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1

        14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major task for the teacher is to engage students in three kinds of learning: learning of language, learning through language, and learning about language (Halliday, 1979). Therefore, in order to help students learn and use language effectively, teachers themselves need explicit knowledge of language, and need to be aware of what students are trying to achieve and learn. There have been many classroom research investigations into this issue with respect to the role of the first language (L1) in facilitating learning (Osman and Hannafin 1994; Johnson 1997). Classroom-oriented research has led to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great complexity of both the language used and the learning process. Classroom language can be investigated systematically and no longer needs to be regarded as “an impenetrable black box” (Long 1983 a, 1983 b). Transcripts, coded data and frequency counts can show how classroom interaction develops as it is a dynamic phenomenon (Allwright and Bailey 1991). Marton and Booth (1997, p.107) described learning as ‘a way of coming to experience the world in a certain way, and different ways of experiencing will lead to different learning outcomes’. Marton and Tsui (2004) linked classroom discourse to learning, coining the term “space of learning”: “The second premise is that language plays a central role in learning: that it does not merely convey meaning, it also creates meaning. An understanding of how the space of learning is linguistically constituted in the classroom is best achieved through investigating “classroom discourse”. This research observed and collected data from two different primary four classes taught by two teachers of the same school on the same topic on Chinese words. Multiple data from multiple sources were used for analysis.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he difference usage of discourse in the classroom could bring about different learning outcomes.
        14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일반초등학교에 입학한 장애아동이 학교에 적응하는 과정과 장애아동을 초등학교에 입학시킨 부모들의 경험,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부모들의 경험과 변화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입학 후 1년간의 과정을 거친 장애아동의 어머니 4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세 단계의 심층면담을 대상자별로 진행 하였다. 분석은 Colaizzi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로부 터 기술된 내용에서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반적이며 추상적인 의미단위를 만들고 주제와 주제 묶음으로 범주화한 후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기술하였다. 결과 :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경험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한 초조, 불안, 후회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애 아동이 취학 할 학교를 선택함에 있어 고민과 갈등이 있었다. 셋째, 아이가 잘할 수 있을까 하는 염려, 불안감과 두려움으로 긴장의 연속선상에 있으면서도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교사와의 관계에서 대화와 시간의 흐름을 통한 신뢰가 바탕이 되어 가까워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일 년간의 학교생활을 바탕으로 어렵지만 성장해 가는 어머니 자신과 아이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장애아동 부모의 경험과 변화, 어려움을 이해하여 아동의 특성과 취학을 앞둔 아동의 시기적 상황에 맞는 취학 전 학교적응 프로그램(적절한 가족 지원 및 통합지원 작업치료 서비스)을 개발하고 시행하여 성공적인 전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900원
        143.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trends of massiveness and complexity of construction, the main agents of construction have considered the various types of risk management strategies to minimize the loss caused by the risk factors from the nature of construction proj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cale of construction. The risk management has been conducted, because the risk factors have exacerbated the condition of construction in terms of the level of productivity, quality of construction, atmosphere, and budget. Based on thε interests regarding risk factor management,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work breakdown structure-based process. Additionally, based on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the risk factors on constructions are identified and stratif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salience of each risk factor. The purpose of result is to lead Korean Land Corporation understand and control the risk factors properly for the advanced construction process of Korean Land Corporation. Ultimately the current study contribute to advance of efficient risk management strategies by using ANP method, which identify and control the primary risk factos depending on the impact of the interaction and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4,000원
        144.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경우 교사들 스스로 과학개념이나 내용에서 오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이렇듯 초등교사들이 과학에 부담을 느끼고 과학내용지식에 부족함을 느끼는 상태에서 수업을 하게 되면, 좋은 수업이나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수업이 되기는 어렵다고 경력교사들은 지적하였다. 이러한 초등학교 수업의 전반적인 특징과 초등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에 대한 문제의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등교사와의 면담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과학을 가장 선호하다가 고학년이 되면서 과학을 가장 기피하는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활동이나 실험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hands-on 활동에 머물지 않고 minds-on 활동을 만드는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초등 과학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교사의 과학내용전문성 재교육의 필요성, 초등과 중등 간의 교류의 필요성,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공식적인 입문 프로그램의 필요성, 초등학교 5, 6학년의 경우 교과전담 체제 도입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수업 내실화를 위해 요청되는 초등학교 현직교사 연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4,500원
        145.
        201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English learning anxiety scale for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At the initial stage, 16 items of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Horwitz, Horwitz, & Cope, 1986) were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s for the preliminary test. Then, 177 primary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or the preliminary test.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ndertaken, the English Learning Anxiety Scale (ELAS) was reduced to 14 items, which consisted of two dimensions (oral English classroom anxiety, and low self-confidence in English). The main test was given to 573 primary school students from fourth grades to sixth grades in eight different schools in order to confir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LAS.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monstrated that the ELAS is a valid (TLI, AGFI, CFI>.94, RMSEA=.049) and reliable (Cronbach’s α = 0.891) instrument.
        5,700원
        14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포도 '흑구슬' 품종의 1차지 및 2차지에 착생된 포도 품질을 경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2차지 착생 포도의 품질 특성 및 상품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꽃송이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신초당 화수수는 1차지가 1.1개로 2차지의 0.6개에 비해 많았다. 화뢰수는 2차지가 169.5개로 1차지의 228.8개에 비해 적었던 반면, 착립률이 21.7%로 1차지의 17.4%보다 높았다. 수확기 과실특성을 조사한 결과, 과립중은 1차지 착생 포도가 12.1g로 2차지의 8.9g에 비해 높았다. 과당과 포도당 함량은 변색기 동안 2차지 착생 포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만개 후 90일부터 감소하여 수확기에는 1차지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산함량은 만개 50일부터 1, 2차지 착생 포도 모두 빠르게 감소하였으나 2차지 착생 포도는 만개 후 70일부터 감소율이 완만해졌다. 과피착색도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2차지 착생 포도가 변색기 중 급속한 증가를 보여 단기간 내 높은 착색도를 보였으나, 1차지 착생 포도는 변색기 초기에 착색장해를 받아 수확기 착색도가 2차지 착생 포도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49.
        2011.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s of primary anchor assemblage through a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Primary anchor unit may be used as one of the connection devices between ALC panel curtain-wall and RC slab or main frame of a building. From the analytical resul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yield strength, initial stiffness and maximum strength are obtained and compared with test results.
        3,000원
        150.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 산청 지역에 분포하는 40년생 리기다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지상부 바이오매 스와 순생산량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지상부 바이오매스량은 127.7 Mg ha-1으로 나타났고, 줄기 103.1 Mg ha-1, 가지 17.2 Mg ha-1, 잎 7.4 Mg ha-1으로 나타났으며, 바 이오매스 함량은 줄기목질부 (71.1%) > 가지 (13.5%) > 줄기 수피 (9.6%) > 잎 (5.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상부 순생산량은 10.4 Mg ha-1로 나타났고 줄기 3.6 Mg ha-1, 가지 2.2 Mg ha-1, 1년생 소지 1.3 Mg ha-1, 잎 2.8 Mg ha-1로 나타났다. 순생산량 함량은 줄기 목질부 (34.6%) > 잎 (26.9%) > 가지 (21.2%) > 소지 (12.5%) > 줄기 수피 (4.8%) 순으로 나타났다.
        4,000원
        151.
        201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t shock protein 90 (Hsp90) is ATPase-directed molecular chaperon and affects survival of cancer cell. Inhibitory effect of Hsp90 by inducing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the cancer cell was reported. However, its role during oocyte maturation and early embryo development is very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traced the effects of Hsp90 inhibitor, 17-allylamino-17-demethoxygeldanamycin (17-AAG), on meiotic maturation and early embryonic development in pigs. We also investigated several indicators of developmental potential, including structural integrity, gene expression (Hsp90-, cell cycle-, and apoptosis-related genes), and apoptosis, which are affected by 17-AAG. Then, we examined the roles of Hsp90 inhibitor on viability of primary cells in pigs. Porcine oocytes were cultured in the NCSU-23 medium with or without 17-AAG for 44 h. The proportion of GV arrested oocyt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17-AAG treated and untreated group (78.2 vs 34.8%, p<0.05). After completion of meiotic maturation, the proportion of MII oocytes was lower in the 17-AAG treate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7.9 vs 71.0%, p<0.05). After IVF, the percentage of penetrated oocyt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17-AAG treated group (25.2%), resulting in lower normal pronucleus formation (2PN of 14.6%). Therefore, the inhibition of meiotic progression by Hsp90 inhibitor played a critical role in fertilization status. Porcine embryo were cultured in the PZM-3 medium with or without 17-AAG for 6 days. In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potential were detected between the embryos that were cultured with or without 17-AAG.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end labeling (TUNEL) showed that the number of containing fragmented DNA at the blastocyst stage increased in the 17-AAG treated group compared with control (7.5 vs 4.4, respectively). Blastocysts that developed in the 17-AAG treated group had low structural integrity and high apoptotic nuclei than those of the untreated control, resulting in decrease the embryonic qualities of preimplantation porcine blastocysts. The mRNA expressions of cell cycle-related genes were down-regulated in the 17-AAG treated group compared with control. Also, the expression of the pro-apoptotic gene Bax increased in 17-AAG treated group, whereas expression of the anti-apoptotic gene Bcl-XL decreased. However, the expression of ER stress-related genes did not changed by 17-AAG. Cultured pESF cells were treated with or without 17-AAG and used for MTT assay. The results showed that viability of pESF cells were decreased by treatment of 17-AAG (2 μM) for 24 h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17-AAG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and increased cell death. Expression patterns Hsp90 complex genes (Hsp70 and p23), cell cycle-related genes (cdc2 and cdc25c) and apoptosis-related genes (Bax and Bcl-XL) were significantly changed by using RT-PCR analysis. The spliced form of pXbp-1 product (pXbp-1s) was detected in the tunicamycin (TM) treated cells, but it is not detected in 17-AAG treated cells. In conclusion, Hsp90 appears to play a direct role in porcine early embryo developmental competence including structural integrity of blastocysts. Als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sp90 is closely associated with cell cycle- and apoptosis-related genes expression in developing porcine embryos.
        4,500원
        15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초등학생의 눈 건강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저소득층 학령기 아동의 눈 건강 불평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 국민건강영양조사(2009) 데이터를 이용하여 만 7-12세의 초등학생 93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사회·경제적요인, 눈 건강 관련요인을 χ2 검정하였다. 결 과: 최근 1년간 눈검사 여부, 안경착용비율, 교정시력 1.0이상은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낮은 비율을 보였고, 근시 유병률, 원시 유병률, 자동굴절력계로 측정한 굴절이상도가 ``0~-2D``는 가구 소득이 낮을수록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결 론: 부모의 사회경제적요인과 눈 건강의 관계를 χ2 검정한 결과 유의하지 않았지만, 유병률과 굴절이상도 등의 비율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눈 건강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저소득층 학령기 아동의 눈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해 정기적인 시력검사와 재보정 기회 제공 등의 중·장기적인 안보건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5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Primary Anchor의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구조적 성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Primary Anchor Unit은 ALC 패널 커튼월과 RC 슬래브 또는 주골조 사이에 연결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항복강도, 초기강성과 최대 하중과 같은 구조적 특성을 구하고 자세히 비교분석하였다.
        4,000원
        15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facade construction of brick masonry auditorium through the Auditorium of Namsan Primary School in 1936.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separately as follows. 1. The auditorium is located away from the school buildings, and its plane is a chamber of rectangle type with an entrance installed on each of the four sides. 2. The external appearance is Renaissance eclectic style, laid red bricks on the lower wall of the window and having a mansard roof. The front and the rear are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projected wall at the center. 3. As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 concrete lower wall was built on the concrete continuous footing, and the brick wall was constructed on the lower wall. The roof is queen post roof truss, and the wall girders were installed on the brick wall. 4. The auditorium has had a number of repairing and maintenance works, which changed the roof and windows outside and the floor, walls, ceiling, etc. inside. 5. The decorative elements of external appearance include lower wall, brick wall, entrances, windows, roof, and dormer windows. The brick wall gives verticality and solidity to the surface of the wall, and the lower wall and wall girders are connected like a cornice of the wall. The surface of the mansard roof and dormer windows express a stable vertically oriented shape.
        4,800원
        156.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향후 초등학교 교육용 기본 어휘와 기초한자를 선정함에 있어 실제 선정의 단계에 진입하기 이전에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과 그 선정의 방 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를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는 실제 선정보다 더욱 중요 한 선정의 방법과 절차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 그 논의를 토론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통해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설계의 방법을 도출해 냄으 로써, 이후 구체적인 선정 단계와 그 적용에 있어 예상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초등한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국어교과를 비롯하여 타 언어 교과에서 어떻게 어 휘를 선정하고, 그 어휘를 교육에 활용하는가를 살펴보고, 초등 한자교과에서 어 떻게 기본 어휘와 기초 한자를 선정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한국어에서 한자어와 한자가 가지는 중요성과 특수성을 밝히고, 그러한 특 수성을 가장 잘 반영하기 위해서 무엇을 고려해야하는지와 그 단계를 어떻게 설 정할 것인가에 집중하였다. 기존의 어원별 분류와는 다르게 한자어를 투명도, 상용도, 영역의 확장 측면에 서 분류할 것과 아울러 선정의 실제 있어서 고려해야할 점, 즉, 파생어, 합성어, 접두어, 접미어 등을 어떻게 구분하여 기초자료로 삼을 것인가에 대해 밝혔다. 동시에 초등한자교육의 단계로 투명도가 높은 어휘에 대한 어휘중심의 교육, 한 자중심의 교육, 투명도가 낮은 어휘에 대한 복합교육으로 단계를 설정하였다.
        12,000원
        157.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고창군 일대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바이오매스 추정식을 개발하고 이를 바 탕으로 바이오매스 및 순생산량,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령임분과 성숙 임분의 경우 평균 임령이 각각 10년과 48년으로 나타났으며 임목 전체 건중량은 8.59 kg, 166.66 kg으 로 나타났고 임분밀도를 고려한 단위면적당 지상부 건중량은 17.55 Mg/ha, 122.05 Mg/ha으로 나타났다. 지하부를 포함한 임목전체 건중량은 21.48 Mg/ha, 154.16 Mg/ha으로 나타났다. 부위별 바이오매스 구성 비는 유령임분에서 성숙임분으로 갈수록 줄기목질부, 줄기 수피, 뿌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잎, 가지 구성비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지상부 순생산량은 유령임분에서 6.30 Mg/ha으로 나타 났고 임목 전체에서는 6.95 Mg/ha으로 나타났으며, 성숙 임분에서 11.61 Mg/ha, 임목전체에서 13.19 Mg/ha으로 나타났다. 줄기밀도(g/cm3)는 유령임분과 성숙임분에서 각각 0.338, 0.448로 나타났으며, 임 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일반적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유령임분과 성숙임분 에서 각각 2.304~2.508, 1.318~1.644의 범위로 나타났다.
        4,000원
        159.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and dietary educational conten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on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research objects consisted of 51 kinds of textbooks (15 kinds of primary school textbooks, 29 kind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7 kind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e contents related to food and dietary education were counted and analyzed. Th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wo categories: application method and subject matter. Application method included texts, cases, visual aids (pictures, photos, illustrations, chart, etc.) and activities, whereas subject matter consisted of seven types (well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cooking principles, cooking lessons,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others).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method in primary school textbooks show that visual aids were the most common in all six grades. For the subject matter, 'understanding of food and nutrition' was most abundant in primary school textbooks while 'well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accounted for a large part of the contents in middle school textbooks. However, the contents regarding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were insufficient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contents on traditional foods and culture should be added to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and covered in various subjects. Furthermor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ontents need to emphasize comprehensive food and dietary education and adjust to 'science & technology for lif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