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6

        141.
        2012.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화점 화훼 공간장식에 대한 소비자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소비자와 VMD 및 전문가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연령이 많거나 월 소득이 높을수록 화훼장식에 의해 상품 구매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쇼핑 시 시각적 우선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문가의 경우 오브제 및 장식을 중요 요소로 꼽았으며, 소비자의 경우 매장 표지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화훼장식이 오브제 및 다른 장식과 결합될 경우 고객들로부터 상당히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훼 공간장식이 상품 구매의욕과도 관련성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나 화훼 공간장식이 백화점 분위기 조성에 매우 기여하고 있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14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백화점 내 soft sculpture를 활용한 국내외 디스플레이 사례를 조사하여 아트마케팅으로서 백화점이라는 장소에 적용 했을 시 판매촉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국내·외 사례를 비교해 우리나라 백화점 디스플레이 현황의 문제점을 제기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백화점 디스플레이는 대체로 단순하고 상품진열 위주에 소품으로써 섬유조형물을 접목 시키는 반면, 국외의 여러 나라들은 화려하고 다양한 오브제를 사용하여 상징적인 이미지 표현 연출을 하고 있었다. 둘째, 국외의 백화점들은 아트적인 요소를 접목한 오브제들로 주제가 있는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여 매장 전체를 하나의 컨셉으로 하여 각 백화점 이미지를 강하게 어필하고 있지만 국내의 백화점은 스토리보다는 상품진열 위주로 나타났다. 현대백화점 같은 경우는, 한 가지 컨셉을 가지고 윈도우와 전체적인 실내인테리어 디스플레이를 통일시켜 점의 이미지 메이킹을 시도하고 있었다. 하지만 소비자들에게 이미지를 어필하기에는 비쥬얼적인 요소가 약하고 연출방법 또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장의 단순한 상품 진열의 시대가 가고 VMD의 개념도입으로 디스플레이도 이제 판매촉진의 방법 중 하나로써 다양한 재료사용과 기법이 요구되는데, 우리나라의 백화점은 아직 그 활용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섬유 재료의 활용에 있어서 다양한 재질감으로 연출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섬유를 활용하기 보다는 다른 재료들을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3.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에서 흔히 사용하는 전신형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감정 표현은 주로 몸동작을 이용한다. 이때 가상 캐릭터가 표현하는 모든 감정에 대하여 각기 다른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인간과 같이 감정의 강도에 따라 다른 크기의 동작을 표현하려면, 만들어야 할 애니메이션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상 캐릭터가 감정 강도에 따라 다른 크기의 동작을 행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 강도별로 캐릭터가 동작을 형성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뼈대에 가중치를 주어 소극적인 표현 또는 과장된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가상 캐릭터에 신체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는 EATool(Emotional Animation Tool)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환경을 통해 걷기 동작에 서로 다른 감정을 부여한 후, 각 감정의 강도에 따라 신체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실험 비교 결과 감정 강도에 따라 동일한 걷기 동작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44.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과의 경우 한 과총에 5개의 꽃이 피는데 그 중 한 가운데의 중심화가 먼저 개화하여 과일로 발달하고 주위의 측과 4개는 스스로 낙과되는 현상을 자가적과성이라고 한다. 적과는 인위적으로 과실의 숫자를 줄여 잎 수와 과실 수의 균형을 맞추는 작업으로 과실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수세, 수형을 유지시켜 안정적인 생산에 도움을 준다. 노동력 절감을 위해 인간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이 자가적과성인데, 자가적과성 품종의 사과에서 측과는 만개 후 30일
        145.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자의 몰입과 편의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한 가지 방법인 사람이 직접 몸을 움직여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체감형 게임이 증가하고 있다[5]. 또한 게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ii 컨트롤러 기반의 체감형 FPS 게임과 참여자에게 필요한 게임 정보를 따로 표시해주는 보조 Display를 장착한 컨트롤러를 제안한다. 그리고 기존의 마우스와 키보드를 이용한 FPS 게임 시스템과 제안된 시스템의 몰입감과 편의성, 흥미를 사용자 설문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14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의 테이블탑 시스템 연구에서는 주로 프로젝션 기반의 테이블 표면에 컴퓨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테이블 표면에서 사용자는 멀티 터치(Multi-touch)나 탠저블 물체 (Tangible object)로 인터랙션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 가능한 테이블탑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적외선 카메라 트래킹과 PDA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중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지원하는 FishBowl 게임을 개발하였다. 이 게임은 고화질 테이블탑 가상환경과 PDA 모바일 인터페이스가 함께 연동하여 사용자의 상호작용성과 체감을 향상시키고 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FishBowl 게임과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사용자 관찰을 통하여 발견된 시스템 유용성과 개선점을 토론하고 결론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한다.
        14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모션 센서 기반의 무선 컨트롤러 위모트(Wiimote)와 같이 다양한 인터페이스들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전통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과는 다른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점차 고화질 및 대형화 되어가고 있으며, 타일드 디스플레이도 여러 곳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화면을 위한 새로운 인터랙션용 장비들이 새롭게 개발되고는 있지만, 타일드 디스플레이와 같은 대형 화면에서의 사용자 인터랙션의 효율성에 대한 분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4개의 다양한 화면 크기와 해상도를 가진 디스플레이들이 마우스와 위모트 사용자 인터랙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148.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플라워 샵의 경영자들의 윈도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서 판매촉진을 유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역별로 나누어 윈도디스플레이에 대한 여러 가지 관심도를 조사해 보았다.조사방법은 서울, 대구,경주의 플라워 샾의 경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플라워 샵 경영자들은 디스플레이가 판매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디스플레이 교체는 경영자가 주로 하는 편이었고 연간 교체 횟수는 3~4회 정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경영자들이 플라워 샵의 판매 촉진을 위해서 추구하는 이미지는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서울은 다양한 상품 구색, 대구는 독특한 상품 포장, 경주는 고객 서비스로 나타났다. 그리고 판매 촉진을 위해서 가장 중점을 두는 곳은 윈도이었으며 설치 유형은 거의 개방형으로 하고 있었다. 디스플레이는 단순형이나 다양형 디스플레이가 많았다.조명기구는 형광등, 할로겐 등을 주로 사용하였고 조명은 베이스라이트가 많았다. 앞으로 플라워 샵 경영자들은 판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독특하고 개성있는 윈도 디스플레이 디자인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14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as a typical silicified plants needs the intemal absorption of silica, especially during the growing period. The leaves and culm of plant are erected up by uptake of silicic acid. Sun light could reach the bottom leaves in the plant communities. In addition, the nitrogen uptake would be physiologically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silica and the quality of rice could be improved by reducing the quantity of protein in grian. In the field experiment designed, the rice cultivar was DonhjinⅠho, Daeanbyeo and transplanting day was May 25, 2007. N levels per ha were 100 and 200kg, respectively and liquid silica(ai 11%, manufactureed by Dongbuhiteck Co.) was sprayed on flag leaves according to 500fold and 1000fold with distilled water and 3 times at an interval of 1week from 30 days before heading. The rice culms treated with each liquid silica levels were shortened and panicle length were increase as compare with the control in the level of each N. The lodging was reduced in the plot that treated with the higher liquid silica application of 100kg as compared with 200kg plot in the filed. The rice yields of the plots treated with silica application were more increased than in the control plot. All yield components, except of panicle number in DongjinⅠ, increased as compare with 200kg plot in the filed. Changes measured by 2-DE in display expression of flag leaves and seed in relation to nitrogen treatment level and silica trements were similar in fashion, yet still displayed distinguishable differences in display strength spots.
        15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with increase tendency of direct sowing cultivation, lodging problem which affect to the high quality rice plant is again raising its ahead. In order to reduce this lodging problem there is a chemical method which uses plant growth retardan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odging reduction as affected by plant growth retardant which is IBP-Metconazole (IPM) in direct-seeded rice on flooded paddy field. IPM treatment carried out 50, 40, 30 days before heading. Hexaconazole treatment carried out 30 days before heading. IPM treatment 30 days before heading resulted the shortest plant culm among the IPM treatments. 4 internode length was shorter by 3.75㎝ in IPM treatmenst than in control. breaking strength was not a difference from between IPM treatments but breaking streng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PM treatments than control. IPM treatments increased yield 10~11% as compared with control. The protein contents of flag leaves by 2-DE were visually higher in the plot treated with the IPM application than in the plot control plot. The proteome approach to elucidate the mechanism which inhibited gibberellin synthase will be future performed in the on-going research.
        151.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중성 및 공공성이 확보된 작품 제작을 위하여 사람들이 어느 정도 화훼장식물을 좋아하고 느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에 환경 관련 디자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환경 심리학적 접근 방법에 의한 시각적 선호성 및 이미지 특성 파악을 위해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미지 특성 분석 에서는 화훼장식물의 전체에 대한 이미지 통계 결과 ‘자연적’, ‘질서 있는’, ‘통일감’, 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깨끗한’, ‘아름다운’ 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인공적인 도시에서의 화훼장식물이 도시 미관에 자연미와 통일감을 부여하는 경관요소로 조화롭게 연출 되어져 이미지가 높게 평가 되었고, ‘깨끗한’, ‘아름다운’의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화훼장식물이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도시 미관을 떨어뜨리는 이미지로 인식된 결과로 보인다. 2. 화훼장식물이 지닌 이미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된 인자분석 결과, 화훼장식물의 이미지 인자는 총 4개의 인자로 추출되었으며, 인자 1은 ‘미관성’으로, 인자 2는 ‘정연감’으로, 인자 3은 ‘중량감’ 으로 설정하였으며, 인자 4는 화훼장식물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이미지, 안정성, 친밀감 등과 관계되는 ‘친숙감’으로 설정하였다. 3, 4개의 인자들의 인자점수(Factor Score)를 이용한 유형별 산술평균 결과, 미관성 인자와 정연감 인자에서는 모두 유형 Ⅲ이 가장 높게 나타나 입체조형물이 시각적인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입체조형물에 연출된 화훼장식물의 질서와 통일감으로 인한 시각적인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중량감 인자와 친숙감 인자에서는 공히 유형 I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화단에 식재된 화훼장식물로서 장방형의 형태에서 오는 안정감에 기인한 것이며, 한편으로는 예전부터 우리 주변에 있어온 형태의 친숙감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외부공간에 연출된 화훼장식물의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친환경성, 「스토리텔링 기법」등의 공감대를 형성이 중요한 것으로 보이며 화훼장식물이 외부공간에서의 역할을 주변경관과의 어울림의 고려가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5. 시각적 선호도와 화훼장식물의 이미지와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 I과 유형 Ⅱ에서도 미관성 인자가 높게 나온 반면 유형 Ⅲ에서는 정연감 인자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전반적으로 화훼장식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의, 미관성 인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화훼장식물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화훼장식물의 조형미를 높일 수 있는 디자인적 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6. 외부공간과의 시각적 조화성을 분석한 결과, 시각적 조화도를 보인 작품들 대부분이 유형 Ⅲ의 입체 조형물에 연출된 화훼장식물로서, 선정된 작품들 또한 색채, 재료, 크기, 형태, 위치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볼 때, 화훼장식물을 연출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려면 고른 조화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7. 화훼장식물 전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 I에서는 색채의 조화가 , 유형 Ⅱ와 유형 Ⅲ는 각각 위치의 조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컨테이너에 식재된 화훼장식물은, 이동이 가능한 가변성이 있는 작품으로 주변 환경과 컨테이너에 식재된 화훼장식물과의 조화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가 가장 잘 이루어져 완성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외 화훼장식물의 유형을 3가지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한 바 감상자들이 원하는 화훼장식물의 형태는 목적 공간에 맞는 적극적인 연출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듯이, 이제 화훼 장식물의 역할은 단순히 지표의 역할을 하는 기능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공공예술로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결과에 부합하기 위하여 향후 개선해야 할점도 적지 않음을 알수 있다. 시대적 트랜드에 맞는 형태의 디자인 개발과 화훼류의 선택및 이용방안 연구 또한 필연적 과제임을 인식하게 된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아름다운 도시 경관에서의 녹(綠)과 화(花)의 제2의 창출과 화훼예술의 대중적 기여를 목표로 한 외부 화훼장식을 위한 디자인 기획과 연출시, 이용자 선호도 반영및 주변 경관과의조화성 기준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더 나아가서 아름다운 도시를 창조하는데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155.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많은 분야에서 장비 또는 상용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고, 새로운 기술과 타사 제품의 장점이 더해지면서 점차 복잡해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점차 복잡해져가는 장비의 사용성(Usability)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보를 통합하는 설계(Information Integration Design)가 주목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정보 통합이 절대적으로 좋은 것일까? 본 논문에서는 각 나라의 선급에서 추진하고 있는 Conning Display 설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과도한 정보 통합 보다 정보를 통합하는 과정 속에서 행해지는 정보의 분산(Information Distribution)이 더욱 효율적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러 인간공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Conning Display를 설계해 보았으며, 수행도 평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적절한 수의 정보를 적절한 곳에 배치한 대양(연안) 항해 시 그리고 목적 항 입출항시로 구분된 Conning Display가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157.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진열중 조도 처리에 따른 재래종 돈육과 개량종 돈육의 지방산화 및 육색 안정성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평균 출하체중 66 kg의 재래종 돼지(거세돈) 5두와 112 kg인 개량종 돼지(, 거세돈) 5두를 도축하여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에서 5일 동안 숙성한 다음 의 암실 및 3,000 lux에 7일 동안 진열하였다. 재래종이 개량종보다 높은 지방 함량을 가진 반면(p 함량을 가졌다(p
        158.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actile sens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ensory functions for human perception of objects.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technical challenges in the field of tactile display as well as tactile sen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novative tactile display device based on soft actuator technology with ElectroActive Polymer(EAP). This device offers advantageous features over existing devices with respect to intrinsic flexibility, softness, ease of fabrication and miniaturization, high power density, and cost effectiveness. In particular, it can be adapted to various geometric configurations because it possesses structural flexibility, so it can be worn on any part of the human body such as finger, palm, and arm etc. It can be extensively applied as a wearable tactile display, a Braille device for the visually disabled, and a human interface in the future. A new design of the flexible actuator is proposed and its basic operational principles are discussed. In addition, a wearable tactile display device with 4x5 actuator array(20 actuator cells) i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is confirmed
        159.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자포니카 벼 114 계통에 대해 다양성과 근연관계를 확인하고자 MITE 중에서 mPing family를 이용하여 MITE-TD 기법으로 분석하여 품종간의 다양성 정도를 산출한 결과 마커들의 PIC 값이 0.293~0.499 범위로 나타났다. 2. 두 개의 mPing primer와 selective primer인 BfaI+G 와 BfaI+C의 조합을 이용하였을 때, 공시계통인 114개의 자포니카 벼 전체를 구분할 수 있었다. 3. NTSYS-pc를 이용한 근연관계 분석 결과, 유사계수의 범위는 0.802에서 부터 0.081까지였고, 자포니카 벼 114 품종은 크게 5 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4. 8 개의 MITE-AFLP marker 연관분석을 밀양 23호/합천앵미 3호 조합 RIL을 이용하여 실시한 결과, 이들은 염색체 l번, 2번, 4번, 5번, 7번 그리고 9번에 각각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