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0

        123.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의 6주간의 복강투여가 생체 내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계를 구성하는 주요 장기인 비장과 흉선의 무게변화와 성숙된 B세포와 T세포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비장세포를 배양하여 mitogen에 대한 비장세포의 세포증식능력을 연구하였다. 또한, 생체내 투여되는 홍삼이 면역반응의 매개역할을 하는 분비성 사이토카인의 조절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쥐의 혈청에서 분리한 사이토카인의 생성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홍삼의 투여는 비장과 흉선의 무게를 증가시켰고, 비장세포내의 B세포와 T세포의 증식능력에도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청 내 분비된 T세포, B세포 및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농도변화에서도 홍삼 투여군은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IFN-γ, TNF-α, IL-2, IL-6 및 IL-12의 분비량을 모두 증가시켰으며, 면역억제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IL-10의 분비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홍삼의 투여가 면역 반응계 전반을 조절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며 모두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흉선과 비장의 무게지수가 증가되었다는 것은 세포증식 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흉선의 무게 증가와 ConA에 대한 T세포 증식능력의 유의성 변화 및 T세포가 분비하는 IL-2, IFN-γ 등의 사이토카인의 증가는 홍삼의 생체 내 투여가 T세포의 활성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12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홍삼의 가능성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추출 시간에 따른 홍삼 부위별 ginsenoside의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동체, 지근 및 세근의 총 ginsenoside 최고 함량은 동제 21시간, 지근 18시간, 세근 12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23.04, 65.68 295.92 mg/100 ml이었고,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ginsenoside의 총량은 감소하였다. Ginsenoside Rg1 과 Rb1 의 최고 함량은 동제 21시간, 지근 15시간, 세근 12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5.76, 28.39, 117.83 mg/100 ml 이었고, Rb2 와 Re의 함량은 동체 21시간, 지근 18시간, 세근 9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5.76, 28.39, 117.83 mg/100 ml이었다. 홍삼으로부터의 총 ginsenoside의 추출비율은 동체 21.3%, 지근 21.1%, 세근 67.1%이었다.
        125.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은 인삼을 증숙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화학적으로 변화된 생리활성물질들에 의해 인삼과 차별화된 효과를 보여준다. 또한 홍삼은 장내미생물의 생물학적 전환에 의해 변화되어 생체내 약리활성을 보이는데, 이는 개인의 장내 미생물의 분포 차이에 의해 약리작용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최근 이 같은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장내미생물에 의해 사전 발효시킨 발효홍삼은 홍삼과 다른 성분량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독특한 약리작용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홍삼과 발효홍삼의 추출물이 알러지 및 염증반응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비만세포의 탈과립 과정에서 분비되는 β-hexosaminidase 분비량 비교, 염증매개 세포부착물질인 ICAM-1 발현비교, 생쥐림프구의 증식능, 각질형성세포 증식능을 상호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홍삼은 1, 10 μg/ml에서 β-hexosaminidase 분비량 억제 및 ICAM-1 발현 억제 조절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발효 홍삼은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홍삼과 발효홍삼에서는 모두 항알러지 및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LPS에 의한 B세포의 증식능에서 홍삼 1 μg/ml은 증가효과를 발효홍삼에서는 100 μg/ml에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ConA에 의한 T세포의 증식능에서는 홍삼 100 μg/ml에서 증가효과를 발효홍삼 100 μg/ml에서는 억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림프구 증식능에 관한 실험에서는 두 추출물간에 상반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HaCaT세포를 이용한 각질형성세포 증식능에서는 발효홍삼 1, 10 μg/ml에서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홍삼과 발효홍삼에 존재하는 성분량의 변화에 따라 그 효능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홍삼 및 발효홍삼의 고농도 100 μg/ml에서는 저농도와는 다른 효과를 보이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홍삼 및 발효홍삼의 사용에 있어 적절한 적응증과 주성분의 검증 및 유효 농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26.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 제조 시 홍삼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홍삼 추출액을 첨가하여 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홍삼 추출액을 0, 0.5, 1, 3 and 5% (all v/w)의 농도로 첨가한 후 에서 4일간 보관하며 배추김치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홍삼 추출액 첨가 김치의 pH는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총산도는 저장기간 동안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대조군의 명도(L value)는 홍삼 추출액이 첨가된 김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홍삼 추출액 첨가군의 적색도(a
        127.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의료계 및 산업계에서는 방사선 및 방사선동위원소의 이용 증가로 인한 방사선의 직접, 간접적인 피폭이 증가 하고 있다. 방사선은 세포에 조사되어 생물학적 작용으로 free radical을 생성하고, 직·간접적으로 세포를 손상시킨다.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인 사포닌을 방사선방어효과제로 이용하여 분자생물학적 측면인 세포수준(in vitro), 개체측면(in vivo)에서 사포닌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수준(in vitro)실험에서는 마우스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cell)인 C3H/10T1/2 cells에 홍삼추출물 인 사포닌(0, 0.05, 0.2, and 0.4 g/L)을 첨가 하여 세포 활성도를 실험하여 세포에 미치는 사포닌의 최적의 농도를 도 출 하고, 최적의 농도에서 감마선을 각각 5 Gy, 10 Gy 조사하고 직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후에 각각 XTT assay방법을 통한 세포생존율을 관찰하였다. 최적의 C3H/10T1/2 cells활성도를 위한 배양시간은 48시간으로 판 단되었고, 0.05 g/L에서 최적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0.05 g/L로 처리한 C3H/10T1/2 cells에 5 Gy를 조사하 여 48시간 후에 활성도를 실험한 결과 10%증가를 보여주었다. 개체측면(in vivo) 실험에서는 6주령의 미성숙 생쥐(ICR계열)에 홍삼추출물인 사포닌을 100 mg/kg/day로 복강 내 에 2주 동안 주사하고 마지막 복강주사 후 바로 감마선을 각각 5 Gy, 10 Gy의 선량으로 전신 조사하였다. 조사 48시 간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혈구세포수를 측정한 결과 백혈구 수의 감소폭이 홍삼 추출물인 사포닌 처리군에서 대조군보 다 약 2.3배 줄었음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홍삼추출물인 사포닌은 세포수준 실험에서 방사선 피폭에 대한 방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 료되었다. 동물실험에서는 혈구 세포수의 감소폭이 줄었음이 관찰되었고 향 후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 로 사료되는 바이다.
        128.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홍삼 추출기를 이용하여 기능별 사포닌의 함량 및 품질의 최적화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홍삼 추출액의 총 사포닌 함량은 75℃ 에서 18시간 추출한 용액이 64.6 mg / 100 ml로 최고 함량을 나타냈고 추출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Rb2 와 Re 함량은 75℃ 에서는 12시간 추출한 홍삼액이 11.8 mg / 100 ml로 가장 많았고 추출시간과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하였다. Prosapogenin 함량은 85℃ 에서 24시간 추출한 홍삼액이 34.9 mg / 100 ml로 가장 많았고, 75℃ 와 85℃ 에서는 추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95℃ 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홍삼 추출액의 총 당은 95℃ 에서 추출시간을 길게 할수록 함량이 증가하였고, 당도는 95℃ 에서 24시간 추출한 용액이 4.0%로 가장 높았다. 탁도는 95℃ 에서 추출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pH 및 Hue 값은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졌다. 따라서 홍삼추출액을 제조할 때 1차 추출에서는 온도를 낮게하여 사포닌의 함량을 높이고, 2차 추출에서는 온도를 높게하여 맛을 증진시켜 혼합하는 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129.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미삼(지근), 홍미삼(지근), 홍삼절편Ⅰ(주근: 수삼-증삼-건조-습점-절편-건조) 및 홍삼절편II(주근: 수삼-절편-증삼-건조)을 puffing gun으로 팽화시켜 그 전후의 성분특성을 조사하였다. 팽화 후 기화로 인해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다른 일반 성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당의 경우 팽화 후 모든 시료에서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당의 경우 백미삼을 제외한 홍삼류 시료에서 증가 경향을 보였다. 모든 시료에서 조사포닌 함량이
        130.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sponse of LED (Light-emitting diode) irradia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aponin contents of Panax ginseng C. A. Meyer. LED irradi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for most of the parameters studied. The content of chlorophyll a in leaves was increased by 4.9~36.5%, under LED and fluorescent light condi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ontent of chlorophyll b was also increased by 44.4~55.6% under blue and red LED compared to the control except under the red plus blue LED condition. The shoot and root weight were increased by 20~60% and 14.8~59.3%, respectively under LED and fluorescent light condi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total saponin content was increased by 1.8% under blue LED compared to the control, while total saponin content was decreased by 8.8~11.5% under red LED, red plus blue LED and fluorescent light conditions.
        131.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알칼리수를 이용한 홍삼추출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칼리수의 미네랄 함량은 칼슘이 로 가장 높았으며, 이온화 무기염류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알칼리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KRGE 3, 6 및 9의 pH는 , 당도 , 가용성 고형분 , 갈색도 3.0으로 나타났으며 RGE와 큰 차이는 없었다. AKRGE 6과 AKRGE 9의 칼슘함량은 107.80 mg% 및 171.81 mg%로, RGE와 시판 홍삼 파우치 제품 5종에 비해서
        132.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ude ginseng total saponins (CGS) against airway inflammation (AI) and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 induced by diesel exhaust particles (DEP) in mice. AI and AH were induced by the intratracheal instillation with 0.1 mg/ml of DEP suspension once a week for 10 weeks combined with ovalbumin (OVA) sensitization. Mice were also treated orally with 75 mg/ml of CGS, 5 days a week for 10 weeks. Oral CGS treatment decreased in the level of serum immunoglobulin (IgE) and histamine increased by DEP and OVA, and declined respiratory resistance. It also dropped an enhanced infiltration of eosinophil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of mice, and an increased T helper type 2 cell derived cytokine levels such as of interleukin (IL)-4, IL-13 and IL-5 in the BALF. However, it did not influence T helper type 1 cytokine such as interferon-gamma in the BALF.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GS may alleviate allergen-related AI and AH in mice and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odulation of asthmatic inflammation.
        13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 4년생을 대상으로 해가림 색상을 달리하여 재배 시험한 결과, 대조구인 4중직 PE 차광망(청색 3 + 흑색 1중직)이나 청색 4중직 차광망에서 재배된 인삼의 뿌리 근중은 적색 4중직 차광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보다 청색과 적색에서 동체의 비율이 낮고 지근의 비율이 높아 투광량이 많아지면 동체의 생장이 감소하고 지근의 생장은 증가하였다. 뿌리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적색 해가림재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투광량이 증가할수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진세노사이드 Rg1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색상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차이는 해가림 색상 차이에 의해 생합성 과정이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닌 생육량의 차이에 따른 결과로 판단되었다.
        134.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청국장의 풍미와 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홍삼 및 복분자 추출액을 첨가하여 청국장을 제조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 및 조지방의 함량은 증자콩, 일반청국장, 홍삼청국장 및 복분자청국장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홍삼청국장이 1,992.6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증자콩은 138.7 mg/100 g으로 청국장에 비해 그 함량이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을 살펴보면, 증자콩에
        135.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려인삼은 예로부터 명약으로 중요한 약재로 사용해 왔으며 현대 약품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인삼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세계 각국에선 Ginsenoside 추출방법 등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추출 시 가열온도와 시간에 따라 기능적 차이가 있는 Ginsenoside의 추출속도와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방법은 동일 재배지에서 수확한 인삼을 백삼과 홍삼으로 가공한 후, 1.2cm간격으로 절단하여 각각 60g을 물 1800cc에 넣고 교반기(MSH-200-Set)에서 50℃, 80℃, 100℃로 각각 3, 6, 12, 24, 48, 60, 72시간 가열하였다. 온도별 가열시간에 따라 추출한 물 30㎖를 분리, 정제한 후 HPLC(Perkin Elmer Series 200)를 이용하여 Ginsenoside를 분석하였다. 추출물의 갈변도는 백삼, 홍삼 모두에서 고온일수록,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갈색화 반응이 현저하게 진행되었으며 특히,홍삼의 경우100℃에서 갈변도가 가장 높았다. 추출물의 Crude Saponin변화는 백삼의 경우 50℃, 72시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80℃에서는 24시간조건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100℃에서는 48시간이 높았다. 총 Ginsenoside 함량은 50℃의 24시간조건에서 80℃의 48시간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100℃에서는 6시간 조건이 높았다. 홍삼의 경우, 추출물의 Crude Saponin변화는 50℃의 60시간 조건이 높았고 80℃의 조건에서는 24시간이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100℃에서는 24시간 조건이 높았다. Ginsenoside 함량은 50℃의 60시간 조건과 80℃의 6시간, 100℃의 6시간 조건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에서 백삼과 홍삼의 가열온도와 시간에 따른 성분변화를 검토한 결과, 대체로 PT계에 비하여 PD계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Rb2, Rb3가 80℃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Rg1은 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감소 경향이 나타났으며 모든 온도에서 총 Ginsenside 함량은 80℃가 가장 높았다.
        136.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홍삼 지근의 볶음 온도와 시간에 따른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을 모니터링하고 최적 볶음조건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함량 및 항산화성은 볶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산성다당체 함량은 볶음시간보다 볶음온도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홍삼 지근의 기능성 관련 성분을 고려한 최적 볶음조건은 볶음온도 와 볶음시간 분으로 예측되었다.
        137.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미삼(지근), 홍미삼(지근) 및 홍삼절편(주근: 수삼-절편-증삼-건조)을 대상으로 팽화시켜 팽화 인삼분말의 흡습 특성을 조사하고 수분활성도 예측모델을 수립하였다. 등온 흡습곡선은 대부분의 식품들과 같이 역S형의 형태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낮은 온도인 에서 평형수분함량이 가장 높았다. 단분자층수분함량은 BET식 에 의해 solid의 값으로 계산되었으며 BET식에 적용했을 때 가 로 GAB식 보다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등온흡습곡선의 적합도는 K
        138.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의 물추출물을 장기간 흰쥐에 급여했을 때 흰쥐 간의 이물질대사효소 활성도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삼 물추출물의 급여농도는 25 mg/kg body weight이었으며, 간의 이물질대사효소 유도제는 항경련제 PB (80 mg/kg)와 발암제 3-MC (20 mg/kg)을 사용하였다. 간에서 이물질대사에 관여하는 cytochrome P-450의 함량, cytochrome P-450 dependent monooxygenase인 ECOD와 BPDM, cytochrome P-450 reductase와 GST의 활성도는 PB와 3-MC 투여에 의해서 대조군과 홍삼투여군 모두 크게 증가되었다. 흰쥐의 나이가 3개월에서는 두 유도제를 투여했을 때 이물질대사효소의 활성은 대조군이 인삼투여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유도되었다. 그러나 12개월에서는 두 시험군 모두 유도정도가 감소하였으나 홍삼투여군은 그 활성도 감소정도가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한편 두 그룹 모두 이물질대사 효소 중 cytochrome B5 함량과 cytochrome b5 reductase의 활성도는 PB와 3-MC 투여에 의해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흰쥐에 홍삼의 장기간 급여는 간에서 효소유도제의 이물질대사효소유도 정도를 조절하여 무독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39.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 첨가 액상청국장의 추출공정별 청국장 추출물의 특성 비교 및 청국장의 최적 추출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용매로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홍삼 첨가 액상청국장을 각각 마이크로웨이브 파워별(30, 60, 90, 120 및 150 W), 시간별(1, 5, 9, 13 및 17분)로 추출한 후 생리활성 실험을 수행하였을 때, 수율,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tyrosinase 저해작용, SOD 유사 활성 등의 생리활성 측정을 통해 추출 최적점을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