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4

        121.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백질성의 치아우식 예방제를 개발하기 위해 polylysine을 선정하고 Streptococcus mutan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과 산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anaerobic broth system에서 미생물학적인 방법에 준하여 조사하였으며, polylysine의 항균활성에 대한 pH와 열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Streptococcus mutna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은 polylysine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1.0㎎/ml 이상의 첨가농도에서는 두 시험균의 lag time이 약 1시간 정도 연장되는 효과가 있었다. 시험균의 산 생성량도 polylysine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특히 1.0㎎/ml의 첨가농도에서 그 효과가 뚜렷하였다. Polylysine은 pH 5.0∼8.0에서도 그 항균활성이 유지되었으며, 60℃에서 30분간, 120℃에서 15분간의 열 처리에도 그 항균활성이 소실되지 않았다.
        4,000원
        122.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효식품이 유해곰팡이에 의한 발암물질(aflatoxin)생성에 미치는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산균 및 유산균 발효유가 Aspergillus parasiticus ATCC 15517의 성장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발효유를 일정 농도별로 첨가한 YES 배지에서 Asperigillus parasiticus를 배양하여 그 성장과 배양물의 변화를 관찰하고 HPLC에 의하여 aflatoxin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배양말기에 대조군에 비하여 건조 균체량, 배양물의 PH, 그리고 aflatoxin 생성량 등이 낮게 나타났다(p<0.05). Aflatoxin B₁은 48.6~58.1%가 감소되었으며 G₁은 29.8~34.2%가 감소되었다. 이 발효유의 발효에 사용된 유산간균(Lactobacillus casei)과 A. parositicus를 변형 APT 배지에서 혼합배양한 결과 A. parasitious 단독배양의 경우에 비하여 균체량이 배양 5일째까지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나 배양 말기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배양 말기에 단독배양의 경우보다 pH가 훨씬 감소되고(p<0.05) aflatoxin의 생성량도 감소되었다. 이로부터 발효유는 유해곰팡이인 A. parasiticus의 성장과 aflatoxin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발효에 관여한 미생물의 경쟁뿐만 아니라 유산균의 대사산물에 의한 영향으로 보여진다.
        4,000원
        123.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teriocins from lactic acid bacteria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because of their useful worth in increasing safety and extending shelf life of foods. These substances show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some food spoilage bacteria and food-borne pathogens.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bacteriocin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L. monocytogenes) was examined in this study. The culture supernatants of 5 kinds of bacteria among the 10 kinds of tested lactic acid bacteria had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isteria sp., various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Lact. plantarum) LMG 7945 was the most active toward L. monocytogenes. Bacteriocin production of the Lact, plantarum LMG 7945 cultured on MRS broth was increased late logarithmic phase over early stationary phase. This bacteriocin was stable at heat treatment and acidic pH relatively; The activity was retained after heating at 121 for 15min and was active in the pH range of 2-4 but was lost above pH 5.
        4,000원
        126.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안동식혜의 제조법을 계승보존하고 제조공정 및 상품성을 높여 보다 우수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L. delbreuckii를 이용하여 안동식혜를 제조하였다. L. delbreuckii를 이용하여 안동식혜를 발효시켜 저장하는 동안 안정제에 의한 침전 억제효과와 관능검사, 생균수와 산생성균수 및 점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안동식혜를 저장하는 동안 쌀표면과 내부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안정제의 침전억제효과는 Na-alginate가 가장 우수하였다. 침전안정제를 넣어서 관능검사를 한 결과 균질화하지 않은 식혜의 경우는 Na-alginate를 0.1에서 0.15% 첨가하였을 때, Carrageenan은 0.05% 첨가했을 때 가장 맛이 우수하였다. 식품안정제의 종류 및 첨가농도간의 상호효과는 침전안정제의 종류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으나 첨가농도간에는 유의성이 있었다. 식혜의 현탁안정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안정제를 첨가하여 숙성시켰을 때 CMC, Na-alginate는 2일째, Carrageenan은 비균질화한 식혜는 2일에서 4일째 균질화한 식혜는 1일째 최고의 점도를 나타내었다. 젖산균수는 2일째까지는 급속히 증가하여 3.2×108/ml였으나 20일째는 3.0×107/ml로 감소하였다. 식혜의 숙성중 전자현미경으로 밥알의 표면 및 단층을 관찰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구멍이 생기고 내부가 빈 형태의 세포벽만 남았다. L. delbreuckii를 첨가하여 안동식혜의 제조시 젖산균의 증식이 급격히 일어나므로 해서 숙성이 빨라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상품의 균일성이 있으며 관능검사의 결과 맛도 좋았다.
        4,000원
        129.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실험(實驗)은 Lactobacillus bulgaricus의 우유 배지(培地)에서 항균물질(抗菌物質)을 추출(抽出) 및 정제(精製)하여 항균효과(抗菌效果)를 조사(調査)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칼처의 항균물질(抗菌物質)을 methanol-acetone으로 추출(抽出)하고 Sephadex G-50 gel filteration 그리고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정제(精製)하였다. 칼처의 산중화려액(酸中和濾液)이 탁도법(濁度法)에 의하여 Bacillus subitilis의 발육(發育)을 억제(抑制)하였으므로 산(酸)외에서 항균물질(抗菌物質)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제(精製)된 항균물질(抗菌物質)은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fluorescens, Staphylococcus aureus, Proteus vulgaris 및 Shigella dysenteriae의 발육(發育)을 억제(抑制)하였다.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정제(精製)한 항균물질(抗菌物質)은 항균작용(抗菌作用)을 나타내는 나 유산(乳酸)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4,000원
        132.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38.
        202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among the representative probiotic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fermented food.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detecting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LAB,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improve scavenging ac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nd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of Kimchi-derived Lactobacillus plantarum K-21 with antihypertensive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optimal conditions for scavenging DPPH radicals were glucose 2%, bactopeptone 0.5%, Tween 80 0.05%, L-cysteine 0.05%, and an initial pH 6.5 at 35℃. Under optimal condition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94.8±2.2%, which wa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basic medium. In addition, L. plantarum K-21 had other antioxidant activities; ABTS radical scavenging (93.6±1.5%), hydroxyl radical scavenging (8.5±0.9%), metal chelating (65.9±0.5%), NO scavenging (53.1±19%), SOD-like (25.1±1.5%), and reducing power (11.7±1.4%) activities were detected. Therefore, L. plantarum K-21 may act not only as a starter for lactic acid-fermented food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but also as a drug for various diseases caused by oxidative stress.
        139.
        201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 제조 시 고초균(B. subtilis)과 유산균인L. acidophilus균 복합사용이 청국장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타 장류와 달리, 청국장은 과당중합체와 폴리감마글루탐산의 복합체인 점질물질을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청국장 발효과정(1차 발효) 후에 설탕(0, 2.5, 7.5%)을 첨가하고 균체외 다당류 생성능이 있는 유산균을 첨가하여 추가적으로 40℃에서 48시간 동안 2차 발효하였다. 2차 발효된 청국장 시료들의 가용성 고형분, 점질물의 신장성, pH, 환원당, 아미노태 질소함량, 암모니아태 질소함량, α-amylase, 및 protease 활성 측정, 이소플라본 함량을 평가하였다. 2차 발효 공정에서 설탕의 추가적인 첨가는 청국장 시료의 pH,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 아미노태 질소함량과 protease 활성을 저하시킨 반면, 청국장 점질물의 신장성과 산(acid) 생성 미생물의 생육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 제조 시 B.subtilis과 L. acidophilus균 복합사용이 청국장 점질물질의 생성을 촉진하고 청국장 품질 특성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140.
        201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unctional and valuable dairy product with high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tent through a fermentation method utilizing vegetable oil and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Bifidobacterium breve KCTC 3419 was selected as a standard strain for high efficiency conversion of the CLA c9,t11. This standard strain was mixed in a definite ratio of 4:3:3 with Lactobacillus sakei LJ011 isolated from kimchi a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YF-L812 culture to generate a high-efficiency CLA conversion starter stock for use in fermented milk production. CLA conversion by safflower seed oil fermentation by the starter stock yielded the highest CLA containing fermented milk. The pH level, titratable acidity, and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fermented milk were altered to suitable levels during the fermented milk production process. The CLA content of CLA-fermented milk was maintained at 0.1% of the total CLA cont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of 2 weeks.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