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5

        102.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the genetic transformation system of stilbene synthase in Rehmannia glutinosa. Resveratrol, which is both a phytoalexin with antifungal activity and a phytochemical associated with reduced cancer risk and reduced cardiovascular disease, is synthesized in a limited number of plant species including peanut. Resveratrol synthesis is catalyzed by the enzyme stilbene synthase including resveratrol synthase (RS). Stilbene synthase gene (RS3) obtained from peanut, Arachis hypogaea, Fabaceae has been transferred into chinese foxglove, Rehmannia glutinosa by using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PCR analysis with RS3 primer confirmed that the targeted gene was introduced into the plant genome, 904 bp in size. Further analyses of identification of transformation using developed other molecular techniques and transgenic plants that RS t-DNA introduced to chinese foxglove (R. glutinosa L) and its reaction product, stilbene such as resveratrol will be isolate and characterize using NMR, MS, and HPLC.
        103.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의 완전종실생산을 위해서는 150-180일의 생육기간이 소요되나 풋땅콩용으로 출하하면 총생육일수를 20-30일 정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확후 지상부 잔존유기물도 많이 남게 된다. 땅콩재배기간 단축에 따른 풋땅콩-무, 보리, 마늘과의 relay-cropping system에서 수확후 잔존 유기물의 토양환원 유무에 따른 각 작물들의 생육과 토양의 이화학성, 미생물상의 변화양상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어 남부지역 풋땅콩 안정생산기술을 확립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부체계별 시험후 토양경도는 풋땅콩 단작에서 가장 높았고, 토양 공 극율은 풋땅콩 단작 대비무, 보리, 마늘과 2모작 작부체계 처리에서 높 았으며 수확후 잔존유기물을 환원하였을 때 더욱 높아졌다. 2. 단작의 풋땅콩은 보리, 마늘과 2모작 작부체계상에서 재배된 풋땅콩에 비하여 도복 및 병 발생이 심하였다. 작부체계별 풋땅콩 수량은 단작에 비하여 풋땅콩-보리 및 풋땅콩-마늘 작부체계에서 증수하였으나, 유기 물 환원에 따른 수량 차이는 없었다. 3. 풋땅콩 후작의 마늘과 보리의 수량은 유기물 환원에 의하여 증대되었다. 4. C/N율이 높은 보리짚의 토양 환원에서 질소무기량이 증가하였고, 풋땅콩-보리와 풋땅콩-마늘의 작부체계에서 Pseudomonas spp.균 및 Trichoderma spp.균의 밀도가 높아져 풋땅콩의 친환경 작부체계로 추정되었다
        104.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땅콩의 resveratrol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한 땅콩의 trans-resveratrol 분석체계 확립과 품종 및 생육시기별 trans-resveratrol 함량 변화를 구명하여 금후 고부가가치 고함유 기능성 품종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HPLC를 이용한 trans-resveratrol 분석조건은 컬럼은 Xterra C18, 이동상 용매조성은 (A) glacial acetic acid DCW(52.6 : 900)과 (B) acetonitril solution A(80:20), 용매흐름속도는 1.1 ml/min, 검출기는 UV-Vis detector 308 nm 이었다. 2. 땅콩에서 trans-resveratrol 추출시 추출용매의 경우 80%EtOH과 80%MeOH이 유의차가 없었고, 추출온도의 경우에도 온도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ICH guideline에 따른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trans-resveratrol의 최적추출 조건은 80% EtOH, 25℃ , 45분이었다. 3. 땅콩 품종별 trans-resveratrol 함량 분포범위는 0.018-1.125 ug/g으로 품종별 유의차가 있었으나, 초형과 립 크기에 따른 trans-resveratrol 함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4. 종실과 종피를 포함한 종실의 trans-resverarol함량은 종실(0.152-0.305 ug/g) 보다 종피를 포함한 종실(0.188-0.345 ug/g)에서 더 높았다. 5. 생육시기별 trans-resveratrol 함량은 신남광땅콩(0.227ug/g 대광땅콩(0.418 ug/g)은 파종 후 110일에 팔광땅콩(0.486 ug/g)과 밀양16호(0.441 ug/g)는 파종 후 130일에 가장 높았다.
        110.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eanut variety “Dakwang (Arachis hypogaea L.)”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uwon80 and ICG11 at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NHAES) in 2001. This variety has Shinpung type and erect growth habit with large size obovate
        111.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od development and cytokinin contents during reproductive stage of peanut, the cytokinin contents, trans-zeatin ribo-side (t-ZR) and dihydrozeatin riboside (diZR), were investigated at 0, 7, 14, 21 and 28 days after flowering (DAF). The amounts of t-ZR and diZR in cotyledon and first branch among primary branches were 3, 448 pmol/g (FW) and 4, 824 p/g (FW),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branches. The t-ZR and diZR contents of lower parts on the branch from cotyledon node at 7 DAF were 579 pmol/g (FW) and 2, 028 pmol/g (FW),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upper parts. The cytokinin contents of reproductive organs as flowering progressed were increased at 0 and 14 DAF on branch and position of node. The cytokinin contents of upper part with pruning the lower part on the branch from cotyledon node were high 112-337% at 7 DAF and 14 DAF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In case of remove the upper part of the first internode on main axis, t-ZR contents was 4.7 times higher than diZR contents at 7 DAF. The pod setting rate of flower and position on the branch from cotyledon node was closely related to the cytokinin contents during floral reproductive stage.
        112.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anut is one of the principal oil seeds in the world as a rich source of edible oil and protein. Peanut quality arises as a result of a complex interaction of genetic, physiological and biochemistry processes that produc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eanut seed.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seed quality are degree of maturity and digging and drying, curing and storage as a series of harvesting. The end products, peanut butter, salted seed, confections, roasting stock and by-products are favored in world-wide because of their unique roasted peanut flavor, Literatures are reviewed mainly focusing on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quality of oil, protein and flavor in peanut. Chemical properties of protein and oil,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 in peanut seeds are studied.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to review and summariz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improving quality breeding program and evalu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in peanut up to now.
        113.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growth habits, fresh pod yield potential, and possibility of early and late seeding, seeding dates were extended from March 21 to June 20 by PE mulching and non-mulching. Soil temperature, under 5cm from surface, above 15~circC at 10 a.m. in early seeding reached about March 25 in mulching and April 5 to April 12 in non-mulching. Days to emergence and first flowering were accelerated owing to increasing temperature, as seeding was delayed. Days to emergence according to seeding dates reduced 21 to 8 day in mulching and 33 to 10 day in non-mulching. Days to flowering were ranged from 51 to 26 day in mulching and from 69 to 32 day in non-mulching and differences between mulching and non-mulching on each seeding date had 18 to 4 days. Early seedings till April 21 had 160-170 flowers per plant for 8 weeks, while late seedings from May 21 increased more speedily with 200 flower for 6 weeks. Harvesting of fresh peanut, at 80 days after first flowering, was possible from Aug. 1 to Oct. 7 (133-108 days to harvest) by mulching and from Aug. 19 to Oct. 12 (151 to 114 days) by non-mulching. Yields between mulching and non-mulching in early seeding until April 21 had more difference, but in late seeding after May 21 was higher and showed insignificance. Pod setting periods by early and late seeding were about 3 weeks equally. In late seeding pod setting were almost concentrated for front 15 days. In spite of difference of fresh pod weight between two seeding times, the distributions of average of seed weight showed nearly same tendency.
        114.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발된 단기개화성 유전자원의 개화 특성 및 농업적 형질을 구명하여 협실의 균일도 향상에 의한 상품가치가 높은 땅콩을 육성하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기개화성 계통들의 출현기는 대광땅콩에 비하여 1-3일 빨랐으며, 개화기는 비슷하였으나, 개화기간은 대광땅콩이 52일인데 비하여 단기개화 계통들은 36-47일로써 5-16일이 짧았으며, 초형별로는 valencia type이 가장 짧았다. 2. 초형별 개화수는 virginia > spanish > valencia 순으로 적었으며, 40일 이하의 극단기개화 계통은 valencia type이 23%로 가장 많았다. 3. 초형별 차광에 따른 개화억제율은 대광땅콩의 63%에 비하여 valencia 43% > virginia 35% > spanish 10%순 이었으며, 농업적 형질별로 감소율은 valencia type이 가장 적었다. 4. 개화와 기상요인 상관정도는 온도와는 각 초형 공히 고도의 정의상관의 유의성이 있었으나, 일조시수와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5. 초형에 따른 절위별 자방병 분포비율은 저위절(제1절과 2절)에서 virginia 97%, spanish 88%, ㅍ미두챰 93%로 대광땅콩의 85%에 비하여 3-l2% 높았으며, 절위별 착협 분포비율은 저위절(제1절과 2절)에서 virginia 100%, spanish 95%, valencia 96%로 대광땅콩의 74%에 비하여 21-26%높았다. 6. 개화 후 일수에 따른 성숙협 비율은 대광땅콩에 비하여 단기개화 계통들이 평균 12-17% 높았으며, 단기개화 계통들의 각 형질과의 상관은 개화시와 개화일수, 개화일수와 성숙협 비율과는 고도의 부 상관이었다.
        116.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의 새로운 소비형태인 풋땅콩의 적정 저장방법을 구명하고자 생협실 및 증자협 실을 상온 및 4에서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은 상온 및 4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생협실과 증자협실 모두 상온저장이 4저장보다 감소율이 높았으며, Ny/LDPE film 진공포장이 LDPE film 포 장보다 감소율이 낮았고 증자협실이 생협실보다 감소율이 높았다. 상온 및 4저장 증자땅콩의 협 색상은 저
        117.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 수확시기 및 첨가제에 따른 땅콩경엽의 수량 및 사일리지용 사료가치를 비교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시기별 생육은 개화후 90일 수확시 경엽의 병해(갈색무늬병 및 흑색무늬병) 발생 정도가 낮고, 성숙협비율은 89%, 100립중은 81g으로 높았다. 2. 수확시기에 따른 경엽 및 종실 생산성은 개화후 90일에 경엽은 52 t/ha, 종실중은 3.6 t/ha이었다. 3. 경엽과 종실수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r2 =0.62** )이 있었다. 4. 땅콩경엽의 사일리지 사료가치는 땅콩경엽+볏짚+젖산균 조제시 ADF 42.2%, NDF 49.6%, CP 10.5%, TDN 55.6%이었다. 5. 땅콩경엽 사일리지의 유기산함량은 땅콩경엽+볏짚 및 땅콩경엽+보릿짚에다 젖산균 첨가시 각각 산도 5.04 및 5.10, 낙산함량 3.12% 및 4.64%, 젖산함량은 7.34% 및 2.07%이었다.
        120.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esintangkong" is a new large-seeded and early maturing peanut variety that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NCES) in Suwon and released in 2000. Daesintangkong originated from the cross between "48-1" and "Daekwangtangkong". Cross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