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3

        143.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실 장미 재배시 중요 해충인 꽃노랑총채벌레와 점박이응애를 대상으로 발생소장 조사와 방제체계개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점박이응애는 자미 화색별 발생밀도의 차이가 없었으나 꽃노랑총채벌레는 황색계통인 'Star Light'에서는 적색, 핑크색 장미품종에 비하여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무인방제기 사용시 관행방제에 비하여 인건비와 사용약제는 각각 89%, 18.2%를 절감할 수 있었으며 해충방제 효과는 차이가 없었다. 점박이응애 방제시 전착제를 사용할 경우 응애약제 단용처리에 비하여 약제도포율은 25%, 해충방제기는 20.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47.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남부여에 위치한 임업화훼단지내의 유리온실에서 아치형재배(Arching method)장미에 피해를 주는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밀도를 엽당 응애수로 조사하였다. 이항표본 조사법은 엽당 점박이응애의 평균밀도(m)와 점박이응애가 T 개체보다 많이 존재하는 엽의 비율()과의 관계를 기본으로 하며, T는 경험적 이항분포모형(ln(m)=+1n(-1n(1-)))에서의 tally threshold 로서, 본 실험에서는 1, 3, 5, 7, 9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표본단위 수의증가는 T와 상관없이 이항분포 모형의 정확도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상이한 T에 따라 이항분포모형의 정확도가 차이가 났으며 T가 증가할수록 정확도가 높아졌다. 본 실험결과 점박이응애의 밀도추정을 위한 이항분포모형의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T=7인 경우가 최적의 tally threshold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항분포조사법의 검정을 위하여, 동일한 포장의 독립적인 표본을 추출, 조사하였다. 본 실험결과 이항표본조사법을 이용한 상업적 유리온실의 아치형재배 장미해충인 점박이응애 평균밀도 추정에는 T=7인 경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51.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2,000원
        152.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마스크 장미 내 고분자 당단백을 bioconversion 기술을 이용하여 저분자화한 다마스크 장미추출물(Rosa damascena extract containing low molecular glycoprotein, RELG)의 항노화 효능을 측 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한 RELG의 항산화능 평가(IC50)는 22.6 μ g/mL으로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 21.1 μ g/mL와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고 피부세포실험에서는 15 μ g/mL 에서 자외선과 H2O2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을 28% 억제하였다. 또한 같은 농도에서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분해 효소(MMP-1)의 생성을 48% 억제하고 10 μ g/mL에서 대조군 대비 보습인자인 aquaporin 3 (AQP3)의 발현을 44%, 중성지질 생합성을 10% 촉진하여 항주름 효능과 더불어 보습효능까지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두피 모유두세포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사멸을 15 μ g/mL에서 10% 억제하고 활성산소의 생성을 90% 감소시켰다. 본 연구 결과, RELG는 효과적인 항노화 화장품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153.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urvival and mutation rates and mutation spectrum by gamma-irradiation on rooted and unrooted cuttings of three spray type (‘Lovelydia’, ‘Yellowbabe’, and ‘Haetsal’) and two standard type (‘Vital’ and ‘Aqua’) cultivars in roses. Two groups, rooted and unrooted cuttings were gamma-irradiated at 70Gy for 24 hours. The irradiated rooted and unrooted cuttings were planted in a greenhouse, and survival, mutation rates and mutation spectrum were investigated 30 weeks after planting, respectively. As a result, survival and mutation rates ofgamma-ray irradiated plants were 16.4%~50.8% and 0~5.1% for unrooted cuttings, and 39.4%~55.1% and 0.7%~7.4% for rooted cuttings, respectively. In conclusion, both survival and mutation rates were a little higher on rooted cuttings than on unrooted cuttings. However, when only survived plants after gamma-ray irradiation were considered, mutation rates were 0~10% and 1.8%~14.1% for unrooted cuttings and rooted cuttings,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diverse variations on color and number of petals or shape of flowers were detected both in plants from rooted and unrooted cuttings, which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tation spectrum between two groups.
        154.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xport Korean spray roses to the China, it is needed to analyse chinese preferences, rose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roses for export by analyzing the quality preference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rose for Chinese flower experts. A survey on th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flower roses by Chinese flower experts was conducted through face - to - face interviews with flower show participants in China. Approximately 100 Chinese flower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Flower Show in 2016 received the questionnaire, and 86 survey results could be used for analysis.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ordered probit and bivariate probit models. As a result of an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inese flower experts were more likely to buy Korean roses than Chinese roses even if they consider flower color, leaf shape and size and color diversity. The probability of purchasing more than twice the pric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lor diversity considering the flower shape, leaf shape and size, but the bivariate order probit model was larger than that of flowers, leaves and size, and the order of probability size was changed. In order to increase the export of Korean spray roses to the Chinese market, We need to increase Chinese experts’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export varieties of roses with large flower buds and shape / coloring, and to apply the useful post-harvest technology that can extend freshness and distribution period of export roses.
        156.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comparative petal micromorphology of 15 taxa of tribe Sorbarieae was carried out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n order to evaluate their taxonomic and systematic impl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daxial and abaxial side of petal epidermal cells such as shape, arrangement, anticlinal wall and cuticular sculpture were described in detail. The Sorbarieae petal epidermal cells were identified as papillate or conical papillate (PCS) and rectangular-rugose tabular (TRS). Three types of petal micromorphology were found within the tribe based on the cell patterns of adaxial and abaxial side. Type I. PCS-TRS, Type II. PCS-PCS, Type III. TRS-TRS (adaxial-abaxial side). The petal epidermal cell types, anticlinal cell wall, and cuticular sculpture represent not only taxonomical importance for identification between or within the genera but also systematic implication. Moreover, this study provides a relation between petal epidermal cell pattern and insect pollinator (entomophily; melittophily) as an additional case.
        157.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various eco light sources with various lighting distance in ‘Viking’ rose (Rosa spp.) on the growth and flowering quality to be applied for farm sites. Treatment included 10-, 20-, and 30-RL (-BL, -RBL, -FL, and -IL), which referred to red LED (blue LED, red+blue LED, fluorescent, and incandescent) lighting at 10 cm, 20 cm, 30 cm respectively, apart from flowers. NL referred to natural light as a control. Growth and flowering of ‘Viking’ rose were non-destructively measured at 4, 6, and 8 weeks after treatment (WAT). FL treatment increased plant height at 4, 6, and 8 WAT, regardless of lighting distance, with the shortest height observed for the NL-treated flowers. 30 RL treatment also increased plant height at 6 and 8 WAT. Stem diameter and number of leav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the treatments at 8 WAT, with the lowest values observed for RBL treated-flowers among the light source treatments. Number of root was the greatest for the 30 BL-treated flowers (10.0) but the fewest for the 30 FL (4.7). Length of flower neck at 6 WAT was the extended by 6~7 cm in the 10 FL and 20 FL treatments as well as by 5~6 cm in the 20 RL and 30 RL treatments, inducing 100% of flowering. NL increased a* (29) of flower color, with the lowest value (10) observed for 20 RL. All things considered, 30 RL would be the best interaction treatment of source and distance of eco light to improve plant height and flowering quality of ‘Viking’ rose.
        158.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ney Blue’는 2006년도에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종자친 ‘Pacific Blue’과 화분친 ‘Lovely Blue’ 교배조합으로 인공교배를 통하여 육성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5년 동안 특성검정을 하여 절화특성이 우수한 계통을 2012년도에 최종 선발하여 ‘Honey Blue’으로 명명하였다. 종자친으로 사용한 ‘Pacific Blue’는 향기가 중간 정도이며 주요성분은 germacrene-D과 3,5-dimethoxytoluene이다. 화분친으로 사용한 ‘Lovely Blue’는 향기가 강하며 주요성분은 germacrene-D, geraniol 및 cadinene이다. ‘Honey Blue’의 주요 향기성분은 germacrene-D, citronellol and 3,5-Dimethoxytoluene으로 향기가 강하다. ‘Honey Blue’은 대형 스탠다드 장미로 화색은 보라색(RHS Violet 84C)이며 화폭 9.7 cm, 꽃잎수 50.2매, 절화수명 9.1일이다. 개화소요일수는 49일이며 년간 절화수량은 134본/m2이고 절화장은 75.8 cm이다(품종출원등록번호: 제4866호).
        159.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절화용 장미는 국가기관에서 주관하여 품종을 육성하고 있으나, 정원용 장미는 미진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에 수입판매 되는 장미 묘는 주당 1,0000원~30,000원으로 로열티가 포함되어 있어 단가가 높으며, 대부분이 영국, 독일, 일본 등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정원용 장미의 판매액은 80억 원에 달하고 이중 50억 원에 이르는 양이 수입되고 있으며, 수입량도 계속 늘어가는 추세이다. 또한 대형공원 조성 및 아파트 단지화, 학교, 도로변의 울타리용 등으로 크고 작은 정원들이 생겨나고 있어서 정원용 장미의 수요도 그만큼 증가하고 있다. 국내 정원장미 번식은 대부분 눈접묘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찔레 실생을 사용한 눈접묘 생산 시스템이 노동집약적이고 접사들의 고령화로 인하여 눈접묘 생산 시스템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눈접묘에 사용되는 찔레를 삽목 번식하여 대목으로 사용하기 위해 삽목 최적화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삽목 배지와 시기에 따른 경지삽 발근율 효율을 조사하였다. 무가시 품종인 찔레원예1호를 시료로 사용하였고, 삽수는 2년생 가지 중 목질화가 상당히 진행된 가지를 20cm정도 길이로 절단하여 1시간 정도 물에 침지한 후 저온창고(섭씨 4도)에 1주일 보관하였다. 배지는 질석과 펄라이트 1:1, 질석, 펄라이트를 사용하였고 시기는 2013년 9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수행 하였다. 본 실험 결과 질석과 펄라이트를 동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 배지가 발근율이 가장 좋았고 뿌리무게는 다른 두 종류 배지보다 낮았으며 그 외 줄기무게, 잎 수, 신초무게, 신초길이, 줄기 두께, 뿌리 건물중은 대동소이하였다. 시기적으로는 11월에 60%정도의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으며 2월에 12%정도로 가장 낮은 발근율을 보였다. 찔레원예1호 외에도 여러 다양한 대목품종들의 실험이 요구되며 그 외에도 다양한 배지에서의 발근 효율을 알아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60.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근래 우리나라에서 정원장미는 가장 인기 있는 화목류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국산 정원장미 품종의 육성 및 보급이 미미한 실정이어서 보급되고 있는 품종은 대부분 외국 수입품종이다. 우리나라에서 절화장미의 감마선 처리 돌연변이 육종 방법은 잘 확립되었다(고, 2011). 즉, 감마선을 처리하여 기존의 우수한 품종의 특성은 대부분 유지하되 화색이나 화형 등의 변이를 유발하여 신품종을 매우 효과적으로 육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원장미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정원장미 2품종(‘러브’ 20주, ‘로잔나’ 30주)에 감마선 70Gy 선량을 각각 처리하여 화색 및 화형 돌연변이를 유기하였다. 감마선 처리한 삽목묘는 포장에 심어 3년에 걸쳐 변이발생을 조사하였다. 품종별 화색 및 화형 변이 형태 등을 조사하였고 발생한 변이는 삽목하여 고정변이주로 작성하였다. 감마선 처리로 러브 품종은 주로 화색변이가 발생하였다. 적색인 러브 품종에서 적자색(Lo1), 분홍색(Lo2), 미색(Lo3), 꽃잎 모자익 무늬변이(Lo4, Lo5)가 발생하였다. 화형 및 화경 크기 변화는 미미 했고, 꽃잎수는 러브품종(37.6장)에 비해 적어지는 계통(4계통, 32.5-25.0장)과 현저히 꽃잎수가 많아지는 계통(1계통 Lo3, 69.0장)이 발생하였다. 잎색은 분홍변이(Lo2)에서 약간 옅어졌다. 로잔나 품종에서 5개의 변이가 발생하였다. 변이의 발생 형태는 화색, 화형, 화경, 꽃잎수 등에 있어 다양한 모습이었다. 로잔나 품종과 화형이 같으면서 화색만 변화한 것(1계통, Ro1), 화형은 같으면서 화색과 화경크기가 변화한 것(1계통, Ro2), 화형과 화색은 같으면서 화경 크기가 줄어든 것(1계통, Ro3), 화형과 화색이 변하고 꽃잎수가 현저히 많아진 것(1계통, Ro4), 화형이 열린컵형태에서 로제트로 변하고 꽃잎수가 현저히 증가한 것(2계통, Ro4, Ro5)) 등 다양한 특성이 조합되어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