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1

        12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tric oxide (NO) plays a key role in the processes of inflammation and carcinogenesis. Three isoforms of NO 야mthase have been identified: endothelial 띠띠c oxide 와nth앓e (NOS), neuronal NOS, and inducible NOS (이O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OS expression in 7, 12-dimethylbenz[alanthracene (DMBA)-induced hamster buccal pouch carcinogenesis. Sixty three outbred young (6-week-old) male Syrian golden hamst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DMBA treated group (n=57) and non-treated (n=3), and mineral-oil treated group (n=3). No iNOS activity could be detected in the untreated or mineral oil-treated pouches. 80th cytoplasmic and nuclear stainings were observed in the DMBA-treated pouch kera띠lCX까es. There were iNOS expression 외so in the strorna1 cells. The mean values of iNOS expression in the epithelium increased gradually from control to dysplastic lesions and more to invasive squ따nous cell carcinoma. πle clifference between iNOS expr'않sion in the normal and that the dysplastic and carcinomatous lesion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values of iNOS expression in the stroma increased gradually from control to dysplastic lesions and more to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The difference between iNOS expression in the normal and that the carcinomatous lesions is statistica11y si맑, ificant.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iNOS is expressed in DMBA-induced hamster pouch carcinomas. πlis finding suggests that iNOS expression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hemically induced oral carcmomas.
        4,000원
        124.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 균사체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Th1 cell 증식효과 및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단백다당체 시료는 영지버섯, 아가리쿠스, 표고버섯, 운지버섯, 그리고 상황버섯을 100℃에서 3시간 열수 수출하는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Th1 cell의 세포 증식을 조사한 결과, 10mg/ml 농도에서 모든 시료가 40% 이상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종류의 암세포를 이용한 암세포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1mg/ml 농도에서 P388D1와 L1210에서 아가리쿠스는 2.4% 와 39.7%, 표고버섯은 48.4%와 52.5% 의 생존율을 보였다. Sarcoma 180 으로 복수암을 유발시킨 마우스에게 아가리쿠스와 표고버섯으로부터 추출한 단백다당체를 섭취시킬 경우 생존율이 27 ~ 40%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25.
        200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llaginella Tarmariscina is widely used in the traditional oriental herbal medicine for its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effects.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Sellaginella Tarmariscina on the viability and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were investigated in HL-60 cells. The cell viability after treating with extract of Sellaginella Tarmariscina was quantified by MTT assay. The results showed that could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HL-60 cells and caused a 40% inhibition of HL-60 cells at concentrations of 400 ㎍/ml. The cancericidic effect of Sellaginella Tarmariscina was mediated by apoptosis. Thus, HL-60 cells exposed to Sellaginella Tarmariscina displayed the DNA fragmentation ladder and nucleus chromatin condensation characteristic for apoptosis.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of Sellaginella Tarmariscina may induce the apoptotic death in HL-60 cells.
        4,300원
        126.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이를 극성이 다른 용매로 더욱 분리한 용매별 획분들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효과를 spore rec assay를 이용하여 검토하고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사람의 위암 세포인 AZ-521의 증식에 대한 저해효과를 실험하였다.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spore rec assay에서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의 돌연변이성을 61% 정도 억제하였으며,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있었던 활성물질을 정제하기 위하여 다시 극성이 다른 용매들로 각각 추출하여 얻은 획분 중에서는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이 강한 돌연변이 유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항발암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사람의 위암 세포인 AZ-521에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50㎍/ML와 100㎍/ml 첨가시 이들 암세포의 증식 억제율이 100%에 달하였고 감잎의 에틸아세테이트 획분도 사람의 결장암 세포 (HT-29)와 사람의 위암세포 (AZ-521)에 대해 클로로포름 획분 다음으로 강한 항발암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헥산 획분도 이들 두 획분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보다는 낮았으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관찰되어 항돌연변이 실험에서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4,000원
        128.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남 예산지구 활석광상지역에는 선캄브리아기의 유구편마암을 관입하고 쥬라기 흑운모화강암과 백악기의 산성 및 염기성 암맥의 관입을 받은 시대미상의 초염기성암체가 있다. 이 초염기성암체는 주로 사문암이고, 소량의 각섬암과 주로 사문암으로부터 형성된 활석광체를 포함한다. 이 사문암들은 사문석 반정과 layering의 발달정도에 따라 S1 ∼ S5의 5개 암석단위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들의 구성광물 및 화학조성들이 유사한 것으로 보아 사문암의 기원암은 동일마그마 기원의 감람암(dunite와 pyroxene peridotite)으로 해석된다. 사문암의 기원암인 감람암은 유구편마암이 받은 각섬암상의 광역변성작용시에 사문석화작용을 받아 사문암으로 되었고, 이 사문암으로부터의 주 활석화작용은 파쇄대를 따라 상승한 열수에 의한 열수변질작용으로 해석된다.
        4,000원
        131.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량 충돌시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 및 운전자를 보호해야 한다. 따라서 자동차시트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며 이것은 여러 가지 법규에 의해서 제재되고 있다. 물리적 실험 결과가 법규에 정한 규정치를 만족시키기 위해 과대설계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연비를 줄이기 위한 경량화의 만족이라는 설계요구에 상충한다. 본 논문에서는 헤드레스트 강도시험을 시뮬레이션하고 과대 설계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어퍼암을 최적화 모델로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순차 이차 계획법인 PLBA 알고리즘과 민감도 해석을 위하여 직접근사해석법을 사용하였다.
        4,000원
        135.
        200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and cancer prevention knowledge, beliefs, attitudes, and self-reported dietary changes. Data were collected from 903 parent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a middle school, a high school, or a junior college in Kimcheon. Thirty-seven percent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had made dietary changes for their health. Respondents reported eating more vegetables(33.1%), fruit(24.1%), whole grains(19.9%), and lower-fat meats(14.5%) and less alcohol(17.2%), high-fat meat(16.4%), fats(13.8%), smoked foods(13.8%), snacks/cake/sweets(11.7%), salty foods(9.6%), and refined grain products(6.1%). Those who did not make any dietary changes most often said the reason was that they thought their diets were already healthful and therefore there was no reason to make a change. Eighty-nine percent of the subjects agreed that diet and disease were related and 89.5% knew that diet and cancer were related, yet 8% believed there was nothing a person could do to reduce the risk of getting cancer. In response to open-ended questions about foods that either increase or decrease cancer risk, vegetables, fruit, traditional fermented foods, etceteras, and whole grains were thought to decrease risk, and burned foods, salty foods, additives, high-fat meats/fats, and alcohol were thought to increase cancer risk. In this study, education levels to be the major demographic variable and residential district had an impact on cancer prevention knowledge and attitudes. People at lower educational levels and rural residents should be targeted for education about cancer risk reduction.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