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2

        101.
        2013.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 학습자가 어두와 어중에서 발화한 파찰음을 다양한 음성학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점에 대한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았다. 먼저 어두 초성 파찰음의 경우 평음, 경음, 격음을 구별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는 것으로 마찰 구간의 길이와 후행 모음의 음높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중 초성 파찰음의 경우 평음, 경음, 격음을 구분할 때 중요한 단서가 되는 것이 후행 모음의 음높이, 마찰 구간의 길이, 폐쇄지속시간이다. 그러므로 어두 초성 파찰음과 어중 초성 파찰음의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세 자음을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을 교육해야 할 것이다.
        102.
        2013.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어와 아랍어의 모음의 (구어체 표준아랍어인 이집트 방언을 대조군으로 설정했다.) 대조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모음오류 원인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21개의 모음을 가진 한국어와 10개의 모음만을 표준발음을 인정하는 구어체 아랍어는 완벽한 대응 쌍을 이루기 어려웠다. 이런 이유로 인한 오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모음 발음 중 /ㅓ/, /ㅜ/, /ㅗ/를 발음 하는데 정확한 구분을 두지 못했으며 이중모음이 없는 구어체 표준아랍어(이집트 방언)의 특성상 이중모음을 2개의 단모음으로 연이어 발음하는 오류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103.
        2013.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의태어 어휘 목록을 가지고 있지 않는 영어권 화자가 ‘의태어+동사’의 유형을 활용하여 의태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의태어+동사’의 목록을 작성하고자 한다. 의태어는 일반부사에 비해 특정 동사와 자주 어울려 쓰는 경우가 많아서 초급에서 배운 동사와 자주 어울려 쓰는 의태어를 함께 제시한다면 기억의 부담량을 줄이면서 어휘를 확장할 수 있다. ‘의태어+동사’형 어휘가 의태어 어휘를 확장시키고 기억의 부담량을 줄여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때 유창성을 확보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는 점을 밝힌 다음 1등급 동사를 대상으로 말뭉치를 이용하여 ‘의태어+동사’형 어휘 목록을 선정한다. 영어권 학습자에게 ‘의태어+동사’에 대응하는 영어의 동사를 언급해 준다면 의태어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아서 의태어만 제시하지 않고 ‘의태어+동사’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104.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글에서는 일본 대학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교육과정과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미래를 전망한다. 주지하듯, 이른바 ‘한류붐’과 2002년 한일월드컵을 기점으로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해왔다. 일본 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은 10여년전인 2005년 国際文化フォーラム을 통해 대대적으로 실시된 바가 있으나, 최근에는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이번 조사의 결과, <전공한국어> 과정은 현재 약 23개 대학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양한국어> 과정을 설치하고 있는 대학도 전체 대학의 50% 이상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담당교원은 모어별로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교원이 일본어 모어화자 교원보다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전공별로는 일본어 및 일본문학 관련 전공자가, 임용 형태별로는 전임강사의 수가 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는 십년 전의 그것과 다를 바 없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목적도 ‘여행’이나 ‘단위 취득’을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교육과정도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교원의 수도 부족하며, 학습자의 학습 동기도 높지 않다. 따라서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 연구자들은 이론에 기반한 실천 연구를 통해 그 성과들을 축적하고, 그것을 한국어교육 현장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교육의 실제와 접목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105.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ducational method of Equality Particles, {mankeum/cheorum/kachi} for Korean learners. In Korean linguistics, these morphemes can not be explained clear. Moreov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ly some limited meaning of {mankeum/cheorum/kachi} is introduced at the level 2, and then their actual usage is showed many errors. To identify th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ankeum/ cheorum/kachi}, it is used Sejong 21'th century's Project corpus and Korean learner's error corpus. As a result, {mankeum} is used as a bound noun and a particle, {cheorum} as a particle and {kachi} can be used as a particle and a adverb. In this case investigations, {mankeum}'s meaning is extended, "the difference between a certain amount of> different levels of degree> degree of similarity of> equivalence" In contrast, {cheorum} has the meaning of 'degree of similarity' and 'equivalence' between two comparative objects. Lastly, {kachi} is derived from {katta} as an adjective and has the meaning 'equivalence' like {cheorum}. (SoonChunhyang University)
        106.
        2012.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주격 관계절과 목적격 관계절 중에서 어떤 유형의 관계절을 좀 더 잘 습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의 관계절에 대한 이해 능력과 산출 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두 관계절 유형의 습득 위계를 세우고, 나아가 두 관계절의 하위 유형의 습득 위계 또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의 관계절 습득 위계는 ‘주격 관계절 > 목적격 관계절’로 나타났다. 즉, 주격 관계절을 목적격 관계절보다 더욱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관계절의 세부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습득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세부유형간의 습득 위계를 세울 수 없었다.
        107.
        2012.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발음 교육에 관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중국인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단일 언어 학습자의 발음교재의 필요성을 밝히고 있고, 기존의 교재를 분석하고 오류 유형을 고려하여 발음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려 하였다. 발음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한국인과 같은 발음이거나 비슷한 발음 수준을 원하고 있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발음 교육의 목표를 정하였고 그에 따라 적합한 단원구성과 제시방법을 선택하여 실제 단원 구성을 하였다.
        108.
        2012.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기초 연구로 한국어 타동사 유의어인 ‘숨기다’와 ‘감추다’의 의미를 연구한 것이다. ‘숨기다’와 ‘감추다’의 공통 상위 개념은 ‘비인격적 대상을 남이 못 보게 또는 모르게 함’이다. 그런데 각 동사의 의미 자질이 변별되는데 우선 ‘숨기다’의 경우 선행 목적어로는 ‘인격적 대상’과 ‘독립성 대상’로 한정되고 의도성이 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반해 ‘감추다’는 ‘드러난 신체성 대상’과 ‘비실체성 명사’와 어울리며 행위가 자연스러운 경우와 의도성이 약할 때 사용되는 특성이 있다.
        109.
        2012.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발화에서 어떤 음운이 첨가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의 발화를 수집하여 구어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의 차이도 알아보았다. 음운 첨가 양상을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자음의 경우, ‘ㄱ, ㄴ, ㅁ, ㄹ’의 첨가가 나타났으며, 모음의 경우, ‘으’ 첨가만이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자의 목표가 한국어를 정확하게 학습하는 것과 더불어 한국어를 자연스럽고 유창하게 발화하는 것이므로 현대 한국인이 사용하는 구어의 양상을 파악하여 외국인 학습자에게도 교육할 필요가 있다. 그럼으로써 한국어 학습자와 모국어 화자 간에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이를 위한 시도의 하나이다.
        110.
        2011.09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파찰음 발음의 인지 실험과 발화 실험을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파찰음 오류의 원인을 밝히고, 그 결과를 발음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일본인 학습자는 어중 위치에서 /ㅈ/를 가장 쉽게 인지하였고, 어두 초성 /ㅉ/를 인지하는 것은 어려워하였다. 발화 실험에서는 어중 초성에서의 /ㅈ/를 가장 쉽게 발화하였고, 어중 초성 /ㅊ/를 발화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따라서 일본인 학습자에게 파찰음을 교육 할 때는 어두 위치, 어중 위치에서의 발음은 음높이 구별 방법을 일본어의 악센트를 이용하여 교육하면 된다. 그리고 어두 위치에서 마찰 구간의 길이가 길면 격음이고, 짧으면 경음이라는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을 하면 보다 효과적인 발음 교육이 될 것이다. 또한 어중 위치에서는 폐쇄지속시간을 제시하여 평음과 경음, 격음을 구별하도록 한다. 특히 경음의 경우 중간에 일본어의 촉음 ‘っ’를 넣어서 발음하도록 지도한다. 마지막으로 마찰 소음의 정도로 구별 하도록 한다. 이는 얇은 종이나 휴지를 이용하여 많이 흔들릴 경우 격음, 전혀 흔들리지 않을 경우 경음, 중간인 경우 평음이라는 정보를 제시하여 세 파찰음을 구별하도록 지도한다.
        111.
        2010.09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교문화는 한국사회의 전반에 강하게 뿌리내리고 있는 가치관으로, 한국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교문화에 대한 이해가 꼭 필요하다. 한편 시조는 한국의 대표적인 정형시로서 한국인의 정서와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본인 학습자들에게 시조를 활용하여 유교 문화에 대해 교육하는 방안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먼저 본고에서는 유교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한국사회의 인간관계와 공동체에 대한 사고방식이 시조 속에 어떻게 나타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시조를 활용해서 이러한 사고방식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나아가서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상호문화의 현상과 본질을 이해하고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112.
        2010.09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언어는 인간의 사회생활의 기본 수단이고, 의사소통 상황에서도 문화와 결합된다. 따라서 언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은 본질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문화교육에 관한 그간의 연구들에서 어떤 내용을 언제 제시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문화 항목을 선정하는 일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수용능력을 갖추기 위한 교재를 개발의 중심부분으로 중급 문화 교재의 방향과 교수요목을 설정하였다.
        113.
        2010.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어의 분류사는 그 목록을 범주화시키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고 복잡해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습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서의 분류사 연구는 한국어 분류사의 특성이나 다른 언어와의 분류사를 비교․대조하는 데 그치고 있어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분류사 목록이 체계적으로 제시된 연구는 없다. 또한 기존 논의에서 제시된 분류사 목록 중에는 실제 생활과는 동떨어진 것들이 많아 한국어 수업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효율적인 분류사 교수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학습 단계별 분류사 목록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분류사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텍스트들을 기초로 90개의 분류사를 추출하여 난이도에 따라 각각의 학습 단계를 선정하였다.
        114.
        2010.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수자는 학습자 모국어의 음운현상들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학습자의 모국어와 학습 목표 언어 사이의 간섭 현상을 파악해서 올바르게 교육 할수 있다. 교수자가 학습자의 모국어와 학습 목표 언어의 차이점에 대해서 교수하지 않는다고 해도 음운현상을 교수하거나 오류를 고쳐줄 때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견해를 근간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낱 음절의 발음보다는 음운현상에 대해 관심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의 음운현상을 살펴보고 그 차이점에서 학습자들의 오류를 예측해보고 학습자들의 실제 한국어 발음을 녹음해서 한국어 음운현상의 오류를 살펴봄으로써 학습자들의 한국어 음운현상 사용에 대한 실태를 점검 할 것이다. 중국어와 일본어를 선택함은 세 언어에 비슷한 음운현상이 존재하기 때문이고, 현재 가장 많은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고 있기에 필요성이나 유용성 입장에서도 그 이유를 말할 수 있으리라 본다.
        115.
        2009.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충격이 큰 초급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현대 생활문화 교육을 위한 웹(Web)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그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행 초급 과정 교재에 나타난 문화요소의 분석 및 공통 문화항목을 두 가지 기준에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실제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대 생활문화교육을 얼마나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원하고 있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이렇게 연구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목적인 현대 생활문화교육을 위한 웹(Web)을 구현하고 더 나아가 부교재로서 어떻게 활용되면 좋을 지 제시하고자 한다.
        116.
        2009.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학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 나타난 문학 교수-학습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재분석 결과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텍스트 중 문학 텍스트는 극히 일부이며, 장르가 다양하지 않고, 대부분 중급과 고급에 치우쳐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학습 활동의 유형에 주로 어휘 학습과 읽기, 말하기에 한정되어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인의 정서과 주제의식, 문화적 요소는 물론 언어적·기능적 사용 맥락을 보여줄 수 있는 텍스트를 선정해서, 수업의 목표와 학습자 유형, 과제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학습 활동을 조직해야 한다.
        117.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글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상황에서 학습자 입장에서 본 훌륭한 한국어교사의 자질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교사 자질 연구들이 대부분 외국어 교육영역에서 이루어진 반면 한국어 교육영역에서는 여전히 논의가 되지 않은 점에 주목하여 설문지를 이용, 훌륭한 한국어교사의 자질 목록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지역 3개 대학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241명의 설문지 조사를 통해 총 1,148개의 분석항을 추출하였다. 여기에 핵심어 분석을 통해 추출된 자질들을 1) 교육자로서의 인성 및 태도와 관련된 자질, 2) 교육자로서의 기술적 지식과 관련된 자질, 3) 교육자로서의 교육적 기술로 범주화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훌륭한 한국어교사들은 단순히 목표어에 대한 지식을 안다는 것과 잘 가르쳐야 한다는 것, 이상으로 교육자로서의 인성 및 태도를 갖추어야함을 제안하였다.
        118.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이른바 ‘장소’를 나타내는 한국어 격조사 「-에」와 「-에서」를 습득하는 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인 ‘과잉일반화’ 오류를 학습자의 조사 선택 전략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중국인 초,중, 고급 학습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빈칸 채우기 테스트, 학습자 내성과 회상 실험을 이용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에」와「-에서」간 과잉일반화 오류의 방향에 있어서 피험자들은「-에」를「-에서」로 과잉 적용함으로써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일반화 오류의 원인으로는 학습자들의 격조사 선택 전략, 즉 ‘장소를 나타내는 추상명사+-에’, ‘장소를 나타내는 구체 명사+-에서’와 같은 선행명사의 유형이 격조사 선택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상급 단계의 학습자들은 ‘덩이화 전략’ 외에도 ‘장소명사+-에서 + 무엇을 하다’, ‘장소명사+-에 무엇이 있다’와 같이 이른바 ‘패턴 전략’을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9.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대우법을 효과적으로 교육하여 바른 표현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대우법 교육에 반영되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주체높임법, 상대높임법, 특수어휘높임법만을 구별한 기계적 문법교육은 지양되어야 한다. 둘째, 수업모형 및 단원 구성에 있어서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우법의 차이점의 고려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재 및 단원구성에 있어서는,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관계를 중심으로 그 예를 비교적 다양하게 제시해야 한다. 역할극을 활용한 한국어 대우법 수업은 학습자간의 상호 대화를 통하여 학습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한 한국어 학습 방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120.
        2007.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발음 교육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두 개의 중국어권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한 집단은 교사의 발음을 단순히 듣고 따라하는 직접교수법으로, 다른 집단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등의 음성학적 정보를 제시하고 발음 을 교육하는 청각구두식 방법으로 동일 시간 동안 교육을 하고, 같은 문항으로 “받아쓰기”를 하여, 각 집단의 음소 인지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발음 교육방법은 단순 반복을 통한 직접교수법이 라는 것을 밝힌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