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7

        12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게재된 대한작업치료학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작업치료 의 주요 연구 분야와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1년 3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수록된 총 206편의 논문을 대상으 로 연구형태, 질적 수준, 연구대상자, 연구분야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결과 최근 5년 동안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투고된 논문들의 연구형태는 기술적 연구가 전체의 45.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실험연구, 평가도구 연구, 고찰연구 순이었다. 연구의 질적 수준은 4단 계가 전체의 56.8%로 가장 많았고, 연구 설계는 조사연구와 평가도구 개발 및 신뢰도, 타당도 연구 순 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성인, 노인, 아동 순이었고, 연구대상자로는 성인과 노인분야에서 뇌졸중이 가장 많았으며, 아동은 뇌성마비, 전반적 발달장애, 지적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독립변인으로 인 지치료와 작업기반 작업치료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종속변인으로 상지기능과 심리사회적 요인이 가장 많이 측정하였다. 기술적 조사 연구의 주제는 작업치료정책 및 관련연구, 일상생활활동, 인지영역에 대한 조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최근 5년간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의 형태와 수준, 연구대상자, 연구분 야로 나누어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추후 한국작업치료의 연구방향과 교육방향을 계획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300원
        12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모바일과 웹 사용의 증가로 일상생활에서 기록되는 로그데이터를 다양하게 분석하여 의미있는 정보와 지식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웹과 모바일 기기로부터 생성되는 로그데이터는 시공간적인 정보를 담고 있으며, 데이터를 다차원적으로 탐색하고 시각화하여 기존에 분석하지 못했던 다양한 의미를 찾을 수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공간 정보를 가지고 있는 로그데이터를 다차원적으로 탐색하고, 의미를 분석하는 데이터마이닝과 시공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는 시각화 관련 연구들을 분야별, 연구방법별로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살피고 의미를 찾고자 한다.
        4,500원
        123.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폴리아마이드 선택층에 나노물질을 혼합하여 해수담수화 성능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총설은 역삼투 분리막 해수담수화 공정에서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우수한 성능을 가진 폴리아마이드 기반 나 노복합막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래핀 옥사이드 및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탄소나노물질 및 제올라이트, 실리카 나노입자 등의 다양한 나노물질들이 기존 폴리아마이드의 투과분리성능을 높이기 위해 적용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최근 연구 중인 각 나 노소재별 성능향상 특장점을 소개하고, 더 높은 성능을 갖는 나노복합막 제조를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4,600원
        12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 내 리더십 효과성은 팔로워들의 태도 및 행동에 달려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최근 들어 팔로워 십에 대한 학계와 실무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이 팔로워십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새로운 개념인 팔로워십은 개념정의와 측정도구 면에서 아직 성숙기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정작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팔로워십 연구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리뷰논문으로서, 팔로워십이 리더십 문헌에 적극 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1988년부터 2015년까지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기존 문헌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 다. 총 920편의 문헌을 리뷰하여 88편의 팔로워십 연구를 추려내고 이를 여섯 가지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88편의 팔로워십 문헌을 논문유형 별로 볼 때, 개념연구는 41편(46%), 실증연구는 35편(40%), 리뷰연구는 12편(14%)이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아직 역사가 길지 않은 팔로워십 문헌에서는 개념연구나 리뷰연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실증연구가 적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존 팔로워십 문헌을 관점 별로 구분해 볼 때, 팔로워 중심 관점이 40편(45%)이었고 리더 중심 관점이 48편(55%)이었 다. 이 결과를 통해서 기존의 팔로워십 연구 중 절반 이상이 리더 중심의 관점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특히 35편의 실증연구를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더십에 대한 팔로워 영향 력: 12편(34%); 팔로워십 선행요인: 11편(31%); 팔로워십 유형: 7편(20%); 팔로워십 구성개념: 4편(11%); 암묵적 팔로워십 이론: 1편(3%). 이 결과를 통해서 팔로워십의 결과변수와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가 비슷 한 비중으로 이루어졌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실증연구를 목적 별로 구분하면 이론구축은 31편 (88%), 이론검증은 3편(9%), 이론응용은 1편(3%)이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아직 성숙기에 도달하지 못한 팔로워십 연구는 이론의 검증이나 응용보다는 이론구축에 무게중심이 쏠려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다섯째, 실증연구를 데이터 수집 방법 별로 구분해 볼 때, 설문조사는 23편(65%), 실험은 9편(26%), 인터뷰는 2편(6%), 사례연구는 1편(3%)이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설문조사가 가장 많다는 점과 비율적인 면에서 볼 때 실험의 비중(26%) 또한 적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증연구의 분석방법 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중복허용). 회귀분석: 17편(49%); 기술통계: 11편(31%); 확인적 요인분 석: 8편(23%); 상관관계: 8편(23%); 멀티레벨: 4편(11%); 부트스트래핑: 3편(9%); 분산분석: 3편(9%); 카 이스퀘어-검정: 3편(9%); T-검정: 2편(6%); 구조방정식: 1편(3%); 기타 6편(17%). 이 결과를 통해서 전통 적인 회귀분석이 가장 많았지만 멀티레벨과 부트스트레핑 및 구조방정식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도 일부 이루어졌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현실적으로 모든 조직구성원들이 리더가 될 수는 없지만 성공적인 팔로워는 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 으로, 효과적인 조직성과 달성을 위해서 리더의 중요성 못지않게 팔로워의 중요성도 강조되어야 할 것이 다. 본 리뷰 논문이 팔로워십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6,100원
        125.
        2016.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c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from 2001 to 2015 across 36 masters/doctoral theses and 21 articles from journals. The research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ollowing criteria: purpose, theme, methodology, differences between such characteristics across action research published in journals to that published in dissert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of action research dissertation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the study suggests the number of action research continue its upward trend; action research in Korea has been more prevalent at the primary school level rather than at the secondary and university levels; and the proportion of mixed method in English education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mixed research in education with a 43% mixed method proportion accompanied by 55% of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concludes that action research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will become a more meaningful and feasible tool for practitioners’ inquiries, as it provides graduate students with applied experience in their current demanding school environment and writing assignments such as their thesis and research papers.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aforementioned factors enlarge the existential meaning of current graduate schools in Korea.
        6,900원
        12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욕창예방방석 중재와 방석의 종류 및 효과 측정 방법에 대한 논문 고찰을 통해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 RISS, KISS, Scopus, PubMed와 Google Scholar를 사용하여 2010년부터 2015 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검색 용어로 “Pressure Ulcer AND Wheelchair AND Cushion”을 사용하 였다. 검색된 논문은 3차 분류를 거쳐 최종적으로 13개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분석 고찰 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는 연구 참여자와 중재로 사용된 욕창예방방석의 종류, 중재가 적용된 환경 그리고 효과 검증을 위해 사용된 측정 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논문의 질적 수준은 단일 그룹 실험 논문이 8편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 참여자는 비장애인 대상에서 척수손상장애인 대상으로 변화되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가 수행된 환경도 실험실 기반에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연구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욕창예방방석의 종류는 공기방석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최근에는 맞춤형 방석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었다. 욕창예 방방석의 효과에 대한 측정 방법은 좌면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전체적으로 가장 많았으나, 최근에는 방석 사용자의 사용성과 주관적 만족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증가하고 있다. 결론 : 이번 연구를 통하여 욕창예방방석 중재와 방석의 종류 및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작업치료사의 욕창예방방석 서비스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추후에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욕창예방방석에 대한 개발과 연구 및 임상적 서비스 근거 마련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200원
        127.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ng Min-pyo. 2016. “Research Trends of Japanese Sociolinguistic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1). 311~336.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background of emergence and current research trends of Japanese Sociolinguistics, based on the contents of ’Language Life’ that has been published since 1956 in “Japanese Linguistic”, the official journal of the Linguistic Society of Japan (currently the Society for Japanese Linguistics). It introduces the concept of Language Life, the role and research achievements of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in study of Japanese language life, the survey on the use of common language in Tsuruoka region, the formation process of common language in Japan, the problem in researches of Japanese language life, the emergence process of Japanese Sociolinguistics, and the special theme discussed in ”The Japanese Journal of Language in Society”, which is the official journal of Japanese Association of Sociolinguistic Sciences. Furthermore, it introduces the current trends and outcomes of the researches of Contrastive Sociolinguistics, Econolinguistics, Welfare Linguistics and Language Landscape. In particular, research trends and outcomes of Welfare Linguistics offer an interesting implication that outcomes of language studies should contribute to the happiness and welfare promotion of social members, as well as pursue new truth.
        6,400원
        128.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urveys a total of 127 L2 writing-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English Teaching over the past 50 years (1965-2015) with reference to research methodology, participants, and themes. The key outcomes are as follows. These articles on L2 writing in English successfully embrace diverse methodological approaches, not displaying a heavy reliance on quantitative methods.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those in higher educational settings maintain a comfortable lead, calling for more articles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 notable proliferation has been observed since the mid-l990s along with a numerical grow山 in articles on L2 writing. The research theme of classroom instruction appears most often over the journal's 50-year history, followed by learner trai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writing. The topics of assessment and technology use have gradually evolved into two of the major content areas in L2 writing research, while the theme of skill integration has remained under-researched. Overall, L2 writing research produced in English Teaching seems to exhibit diversity in methodology, participants, and themes.
        6,300원
        129.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s research articles on English grammar instruction in Korea published in the journal ofEnglish Teaching since 1965. It analyzes current trends of research studies and provides prospects for future research studies in the field of English grammar instruction. A total of 45 research papers were review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es revealed that over 90 percent of the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since 1990 and most of them have explored the efficacy of grammar teaching under the approach of focus on form. The qualitative analyses present thorough reviews of the published research papers with the emphasis on themes, research methods, and their pedagogical implications. The limitations ofthe published articles and som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nglish grammar instruction are provided.
        6,700원
        130.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the South Kor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by examining the papers of degree thesis papers, project report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0 to 2015, as well as investigating and proposing the themes for future studies. According to the rubrics of analysis, from numerous papers, twelve thesis, twelve reports and eight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considered following five analysis criteria; namely, published year, stakeholder of study, project procedure, methodology, and relevance to MDGs,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apers associated with South Korean ODA for Ethiopia were published in 2008 for the first time. With steadily increasing numbers of thesis, reports, and journals, following after 2008, researches have conducted studies vigorously since 2011. However, investigations on the South Korean ODA for Ethiopia are noticeably insufficient, in comparison to the grant aids and concessional loans paid thus far. Secondly, the analysis appeared in twelve papers published by universities, eleven by government authorities, and eight by specialty magazines. Upon closer inspection, the government authority indicated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and eight other specialty magazines, as well as the following: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2), Korean Association of African Studies3), Korea Society of Agricultural Extension4),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5), Journal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Education6), Korea Research Society for Customs7),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The Women’s Studies8). Third, project procedure utilized as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ne feasibility study conducted in 2012 and 2013, one planning study in 2008 and 2010, two planning studies in 2013, one evaluation study in 2011 were identified. However, each project procedure paper for the 25 projects launched thus far were difficult to find. Papers for those have no relevance with ODA projects, and were considered as other studies. Fourth, papers relevant to the MDGs stand as such; 11 papers were linked with MDG 2, ‘Achieve universal primary education’. Three papers had relevance to MDG 1, ‘Eradicate extreme poverty and hunger’, one to MDG 3, ‘Promote gender equality’, three to MDG 5, ‘Improve maternal health’, four to MDG 6, ‘Combat HIV/AIDS malaria, and other diseases’, two to MDG 7, ‘Ensur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even to MDG 8, ‘Develop a global partnership for development’. There were no papers connected with MDG 4, ‘Reduce child mortality’. Therefore, based on this trend analysis, broader spectrums and diverse methods of study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future studies with regard to the South Korean ODA for Ethiopia.
        5,800원
        13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에너지 효율이 높은 분리 공정기술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분리막을 이용한 기체 분리가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 분리막에 의한 기체 분리 시장은 고분자막이 독점하고 있으며, 고분자 재료 물성의 한계로 탄화수소와 같은 응축 기체분리보다는 비응축 기체 분리에 제한되고 있다. MOF 재료는 금속 이온과 유기 리간드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결정성 나노 기공 구조로, 높은 비표면적과 기공 구조 제어, 기능성 부여가 가능해 분리막 재료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다양한 MOF 분리막의 합성 방법과 MOF 분리막을 통한 기체 분리 응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4,500원
        13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수십 년 동안, 고분자막은 기체 분리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해왔다.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투과선택도와 장수명 및 대면적 등을 요구한다. 하지만 기존 고분자 분리막들은 투과도와 선택도의 역상관 관계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무기물질은 투과성능이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온 혼합 매질 분리막은 고분자와 무기물질의 이점들을 혼합하여 기체 분리막의 차세대로서 큰 이목을 이끌고 있다. 혼합 매질 분리막은 대칭적인 구조 또는 비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투과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비대칭적인 구조가 바람직하 다. 혼합 매질 분리막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로는 무기입자의 균일한 분산과 무기물과 고분자 사이의 좋은 계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최근에 새로운 분류의 다공성 결정성 물질인 금속 유기 구조체(MOF)는 이산화탄소 분리용 소재로써 많은 관심을 끌 고 있다. MOF의 한 종류 중,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ZIF)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무기입자이며 이는 입자의 크기 를 작게 만들 수 있으며, CO2를 분리하기에 적절한 기공의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밖에 혼합 매질 분리막에 사용 되는 특정 물질들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선택도와 크기, 호환성, 안정성 등을 동시에 최적화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총설에 서는, 혼합 매질 분리막에 관련된 주요 연구내용과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는 대표적인 전략들을 소개하였다.
        4,300원
        13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dentified research trends for freshwater exotic species in South Korea using text mining methods in conjunction with bibliometric analysis. We searched scientific and common names of freshwater exotic species as searching keywords including 1 mammal species, 3 amphibian-reptile species, 11 fish species, 2 aquatic plant species. A total of 245 articles including research articles and abstracts of conference proceedings published by 56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es were collected from scientific article databases. The search keywords used were the common names for the exotic species. The 20th century (1900’s) saw the number of articles increase; however, during the early 21st century (2000’s)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decreased slowly. The number of articles focusing on physiological and embryological research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axonomic and ecological studies. Rainbow trout and Nile tilapia were the main research topic, specifically physiological and embryological research associated with the aquaculture of these species. Ecological studies were only conducted on the distribution and effect of large-mouth bass and nutria. The ecological risk associated with freshwater exotic species has been expressed yet the scientific information might be insufficient to remove doubt about ecological issues as expressed by interested by individuals and policy makers due to bias in research topics with respect to freshwater exotic species. The research topics of freshwater exotic species would have to diversify to effectively manage freshwater exotic species.
        4,000원
        134.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oposes the use of fashion as a tool of psychotherapy for individuals feeling social and psychological pressure due to society’s emphasis on appearances. The concept of fashion therapy was re-established, and theorie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erson-centered therapy,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founded on art therapy were introduced. Based on past research, this study developed a process for fashion therapy.
        4,000원
        13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구의 급속한 증가, 한정된 식수 자원의 오염 등으로 인하여 인류에게 필수적인 물이 점점 부족해지고 있다. 깨끗한 물을 얻기 위해 분리막 공정을 이용한 수처리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분리막 공정 중 하나인 정삼투 공정은 고압펌프 없이 구동이 가능하다. 정삼투 공정이 높은 수투과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내부 농도 분극 현상 및 Reverse salt flux를 적게 일으키는 유도 용질 개발이 필요하며, 희석된 유도 용액에 포함된 유도 용질의 경제적인 회수 방법 개발 또한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60°C 가량에서 회수가 가능한 NaHCO3와 같은 무기 유도 용질, 음료수 생산이 가능한 sucrose와 같은 유기 유도용질, 자기장을 이용해 회수가 가능한 magnetic nanoparticle과 같은 유도 용질들이 개발되어 보고되었다. 또한, 이러한 정삼투 원리를 이용하여 해수 담수, 폐수처리, 단백질 정제, 압력 지연 삼투 이용한 에너지 생산, 관개를 위한 농축된 비료 희석,바이오 연료를 위해 폐수로부터 조류를 키우는 공정과 같은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삼투 공정에 영향을 주는 유도용액의 특성과 이상적인 조건, 여러 가지 유도 용질 및 유도용질의 회수 방법, 정삼투 공정의 적용 분야를 여러 논문내용들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4,300원
        136.
        201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품 개발기간의 단축속도가 빨라지는 현 시점과 제품의 부품 시험을 통한 개발 과 정은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금 까지는 가 속수명시험(Accelerated Life Test)법을 개발·적용해 왔다. 그러나 제품의 사용조건이 가혹해 짐으로써 온도를 이용한 가속시험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HALT는 급격한 온도변화와 6축 진동을 시료에 전달할 수 있는 장비로써 위의 조 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5]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품과 재료의 신뢰도 정보를 신속 하게 얻을 수 있는 HALT의 국내외 연구 동향과 적용 현황을 비교 분석 뿐만 아니라 HALT와 HASS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2]
        4,500원
        137.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ticles in one domestic journal, English Teaching (ET), and one international journal, TESOL Quarterly (TQ) from 2011 to 2013 were surveyed in order to analyze current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better orientation toward future research focusing on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target language skills, and research topics. Th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participated most in both of the journal articles, indicating that they are practically available to the researchers in higher educational settings.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well balanced in TQ, while, in ET, more than 50 percent of the articles relied 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long with a relatively larger proportion of mixed method research in ET. In terms of target language skills, writing has been studied most in ET and speaking in TQ, showing growing interest in productive language skills nowadays. As for research topics, articles based on socio-cultural factors have been published most in TQ and articles based on classrooms pedagogy in ET, which reflects that English learning is performed mostly in classroom settings in Korea.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findings
        4,500원
        13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및 여성과 같은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한 성폭력범죄의 예방을 위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여러 정책들 중 성범죄자의 신상정보를 성범죄자 e-알리미 라는 사이트를 통해 공개하고 있는 ‘인터넷 신상공개’제도와 특정인에게 자기의 거주지 또는 시설 주변에 성범죄자가 주거하는 경우 우편으로 성범죄자의 신상정보가 담겨있는 우편물을 보내는 ‘우편고지제도’에 대해 교정 연구 분야에서 다뤄져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도입 당시부터 최근까지 국내에 발표된 신상공개제도 관련 학술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와 비교하기 위해 미국에서 발표된 학술연구 중 우리나라에서 다뤄지지 않은 부분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우리나라의 신상공개 관련 학술연구의 경우 신상공개제도의 위헌성 연구, 미국의 메건법과 우리나라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간의 비교법적 연구, 보안처분의 소급적용과 관련된 소급효 관련 연구, 그리고 최근에는 성범죄자에 대한 엄벌주의와 관련한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우리나라의 연구는 신상공개제도에 관해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실증연구는 인식조사를 비롯한 탐색적 연구에 그치고 있었다. 범죄자를 대상으로 국가에서 시행되는 정책이 정책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을 고려하지 않고 국민적 감정이나 입법자들의 판단만으로 정책을 시행한다면 이는 일시적으로는 범죄의 억제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실효성이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범죄자를 비롯한 그의 주변 사람들이 이러한 정책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이 정책을 통해 입법자나 일반 국민들이 생각하는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마지막으로 성범죄자와 그들의 가족들이 이로 인한 이차적 결과를 경험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차적 결과라 함은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가 애초에 목적으로한 결과인 지역사회보호효과, 일반 및 특별예방효과와 달리 공개로 인해 성범죄자 혹은 그들의 가족이 겪게 되는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피해를 의미한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가족의 이혼 혹은 단절, 취업에서의 어려움, 자경주의로 인한 물리적 피해, 이사, 고립감이나 스트레스 등 다양한 주제들을 가지고 이러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더 이상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와 관련하여 이론적인 연구만을 수행할 것이 아니라 성범죄자, 판사, 피해자 등의 인식조사 및 신상공개 제도의 효과성(재범), 그리고 신상공개제도의 이차적 결과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본 제도에 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6,300원
        13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recognize that the interest about construction safety and disaster increases, and check the status of current research about construction safety. And we obtai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es and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published researches in the last 11 years about construction safety, and addressed annual trends and research topics for a lot of construction safety research. And the future prospects of construction safety research were analyzed with the latest news articles.
        4,000원
        14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reas of fashion research and fashion design aesthetics & fashion history have been studied under a common research heading as a Humanities subject in the UK and the USA, and as Clothing and Textiles Stud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2004~2013 research tendencies in terms of reporting methods and contents from 181 world-renowned Fashion Theory research papers within the UK and USA fashion research corpus, and 359 Korean research papers from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related to fashion design aesthetics & costume history field. The subject areas, periods, methodologies, and differences in the topics of the studi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research authorship and length of the research papers, in Fashion Theory most papers were written by a single English-speaking or other foreign language-speaking author and were on average longer than 21 pages, while in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many papers were jointly written by two Korean researchers and were between 11 and 20 pages. Regarding the content, Fashion Theory was connected to relatively wide and diverse periodical and regional boundaries including the body, clothing, the fashion media, and the overall fashion system, while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revolved around the body and clothing, textiles, the fashion media, and costumes. In addition,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 studies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current Western world overall or to the country of the author.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ology, Fashion Theory used divers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ologies, and research was conducted on topics relating to fashion culture or fashion aesthetics.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featured relatively more dynamic studies aimed at suggesting developments or solutions to problems. It was found that a large share of that research focused on detailed style analyses and suggestions for aspects such as design elements and design developments. Such differences are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inherent differences between the academic departments for the Humanities, and the Human Ecology.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in setting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o assist the globalization of domestic research.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