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9

        14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용 오리엔탈나리 ‘시베리아’의 여름철 고랭지 절화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4단계의 대형 구근을 이용하여정식 전 싹틔우기 처리로 시험한 결과, 작은 구근일수록 저온 싹틔우기 기간이 짧은 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구근 크기가 클수록 기간이 길 때 효과적이었다. 구주18cm에서는 2οC 0일+5οC 7일+12οC 14일, 구주20cm에서는 2οC 7일+5οC 7-14일+12οC 14일, 구주22cm에서는 2οC 14일+5οC 14일+12οC 14일과 2οC21일+5οC 7일+12οC 14일, 구주 24cm에서는 2οC 14-21일+5οC 7일+12οC 14일 처리했을 때 절화장이 크고, 화수장 비율이 25-27%로 양호하였다. 수확소요일은약 10일 더 빨랐고, 꽃 수는 1개 감소하였고, 블라인드는 0%, 절화등급은 2.2~b1.0로 절화 품질이 향상되는효과를 나타냈다.
        4,000원
        14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 보존용액의 sucrose, 8-HQS, pH 그리고 유기산 등이 수국 ‘Magical Brilliant’, ‘MagicalJewel’의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수행하였다. 실험환경은 온도 24±2, 상대습도(relativehumidity, RH) 60~70%, 광도 11µmol•m−2•S−1 PAR로 하였고, 형광조명 16시간으로 하였다. 보존용액에함유된 sucrose와 8-HQS 의 효과에 있어서 ‘MagicalBrilliant’의 경우 절화수명은 3% sucrose+8-HQS 혼용처리에서 9.3일로 대조구 4.7일보다 4.6일 길었으며생체중과 용액흡수량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MagicalJewel’에서의 절화수명은 1% sucrose+8-HQS 혼용처리에서 20.0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에 비해 12.3일 연장되었고 용액흡수량과 생체중의 변화는 꾸준하게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색유지와 절화수명에 미치는sucrose와 8-HQS의 혼용처리의 효과는 단용처리에 비해 뚜렷하게 나타났다. 보존용액의 산도에 따른 효과는pH 3.5에서 가장 좋았다. 절화수명일에 있어서 ‘MagicalBrilliant’는 9.0일 그리고 ‘Magical Jewel’은 21.7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존용액의 산도가 중성 쪽으로 갈수록 절화수명일,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 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보존용액의 산도가 절화품질에 영향을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유기산 처리의 결과,‘Magical Brilliant’과 ‘Magical Jewel’은 100mg•L−1citric acid 처리에서 각각 절화수명이 12.3일과 22.7일로다른 처리구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절화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Magical Brilliant’과 ‘Magical Jewel’모두 3% sucrose+250mg•L−1 8-HQS(pH 3.5), 3%sucrose+250mg•L−1 8-HQS+100mg•L−1 citric acid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농업기술원 구미화훼시험장에서 육성한 장미 ‘Hanaro Pink’ 는 분홍색의 ‘Noblesse’를 모본, 황색의 ‘Sahara’를 부본으로 2002년에 인공교배 한 후 2005년부터 2008년까지 4년간 특성검 정을 하여 2008년에 최종 선발되어 ‘Hanaro Pink’로 명명하였다. 분홍색 스탠다드 절화장미 ‘Hanaro Pink’는 화형이 고심형이고 가 시가 거의 없으며 연간 절화수량이 122.7본/m2이며, 절화장 64.0cm, 꽃직경 10.6cm, 줄기직경 6.3mm, 절화수명 13.7일이며 특히, 개화지 중간부의 가시가 아주 적어 취급이 용이하였다.
        3,000원
        14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농업기술원에서는 2003년 무름병에 비교적 강하고 화색과 화형이 좋은 품종인 분홍색의 ‘Super Gem’과 꽃이 많고 진분홍색 의 ‘Lipstick’을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하여 인공 교배하였다. 2003년 10월에 30개의 종자를 수확 후 2004년 2월에 파종하여 1년 동안 양구한 구근은 2005년에 개화특성을 검정하여 화색과 화 형이 좋은 GWCL05027을 선발하였으며, 2006년에 포장 재배하여 자구 증식률, 초장과 초세 등 1차 특성검정 후 2차 선발 하였다. 2010과 2011년에 특성검정과 재배시험을 통하여 균일성과 안정성이 인정되어 ‘립글로(Lip Glow)’를 육성하였다. 화포 외부의 주된색은 붉은 분홍색이며, 폭은 5.2cm, 개화소요일수는 76일, 초장은 63.6cm, 괴경은 46.1g으로 주로 절화용으로 이용 가능하다.
        3,000원
        14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장미의 수송 중에 문제가 되고 있는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SO2가 발생하는 sodium metabisulfite(SMS) 2.5g/m3, 5.0g/m3, 7.5g/m3을 저장온도(상온: 24-28οC, 저온: 9- 12οC, 변온: 저온저장하면서 하루 2시간씩 상온에 노출)와 포장방법 (폴리에틸렌 비닐로 포장한 박스, 폴리에틸렌 비닐을 포장하지 않은 박스) 달리하여 상자의 상단부에 처리하였다. 저장온도에 의한 잿빛 곰팡이병의 발생률은 상온에서 가장 높았고, 변온, 저온 순으로 낮 아졌다. 수출용 상자를 밀폐하였을 때 잿빛곰팡이병의 발생률이 높았 고 발현시기도 1-2일 빨랐다. SMS의 처리량이 많을수록 상자 내 부의 SO2 농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잿빛곰팡이병의 발생률이 감소하 였다. 특히 7.5g/m3 SMS 처리시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은 무처리에 비해 20% 정도가 억제되었다. SMS 처리는 포장방법별, 온도별 처리 모두에서 잿빛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상온과 변 온에서 포장상자를 밀폐한 처리구에서 효과가 높았다. 이는 수송 중 온도 변화가 심한 하절기나 수송 중 컨테이너 중앙에서 공기의 이 동이 원활하지 않은 포장상자의 잿빛곰팡이병 발생억제에 효과가 높 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46.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0년 연한 노란색 FA종간잡종 나리 ‘Sinavro’ 와 밝은 노란색의 아시아틱 나리 ‘Bomi’를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화주 절단 수분법으로 인공교배하였고, 교배 후 미숙한 꼬투리을 수확하여 배가 형성된 배주를 기내에서 배양하여 잡종을 획득한 후 재배하였다. 육묘한 배양묘로부터 2004년상향개화형이며 약한 향기가 있는 아이보리색 FA종간잡종 나리‘FA04-52’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1, 2차 생육특성검정을 실시하였으며 2008년 3차 생육특성검정 및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초장 신장성이 우수하고 화색 및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 아이보리색(GW157D)의 절화용 FA종간잡종 나리 ‘Cream Star’ 를 육성하였다. 3배체의 FA종간잡종나리로 화폭과 초장은 각각 14.2cm와 141.0cm이며 잎의 길이는 14.1cm이다. 개화구의 구주는 17.1cm로 소구 개화성의특징을 가진다.
        4,000원
        14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용 스탠다드 국화 ‘백설’의 전처리제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1-MCP 0.5g·m-3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2일 정도 꽃봉오리의꽃잎착색과 조기개화가 지연되었으며 개화 정도도 9일 까지 개화를지연시켜 품질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 Promalin(GA4+7+BA)100mg·L-1과 500mg·L-1 처리구에서도 개화지연 효과가 나타났으나,500mg·L-1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잎과 꽃의 조기 위조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체중의 변화에서도 1-MCP 0.5g·m-3, 1.0g·m-3 및Promalin(GA4+7+BA) 100mg·L-1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고찰해보면 1-MCP 0.5g·m-3와Promalin(GA4+7+BA) 100mg·L-1 처리는 절화 국화 ‘백설’의 수확 후 꽃봉오리 화색변화 및 조기개화를 억제시켜 품질 선도유지에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000원
        148.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육성 장미 2품종 ‘Propose’, ‘Beast’, 국외육성 장미 4품종 ‘Revue’, ‘Ocean Song’, ‘Iguana’, ‘Legato’를 대상으로 시설재배 시 발생하는 꽃목굽음 현상의 형태적 양상을 조사하였다. 꽃목굽음지는 모든 품종에서 특정 꽃받침조각이 나머지 4개의 꽃받침조각의 위치에서 이탈되어 형성되었다. 이때 이탈한 꽃받침조각은 엽상화되었고 꽃목은 같은 방향으로 굽었다. 꽃목굽음 각도와 엽상화 형태는 품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BPP에서 꽃목 조직은 좌우 비대칭적으로 발달했으며, 세포 신장의 불균형과 함께 대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화기 구조에서 특히 자방의 길이는 BPP와 유의적으로 음의 상관관계(r = -0.8*)를 나타냈다. 화기길이에 대한 자방 길이의 비율이 15% 이상일 때 꽃목굽음률이 5% 이하로 낮게 유지되었다.
        4,000원
        14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ore’는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이다. 2003년에 분홍색 홑꽃인 ‘Rosa’와 백색 홑꽃인 ‘Angaesoguk’을 인공교배 하여 2005년 부터 2009년까지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화색은 오렌지색이며,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촉성 재배와 억제재배, 자연재배 조건에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Fiore’의 자연개화기는 10월 24일경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 재배가 가능하다. 꽃 크기는 2.8cm이며, 가을재배에 있어서 착화수는 33.8개이다. 봄 촉성재배시 개화소요일수가 48일이며, 가 을 자연재배시의 절화수명은 23.2일로 긴 편이다. 이 품종은 2011년 국립 종자원에 품종 등록되었다.
        3,000원
        15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절화용 장미 시설재배 시 BPP 발생 빈도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재배되는 절화 장미 6품종 ‘Propose’, ‘Beast’, ‘Revue’, ‘Ocean Song’, ‘Iguana’, ‘Legato’를 대 상으로 하였으며, 재배시설의 광과 기온을 2012년 연중 조사하 였다. 그 결과, 일평균기온은 겨울철(1, 2월)보다 여름철(7, 8월) 에 5oC 증가하였으며, 일누적광량은 봄철(3, 4월)에 가장 높았 다(11,704mol·m-2·d-1 PPFD). BPP 발생 빈도는 품종간 차이 (2-20%)는 있었으나, 6월까지 다소 낮게 유지되다가 일평균기온 이 증가하는 여름철에 최대 10-15%까지 급증하고, 9월 이후 다시 감소하는 계절적 양상은 유사하였다. ‘Revue’ 품종을 제외 한 나머지 5품종에서 BPP 발생 빈도는 일평균기온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r = 0.7-0.9**)를 나타냈다.
        3,000원
        151.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새로운 색상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백색 장미 데니스(R. hybrida'Denice')를 사용하여 무지개 색상의 장미를 만들고자 하였다. 온도가 높을수록 염색 시간은 빨랐으나 높은 온도에서는 절화의 개화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4시간 이상에서는꽃잎의 끝이 너무 진하게 염색되거나 건조되는 현상이나타났다. 7.5g·L-1보다 11g·L-1이상의 염료농도에서 염색되는 속도가 빨랐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개화정도는 완전봉오리에서 시각적으로는 빨리 염색이되는 것으로 보였으나 속 꽃잎까지 흡수되는 시간은 3처리모두 유사하였다. 그러나 상품가치 면에서는 바깥꽃잎이3~4장 정도 개화했을 때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단색 실험의 결과에서 가장 적합한 조건 즉, 20℃염료 용액에 3시간 침지, 화경장 30cm, 11g·L-1의 염료 농도, 바깥꽃잎이 3~4장 개화한 ‘Denice’ 장미에 Hot Pink, True Blue,Yellow 3가지 색상을 조합하여 염료를 물올림 한 결과,6가지 색상을 지닌 무지개색의 장미를 착색, 발현시킬 수있었다.
        4,000원
        15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7년 분홍색 반겹꽃 ‘Basic’과 자주색 반겹꽃 ‘Mephisto’를 교배하여 얻은 실생계통 으로부터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년 동안의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화색이 밝고 선명하며 초세가 강건한 흑심의 주홍색(RHS R52A) 반겹꽃 절화용 거베라 신품종 ‘Scarlet Diva’를 육성하 였다. 꽃의 직경은 11.8cm인 대륜계통이며, 내부설상화의 폭과 화반의 직경이 각각 5.5cm와 2.6cm이다. 초세가 강건하고 국 내 재배환경에 적합한 품종으로 재배농가의 기호도가 높아 앞으 로 국내육성품종의 재배면적 확대 및 농가의 로열티 절감에 기 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000원
        15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백색 소륜계의 ‘White Time’ 을 모본, 황색 중륜계의 ‘01-142-41’을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 시하여 계통 육성 후, 2006년부터 2008년까지 특성검정을 실시 한 결과 화색, 화형, 수확량 등 품질과 수량이 우수하다고 판단 되어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Ice Ball’로 명명 품종등록(품종보호 제3736호) 하였다. ‘Ice Ball’은 백색(RHS 155-C)과 녹색(RHS 149-B)의 화심색 조화 가 선명한 반겹꽃 소륜화이다. 또한 ‘Ice Ball’은 화형이 안정되 고 화경이 강건하며 주당 연간 평균수량은 3회 검정 결과 평균 111.3개이며, 평균 절화수명은 13.8일이다.
        3,000원
        15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육성 프리지어 절화 ‘Shiny Gold’에 대한 습 식 저장의 효과를 알아보고, 적합한 저장 온도 및 기간을 구명 하고자 수행하였다. 프리지어는 1, 3, 5oC에서 4, 8, 12일 동 안 습식과 건식으로 저장되었다. 습식저장이 건식저장보다 프리지 어 절화 ‘Shiny Gold’의 수명을 연장시켰으며, 개화율을 약 10% 정도 향상시켰다. 1oC에 저장된 ‘Shiny Gold’는 3oC와 5oC에 저장된 것보다 절화 수명과 품질이 좋았다. 저장기간별 절화 수명은 4일 동안 저장이 12일 동안 저장된 것보다 약 1~2일 정도 연장되었고, 프리지어 절화 ‘Shiny Gold’는 8일 이상 저장이 어려웠다. 따라서 프리지어 절화 ‘Shiny Gold’의 수명을 연장하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습식방법으로 1oC에 4일 동안 저장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15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미 수경재배시 적절한 엽면적확보와 상품생산에 미치는 절곡 지 굵기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처 리별 절곡지 생장특성과 절화수량 및 품질을 조사하였다. 상품생 산을 위해 굵은 가지를 절곡할수록 절곡지 생체중과 절곡각도가 커진 반면 잎의 량은 6~8mm 굵기의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 엽 면적지수가 3.5로 가장 높았고, 9~11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오히려 2.7로 가장 낮았다. 단위면적당 상품수량은 엽면적 지수와 같은 경향을 보였고, 상품률과 절화중, 절화직경은 절곡지 굵기에 비례하였다. 절화 길이와 꽃의 볼륨감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상품성이 좋았던 등급은 절화 길이가 60~80cm였고, 80cm 이상 지나치게 굵은 가지는 줄기와 잎에 비해 꽃의 볼륨 감이 떨어져 오히려 상품성이 떨어졌다. 이와 같은 이상적인 절 화 생산비율이 6~8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63.4%로 9~11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보다 8%가 높았고, 한편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굵은 절화 비율은 9~11mm인 가지를 절곡하 였을때 28.8%로 6~8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보다 10% 높았다. 지나치게 굵은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절곡지 엽면적 감소와 지나치게 굵은 가지의 발생으로 인해 절화수량이 감소하 였다. 절곡후 잎과 상품수량 확보를 위해서는 줄기 굵기가 6~8mm 두께의 가지를 절곡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3,000원
        15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물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절화장미 수경재배시 유묘기 급액농도가 장미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양액을 0.6, 1.0, 1.4, 1.8dS·m-1로 다른 농도로 공급하였다. 배지 추출액의 EC와 무기이온은 정식 22일까지는 높은 농도로 양액을 공급하여도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후 급액농도가 높을수록 빠른 속도로 배지내 양분농도도 높아졌다. 신초의 발생량은 정식후 30일째에 해당하는 2차 신장기에는 1.8dS·m-1로 급액한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고, 3차와 4차에는 0.6dS·m-1 처리구를 제외하고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급액농도가 높을수록 신초의 발생량이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장미 유묘기(수체형성기간 약 6개월 정도)의 급액농도는 기존의 무기배지를 이용한 수경재배에서는 3~4월에 정식한 이후 고온기로 갈수록 급액농도 점진적으로 낮추어 1.0dS·m-1 내외로 낮게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수경재배에서는 코이어 배지가 양분을 흡착하기 때문에 정식 후 약 3개월은 EC 1.8dS·m-1로, 이후에는 약 3개월은 1.4dS·m-1 정도로 관행적인 농도보다 높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5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백합의 수출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수출 증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한 것이다. 수출용 백합 생산비의 대부분(50% 정 도)을 차지하는 구근 비의 절감을 위하여 수출국가가 선호하는 국내 품종을 개발하고 개발 품종의 구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생산자 조직과 수출 업체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수출전문생산단지를 구축하 고 현재 일본에 집중된 수출구조에서 가까운 러시아와 중국 등의 다양한 국가로의 시장 개척이 필요하다. 또 한 수출대상국 현지의 백합 소비 형태를 파악하여 백 합수입국의 요구 시기에 맞추어 상품을 개발하여야 한 다. 관세인하와 식물검역기간 단축 등의 국제적 교섭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브랜드와 새로운 마케팅 방법의 도 입이 필요하다.
        4,000원
        15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 국화 ‘백마’의 수확 후 몇가지 포 장재 처리가 선도유지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개화단계의 결과, PE필름 처 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6일째 개화가 25%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꽃크기 변화의 경우 기능성 한지 포장재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실험 6일째 꽃의 직 경 변화 속도가 19%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화 색변화의 경우 기능성 한지 포장재(I, II, III) 처리구 모두 대조구에 비해 2일 정도 화색변화가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생체중 변화의 경우 신문지, PE 필 름, 기능성 한지 포장재(I, II, III) 모두 대조구에 비 해서 높은 수분흡수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포장재 II 는 절화 국화 ‘백마’의 선도유지에 관련된 품질요인인 개화단계, 꽃크기, 화색변화, 생체중, 에틸렌 발생량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4,000원
        15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염료가 절화 장미 ‘Akito’ 품종의 염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12가지 색상의 염료를 이용한 염색 결과, 다채로운 색상을 구현해 내고 관상 가치를 높일 수 있었지만 절화수명은 대조구보다 1-3일 단축되었다. 4종류의 blue 염색염료를 비교한 결과 Fantasy blue (Palace Chemical Co., Japan)와 Blue No.1(Vidhi Dyestuff Mfg LTD, India)의 색상이 좋았다. 고농도 (7.5g •L-1와 10.0g •L-1)의 blue 염색의 경우 잎의 착 색이 심하고 불균일 하였으며 꽃잎의 가장자리가 짙어 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4,000원
        16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백마’ 품종의 단일처리기 간 중에 관수량과 급액농도에 따른 절화의 생육과 품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관수량은 -10, -20, -30, -40kPa의 수준으로, 급액농도는 EC 0.0, 0.8, 1.2, 1.6, 2.0, 2.4dS • m-1로 처리하였다. 관 수량을 -10kPa로 처리했을 때 절화장이 가장 길었으 며, 관수량량이 적을수록 절화장이 감소하였다. 절화무 게는 -10kPa 처리구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40kPa 처 리구에서 가장 가벼운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상위엽의 면적은 모두 -10kPa 처리구에서 넓었 으며, 관수량이 적을수록 엽면적이 감소하였다. 꽃의 전체무게는 관수량 -10kPa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관수 량이 적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절화장은 EC 0.8dS • m-1 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길었고, EC가 높아질수록 짧 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절화의 무게는 EC 0.8과 1.6dS • m-1 처리에서 74.1g과 75.2g으로 무거웠으며, 무처리구에서 가장 가벼웠다. 절화의 상위엽은 다른 처 리에 비해 EC 0.8dS • m-1 처리에서 첫 번째와 두 번 째 잎 모두 가장 넓었으며, 무처리구에서 가장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까지의 소요일수는 대조구에 비 해 EC 1.6과 2.4dS • m-1 처리에서는 각각 2일과 9일이 지연되었다. 꽃의 무게는 EC 0.8dS • m-1 처리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대조구에서 가장 가벼운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