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6

        10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온기 시설참외 재배 시 탄산가스 발생제(탄산솔)의 사용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600 m2 크기 하우스에 탄산가스 발생제(100g/1봉)를 10, 20 및 30봉을 각각 매달아 무처리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탄산가스 농도가 3.0~3.2배 정도 높았다. 그리고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과중이 20.2~22.0g 더 무겁고, 태좌부 당도가 1.5~2.1oBrix 더 높았으며, 색도(a값)도 우수하였다. 또한 탄산가스 발생제 처리한 것이 무처리에 비해 발효과율 및 기형과율이 각각 2.9~3.9%, 5.4~7.3% 감소하였고, 상품과율은 8.7~10.3% 증가하였다. 10a당 상품과 수량은 무처리구의 385.8kg에 비하여 탄산가스 발생제 10, 20 및 30봉 처리 한 것이 각각 10.3%, 14.8%, 16.2%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저온기 참외 시설재배시 탄산가스 발생제를 시용함으로써 탄산가스 농도가 높아져 광합성이 촉진되어 품질이 향상되고 수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0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위느타리(Pleurotus ferulae)의 품종 육성은 수량성이높은 ASI 2803과 형태적으로 보기 좋은 외국 도입품종ASI 2798의 단포자를 분리한 후 교배하여 13개의 교잡주를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수량성이 높은 ASI 2803보다 수량은 적으나 백색을 띄며 형태가 좋은 우량계통GW10-68를 선발하여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선정심의회에 상정하여 통과되어 ‘비산2호’로 명명되었다. 고유특성으로는 균사체 배양의 대선형성유무에서 모균주 ASI2803, ASI 2798 및 비산1호와 대치배양하였을 때 뚜렸한대선을 형성하였다. 유전적으로는 RAPD primer를 이용하여 신품종 ‘비산2호’의 DNA pattern는 ASI 2798 및 비산1호와는 DNA밴드 패턴이 구별되는 밴드양상을 보였으나 모균주 ASI 2803과는 유사한 밴드 패턴을 보여주었다.가변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은 25oC이며, pH의 범위가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병당 123.3±25.7g으로 비산1호보다 수량이 적지만, 개체중에서는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 길이는 비산1호보다 길고,대의 색깔이 큰느타리보다 순백색을 나타내어 큰느타리와차별화하여 재배하면 큰느타리 대체품종 뿐만 아니라 수출 품종으로도 기대된다.
        4,000원
        103.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위느타리(Pleurotus ferulae)의 품종 육성은 수량성이높은 ASI 2803과 형태적으로 보기 좋은 국내 교배품종ASI 2850의 단포자를 분리하여 교배하여 13개의 교잡주를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수량성이 높고 형태가 좋으면서 자실체 형성이 쉬운 균주 GW10-95를 선발하여 ‘비산1호’으로 명명되었다. 고유특성으로는 균사체 배양의 대선형성유무에서 모균주 ASI 2803 및 ASI 2850과 대치배양하였을 때 뚜렸한 대선을 형성하였다. 유전적으로는RAPD primer를 이용하여 신품종 ‘비산1호’의 DNA 패턴은 모균주와는 다른 패턴을 형성하였다. 가변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은 25oC이며 pH의 범위가 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농가실증시험에서 245g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길이는 ASI 2803보다 길고 굵어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기존의 아위느타리보다 수량성이 높아 큰느타리 대체품종 뿐만 아니라 수출 품종으로도 기대된다.
        4,000원
        104.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접목선인장 비모란(Gymnocalycium mihanovichii var. friedrichii)의 무배지 수경재배에 이용되는생력트레이의 적합한 형태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높이를 8, 13, 18, 23mm로 조정한 생력트레이의 관수공 존재 여부에 따른 시험처리 결과는 다음과 같다.관수공이 있는 경우, 중형규격 접목선인장의 구직경, 구고 및 생체중은 생력트레이의 높이가 8mm와 13mm에서 다른 처리보다 증가하였으나, 18mm 이상으로 높아지면 생육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관수공이 없는 경우 8, 13, 18mm 높이의 생력트레이에서 중형규격 접목선인장의 구직경, 구고, 접수생체중이 크고 자구수가많았으나, 23mm 높이의 생력트레이는 다른 처리에 비해 접수 생육이 감소되었다. 관수공이 있는 생력트레이를 사용한 대형규격 접목선인장의 구고는 8mm와13mm 높이에서 접수생체중은 8~18mm 높이에서 컸던 반면에 관수공이 없는 생력트레이는 높이에 따른접수의 생육 차이가 없었다. 중형규격 접목선인장의경우 상품화율은 8, 13, 18mm 높이의 생력트레이가23mm에 비해 높았는데, 뿌리건물중은 23mm 높이의생력트레이에서 가장 무거웠다. 반면 대형규격 접목선인장의 경우는 관수공이 없는 생력트레이는 높이에 관계없이 상품화율이 높았으나 뿌리건물중은 23mm에서높았다. 또한 관수공이 없는 경우 생력트레이 하부에뿌리가 균일하게 분포되며 트레이의 높이가 높아지면뿌리가 분포할 수 있는 공간이 넓어질 수 있으므로 관수공이 없는 높이 18mm 정도의 트레이가 접목선인장무배지 수경재배에 적합한 형태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0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 에탄올로 양파를 추출한 다음 감압하에 농축하였고, 농축된 양파 추출물을 증류수에 재 용해시킨 용액의 pH는 5.34인 약산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용액을 0.1 N NaOH 로 적정한 다음 TLC(전개용매: ethyl acetate)에서의 분리는 적 정 전보다 chromatogram의 이동 및 분리가 뛰어난 것으로 나 타났고, GST 활성 저해에도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에서 0.1 N NaOH 적정용액의 분리는 ethyl acetate(분획 A), methanol(분획 B), 50% methanol (분획 C)로 용출하였고, 용출된 각 분획은 감압하에 농축하여 GST 활성 저해 실험을 하였다. 세 부분 모두 GST 활성 저해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분획은 GC-MS spectrometer 분석에서 두 종류 이상이 함유되어 있지만, 구성 물질은 서로 상이함을 보였고, 이들 물질의 분리와 구조 규명이 필요한 것 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6.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Jujube trees, herbal medicine material, produce not only their fruit but also jujube honey for bee and human’ food sources. Although jujube is an important honey plant after acacia bloom, the research was done with 15-year-old jujube trees grown in ChungDo-Gun, which there was no information on jujube floral nectar. According to the research, jujube nectar secretion mostly happens during dawn and morning for two days. The average number of inflorescence per tree is 638.1 according to the research. And also, the average number of flowers per inflorescence is 64.4. The amount of nectar secretion is 11.6 ul on average per flower, and hypothesized nectar secretion from 15-year-old tree per tree is 476.682 ul. Also,a jujube tree has 545.5ul hypothesized nectar secretion per ha by the research.
        107.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use as a new funtional food material, we analyzed the chemical components including the organic compounds, minerals and Vitamic C of jujube honey which were produced in South Korea. The condensed rate of methanol extraction in honey was 87.02% and main organic compounds that extract by organic solvents in GC-MS analysis were trichloromethane, triptane, 2-formylbutane, acetoxyethane, butyraldehyde, butanoic acid, cyclopentane, propanoic acid and so on. Also, main aromatic compounds that extract by organic solvents in SPME analysis were octacosane, pyrobenzol, hexatriacontane, cyclopentasiloxane, pelargonaldehyde, 3-azabenzonitrile, 4-pyridinecarbonitrile, nicotinonitrile, cyclohexatriene and many more. As proximate composition, crude ash content was higher than acacia honey(0.05%) by 0.698%, and crude protein was higher than acacia honey(0.10%) by 0.27%, but crude fat was lower content than acacia honey(0.44%) by 0.26%. Free sugar that analyze by HPLC consisted of fructose 37.47%, glucose 25.22%, and total sugars was 62.69%. Minerals by ICP analysis were detected total 19 kinds, K 12.575ppm > Na 1.8155ppm > Zn 1.3325ppm > Ca 0.6335ppm etc. Vitamin C was not detected and antioxidation test result by DPPH freeradical scavenge effect was hardly but high somewhat compared to acacia honey.
        108.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dicinal plant extracts from 27 plant species in 20 families were tested for their larvicidal activity against house fly, Musca domestica (L.). Responses varied with plant material and concentration. Among plant species tested,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showed 100% larvicidal activity against M. domestica at 10 mg/g concentration. Larvicidal activities of Atractylodes japonica, Saussurea lappa, Asiasarum sieboldi, and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were 89.3, 85.3, 93.3 and 96.6% at 10 mg/g concentration, respectively. Extracts of Prunus persica, Curcuma longa and Paeonia moutan produced moderate activity. Larvicidal activity of other plant extracts was less than 50%. Among test plant species,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showed the most potent larvicidal activity. The active constituent of P. leptostachya var. asiatica roots was identified as the leptostachyol acetate by spectroscopic analysis. The LC50valuesofleptostachyolacetateagainstM. domestica larvae was 0.039 mg/g. Naturally occurring medicinal plant extracts and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root–derived compounds merit further study as potential house fly larval control agents or lead compounds.
        109.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highabundance and impact on honeybees of the Asian hornet Vespa velutina var. nigrithorax have caused great concern among European public authorities and beekeepers. The species wa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France in 2005 and spread out across 66 European districts (ca. 360 000 km 2 ) within 7 years (INPN, 2012; Rome et al., 2013). Its arrival was reported in 2010 in Northern Spain, in 2011 in Portugal and Belgium and in 2013 in Italy. Its wider expansion in Europe is soon to be expected. We discuss here the advances of the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 initiated in 2008 in France. 1. The potential invasion risk of the species was assessed using modeling tools of climatic suitability (Villemant et al., 2011, Barbet-Massin et al., 2013). Interestingly,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V. v. nigrithorax matches the current distribution of another invasive social wasp, the German yellow jacket, Vespula germanica (Beggs et al., 2011). 2. Apartfrom reported damages on hives, little is known on the biology of V. velutina throughout its native Asian range. In the invaded range, the impact of V. v. nigrithorax on the diversity and biomass of the invertebrate fauna is under study. Preliminary results reported a diversified diet varying among seasons and habitat types. 3. The genetic variability between individuals of V. v. nigrithorax from France and Asia was assessed in order to describe the history of its invasion. The analysis has evidenced a low variability among the invasive population, which indicates a single introduction of one or more queens. The sampling of specimens in France and in the area of origin has been extended to confirm this hypothesis and the most probable area of origin (Arca, 2012). Given the potential economic and biological impact of V. v. nigrithorax, a better understanding of its invasion dynamics is necessary to predict regions at risk, hence to help with planning dedicated control measures, a prerequisite for replacing the reactive nature of current solutions with a proactive, predictive approach.
        110.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NaCl) 스트레스 하에서 근대의 이온축적 및 삼투조 절물질로 알려진 Glycine betaine (GB) 함량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0, 100, 200, 300 및 400mM의 염(NaCl)을 처리하여 생장, 이온양상 및 GB 함량을 조사하였다. 염(NaCl) 농도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근대 잎의 건중량은 염(NaCl) 0, 100 그리고 200 mM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300 mM 이상의 염(NaCl)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내었다. 양이온 함량은 염(NaCl) 농도 및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주로 Na+ 이온을 축적하며 K+, Mg2+, Na+, Ca2+ 그리고 Fe2+ 순으로 식물체 내에 함유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총 이온함량과 삼투몰 농도는 염(NaCl) 농도가 증가함 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Na+와 같은 무기이온 을 직접적인 삼투 조절자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ycine betaine은 10일째까지는 함량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염 처리 후 20일째 200 mM 염(NaCl) 농도까지 현저하게 Glycine betaine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300mM 염(NaCl) 농도에서는 다소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근대 는 염(NaCl)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질성 삼투 조절물질로 Glycine betaine을 축적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근대는 식물체 내로의 염(NaCl)의 유입을 배제하는 기작보다는 효율적인 염(NaCl)의 재분배 및 구 획화와 무기이온을 삼투조절에 이용하며, Glycine betaine 과 같은 세포질성 삼투조절물질을 축적하는 생리적 특성 으로 염(NaCl) 환경을 극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11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생 덩굴식물인 마삭줄과 후추등의 실내 광도차에 따른 생육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광도 처리 조합을 3처리구를 만들어 환경 조절 생육상에서 조사하였다. 사용된 광원은 형광등이고, 광 처리를 각각 100lux, 1,000lux, 2,500lux로 달리하여 5개월간 생육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생 마삭줄은 저광도인 100lux에서 처리 2개월 이후 생존율이 약 16.7%로 식물체 대부분이 고사하였고, 1,000lux와 2,500lux에서는 처리 5개월까지도 생존율이 83.3%로 높게 유지되었다. 실내광도가 높아짐에 따라 초장, 엽수, 분지수, 엽장 및 엽폭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광도인 2,500lux에서 가장 우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자생 후추등은 저광도인 100lux에서는 처리 4개월 후 생존율이 50%로 생육이 불량하였으나 1,000lux와 2,500lux에서는 처리 5개월까지도 100%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1,000lux 조건에서 엽록소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엽장과 엽폭이 약간 넓어지는 경향은 보였다. 상록성 덩굴식물인 자생 마삭줄과 후추등을 실내 광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두 식물 모두 1,000lux 이상의 광조건에서 생육이 양호하였고 특히 후추등의 경우 마삭줄에 비해 1,000lux의 낮은 광도에서도 생육이 양호하고 잎이 넓어지고 엽색도 짙은 녹색으로 유지되어 실내식물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광도가 지나치게 낮아질 경우 생육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내 음성이 높다고 할지라도 정상적인 생육을 위해서는 적당한 광조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1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규소는 식물의 필수원소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곤충, 병원균, 건조, 중금속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작물의 품질과 수량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저면관수, 엽면살포, 저면관수 + 엽면살포 법으로 두 가지 규산염(K2SiO3, Na2SiO3) 처리가 분화장미 저 항성인 ‘Apollo’와 민감성인 ‘Remata’의 생장과 흰가루병 발생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 재료는 장미 농가에서 재배 한 것으로 1차 적심이 완료된 분화 장미를 사용하였다. 정식 후 두 가지 규산염(K2SiO3, Na2SiO3)을 0, 50, 100mg • L-1 Si 의 농도로 엽면살포 또는 저면관수로 처리하였다. 재배 중의 EC는 1.6-1.8mS •cm-1로, pH는 5.8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공 급양액과 공급량을 조절하였다. 환경제어가 가능한 온실에서 식물 을 재배하였고 흰가루병의 감염은 자연발생적으로 이루어졌다. 엽 면살포와 저면관수로 규소를 공급시 식물의 초장이 감소하였다. ‘Remata’ 품종에서 K2SiO3 100mg • L-1를 엽면살포로 공급한 처리에서 대조구(K2SiO3 0mg • L-1)에 비해 흰가루병의 발생이 감소하였다. 전반적으로 규소를 처리한 것에서 대조구에 비해 흰 가루병에 대한 내성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엽면살포법으로 K2SiO3를 공급하면 흰가루병에 대한 저항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4,000원
        11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참외 개화시의 기온과 상대습도가 화분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만리장성', '오복꿀' 및 '조은대'의 3 품종을 재료로 하여 개화 시 온도를 15℃, 25℃ 및 35℃, 상대습도를 30%, 60% 및 90%의 처리를 두고 실험하였다. 기온조건에 따른 화분 발아율은 25℃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높았고 15℃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낮은 경향이었으며 품종별 화분 발아율은 '만리장성'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오복꿀'이었으며 '조은대'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화분관 신장길이는 기온조건별로는 35℃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길었고 다음이 25℃ 에서 채취한 것이었으며 15℃에서 채취한 것은 현저히 짧았으며, 품종에 따라서는 '오복꿀'이 가장 길었다. 상대습도 조건에 따른 화분 발아율은 습도조건에 따라 뚜렷한 차이는 없으나 습도가 높을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품종간에도 큰 차이가 없으나 '만리장성'과 '조은대'에 비해 '오복꿀'에서 낮았다. 그러나 화분관 신장길이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60%의 상대습도에서 채취한 것이 가장 길었으며, 다음이 30%의 상대습도에서 채취한 것이며 90%의 상대습도에서 채취한 것은 현저히 짧았다. 품종별 화분관 신장길이는 '오복꿀'이 가장 길었고 '조은대'가 가장 짧았다.
        4,000원
        11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쌈채 및 강장제로 이용되고 있는 산마늘을 조경용 지피식물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차광 정도를 30%, 50%, 80%로 처리하여 생육 특성 및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엽수는 처리구별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엽장과 엽폭은 80% 차광 처리구가 각각 16.8cm, 10.1cm로 무처리구의 13.4cm, 7.3cm에 비해 우수하였다. 생체중은 무처리구가 차광 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상부 생체중은 무처기구가 8.5g인데 비해 80% 차광 처리구가 0.4g로 양호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50% 차광 처리구가 42.8, 80% 차광 처리구가 40.5로 무처리의 36.7에 비해 높았다. 따라서 차광 수준에 따른 산마늘의 생육 특성은 80% 차광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여 음지성 지피식물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참외에서의 관비재배기술 개발을 위하여 배양액의 공급횟수가 토양의 EC 변화, 질소와 칼슘 집적, 덩굴의 생장, 과실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관비재배는 관행에 비하여 토양 EC가 0.8dS·m-1까지 증가 하였으나 관행재배는 0.68dS·m-1에서 0.2dS·m-1로 낮아졌다. 정식 후 20일 된 식물체의 덩굴길이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건물중은 관비재배구가 증가하였는데 2회(오전 9시와 오후 6시, 900L/1,000포기, 매일)처리구가 현저히 많았다. 토양 내 질소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칼슘은 관비재배구가 현저히 높았다. 관비는 관행재배에 비하여 참외과실의 상품(商品)수량이 증가하였는데 1일 1회(오전 9시)보다 2회 관비재배구가 더욱 많았고 기형과율은 관비재배구가 감소하였다. 1개 과실의 크기와 당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저장기간 동안 과실의 중량 감소는 2회 관비재배구가 현저히 많았다.
        4,000원
        118.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네 가지 서로 다른 비음처리구(무처리, 25%, 50%, 70% 차광처리)에서 2년간 생육한 잔대 묘목의 광합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엽록소 a, b 함량과 마찬가지로 총 엽록소 함량은 처리구간에서 유의 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광합성능력은 50%와 75% 차광처리구 보다 무처리구와 25% 처리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처리구(전광조건) 하에서 생육한 잔대 묘목은 가장 높은 광합성 능력, 기공전도도, 엽육 내 CO2 농도를 나타냈으며, 수분이용효율은 50%와 75% 차광처리구가 무처리구(전광조건)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추동물의 조사료 자원으로서 거대억새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개발된 품종인 거대억새 1호를 완숙기 이후에 채취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를 이용해반추위내 pH, 암모니아태 질소, 가스발생량,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 및 건물소화율을 조사하였으며,볏짚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거대억새는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반추위내 pH를 나타내었다(p<0.01). 암모니아태 질소의 경우 배양 12시간 이후에는 두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배양 6시간 이후 부터는 거대억새의 가스발생량이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에 있어 acetate, propionate, butyrate, valerate 및 총생상량에서 볏짚이 거대억새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iso-butyrate와 iso-valerate에서는 두 조사료원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건물소화율에 있어 배양 12~24시간 사이의 거대억새 소화율이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거대억새의 이용성은 볏짚의 약 8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20.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마늘의 임간재배를 위한 기초 환경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울릉도 산마늘은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나무, 섬잣나무, 솔송나무, 소나무, 곰솔, 섬피나무, 두메오리나무 군락에 자생하고 있으며, 입지환경은 평균 해발고도 563.4 m, 평균 경사는 27.8°이었다. 토성은 사토, 사질양토, 양질사토, 양토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유기물층의 깊이는 평균 6 cm, 토양 pH는 5.40, 유효인산은 18.5 ppm, 양이온 치환용량은 18.6 cmolc/kg으로 나타났다. CCA분석에 의한 입지와 토양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너도밤나무군락은 탄소, 질소, 모래함량, 양이온치환용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