼4×10exp(-6)㎠/s 범위였다.
        4,000원
        104.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전분을 냉동반죽에 첨가한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냉동생지의 물리적 특성은 farinograph. ertensograph, amylograph를 통해 측정되었다. 측정된 결과는 전분이 첨가된 냉동반죽이 대조구에 비해 더욱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반죽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냉동보관기간에 따라서 측정되었는데 전분을 첨가한 반죽이 대조구에 비해 물리적, 화학적 변화가 작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전분이 냉동반죽의 냉동보관중 제품열화를 방지함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전분은 냉동보관중 냉동반죽의 효모활성력과 글루텐망상구조를 냉동장애로부터 보호한다고 생각된다. 이 실험을 통하여 여러 전분 중에 특히 감자전분의 첨가가 냉동반죽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05.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6.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 유충에 의한 50종 감자(Solanum tuberosum L.) 품종의 피해정도를 검정한 전보의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품종(수미, 조풍, 남작, 대서, 대지, 세풍, 남서, Anco, Bintje, Denali)의 괴경피해율과 피해도를 포장과 실내에서 검정하였다. 또한 품종별 피해도 차이에 대한 원인을 구명하고자 괴경에 함유된 여러 가지 성분들(glycoalkaloids, 당, 전분, 전질소, Ca, K, Mg)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10개 품종의 포장 피해괴경율은 19~72%로 높았다. 실내검정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구멍수는 남서 품종에서 많았으나, 수미, 대서, Anco, Bintje, Denali 품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방아벌레 유충에 대한 -chaconine, -solanine, -tomatine의 활성을 실내에서 검정한 결과, 2,500 ppm 농도에서 어떠한 활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괴경의 glycoalkaloids 함량은 품종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수미품종은 18.83 mg%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나, 남작 품종은 6.39%로 가장 적었다. 괴경중 화원당과 총당 함량은 남서 품종에서 각각 0.71%와 2.95%였으나, 대지 품종은 0.26%와 1.77%였다. 전분 함량은 대지, 남작, Bintje 품종이 많았던 반면 조풍과 세풍 품종에서는 적었다. 괴경중 전질소, K를 가장 많이 함유한 품종은 Anco 품종이었고, Ca는 대서 품종에 Mg는 조풍 품종에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품종별 해충의 피해도와 저항성 관련 요인들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청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피해는 괴경중 전질소 함량과는 부의 상과(r=-0.71435*)이었으나, 괴경중 총당 함량과는 정의 상관(r=0.78018*)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충종합방제 프로그램을 확립하고 또한 새로운 내충성 품종의 육성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08.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절편를 고농도용애에 침지하여 탈수시킨 결과 침지용액을 구성하는 용질의 분자량에 따라 탈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저분자 용액 인 NaCl. PEG 400 용액에 침지만 경우 조직의 뒤틀림현상(cytorrhysis)은 나타나지 않고 부피의 감소와 수분의 탈수현상이 나타난 반면 고분자 용액인 PEG 4000, PEG 6000용액에 침지한 경우cytorrhysis 현상을 동반한 부피의 감소와 탈수현상이 나타났다. 초기 탈수속도는 저분자용액에 침지시 더 빨랐으나 최종 탈수량은 고분자 용액에 침지시 더 컸다. 고장성 용액에 감자절편을 침지시켜 탈수되는 기작이 두가지 압력(삼투압, 분자압착력)에 의해 진행된다고 가정하고 모델을 제안하여 검정한 결과 제안된 모델은 고분자 용액에 침지시의 탈수현상을 설명하는데 적합하였다 모델에서 구해진 압력인자(ΔP)와 농도인자(a)는 온도(T)와 농도(C)의 함수로 표현되며 계수의 탄력성 검정결과 농도에대한 의존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9.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감자의 활용도 증진을 목적으로 수미와 대서 감자 2품종을 속과 껍질 부위로 나누어 열처리 후 열풍건조 분말을 제조하였고, 70% 아세톤 추출물 을 얻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과 조성을 조사하고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작용 등 기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말의 색도는 속부위에서 열처리시 비열처리에 비해 백색도, 황색도 값이 높았고 특히 수미 감자의 색도 개선에 열처리는 효과가 있었다. 수미가 대서보다 총폴리페놀, 클로로겐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처리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플라보노이드는 부위중 껍질과는 달리 속에서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생 감자를 전처리시 스팀으로 열처리하더라도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감소되지 않았다. 아질산염 소거와 전자공여 작용은 1㎜ 두께의 껍질부위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감자 품종에 따른 부위별 변색 정도, 페놀성 화합물 함량 등에 차이가 있으며, 부위중 껍질이 속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다. 따라서 스팀으로 5분간 열처리 후 열풍건조한 감자로부터 얻은 껍질 추출물은 아질산염소거와 전자공여 작용 등 기능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1.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겔화제로 녹두녹말, 감자녹말, 펙틴을 사용하여 당농도별 복숭아편을 제조하여 pH, 당도, 색도, 텍스쳐 및 기호성을 조사하여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관능검사결과, 녹두녹말편이 감자녹말편보다 외관과 조직감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으며, 펙틴 무첨가군 복숭아편을 더 선호하였다. 1% 펙틴첨가는 복숭아편의 기호도를 약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적 검사는 녹두녹말편이 감자녹말편보다 조직감이 더 높았으며 펙틴 첨가군 복숭아편의 조직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1% 펙틴 첨가의 효과는 복숭아편의 견고성과 씹힘성 등의 질감특성을 증가시켜 주었다. 기계적 검사의 탄력성은 관능검사의 매끈한 정도, 견고성, 외관의 기호도, 조직감의 기호도, 전반적인 기호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탄력성이 강할수록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펙틴첨가군이 높았으며 명도(L)는 녹두녹말편 적색도(a)는 감자녹말편이 높게 나타났다. 당 농도가 높을수록 명도(L)는 감소하였다. 관능검사의 전반적인 기호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맛의 기호도, 조직감의 기호도, 견고성, 부착성, 맛 순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2.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 양액재배시 소괴경의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해 감자 유식물체를 정식후 35일에 10시간 동안 배양액 pH를 3.0, 4.0, 5.0과 6.5로 각각 조절하였을 때 생육상황과 소괴경 수량을 조사한 결과, 소괴경 형성은 pH 3.0 처리구에서 빨랐으며 처리후 20일까지는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배양액 pH가 낮을수록 복지수가 증가되어 괴경수가 많았으며 괴경 건물율도 높았고 정식후 90일째 소괴경 수량은 pH 3.0처리에서 72.1개, pH 4.0에서 69.8개, pH 5.0에서 65.2개, pH 6.5에서 60.3개였다. 3g이상크기의 소괴경의 분포비율은 pH 3.0에서57.9%로 가장 높았으며 pH 5.0과 6.5에서 50.8%로서 가장 낮았다.
        4,000원
        113.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neteen clones of Jerusalem Artichoke (JA) from several countri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ries of experiments about JA started in 1979. Collected clones were screened for adaptibility in Korea and showed introduction path way. The results about an e
        4,000원
        114.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 소괴동 산을 위해 적합한 양담재배방식을 구명코자 분무경, NFT, perlite 및 scoria 배지비을 이용하여 '대지' 품종을 공시하고 생육과 소엽도의 연성 및 준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무병 방식이 NFT 방식이나 Perlite 및 scoria 배지경에 비해 정식 후 40일과 60일의 지상부 생조이 좋았고, 정식후 90일에는 동윤이 65.4cm, 주당자육가 7.3개로서 가장 많았으며, scoria 배지경은 기윤이 49.5cm, 도상기육 3.2개로서 가장 적었다. 2. 포지장은 분무비에서 30.4cm로 가장 길었고, 주당각지육는 NFT 방식에서 10.5개로 많았다. 3. 정식 후 90일에 주당 괴경수는 분무경에서 67.1개, NFT 62.5개, Perlite 배지경 20.1개, scoria 배지경 18.0개였다. 4. 3g 이상의 괴대 크기 분포는 분무경 72.7%, NFT 62.6%, perlite 배지비 84.1%, scoria 배지경 83.3%로 고협배지경이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주당 괴동수가 적기 때문에 총수양 은 적었다. 5. Perlite 배지경에서 황산된 소괴경은 피일발이이 적고 표피가 매끄러워서 보질의 괴대이 생산되었다.
        4,000원
        115.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감자의 장려품종으로 지정된 7개 품종(남작, 수미, 대지, 세풍, 조풍, 남서, 대서)에 대한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강릉과 대관령 포장에서 살충제를 처리하지 않고 재배기간동안 해충종류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흡즙성해충으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과 감자수염진딧물(Marcrosiphum euphorbiae Thomas)이, 잎을 가해하는 해충으로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 유충이, 땅속으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땅속에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각각 우점종으로 밝혀졌다. 품종별 진딧물 밀도는 대지, 남작, 세풍 품종에서 50엽당 평균 22.7, 30. 7, 32.3 마리로 낮은 반면, 수미와 남서 품종은 46.3와 42.3마리로 높았다. 파밤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엽은 세풍과 조풍 품종이 시험구당 평균 11.0과 14.3엽으로 적었고, 대지와 남서 품종이 153.3과 134.7엽으로 많았다. 정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괴경피해율은 남작, 수미, 대지, 조풍 품종이 8.1, 10.3, 13.9, 14.0%로 낮았으나, 남서와 세풍 품정은 50.5%, 46.8%로 매우 높았다.
        4,000원
        116.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fresh elephant-foot (Amorphophalus konjak K. Koch) and its powder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foreign sample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konjak. The Korean fresh konjak contained 80.6% of moisture content and most of the solid component comprises much of sugar, protein and trace of fat and fibre. The mannan content of Korean konjak powder is far smaller than those of Japanese and Chinese konjak powder. The analysis of the Korean konjak revealed that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arginine included 45% of total amount, and other amino acid was incresaed with the order of valine, serine, leucine and glycine. The Korean konjak contained a moderate amount of K component and other inorganic component was larger with the order of P, Na and Ca. The yield of refined powder obtained from dried chip of Konjak was 61.0% in Korean one and 57.5% in Chinese one. The degree of lightness of Chinese konjak powder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Korean product, but the difference could not be recognized by naked eye.
        4,000원
        118.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potato cultivars were prepared as slices and stored for 4 weeks at 5℃. Changes in Vitamin C content and other quality factors, such as color, pH, soluble solid and protein content were determined. Vitamin C content and L value decreased in three potato cultivars. Initial Vitamin C contents of three potato cultivars varied from 49.27 mg% in Sumi to 56.40 mg% in Namjak. Changes in L value showed that the tendency of browning in Daejima was slower than Sumi and Namjak. Changes in pH were small. Soluble solids and protein content increased and varied by cultivar.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browning degree and Vitamin C content was low in three potato cultivars.
        3,000원
        119.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potato cultivars, Sumi,Daejima and Namjak, were prepared as slices. They were dipped in distilled water for 20 seconds. The potato slices were packed in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at 5℃. Browning degree, total phenol and chlorogenic acid contents and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were measured.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of browning paramete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increase in browning degree, phenolic content and PPO activity during cold storage of potato slices with different cultivars. Among three cultivars, Sumi showed the highest browning degree, phenolic content and PPO activity and also showed the highest % increse of browning and PPO activity during cold storage. On the contrary, Daejima was the lowest. But Daejima showed the highest % increase in phenolic contents during cold storage. With Sumi, browning degre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PO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s (p〈0.05). With Daejima and Namjak,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rowning degree and PPO activity (p〈0.05). From the above results, enzymatic browning reactions of potato slices and factors affecting them were dependent on cultivar. Among the tested three cultivars, Daejima showed the lowest browning degree during cold storage and thus seems to be desirable for minimal processing.
        4,000원
        120.
        199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튀김시 Silicone oil의 튀김유 산화방지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 감자튀김시 SO가 첨가된 튀김유가 SO가 첨가되지 않은 튀김유에 비하여 튀김유의 AV, Dielectiric constant, Smoke point, Oxidative stability 저하지연효과가 좋았으며, SO의 첨가량이 1~10ppm사이에 있어서는 튀김초기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튀김시간이 길어질수록 SO의 첨가량이 많은 것이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높았다. 2. 감자튀김의 경우 SO를 1~10ppm의 사이로 첨가하면 튀김시 튀김유의 열화를 실용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었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