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0

        12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NI3126 which is the eco-friendly material made by plant extracts - neem and matrine - have been evaluated for efficacies against 6 main pests and toxicity on natural enemies. Insecticidal efficacies of KNI3126 against plant hopper were above 95% at 5 days after treatment (DAT), whereas pesticidal effects against the cotton aphid were above 95% at 3 DAT and slightly decreased at 5 DAT. Insecticidal efficacy against the palm thrips resulted in lower control value as 68.1% than that of chemical insecticides. KNI3126 showed more than 95% control value against diamond back moth, suggesting that it could suppress the population of pest hard to control as eco-friendly material. Mortalities against two-spotted spider mite were about 80% at 1 DAT and over 90% at 5 DAT, respectively. For evaluation of the toxicity on natural enemies, effect against predatory natural enemy was classified as moderate selective toxicity based on the criterion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Bio-Control (IOBC), whereas against parasitic natural enemies was found to be relatively safe. Repellent effect was weak against plant hopper, but strong against two-spotted spider mite. In the toxicity test for safety, KNI3126 was classified as the lowest level at acute oral, acute dermal and fish toxicity test and did not induce the irritancy at skin irritation test and eye irritation test.
        4,000원
        122.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comparison of native Orius strigicollis (Poppius) to European O. laevigatus (Fieber), we investigated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al period, fecundity, life span, predation ability, and augmentation after relea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five temperature condition, 15℃, 20℃, 25℃, 30℃, and 35℃. In the case of O. strigicollis, egg period was 3.1~14.9 days (hatchability: 46.7~88.2%),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4~42.8 days (survival rate: 2.4~96.5%).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28.1, 107.9, 123.6, 127.3, and 18.1, respectively. Life span of adults was 63.4, 40.1, 22.1, 18.3, and 11.0 day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O. laevigatus, egg period was 3.1~13.5 days (hatchability: 65.0~89.9%),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3~42.0 (survival rate: 4.3~80.6%) days.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101.8, 218.6, 224.5, 219.5, and 15.7. Life span of adults was 70.6, 66.4, 32.6, 34.5, and 7.3 days, respectively. In long-day condition (16L:8D), fecundity of O. strigicollis and O. laevigatus was 105.8 (18℃)~142.4 (25℃) and 109.5 (18℃)~191.5 (25℃), respectively. In short-day condition (10L:14D), fecundity of them was 1.0 (18℃)~31.8 (25℃) and 63.0 (18℃)~198.8 (25℃), respectively. Daily prey consumption of second instar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14.3 and 10.9, respectively. In greenhouse, density of O. strigicolli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y and peaked about early July (1.8 individual/flower), while that of O. laevigatu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rch and peaked about early June (6.6 individual/flower).
        4,000원
        123.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기재배 딸기 해충 방제를 위해 제충국과 멀구슬 추출물의 살충효과를 확인하고 천적에 대한 독성과 함께 방제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비율은 5개의 시제품 중 멀구슬 2번이 처리 5일째에 99.6%로 가장 높았으며 목화진딧물에 대해서는 1회 살포보다는 7일간격으로 2회 살포시 14일째까지 90% 정도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기생천적인 온실가루이좀벌, 황온좀벌, 콜레마니진디벌, 어비진디벌의 부화율은 제충국, 멀구슬 시제품 모두 28.4~43.3%로 낮게 나타났으며 포식성 천적에 대한 독성은 칠레이리응애는 제충국 93.3%, 멀구슬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으며 애꽃노린재는 54.2~68.2%의 살충율을 나타내어 천적 방사시에는 주의를 요하였다. 딸기 포장에서 시제품 처리 방법에 의한 점박이응애 밀도 변화를 보면 멀구슬을 먼저 살포하고 이후에 제충국이나 멀구슬을 일주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방법이 밀도를 줄이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시제품 살포전 천적을 방사하여 점박이응애를 방제하는 방법은 제충국의 경우 8일째에 밀도가 7.1~15.2%로 내려가지만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천적을 방사하여도 밀도를 억제할 수 없었다. 그러나 멀구슬은 8일째에 3처리 모두 밀도가 떨어져 발생하지 않았지만 천적 역시 영향을 받아 밀도가 감소하였다. 시제품 살포후 천적을 방사하여 점박이응애를 방제하는 방법은 제충국의 경우 밀도를 억제할 수 없었다. 그러나 멀구슬은 8일째에 3처리 모두 밀도가 떨어졌으며, 천적은 1일째에는 영향을 받지 않아 밀도를 유지 하였다. 그러나 이후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감소하므로 역시 영향을 받아 밀도가 감소하여 점박이응애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물농약을 처리한 이후 천적을 방사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2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험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전북 김제시 순동 참샘영농(10,000㎡)과 2005년 경기 화성시 우정면 이화리 화성21(2,300㎡)의 유리온실 재배 파프리카 농가에서 실시하였다. 단위면적(㎡)당 천적 방사량과 대상해충의 밀도억제 효과는 총채벌레 천적인 오이이리응애(Amblyseius cucumeris) 436.2마리+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 7.2마리와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227.3마리+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 1.7마리 처리결과, 총채벌레 밀도를 꽃당 각각 0.2마리와 0.07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방사한 지중해이리응애와 미끌애꽃노린재의 주내 공간분포는 꽃에 미끌애꽃노린재의 밀도가 낮을 때는 지중해이리응애가 우점하지만, 미끌애꽃노린재 밀도가 증가하면 지중해이리응애는 미끌애꽃노린재에 의해 포식 당하거나 밀려나 모두 잎으로 이동한다. 잎응애 천적인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를 33.4마리 처리결과, 점박이응애를 엽당 1.3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진딧물 천적인 진디벌뱅커플랜트 5.6포트/660㎡+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 9.4마리 처리결과, 진딧물 밀도는 엽당 2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담배가루이 천적인 황온좀벌(Eretmocerus erimicus) 78.4마리+지중해이리응애 227.3마리 처리결과, 담배가루이 성충 밀도가 7월 상순까지 트랩당 10마리 이내로 억제 되었으나, 작기 후반 9월 중순 트랩당 250마리까지 증가하였지만 작물에는 피해가 없었다.
        125.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개박하(catnip plant)에서 발견된 물질인 nepetalactol과 nepetalactone이 야외 칠성풀잠자리붙이를 유인하고(Boo et al. 1998), 해충이 식물체를 가해하면 식물체가 천적을 유인하기 위해 분비하는 휘발성물질에 대한 연구보고(Bouwmeester et al., 1999)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식물분비 휘발성물질은 초식성 곤충의 기주탐지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초식성 곤충 (Visser, 1986) 뿐만 아니라 이들의 천적(Tumlinson et al., 1992)도 유인하고, 산란행동이 이들 기주가 분비하는 화학물질에 의해 조절됨(Hartlieb et al., 1999)에 따라 이러한 기작을 해충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Agepoulos et al., 1999). 농약살포로 해충의 약제저항성 유발, 천적류 감소, 및 환경오염 등 여러 가지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며, 농약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농약대체물질 개발 및 그 이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문제해충의 정확한 발생을 예찰하고, 방제를 위해 곤충 자체가 분비하는 성페로몬을 이용하거나 해충과 작물과의 관계에서 해충이 가해한 작물에서 분비되는 휘발성물질이 천적을 유인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천적을 유인하기 위한 다양한 휘발성물질 탐색에 많은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다. 본 소모임에서 해충의 가해를 받은 식물이 분비한 휘발성물질이 천적을 유인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목화진딧물이 가해를 받은 착새단고추가 분비하는 휘발성 물질이 천적을 유인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결과를 소개함과 동시에 작물-해충-천적 상호작용에 천적유인물질 탐색에 관련된 세부기술들 을 함께 검토해 보고자 한다.
        126.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kind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were used for the plant protection, furthermore they support the growth of crops in the greenhouses and the kindly environment friendly farming. Natural enemies might be used for control of insect pest with EFAMs at the same space and time. For testing the toxicity of EFAMs against to natural enemies, 10 EFAMs were selected and tested in small greenhouses and farm"s fields. In case of Harmonia axyridis larva, there was no predacious activity against cotton aphids in the block with EFAMMo L, EFAMPE D, EFAMME G and EFAMAE A, otherwise, aphid population was rapidly decreased in the control block without EFAMs. Both of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Encarsia formosa population were slightly decreased in the block with EFAMs. The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lock with IEFAM C, FEFAM D, EFAMSM Band EFAMPE D compared with control area. Especially, there was significantly maintained a very low population, both T. vaporariorum and E. formosa in the block with EFAMMo C. The parasitized ratio of Aphidius colemani is also very low in the block with EFAMs compared with control area. In the block with IEFAM C, FEFAM D, EFAMPE D and EFAMMo L,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control area in the number of mummies. Otherwise, in case of Diglyphus isaea and Liriomyza trifolii,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locks with and without EFAMs. In the block with EFAMMo C, Tetranychus urticae and Phytoseiulus persimilis populations were significantly maintained a very low level. However, the population of T. urticae was increased, but P. persimilis was decreased in the block with EFAMMo L.
        4,300원
        127.
        200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적을 활용한 안전농산물의 생산량 증대는 그동안 잔류농약의 문제로 수출이 중단되곤 했던 파프리카를 비롯한 딸기 등 여러 종류의 농산물 수출에 있어서 잔류농약의 문제를 해결해 주어 수출경 쟁력을 높이기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천적을 활용한 생물학적방제의 산업화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종전의 화학농약과는 달리 천적을 활용한 수출농산물의 잔류농약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천적을 활용하여 방제한 농산물에서 종종 천적이 묻어 나가는 경우와 일부 해충이 묻어 나가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의 국립식물검역원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산물 수입국과 한국의 천적을 활용한 농산물 수출에 있어서 간혹 천적 및 해충이 묻어 나가는 경우에 대하여 사용된 천적과 수입국에도 분포하고 있는 일부 해충들에 대하여 수입국의 검역기관과 양허체결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문제가 발생된 후에 양허체결이 처리되는 사례가 있어서 일부 수출농산물이 반송 또는 훈증 처리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곤 하였다. 천적을 생산하는 산업체와 검역 기관에서는 천적을 활용한 농산물의 수출에 있어서 위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상호공조 및 역할분담을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이후에는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5,400원
        12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llustrate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in soybean fields in Honam area. A total of 23 pest species in 13 families and 13 species of natural enemy were observed during 2002 to 2003. Delia platura, Medythia nigrobilineata, Spodoptera exigua and Aphis glycines occurred relatively with high population densities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 of soybean. Dolycoris baccarum, Riptortus clavatus, Nezara antennata, Piezodorus hybneri and Halyomorpha halys began to occur between mid July to early August and lasted until the harvest time. Lepidopteran insect pests, Leguminivora glycinivorella, Pleuroptya ruralis, Scopula missaria, Macdunnoughia purissima and Spodoptera litura occurred significantly in late August in soybean field. Natural enemies of soybean insect pests observed in this survey were seven parasitoids, five predators, and an entomopahogenic fungus. Two egg parasitoid species for R. clavatus, two parasitoid species for P. ruralis, and five natural enemy species (including parasite, predator and entomopathogenic fungi) for either S. litura or A. glycines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Among them two egg parasitoid species, Gryon japonicum and Ooenyrtus nezarae for R. clavatus, for and one parasitoid species for P. ruralis, that belong to Betbylidae, were new to Korea.
        4,000원
        129.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the greenhouse whitefly, aphids, American leaf-miners, Encarsia formosa, Aphidius colemani, Diglyphus isaea, and Dacnusa sibirica were used as biological control factors. Otherwise, many kind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ere also used in the kindly environment friendly fanning. For testing the toxicity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against to insect parasitoids as biological control factors, 61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ere selected by using methods and periods with insect parasitoids in the greenhouses.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ere sprayed to mummies and adults of E. formosa and A. colemani, and adults of Diglyphus isaea and Dacnusa sibirica in laboratory condition. Emergence rates were checked during 12 days after spray to mummies of E. formosa and A. colemani, and survival rates were at 24 and 48 hours after viral test for adult parasitoids, with 10% sugar solution. Emergence rates of E. formosa mummies were inhibited by sprayed the fungicidal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 (FEFAM) E and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molybdenum (EFAMMo) G as 0.4 and 2.7%, respectively. E. formosa adults were not survived in vial for 48hours after sprayed and dried with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plant extract (EFAMPE) J and the EFAMMo C.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microelements (EFAMMEs) B and EFAMPE H,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ntained useful soil microorganisms (EFAMSMs) H, FEFAM A and FEFAM D were recorded low survival rates of E. formosa adults with 6.7, 13.3, 13.3, 20.0 and 20.0, respectively. In case of the spraying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o mummies of A. colemani there were low emergence rate from mummies to adults as around 20s % with water spraying as control. A. colemani adults were not survived in vial with EFAMMo C. EFAMPE J, EFAMPE F, EFAMPE H, EFAMSM H were recorded low survival rates under 20% as 6.7, 13.3, 13.3 and 13.3, respectively. D. isaea and D. sibirica adults were not survived in vial with EFAMPE J. EFAMMo C was 53.3% of survival rates in 48 hours vial tests. D. isaea and D. sibirica were not affected by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compared with E. formosa and A. colemani.
        4,000원
        130.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results achieved by the evaluation of toxicities on an aphid parasitoid, Aphidius colemani by 79 pesticides registered as horticultural pesticide and 4 adjuvants for pest control, 6 insecticides including a-cypermethrin, 13 fungicides including metalaxyl-M+mancozeb and 4 acaricides including bifenazate showed low toxicity against A. colemani adult. Low toxicity was showed in all the 4 adjuvants as well. In residual toxicity test from 40 pesticides which showed toxicity more than 50%, A. colemani was safe from 11 pesticides from the 3th day after treatment, 7 pesticides from the 5th day after treatment and 14 pesticides from the 7th day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But, chlorpyrifos-methyl, diflubenzuron+chlorpyrifos, etofenprox+diazinone and imidachloprid+chlorpyrifos showed high toxicities reaching 100%, 97.7%, 100% and 100% respectively, even from the 7th day after treatment. To evaluate the control effect by A. colemani against Myzus persicae in a greenhouse, A. colemani was released at parasitoid versus aphids rates of 1:50 and 1:100 when the population of M. persicae was 50 per plant. After release, aphids population remained steady for 20 days after release at the level of around 60 aphids per plant During the investigation, insecticides for thrips control and fungicides for powdery mildew control were treated, but didn"t affect the mummy forming of A. colemani. It may be suggested from these results that the selected insecticides, fungicides, acaricides and adjuvent c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integrated M. persicae management system with A. colemani on greenhouse cultivation.
        4,000원
        131.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색긴꼬리좀벌은 밤나무혹벌의 유충을 공격하는 외부기생성 천적으로 판명되었다. 남색긴꼬리좀벌의 수명은 꿀 원액을 공급한 경우 에서의 암컷성충 일이었으며 아무것도 공급하지 않은 경우 일이었다. 산란수는 에서 개체, 에서 개체이었으며 산란초기에 다수 산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은 장타원형으로 백색이며, 길이는 이었고, 충방(gall chamber)당 1개의 알을 산란하나 중복하여 산란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유충은 백색이며 길이는 이었고, 암컷 용의 길이는 , 숫컷 용의 길이는 로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컸다. 강원도 춘천지역에서는 년 2세대 발생했으며, 월동세대 성충발생기간은 5월 하순-6월 상순이었고 제1세대 성충발생기간은 6월 하순-7월 상순이었다. 경상남도 하동지역에서는 년 3세대 발생했으며, 월동세대 성충발생기간은 5월 중순-6월 상순, 제 1세대는 6월 하순-7월 상순, 제 2세대는 7월 하순-8월 상순이었다
        4,000원
        136.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병해충 방제약제로 등록된 51종의 농약(살충제 25종, 살비제 11종, 살균제 11종 그리고 농약보조제 4종)에 대한 으뜸애꽃노린재 약충과 성충의 독성을 조사하였다. 살충제 중에서는 flpronil, lufenuron, acetamiprid+fipronil, -cypermethrin+flufenoxuron, buprofezin+amitraz of 독성이 낮았고, 살비제 중에서는 acequinocyl, bifenazate, chlorfenapyr, etoxazole, fenpyroximate, flufenoxuron, milbemectin, spirodiclofen, tebufenpyrad가 독성이 낮거나 없었다. 살균제와 농약보조제는 모두 낮은 독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시설 병해충의 종합관리체계 에서 으뜸애꽃노린재에 독성이 적은 약제와 으뜸애꽃노린재를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38.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미의 병해충 방제에 등록되어 있는 34종, 등록되어 있지 않은 5종, 그리고 보조제 3종, 충 42종의 농약에 대한 칠레이리응애(알, 약충, 성충)와 점박이응애(알, 성충)의 선택독성과 칠레이리 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살비제 중 acequinocyl, bifenazate, fenbutatin oxide, spirodiclofen은 칠레이리응애에 대해서 독성이 낮았으나,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독성이 높았다. 살충제는 acetamiprid, imidacloprid, spinosad, thiamethoxam, acetamiprid+etofenprox가 칠레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해서 독성이 없거나 적었다. 살균제 중에는 azoxystrobin, kresoximmethyl, myclobutanil, nuarimol, triadimefon, triflumizole, oxadixyl+mancozeb이 칠레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해서 영향이 없었다. 농약보조제인 cover와 siloxane은 칠레이리응애에 대해서 독성이 컸으나, spreader는 영향이 없었고, 점박이응애에 대해서는 독성이 없거나 낮았다. 장미시설하우스에 서 칠레이리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잎당 65.3마리였을 때, 칠레이리응애를 주당 30마리 방사하였다. 방사 후 11일에 점박이응애 밀도가 잎당 3.8마리로 크게 감소하였고, 방사 후 20일에는 잎당 0마리로 밀도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흰가루병 방제로 살균제 4회(kresoxim-methyl, myclobutanil, nuarimol, triflumizole)와 총채벌레 방제약제를 1회(spinosad)처리하였으나, 칠레이리응애 밀도에는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장미 병해충의 종합관리체계에서 칠레이리응애에 독성이 적은 약제와 칠레이리응애를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ntrollability. Based up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change causal attribution and self-efficacy is necessary. A number of theoretical relationships and empirical finding are confirmed by this data, and future proposals in research is suggested. 따라서 교사들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에 따라 수행평가에 대한 지원을 달리함으로써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며 보다 효과적인 수행평가가 실시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갈색 정도의 차이 문제이지 갈색란을 좋아함을 알 수 있었고, 교육에 의해 조금씩은 고정 관념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ique impact at 0.70 km/s and 0.91 km/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Eulerian hydrocode CTH simulation results. The Lagrangian code NET3D is superior to Eulerian code CTH in the computational accuracy.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ly obtained final deformed cross-sections of the projectile is excellent. (3)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ballistic limit data, particularly at the high-obliquity impacts, is reasonably good. (4) The simulation result
        4,000원
        140.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딧물의 포식자인 진디혹파리(Aphidoleres aphidimyra)의 온도와 먹이에 따른 발육기간, 산란력, 부화율, 우화율, 포식능력, 번데기의 저온저장,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 등의 생물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을 먹이로 공급하였을 경우, 알에서 성충까지의 평균 발육기간은 15에서 40일, 3에서 12일이 소요되었다. 또한 목화진딧물을 먹이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이보다 짧아 각각 37일과 11일이 소요되었다. 번데기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5에서는 1주일, 1에서는 2주일 동안 보관하여도 90%이상의 우화율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 저장하는 경우베는 우화율이 점차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성충은 우화 2-3일 후에 교미를 하고 알을 낳기 시작하여 평균 10일동안 약 200여개의 알을 낳는다. 대부분의 성충은 오후 6시에서 8시 사이에 우화하고 주로 야간에 활동하였다.
        4,000원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