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9

        121.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추종자는 크기가 불균일하여 기계화 파종이 어렵다. 펠렛의 목적은 종자크기를 증가시켜 기계화 파종을 가능하게 하여 파종과 솎음노력을 절감하고 종자를 절약하는데 있다. 펠렛 접착제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발아율과 발아일수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사용된 접착제 가운데 polyvinyl alcohol(PVA)에서 전반적으로 발아가 원활하였고 다음이 polyvinyl pyrrolidone(PVP), hydroxyethyl cellulose(HEC), methyl cellulose(MC), tween 80 순으로 나타났다. 펠렛 파복물질의 종류에 따라 발아율이 달랐는데 전반적으로 diatomaceous earth 및 talc + calcium carbonate가 다른 펠렛 피복물질에 비해 발아율도 높고 발아일수도 다눅되어 상추의 종자 펠렛에 적합한 피복물질이었다. 반면 Limestone, calcium oxide, bentonite 등은 발아율이 저조하였다. 상추종자는 펠렛 후 종자의 크기가 33배 증가되었다. 펠렛종자에 영양물질 첨가는 발아율이 약간 감소되었고, 발아일수도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첨가되는 영양물질의 급원에 따라서도 펠렛종자의 발아력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대체적으로 MS medium이 monosodium phosphate 보다 발아억제 정도가 낮았다. Priming 후 펠렛된 종자는 무처리 종자를 펠렛한 경우에 비해 발아율이 높았고 조기발아 하였다.
        4,000원
        12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 종자의 priming 및 발아과정 중 세포막의 기능이 종자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토마토 종자의 적정 priming 처리제는 150 mL의 KNO3였고, priming 처리된 종자는 발아촉진에 유효하였으며, 그 효과는 저온에서 현저하였다. KNO3로 priming은 처리과정중 처리제에서 분리된 이온이 종자내로 이동하였다. Priming 처리과정중 전기전도도는 발아속도 단축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KNO3에서 처리개시 직후 약간 낮았다가 그 후 처리최종일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발아기간중 용액의 전기전도도는 KNO3 용액으로 priming 처리된 종자에서는 낮았으나, K3PO4 용액으로 priming 종자에서는 높게 나타났다. 발아촉진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priming 처리제인 150 mL의 KNO3 용액으로 priming 처리하면 처리과정중 단백질, 아미노산, 가용성 당의 유출량은 K3PO4 및 침지종자에 비해 낮았으며, 그 효과는 발아시에도 유지되었다.
        4,000원
        129.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ditions for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n from seeds of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MS (Murashige and Skoog) medium containg 2,4-D 3 or 5mg/l was used for callus induction, and MS medium with different volu
        3,000원
        130.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자연생태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생 민들레류의 감소와 서양민들레의 급속한 증가원을 종자 발아특성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각각의 종자는 무처리를 비롯하여 10일, 20일, 30일, 60일간의 저온처리를 실시하였으며 발아조건은 광조건과 암조건으로 실험하였다. 자생민들레의 경우에 광조건하의 무처리 대조구에서 28%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60일간의 저온처리구에서 9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발아세와 평균발아기간도 30일 이상의 저온처리와 광조건하에서 양호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좀민들레의 경우에도 민들레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30일 이상의 저온저리와 광조건하의 발아상태가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그러나 서양민들레는 저온무처리구의 광조건에서 발아율 88.8%로 자생 민들레류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서양민들레 종자는 저온처리에 의핸 현저한 발아율 향상을 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30일 이상의 저온처리에 의해 휴면이 타파되고 발아율이 향상되는 자생 민들레류의 비휴면성인 성양민들에 비해 종 번식에 있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31.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Lolium multiflorum Lam.) 종자로부터 직접 갤러스를 유도하고,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하는데 조건을 확립하였다. 캘러스 유도시 사용한 SH (Schenk and Hildebrandt), MS (Murashige and Skoog) 및 N6(Chu). 배지중에서 MS 배지가 캘러스 유도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캘러스 유도시에는 2,4-D 를 첨가한 조건, 캘러스 증식시에는 2,4-D 을 첨가한 조건이
        4,000원
        132.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추를 포함한 4종의 식물의 수용 및 에탄올 추출액이 상추종자의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 은행, 상추, 돼지풀, 달맞이꽃의 수용 추출물은 상추종자의 발아 및 생장율을 현저하게 억제되는 경향을 보여 억제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추출용매별로는 에탄올 추출액이 수용추출액보다 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공시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추출물의 농도 10%가 상추의 발아와 생장을 가장 크게 억제시켰고 희석되어질수록 그 효과는 낮아졌다.
        4,000원
        133.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즈풋 트레포일 (Lotus corniculatus L. cv. Empire) 종자로부터 직접 캘러스를 유도하고,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를 재분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캘러스 유도시 사용한 SH (Schenk and Hildebrandt), MS (Murashing and Skoog), N6 (Chu) 배지중에서 SH 배지가 캘러스 유도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캘러스 유도 및 중식시에는 2,4-D 3 m g / ℓ 을 첨가한 조건이 가장 효율이 좋았다. 식물체 재분화 조건은 BOi2Y 배지에서 20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며 재분화를 완성한 조건 2가 더 좋았으며, 캘러스로부터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되는데 필요한 시간은 약 60일이었다.
        4,000원
        137.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same seed (Sesamum indicum L.) is an important seasoning in Korea and most korean consumer tend to eat the korean sesame seed as the best than other ones produced in oriental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was applied for discrimination according to geographical origin (Korea, China and so on) of sesame seeds. Near-infrared spectroscopy among the many kinds of techniques could provide a rapid screening, low cost solution to discriminate geographical origin of sesame se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f NIR technique could be used to discriminate between the korean sesame seed and non-korean sesame seed by using the new method. Rapid, precise and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he geographic origin of sesame seeds were discriminated relative accurately according to geographical origin using PLS regression method.
        3,000원
        138.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oxidative, radical scavenging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Cassia torn L. seeds and it major component, nor-rubrofusarin-6-β-D-glucoside (nor-rubrofusarin), were studied to evaluate thei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70% ethanol extract of Cassia tora L. seeds and nor-rubrofusarin also were tested for the evaluation of anticlastogenicity against mitomycin C-induced micronucleated reticulocytes in mouse peripheral blood. The extract of Cassia tora seeds and nor-rubrofusarin showed an antioxidative effect on the lipid peroxidation of ethyl linoleate with Fenton's reage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to DPPH radical generation, respectively. They showe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H₂O₂-induced cytotoxicity in CHL cells. The extract of Cassia tora L. seeds and nor-rubrofusarin showed a strong anticlastogenicity against mitomycin C-induced micronuclei formation. Results from our study indicate that the extract of Cassia tora L. seeds and nor-rubrofusarin are capable of protecting the lipid peroxidation, free radical generation and cytotoxicity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They also have an anticlastogenicity toward DNA crosslinking agent like mitomycin C.
        4,000원
        140.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박과식물(科植物) 종실(種實)에는 총지질량(總脂質量)이 21.9~50.7%의 범위(範圍)로 비교적(比較的높았으며, 특(特)히 박, 하늘타리의 경우는 41.9%와 50.7%로 조사(調査)한 시료(試料)중에 제일 높았으며, 또 모든 시료(試料)가 약(約) 98% 이상(以上)의 중성지질(中性脂質)을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호박, 수세미오이, 수박, 참외, 오이 및 박종자(種子)의 총지질(總脂質)에는 리놀산(酸)의 함량(含量)이 제일(第一) 많아 56.8~84.0%이였으며, α-리놀레산(酸)의 함량(含量)은 0.0~0.6%로 매우 적었고, 올레산(酸)이 주성분(主成分)인 모노엔산(酸)과 팔미트산(酸)이 대부분(大部分)인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은 그 함량(含量)이 각각(各各) 5.7~22.2%와 9.9~20.6%로 시료(試料)에 따라 심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하늘타리 종자(種子)의 총지질(總脂質)에는 C18:2Ω6과 9c.11t.13c-C18:3(Punicic acid)이 40.5%와 34.9%로 주요(主要) 성분(成分)이였고, 그 다음으로 C18:1Ω9가 13.8%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그러나 9c/11t.13t-C18:3(α-eleostearic acid)는 2.2%에 지나지 않았다. 한편 여주의 경우(境遇)에는 9c.11t.13c-C18:3이 66.9%로 제일(第一)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C18:1Ω9와 C18:1Ω6이 17.7%, 10.4% 각각(各各)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하늘타리에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9c.11t.13c-C18:3는 9t.11t.13c-C18:3(β-eleostearic acid)와 함께 1.1% 정도(程度)로 소량(少量) 포함(包含)되어 있었다. 9c.11t.13c-C18:3와 9c.11t.13t-C18:3와 같은 conugate trienoic acid는 여타시료(餘他試料)에서는 전연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하늘타리와 여주의 종자유(種子油)의 극성지질(極性脂質)에는 이틀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 다량(多量)으로 존재(存在)하는 conjugate trienoic acid가 극(極)히 소량(少量)밖에 존재(存在)하지 않는 것은 매우 특징적(特徵的)이며,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이 중성지질(中性脂質)(9.9~20.6%)에 비(比)하여 극성지질(極性脂質)(25.0~29.4%) 에 보다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다는 사실(事實)을 나머지 시료(試料)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찾아볼 수 있었다. 박과식물(科植物) 종자(種子)는 리놀산(酸)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는 군(群)과, 9c.11t.13c-C18:3 및 9c.11t.13t-C18:3와 같은 conjugate trienoic acid를 가진 군(群)으로 대별(大別)할 수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