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6

        121.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seed mash and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The pH decreased along with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 The total titratable acid content of the rice wine seed mash was lowest when 0.5% lactic acid was added, and the ethanol contents of the mash sample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microorganism number, C (cell numbers of the total bacteria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decreased along with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s of the mash samples. The yeast cell numbers of the rice wine seed mash samples according to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high (0.5, 0.3, 1.0, control, and 0.7%, respectively). The pH and total titratable acid levels of rice wine according to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 were stable during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lactic acid. The organic acids in the rice wines were highest in the lactic acid. The rice wines to which lactic acid had been added had lower acetic acid contents than the control. Also, the acetic acid contents decreased along with the lactic acid concentrations, except in the rice wine treated with 1.0% lactic acid. The ethanol contents of the tested rice wines were not significant. All in all,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rice wines treated with 0.5 and 0.7% lactic acid scored higher than the other treatments.
        122.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everal indicators of fruit maturity, and expert sensory evaluation was done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maturity time for the new Korea grape cultivar ‘doonuri’ for high quality winemaking. The grape component changed dramatically during ripening, after veraison. Considerable drops in berry firmness (<0.60 kgf/cm2) and titratable acidity (<0.66%) were found at the ripening stage while the soluble solid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ripening process. Most of the organic acids contained were tartaric and malic acid. The malic acid content was about twice the tartaric acid content in the fruit-growing period but was less than the tartaric acid content in the maturity period. The total anthocyanin and polyphenol contents increased sharply after veraison. In particular, the total anthocyanin and polyphenol contents reached their maximum levels when the acidity was 0.55%, and after that, there was almost no change. Correlations between anthocyanin accumulation and several factors were found in sugar 0.7811 (p<0.05), pH 0.9315 (p<0.05), and Brix/acid ratio 0.9409 (p<0.05). Brix×pH2 and brix/acid ratio were used as indicators of the proper maturation of the grapes when the acidity was 0.53 to 0.55%, and at sugar 17 Brix. When survey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wine made using the latest harvested grapes showed the most reliable sourness. The color, aroma, and overall harmony of the wine, however, were evaluated to be the best when the wine acidity was about 0.60% or when the grape acidity was below 0.55%.
        123.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ermentation of ice apple wine from freeze-concentrated Fuji apple juice to 36 °Brix was carried out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 a sugar-tolerant wine yeast str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and the properties of ice apple win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 cerevisiae W-3, an industrial wine yeast that was used as a control in this study. During the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 increased more rapidly by S. cerevisiae SS89 together with the decrease of the soluble solid content, compared to S. cerevisiae W-3. It reached 12% (v/v) after 15 days of fermentation by S. cerevisiae SS89 (12.4%, v/v) and 21 days by S. cerevisiae W-3 (12.6%, v/v). The soluble solid contents of the SS89 and W-3 wines were 24.0 and 23.6 °Brix, respectively. Lactic acid was detected at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malic aid, among the organic acids in both wines. No big differences in the organic acid contents were observed based on the strains. In the SS89 wine, higher levels of methanol, propanol, butanol, and isoamyl alcohol were detected, together with a lower isobutanol content, compared with the W-3 wine. The SS89 wine showed higher level of intensity as well as higher Hunter's L and b color values compared to the W-3 wine. In the sensory evaluation, similar scores in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obtained in the two wines. Therefore, S. cerevisiae SS89 was thought to be useful for the rapid fermentation of ice apple wine.
        124.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makgeolli and other alcoholic beverages were compared. Based on the same volume (70 μL eq.) of the alcoholic beverages, the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mmonium salt)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were as follows: whisky > makgeolli crude extract (MCE) > rice wine (RW) > clarified makgeolli (CM) > soju. Based on the same alcohol concentration (6%) of the alcoholic beverages, however, makgeolli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addition, based on the same volume (70 μL eq.), the inhibition effects against the formation of cholesteryl ester hydroperoxide (CE-OOH) were as follows: soju > whisky > RW > MCE > CM. Based on the same alcohol concentration (6%), however, the inhibition effects against the formation of CE-OOH were as follows: RW > MCE > soju > whisky > CM.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makgeolli may contain radical-scavenging- and metal-ion-chelate-type antioxidants and may increase the antioxidant activity in the blood.
        125.
        201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적포도주는 장기간, 백포도주는 단기간 동안 발효가 끝난 뒤에 오크통에서 숙성 과정을 거치게 된다. 최근에는 오크통을 대신할 목적으로 포도주에 오크칩을 첨가하여 숙성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간별로 열처리한 국산 참나무편을 적포도주에 넣은 다음 숙성에 따른 변화를 비교해 봄으로써 색의 안정성과 풍미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전처리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나무편의 첨가 유무에 따른 알코올과 당도 및 총산 함량의 변
        126.
        201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이 인정되어 있는 적포도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머핀을 제조하였고 첨가량에 따른 머핀의 관능적 특성 및 제조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비중은 적포도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rumb의 색도에서 L값은 대조구에 비해 적포도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b값은 적포도주 첨가구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나 첨가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머핀
        128.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캠벨 얼리 포도과즙을 36 로 동결농축한 후 국산 포도로부터 분리된S. cerevisiae S13, D8 균주를 이용하여 아이스와인의 발효를 행하면서 대조균주인 S. cerevisiae Fermivin과 발효특성을 비교하였다. 발효 중 S13과 D8의 경우 Fermivin보다 당도가 다소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빠른 알코올 생성을 보였다. 발효 종료 시점인 9일 후의 알코올 농도는 D8이 15.2%, S13은 14.0%, Fermivin은 12
        129.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산자에게는 상품의 적정가격 보장과 생산의 극대화를 위한 시설 개선으로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막걸리 의 유통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막걸리에 대한 이론과 막걸리 열풍 의 사회적 배경 및 영향, 그리고 막걸리 유통구조의 개선 및 대기 업의 진입으로써 막걸리 업계에 미치는 영향, 지속적인 시장 활성 화 방안에 대해 분석했다. 막걸리 유통구조와 문제점은 현재까지 많은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 실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개선책이 마련되지 않은 이유는 소 비자에 대한 부정확한 문제 인식이 주요원인이며, 막걸리 유통구 조 개선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산자에게는 막걸리 시장의 활성화로 인한 생산 시설의 개선이며, 소비자에게는 적정한 가격에 안전하 고 좋은 품질의 상품을 공급받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 이 물류시스템의 개선과 위생안전 관리를 위한 정부의 지원 등을 통한 변화가 필요하며, 이에 따르는 많은 막걸리 업체들이 유통의 주요 문제로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130.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 함량이 많은 원료로 포도주를 제조할 경우 감산의 한 방법으로 이용하는 CM처리에 있어, CM처리 온도가 포도주의 감산정도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산 함량에 있어 CM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발효 5일째 총산함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발효 9일째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CM처리 5일째 포도의 유기산 함량은 CM-에서 사과산 함량이 가장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젖산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131.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포도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개선하기 위한 발효방법의 일환으로 국내산 Muscat Baily A 포도 과즙을 약 가 되게 동결농축한 후 포도주 발효를 수행하였다. 효모로는 산업용 포도주 효모인 S. cerevisiae , S. cerevisiae Fermivin, S. cerevisiae W-3를 이용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농축 과즙의 알코올 발효를 행하면서 발효 특성과 발효 후 여과하여 제성한 포도주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가 끝날 시
        132.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송이다듬기는 포도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송이의 크기를 조절하고 송이모양을 변형시키는 유용한 재배방법이다. 포도 'MBA' 품종의 송이다듬기에 따른 과실 및 포도주의 품질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송이줄기의 곁가지를 제거하였는데, 상위지경부터 4, 5, 6지경을 남기고 절단 한 뒤 관행처리 대조구와 비교하여 수확기에 과방 및 와인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포도송이의 품질은 지경수가 작을수록 당도가 증가하고 총산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포도주의 양조
        133.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포도 원료의 열처리 온도(50, 60 and )가 포도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재료는 국내에서 주요 포도주용으로 생산되고 있는 품종중의 하나인 Muscat Bailey A를 이용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포도 으깸이 중에 살아있는 세균, 효모, 곰팡이 수는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며 폴리페놀산화효소의 활성도 낮아졌다. 발효완료 후 포도주의 적색도나 총안토시아닌, 총폴리페놀, 탄닌 함량은 열처리에서
        134.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여름철에 집중 생산되는 오디를 이용하여 오디와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발효 종료시점 오디과즙의 pH는 3.2~3.6, 총산 함량은 0.40~0.53%, 당도는 발효 6일째 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발효 36일 이후에는 부근에서 더 이상의 당 소모는 없었다. 알콜 함량은 발효 6일째 급격히 증가하여 와 는 4.5%, 는 6.5%, 는 8.0%로 배양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48일째 10.5~11.5%로 측정
        135.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과 이외에는 상품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수박을 이용하여 수박와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발효 48일째 수박와인의 pH는 2.8~3.4, 총산 함량은 0.51~0.59%, 당도는 까지 감소하였으며, 알콜함량은 9.5~10.5%로 증가하였다. 알콜생성량이 가장 높은 조건은 와 이었으며, 두 온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박와인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citri
        136.
        201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산 포도주의 생산을 위해서 소비자들이포도주의 어떤 속성을 소비자들이 선호하는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포도주 개발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사를 설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선택형 실험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국산포도주보다 수입포도주를 더 선호한다는 응답자가 127명(44.4%)인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에 부합하는 개선된 국산포도주의 생산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포도주 속성별 중요도에서는 맛
        137.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주인 소곡주의 주질 개선을 위해 원료인 찰벼 품종에 따른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국내 찰벼 품종 9품종으로 소곡주를 제조하여 그 품질을 비교한 결과, 백설찰벼가 소곡주 원료로서 가장 우수한 기호도 점수를 받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백질 함량은 6.9~7.5% 범위로 눈보라와 설향찰벼가 가장 낮았으며 한강찰벼가 가장 높았다. 단백질 함량과 관계된 백미의 경도 역시 설향찰벼가 가장 약하였고 백설찰벼가 가장 단단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찹쌀의 외관 특성은 품종별로 다소 상이하여 일부 육안으로 차이를 판별할 수 있었다. 호화특성은 품종 간에 차이가 뚜렷하였는데 동진찰벼의 낮은 점성은 아밀로펙틴 중 높은 단쇄 비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한강찰벼의 높은 점성은 아밀로펙틴의 낮은 단쇄 비율과 높은 중쇄비율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품종별 소곡주는 알코올 함량은 17.6~19.9%, 당도는 20.5~23.9 brix, pH 4.53~4.60, 총 산도는 4.0~4.8% 분포였으며, 당은 주로 glucose, 유기산은 주로 succinic acid로 이루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종 중 설향찰벼의 경우 알코올 함량이 높아 알코올 수율은 높고 잔류 당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색 특성은 신선찰벼를 제외하고 품종 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찰벼 품종별로 소곡주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백설찰벼 소곡주의 기호도 점수가 가장 높았다. 소곡주 기호도는 포도당 등 당도가 높아 단맛이 강하고 투과율이 높아 맑은색을 갖는 특징과 관련이 높았으며, 발효 정도와 관련된 수율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13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표적인 잡곡 중에 하나인 기장의 이용성 제고를 위하여 기장을 이용한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알코올 함량은 100% 찹쌀만으로 발효시킨 시료의 경우 SH업체와 BS업체 누룩에서 각각 12.36 및 12.53%로 나타났으며, 기장을 첨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나 SH업체 및 BS업체 누룩 모두 12.87~13.21%의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SH업체와 BS업체 누룩 대조구에서 각각 21.6 및 22.4 ˚Bx 로 나타났으며, 기장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대조구에서 각각 3.74 및 3.40이었고 총산도는 각각 1.40 및 1.51%로 나타났으며, 기장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뚜렷한 경향을 얻었다. 탁도는 대조구에서 각각 0.441 및 0.149로서 BS업체 누룩을 이용한 발효주가 탁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장첨가량이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탁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도는 SH업체 누룩의 경우 기장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 α 및 b-value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BS업체 누룩은 L- 및 b-value는 감소하고 α-valu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색차(δEab )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주의 주된 유기산은 lactic acid와 acetic acid가 주를 이루었고 이중 lact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장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와 총산도와 마찬가지로 뚜렷한 경향을 찾기 어려웠다. 유리당으로는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대조구에서 각각 7.580 및 7.116%로 나타났고 기장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SH업체 누룩을 이용하여 기장을 30% 첨가한 발효주가 가장 양호한 관능적 특성을 보였다.
        139.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다래로 만든 'Hayward' 와인 제조에 적합한 효모 선발을 위해서 3종의 효모에 의한 발효과정에서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사용된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Gervin No.5 strain (GVN), S. bayanus Lavin strain EC1118 (EC1118), 그리고 S. cerevisiae Red star Davis No.796 (No.796)은 와인 발효에 가장 적합하여 상업적으
        140.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에탄올 딸기 발효주 제조를 위한 딸기 과즙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4종의 pectinase를 이용하여 효소처리시 최적조건을 설정하였으며, 발효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에탄올함량, anthocyanin 색소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4종의 pectinase를 1,000 ppm의 농도로 30, 60분간 처리하여 수율을 측정한 결과, Viscozyme L 효소를 1,000 ppm에서 30분간 처리시 수율이 81.7%로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