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1

        12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소마케팅을 통한 농촌지연산업 활성화 전략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순창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순창의 장소자산 특성을 통해 순창전통고추장민속마을의 위상과 핵심장소자산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장류산업형․ 장류문화형․전통가치 교류형 장소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였다.
        4,000원
        12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류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 온 버섯은 우리나라에 서도 60년의 재배역사를 갖고 있으며, 우리의 식탁에 건강식 품으로서 자리 잡아오고 있다. 버섯의 재배형태 변화는 이러한 우리생활과 관계형성을 바탕으로 발전되었다고 볼수 있 다. 60년대부터 시작된 양송이버섯 볏짚균상재배에서 80년 대 느타리버섯 솜재배, 90년대 병재배 및 봉지재배에서 그 변천과정을 볼수 있다. 그러면 작금의 현실에서 이러한 버섯 재배형태의 변천이 생산자에게 얼마나 많은 변화를 유발 했 는지 생각해 봐야 하며 또한 앞으로 어떠한 버섯재배 방향이 재배농민에게 그리고 국민의 건강과 식탁의 안전을 보장받 을 수 있는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본인도 불과 4~5년 전만해도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로 균 상재배는 병재배 형태로 바뀌어 없어질 것이라고 생각했었 다. 실제로 균상재배면적은 상당히 많이 줄어든게 사실이다. 그러나 그 이유는 재배형태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과 편리성 등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연중 재배시설과 공동협업 또는 기계화를 통한 균상재배 형태를 갖추어 가족노동력 규모로 재배하면서 지역농협 및 군부대 그리고 학교급식을 통한 계약재배 형태로 출하함으로써 안 정된 규모의 균상재배로 다시 자리매김이 되고 있다. 가평군의 경우 2007년과 2008년 느타리버섯 농협계통 출하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출하농가수는 2007년에 47 농가였고 2008년에 34농가로 13농가가 줄었으며, 조수익 은 2007년 687백만원, 2008년 641백만원으로 46백만원이 늘었고, 호당소득은 2007년에 21,898천원이고 2008년에 28,440천원으로 6,542천원이 증가하였으며, 최고 출하액은 2007년에 39,800천원이며 2008년에 31,435천원이었다. 이는 재배농가의 소득이 평준화 되고있음을 알 수 있으며, 호 당 버섯재배 소득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쟁시대에 살아남는 방법은 다양하겠지만 옛 것을 살리 고 꾸준한 변화와 함께 단결하고 노력하면 어떠한 경쟁에서 도 의연하게 살아남을 수 있을것이다. 가평군 내에서도 균상 재배 농가가 많이 줄어들어 정리되었다. 지금의 모델이라면 앞으로 10년은 타지역과의 경쟁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농가 소득을 이어갈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실제로 2007년 가평 은 균상재배를 위한 재배사 40동을 신축하였고, 저온저장고 10동 등 균상재배 면적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2002년 한강 수계 물부담기금으로 재배사 신축시 균상재배사 표준모델에 20,000천원을 투자하여 설계도를 제작하고 지금까지 가평 군 균상재배사 신축 표준설계도로 활용하고 있다. 앞으로 균 상버섯의 균일한 품질과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고 농가의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공동선별장을 만들어 가평군의 농산물 브랜드화에 앞장서고자 한다.
        12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체적, 심리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들 변인들간의 인과적 관계를 알아보고, 매개변인인 이동기능을 통한 영향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2008년 9월 3일부터 2009년 5월 30일까지 논산지역 13곳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290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신체적 요인은 신체 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InBody 720을 사용하여 하지근육량과 비만도를 측정하였고, 심리적 요인은 통증과 우울에 관한 검사가 실시되었다. 이동기능은 이동능력(Timed Up and Go: TUG)과 선따라 걷기 검사가 실시되었고 낙상효능감에 대한 자료는 낙상효능감 척도(Fall Efficacy Scale: FES)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신체적, 심리적 요인들을 외생변인으로 선정하여 중간 매개변인인 기능이동능력과 최종 내생변인인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Amos 7.0의 ML(Maximum Likelihood) 추정절차를 사용하였다. 결과 :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에서 이동하기, 복부비만과 내장비만, 통증,우울 그리고 연령에서 부적(negative)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지의 근력과 성별에서는 정적(positive)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매개변인인 이동능력에 유의미한 인과 영향을 갖는 요인으로는 하지근육량(β=-.352), 비만도(β=.159), 심리적변인(β=.240)이었고 통제변인에서는 연령(β=.424)이었다. 최종내생변인은 이동기능(β=-.524)과 심리적 변인(β=-.152)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간접영향과 직접영향을 고려한 전체 영향에서 절대적 크기 순서로 나열하면, 이동기능(-.524), 심리적 변인(-.236), 연령(-.164)이다. 결론 :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동기능, 하지근육량, 심리적변인, 비만도, 연령이다. 따라서 작업치료에서 노인의 낙상효능감을 증진시켜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상의 요인들을 고려한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4,600원
        125.
        200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acute drug intoxication trends in the elderly visited Emergency Medical Center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records of poisoning patients visited Five different Hospitals from January 1. 2007 to December 31. 2007.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135 cases of 624 cases. When considering only the elderly and making comparisons between the urban areas and the rural areas the following data was produced. In regard to patients with acute drug intoxication, the main substance of choice was pesticides. Cases of acute drug intoxication are definitely higher for those categorized as the rural elderly (75.0%) when compared with those categorized as the urban elderly (44.1%). The male to female ratio, those living together as a family, past suicide attempts, mental state and sobriety condition when they came, monthly distribution etc. between the two groups did not demonstrate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regard to reasons given for acute drug intoxication, suicide was the highest at 60.7% of the cases. When comparing accidental reasons for poisoning, the urban elderly, at 34.2% of their cases, were higher than in the rural elderly, at 23.7%. After first aid was administered, the admission rate was higher for the rural elderly (47.4%) than for the urban elderly (33.9%). This shows that the rural elderly have a more severe acute drug intoxication poisoning problem than the urban elderly do.
        4,000원
        126.
        2009.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30.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정부 및 지자체에서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는 각종 지역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서 농산촌지역의 지대구분 및 사업추진을 위해 농산어촌지역 지대구분을 위한 구분기준과 지표를 개발하고 지대구분 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도시화지역 6개 읍․면, 준도시화 지역 13개 읍․면, 농촌지역 14개 읍․면, 중산간지역 18개 읍․면, 산간지역 11개 읍․면으로 구분되어 전체적으로 균등한 분포를 나타냈다. 세부적으로 보면, 각 군의 읍지역과 중심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일부 거점면이 도시화지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반대로 지형적으로 다소 산간지역의 특성이 강한 지역일지라도 수려한 자연경관 및 우수한 관광자원을 보유한 지역의 경우에 평가량이 다소 높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결과적으로 같은 군에 위치하거나 인접한 읍․면일지라도 각 읍․면별 지역적 특성은 서로 다른 특성을 내포하고 있기에 당해지역의 발전 잠재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사업추진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4,200원
        13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업의 서비스화 현상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서 농촌경제 활동을 다각화하는 농촌시장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먼저 농촌시장의 대두 배경을 포함한 농촌시장 형성 조건으로서 향토자원의 중요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전라북도남원을 사례지역으로 현지 방문조사를 통해 농촌시장개발여건 및 향토자원을 분석하였고,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중심으로농촌시장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농촌시장개발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생산․판매활동을 촉진하는데 본질적인 목적을두고 마케팅 촉진 수단으로 농업․농촌의 공간적 서비스를 활용해야 할 것으로 본다.
        4,000원
        13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구례 농촌지역에 서식하는 1쌍의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행동권을 측정하고 이전 너구리 연구와 비교하는데 있다. 원격무선추적은 2개체의 너구리를 이용하여 2개월 간격(2000년 6, 8, 10, 12월)으로 2일씩 주기적으로 수행되었다. 모니터링 기간 동안, 무선추적은 주간과 야간에 걸쳐 보통 1~3시간 간격으로 실시되었다. 전체 46~64개의 무선추적 자료의 분석 결과는 95% 최소볼록다각형(MCP) 방법에서 1쌍의 너구리의 전체행동권 크기가 0.41km2, 평균행동권 크기가 0.32km2임을 보여주었다. 암컷과 수컷의 행동권은 상당 부분 중첩되었고(약 70~95%), 행동권 크기는 서로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주간(0.01km2)과 야간(0.35km2)의 행동권 크기는 매우 큰 차이를 보였고, 여름(0.56km2)에 가장 컸지만 겨울(<0.01km2)에 가장 작았다. 추가적으로, 1쌍의 너구리는 1개의 핵심지역과 4개의 서로 다른 섭식지역들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동일한 개체들을 이용하여 하루 동안 더 빈번한 추적 수와 더 긴 추적 간격을 이용한 이 너구리 행동권 자료는 하루 동안 덜 빈번한 추적 수와 더 짧은 추적 간격을 이용한 이전의 연구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4,200원
        134.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농촌과 도시 거주 초등학생의 굴절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경상남도 소재 농촌 지역의 3개 초등학교와 도시지역의 1개 초등학교에 다니는 166명의 어린아이(저학년 36명, 고학년 47명)를 대상으로 자각식 굴절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나안시력은 농촌과 도시 학생에서 각각 0.75±0.34, 0.45±0.3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5.68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 학생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84±0.25와 0.54±0.37(t=4.088, p=0.000) 및 0.68±0.39와 0.39±0.38(t=3.989,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농촌학생(-0.52±1.02D)과 도시 학생(-1.60±1.80D)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4.86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 학생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14±0.48D와 -0.97±1.32D(t=5.048, p=0.000) 및 -0.81±1.21D와 -2.08±1.98D(t=5.051,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설문조사에 의한 시력 관리와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력 검사 주기는 농촌 학생은 74.7%가 `6개월~1년`, 도시 학생은 66.3%가 `6개월`이었으며, 시력검사 장소는 농촌 학생은 `학교`, 도시 학생은 `안과`가 가장 많았다. 평일 TV 시청 시간과 공부 시간, 전기스탠드의 사용 여부는 지역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 거주 환경에 따라 시력 관리 실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영양제 복용, 컴퓨터 사용 시간, 전기스탠드의 위치, 공부 자세 책과의 거리, TV와의 거리 등은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도시 지역이 농촌 지역보다,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시력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에 따른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환경에 맞는 효율적인 시력관리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200원
        135.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농촌지역 노인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생리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지역사회 노인중심의 작업치료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구성을 위한 방향 및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6년 9월 14일부터 2006년 11월 23일까지 논산지역 5곳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166명을 임의추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하지근력과 기능적 이동, 균형능력을 측정하였으며, InBody 720을 이용하여 비만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였다. 결과 : 노인의 근력과 균형능력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비만도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근력, 균형능력, 기능적 이동능력은 저하되었고, 비만도에서 BMI 지수는 유의하게 낮았다. 기능적 이동은 비만정도와 상관성이 없고, 팔 뻗기, 한발로 서기의 균형능력은 복부비만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농촌지역 노인들에게 낙상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작업치료가 필요하며, 균형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작업이나 활동의 선택은 성별과 연령에 따른 비만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4,300원
        13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ging rate of rural area in our country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at of the urban area. Thus, the introduction of meal service for the elderly residing in the rural area is necessary for their better living quality. Food habit, health and the nutritive intake conditions during the busy farming season were surveyed and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intake for the introduction of meal service in pavilion of the elderly living in Chungnam, Kangwon, Jeonnam and Kyungbuk was performed for basic reference data of meal service introduction to the pavil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In general subject, the male elderl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e and showed that 79.4% was married and 20% was separated by death(P<0.05). In allow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most of them lived with less then three hundred thousand won and especially, female lived with less then one hundred thousand won. In health state, the female elder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difficulty with every day activity but with small trouble although they had to prepare their own meal(P<0.05). The condition dental health conditions of the female elderl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howing bad conditions in following order; Kangwon(48%)>Chungnam(38.1%)>Kyungbuk(22.9%)>Jeonnam(22.5%)(p<0.05). The femal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sage of denture and number of the female elderly without using the denture were very high(p<0.05). In nutrition intake condition, amount of sodium was very high but intakes of fiber and calcium were relatively 1ow(P<0.05). Meal service introduction in the pavilion of the elderly is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When developing the menu for them, conditions such as shortage of the fiber and calcium in diets, the dental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4,000원
        139.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 소재 농촌 초등학교 3곳과 도시 초등학교 1곳의 166명 (저학년 각 36명 고학년 각 47명)을 대상으로 나안시력과 자각식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지역별 학년별 및 성별간 비교 분석하였다. 나안시력은 농촌과 도시 학생에서 각각 0.75±0.34, 0.45±0.3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5.68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와 0.84±0.25 와 0.54±0.37(t=4.088, p=0.000) 및 0.68±0.39 0.39±0.38(t=3.989,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비교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각각 0.65±0.40, 0.55±0.38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안경 착용률은 농촌과 도시 학생에서 각각 12%와 51.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7.356,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0%와 44.4%(t=-5.291, p=0.000) 및 21.2%와 57.4%(t=-5.105,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비교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30.7%(27명)와 33.3%(26명)으로 차이가 없었다(t=0.412, p=0.680).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농촌 학생(-0.52±1.02D)과 도시 학생(-1.60±1.80D)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4.869, p=0.000), 농촌 및 도시 학교의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학년별 비교에서는 각각 -0.14±0.48D와 -0.97±1.32D(t=5.048, p=0.000) 및 -0.81±1.21D와 -2.08±1.98D(t=5.051, p=0.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비교에서 남학생(-0.85±1.24)보다 여학생(-1.31±1.78)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t=-1.952, p=0.052). 근시 유병률은 저학년보다 고학년에서, 농촌보다 도시에 거주하는 학생에서 더 높았으나, 성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으로부터 초등학생의 시력저하를 예방하고 효율적인 시력관리를 위해서는 거주 지역과 연령에 적합한 다각적인 시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500원
        140.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peformed to investigate the anthropometric data, blood profile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persons living in a rural area. The subjects were 67 undernourished people who participated in follow-up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for9 weeks. Anthropometric data showed that the mean heights and weights in the management group were 157.6 cm and 59.1 kg, respectively, for the males and 152.6 cm and 51.0 kg, respectively, for the females. The mean BMIs of the management group were 23.8 kg/m2 in the males and 22.4 kg/m2 in the females. Th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albumin levels of the subjects were 181.7-191.4mg/dL, 48.3-53.0mg/dL, and 3.85-4.00g/dL, respectively. Energy, ash, P, Na,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and niaci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group. The mINQ, however,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after intervention. Also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INQ between the manage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MAR (14) in the management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62±0.2 before intervention to 0.68±0.2 after intervention (p=0.022), and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manage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p=0.017). MAR (8) in the management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915)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However, MAR (8) between the manage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did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p=0.031). MAR (3) in the management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48±0.2 before intervention to 0.55±0.2 after intervention (p=0.045), however, MAR (3)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manage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p=0.093). For the probability of nutrient insufficiency, in the management group the probability of nutrient values below the EAR (except for Fe) decreased after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babilities of values above the RI, or EAR~RI, were increased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