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투과증발법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 미량의 감귤 향 성분을 농축하는 방법으로, 4종류의 실록산계 고분자 복합막을 이용하여 막 종류와 구조에 따른 투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적의 막을 선정하여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 순환 유속에 따른 투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resistance-in series model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4종류의 실록산계 고분자 복합막을 통한 감귤 essence aroma 모델액의 투과 실험에서 지지층이 polyvinylidene fluoride (PVDF)이고 활성층이 polyoctylmethyl siloxane (POMS)인 막이 가장 높은 향 성분 플럭스와 농축계수 값을 나타내었으며,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 순환유속을 변화시키며 투과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향성분의 플럭스는 증가하고 농축계수 값은 감소하였으며 순환유속이 증가됨에 따라 향성분의 플럭스와 농축계수 값 모두 증가하였다.
전기투석 공정에서 이온교환막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장기간 동안 운전되었다. 탈염공정 동안, Ca2+과 SO42- 이온의 농도는 농축실에서 연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양이온교환막(Neosepta CMX)표면에 침전이 발생하였다. 초기 스케일 형성동안, 공정성능과 막 특성의 변화는 농축실 염농도 증가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양이온교환막의 하계전류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제외하곤 미미하였다. 공정운전이 진행됨에 따라 양이온교환막의 한계전류밀도는 물의 해리 현상이 진행되어 300;A/m2까지 감소하였다. 막 오염은 농축실에서 양이온교환막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과 물의 해리현상에 의해 유발된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러한 스케일 형성은 CaSO4의 용해도에 의해 예측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질막에 비해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수명이 긴 세라믹 막을 이용하여 혐기성 Lactobacillus 균주의 농축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Cell harvesting (CH)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막투과 압력, 온도, 선속도 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세라믹 막을 이용하여 농축율 변화에 따른 플럭스와 TMP (transmembrane pressure)의 변화, 일정 VCF(volumetric concentration factor)에서 TMP변화 등의 최적조건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플럭스는 TMP, 선속도, VCF가 증가함에 따라 투과수량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점도에 의해 초기 플럭스도 증가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막 표면의 겔층의 형성으로 온도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또한 농축비 이하의 일정한 VCF에서 운전할 경우 플럭스가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선속도 5 m/s, 공급액의 온도 37^℃, TMP 1 bar에서 6∼8 h 운전할 경우 PS 406 원액의 생균수는 4.9×10^9으로 약 8배 농축됨을 알 수 있었다.
참게(E. sinensis)의 유생 생장에 미치는 기초적인 환경 및 생물학적 정보를 얻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참게 유생을 카드뮴과 수은의 0.1, 0.2, 0.3 ppm농도에 처리하였다. 참게의 생존율과 카드뮴과 수은의 중금속 농도와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96시간 사육시 카드뮴과 수은의 반수치사농도는 유생 단계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수치사농도는 카드뮴이 수은보다 높았으므로 수은이 더 치명적이였다. 중금속의 축적은 카드뮴과 수
본 연구는 zebrafish를 실험어류로 하여 국내에서 혼합제로 사용되고 있는 dichlorvos와 phosalone을 선정하여 단독 및 혼합폭로시 생물농축계수와 배설속도상수를 측정함으로써, 두 농약의 공존이 개별농약의 생물농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ichlorvos의 phosalone의 혼합폭로시(dichlorvos : 0.55㎍/㎖, phosalone : 0.01㎍/㎖) zebrafish 체내에서 dichlorvos의 농축정도는 6시간에 정류상태에 도달하여 72시간까지 거의 일정하였으며 단독폭로시(12시간0보다 더 빠르게 정류상태에 도달하였다. 6시간에서 72시간 사이의 BCF평균값은 0.080(n=5)으로 단독폭로시의 12시간에서 72시간 사이의 BCF평균값 0.74(n=4)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배설속도상수는 0.12h^-1으로 단독폭로시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Dichlorvos와 phosalone의 혼합폭로시(dichlorvos : 0.55㎍/㎖, phosalone : 0.01㎍/㎖) zebrafish 체내에서 phosalone의 농축정도는 단독폭로시와 같이 12시간 정류상태에서 도달하여 72시간까지 거의 일정하였고, 12시간에서 72시간 사이의 BCF평균값은 53.89(n=4)로 단독폭로시의 BCF평균값 48.88(n=4)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배설속도상수는 단독폭로시와 같이 6시간 안에 어류체내에서 phosalone이 모두 배출되어 구하지 못했다. 두농약(dichlorvos, phosalone)의 혼합폭로시의 BCF평균값이 단독폭로시의 BCF평균값보다 더 높게 나왔으나 각 실험시간대(6, 12, 24, 48, 72시간)의 BCF실험값을 t-test로 분석한 결과 phosalone의 48시간을 제외하고는 두 농약의 단독폭로와 혼합폭로시의 BCF값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dichlorvos와 phosalone을 zebrafish에 혼합폭로시 개개 농약의 생물농축성과 배설속도상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known as that onion is antioxidation effect, antibiotic effect, blood pressure decreasing effect and reducing serum cholesterol levels. This research about effect that onion concentrate gets blood cholesterol levels and body composition. Subject was 17 adult men of hyperlipidemia. Age distribution of investigation subjects were average 49.4 years old by 40 ~ 56 years old, and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67.6 cm and 75.5 kg each, BMI was 26.9 kg/㎡, and BMR was 1, 460.6±87.5kcal, and AMC was 25.0±1.05cm, and BCM was 41.0±2.79cm. In the meantime, the body muscle was 53.7±3.7kg, and fat mass was 18.7±3.8kg, and intracellular fluid was 26.6±1.8kg, and extracellular fluid was 12.8±0.9kg. The % body fat was 24.6±3.8% , and fat distribution was 0.9±0.0%, and the obesity degree was 125.4±8.2%. Vegetables, seaweeds, fruits and juices increased by change of dietary life and greasy foods, instants, breads, rices etc. decreased or there was no change, fast foods and eggs were no change. Also, subject previewed that guidance about stress, smoking, drinking and beverage intake need. If compared the nutrient intake amount with before onion concentrate allowance, it was similar level almost without significant. Energy, calcium and riboflavin are lower than the RDA for koreans. After 3 months, the levels of plasma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had decreased significantly : 15.0%, 31.2% respectively. And the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also showed a marked reduction of 6.8%, 8.7% respectively. Plasma lipid level change by onion concentrate supplement would can know that case of triglyceride more greatly than plasma cholesterol. The pH and Na^+ level of plasma were low significant since 8 weeks after, and K^+ level increase significant. While Ca^++ level was low significant after 1 month , there was no change since 2 months after, but nCa^++ level was low significantly. Plasma Mg^++ level was no change and nMg^++ level was low significant after intake.
천연 호르몬 보충 제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이란산 흑석류 과즙 농축액과 이를 이용한 제품의 화학성분들을 분석하였다. 석류 농축액의 일반성분은 수분 39.3%, 조지방 0.4%, 조단백질 0.9%, 조회분 1.4%, 그리고 탄수화물은 42.0%이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글루탐산이 1310.Oppm, 아스파르트산이 896.2ppm, 아르기닌이 877.7ppm, 페닐알라닌이 57.5ppm순으필 무기 성분들은 철분 6640.Oppm, 염소 3464.Oppm, 칼륨 2550.8ppm, 인 150.Oppm, 칼슘 80.Oppm 순으로 많이 함유되 어 있었다 비타민은 5가지의 수용성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비타민 C(20mg/100g)를 제외한 나머지 비타민들이 아주 적은 양이 있었다.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8.3%)와 stearic acid(69.4%)로 전체 지방산의 약 60~80%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6종의 phyto및 에스트로겐류가 들어 있었으며 각각daidzein 23.72ppm, quercetin 9, 75ppm, catechin 1.48ppm, genistein 0.29ppm, 2, 3-di-MeO-estradiol이 0.04ppm, 그리고 17β-에스츠라디올이 0.15ppm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석류 농축액으로 제조한 제품 포에버 120과 칡과 대두 isoflavon 농축분말과 비교하다.
사과주스 농축품의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45 Bx 혼탁과 72 Bx 청징 사과주스 농축품을4℃, -3℃ 및 -l5℃에서 16주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 pH와 산도, 색, alcohol soluble color 및 비타민C 함량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이들 이화학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혼탁사과 주스 농축품을 4℃에서 저장한 경우에만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호기성 일반세균 및 효모류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3℃와 -l5℃에서 저장한 경우와 청징 농축품의 모든 저장온도에서는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적정산도 역시 4℃에 저장한 혼탁사과주스 농축품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나pH의 경우에는 3.6∼3.8로 큰 변화가 없었다. 색의 경우 혼탁과 청징 농축품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지거나 저장온도가 높을 경우에 a값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ASC 역시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비타민 C의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감소경향이 크게 나타났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ASC간에는 0.957∼0.967 의 높은 상관계수값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함량도 역시 -0.864∼0.936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생물 발효 공정에서 생산되는 부탄올 수용액으로부터 부탄올을 농축시키기 위한 투과증발 공정의 flux와 선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온 plasma 처리 공정으로 막을 제조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조건인 공급 power, 반응 시간, 단량체 공급 속도 등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여 (W/FM)t의 최적값이 4.0389times10(sup)9 J.min/kg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최적의 막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다. 여러 가지 유기 화합물로서 저온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부탄올 분리 성능을 조사하였으며,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물과 부탄올의 상대적 sorption 비와 접촉각을 측정하여 표면 분석을 하고자 하였으며, 그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접촉각과 상대적 sorption 비가 증가함에 따라 부탄올의 선택도는 0.186에서 3.525로 향상되었고, 부탄올 질량 flux는 0.042에서 0.567 kg/m2.hr로 향상됨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막의 소수서이 증가함에 따라 막과 부탄올과의 친화력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용된 유기 화합물과 물 또는 부탄올과의 친화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heat of mixing을 측정하여 분리 성능과 비교하였으나 뚜렷한 경향성을 얻지 못하였다. 이것은 플라즈마 처리 시 유기 화합물이 분해되어 새로운 화합물을 형성하게 되어 유기 화합물 본래의 특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Zebrafish(Brachydanio rerio)를 실험어류로 하여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생물농축계수(bioconcentration factor: BCF)와 배설속도상수(depuration rate constant) 및 LC$_{50}$를 측정하였다. Phosphamidon의 24, 48, 72, 96시간 LC50 모두 l00 mg/l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Phosphamidon 1 mg/l(고농도)와 0.2 mg/l(저농도)에서 어류 체내에서의 농축정도는 두 농도군에서 각각 12시간 이후에 정류상태에 도달하여 168시간동안 거의 일정하였고, BCF값도 12시간에서 16시간 사이에 고농도(0.89, n=7)와 저농도(0.96, n=7)모두 1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Phosphamidon의 배설속도상수는 고농도와 저농도에서 각각 0.21 h-1과 0.18 h-1 이었고, 반감기는 각각 3.30및 3.85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고농도와 저농도에서 각각 12시간 및 8시간 이후에는 g당 0.07 및 0.04 $\mu\textrm{g}$이하로 떨어져 대부분 배설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rofenofos의 24, 48, 72, 96시간 LC50는 각각 2.9, 2.6, 2.2, 2.O mg/l로 측정되었다. Profenofos의 96시간 LC$_{50}$ 농도의 1/100농도(0.02 mg/l)와 1/500농도(0.004 mg/l)에서 어류체내에서의 농축정도는 phosphamidon과 마찬가지로 12시간 이후에 정류상태에 도달하여 168시간동안 거의 일정하였고, BCF값은 12시간에서 168시간 사이에 96시간 LC$_{50}$농도의 1/100농도와 1/500농도에서 각각 111.3(n=7)과 141.9(n=7)로 측정되었다. Profenofos의 배설속도상수는 96시간 LC50 농도의 1/100농도와 1/500농도에서 각각 0.10 $h^{-1}$과 0.09$h^{-1}$h-1이었고, 반감기는 각각 6.93 및 7.70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각각의 농도에서 12시간 및 8시간 이후에는 g당 0.19$\mu\textrm{g}$ 및 0.18$\mu\textrm{g}$이하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급성어독성은 profenofos가 높았고, BCF profenofos가 phosphamidon보다 약 100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배설속도는 phosphamidon이 profenofos보다 약 2배 정도 빨랐다.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concentration of BPMC, chlorothalonil, dichlorvos and methidathion. The BCFs(bioconcentration factors) and depuration rate constants for four pesticides in zebrafish(bracJxydanio rerio) were measured under semi-static conditions(OECD guideline 305-B) in a concentration of one-hundredth of the 96 hours LC_(50) of each pesticide at the equilibrium condi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BCFs of BPMC, chlorothalonil, dichlorvos and methidathion were 1.44±0.09, 2.223±0.063, 0.81±0.08 and 5.53±0.13, respectively. Depuration rate constants of BPMC, chlorothalonil, dichlorvos and methidathion were 0.028, 0.015, 0.220 and 0.152,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BPMC, dichlorvos and methidathion in zebrafish reached an equilibrium in 3 days, and the equilibrium of chlorothalonil was reached after 14 days. Depuration rate of dichlorvos was the fastest followed by methidathion, BPMC and chlorothalonil. The lower BCF of BPMC was due to its relatively high K_(OW), slow K_(DEP), and low S_W and V_P, compared to chlorothalonil and methidathion. The BCF of chlorothalonil was much lower than that expected on the basis of high K_(OW) slow K_(DEP), low S_W and V_P. The reason is that the experimental concentration for chlorothalonil is 1/100 - 1/1000 lower than that of BPMC, dichlorvos and methidathion. The BCF of dichlorvos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pesticides due to its very rapid K_(DEP), very high V_P and S_W, and very low K_(OW). The BCF of methidathio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pesticides due to its very low V_P and S_W.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sticides may be important in the bioconcentration.
상업용 PDMS(polydimethylsiloxiane) 복합막과 플라즈마 처리된 PP(polypropylene)막을 사용하여 투과증발에 의한 알코올 농축을 수행하였고, 공정 조업 변수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PDMS막에 대한 부탄올의 친화력과 물의 친화력보다 크기 때문에 공급액의 부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투과량의 선택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조업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분자 사슬내의 자유 부피)free volume)가 증가하고 막에 대한 알코올과 물의 용해도 및 확산계수도 증가하여 투과량은 증가하였지만, 선택도는 감소하였다. PDMS 막과 용해도 계수(solubility parameter)값의 차가 적은 알코올일수록 높은 투과량과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PP막을 메탄올로 플라즈마 처리한 경우 PDMS 복합막과 유사한 분리효율을 나타내면서도 투과량은 6배나 증가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시간에 따라 투과량과 선택도는 모두 향상되었으나 일정 시간 이후에는 기공의 막힘 현상으로 투과량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형 상용막(ultrafiltration (UF), nanofiltration(NF)을 이용하여 우유를 농축하고 농축 성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친수성막(sulfonated polysulfone (SPSf), polyacrylonitrile(PAN), cellulose acetate(CA)) 의 경우에는 투과유의 투과속도 감소가 완만하고 소수성막의 경우에는 투과속도 감소가 심하였다. UF 농축이 경우 전고형분, 단백질,지방 미네랄은 농축에 따라 증가하고 탄수화물은 감소하였다. NF 농축의 경우 UF와 같은 경향을 보였지만 탄수화물의 감소경향이 훨씬 적었다.
Bioconcentration factors of some carbamates BPMC, carbaryl and carbofuran were determined. The tested fishes were zebrafish (Brachydanio rerio) and red sword tail (Xiphophorus hellieri). The fishes were exposed to 0.05 ppm, 0.01 ppm, 0.50 ppm, one- hundredth concentration of 96-hrs LC_(50) and one-thousandth concentration of 96-hrs LC_(50) and test periods were 3, 5 and 8 days. Obtained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BPMC and carbaryl, BPMC and carbaryl concentration in zebrafish extract and BCFs of BPMC, carbaryl were lower than those of red sword tail, and increased as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same experimental concentrations, BPMC concentration in zebrafish extract and BCFs of BPMC were decreased as prolonging test periods. In the case of same experimental periods, carbaryl concentration in zebrafish extract and BCFs of carbaryl were decreased as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 especially dropped at 0.50 ppm. Carbofuran did not bioaccumulate in zebrafish for test periods, in the case of red sword tail, it was impossible to calculate on BCFs data because test concentration of one-hundredth and one-thousandth of 96hrs LC_(50) was under the detecting limit on GC. Test concentration of 0.05 and 0.10 ppm were the same tendency with BPMC and carbaryl. Determined depuration rate conatant were highest on carbofuran, and followed by carbaryl, and BPMC. It is suggested that low BCF of carbofuran is due to its relatively high water solubility and depuration rate, compared to BPMC and carbaryl. Therefore, carbofuran had no little bioconcentration effect on the aquatic eco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