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8

        141.
        201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내한성 강원양파의 건조방법을 달리하 여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FD, HD 40 및 HD 60의 세 가지 분말에 대해 일반성분 분석, 색도, 갈색도, 총 페놀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 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의 결과 FD의 조단백질 및 조지방의 함량이 각각 10.99%, 0.84%로 HD 40 및 HD 60 보다 유의적 으로 높게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Hunter's value로 L값 (lightness), a값(redness), b값(yellowness)으로 나타내었다. FD의 L값이 77.19±0.01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나머지 a값 및 b값은 각각 6.09±0.01과 24.60±0.03으로 HD 60이 높게 나왔다. 갈변도의 경우에도 HD 60이 0.200으로 제일 높은 값으로 나타나 건조 온도가 높아질수록 양파의 갈변정도가 커진 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에 HD 40과 HD 60이 FD 보다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시료의 농도를 0.1, 0.5, 1 mg/mL로 처리하 여 측정한 결과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FD 보다 HD 40 및 HD 60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14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30004’는 웅성불임계통으로 초형은 직립형, 구색은 황색이며 도복기는 5월 15일로 중생계통이다. 초장은 57 cm, 주당 엽수는 7매이며 엽초경과 엽초장은 각 각 14.8 cm, 20 cm이다. 구중은 320 g으로 대구형이며 구형은 구형지수가 95인 고구형이다. 내한성이 강하고 저장성이 높은 특성을 가 지고 있지만 노균병에는 다소 약하다. 채종모구의 개화기는 6 월 1일이며 화경수는 4개이며 화경장과 화구폭은 각각 116cm, 96 mm이며 웅성불임 발현율은 100%이다.
        14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웅성불임 계통 ‘원예30003’은 2002년 ‘402AC203’ 자식 집단에서 웅성불임개체를 선발하여 고정종 자식계통 ‘M2’ 를 교배하여 2004년에 유지계통을 선발하고 2009년까지 4회 여교잡을 하여 계통의 안정성을 확인한 후 ‘MMS26’로 명명 하였다. 2009년에 직무육성신품종 심사를 거쳐 2010년에 국립종자원에 ‘원예30003’로 품종보호 출원하였다. ‘원예30003’ 은 웅성불임계통으로 초형은 직립형 이며 조생계통으로 도복 기는 5월 6일이다. 초장은 72 cm, 엽수 8매, 엽초경은 20.6 cm로 지상부의 생육이 왕성하며 구중은 300 g, 구형지수 89 인 원형의 황색양파계통이다. 저장성과 노균병에는 다소 약하 나 내한성이 강하다. 모구의 채종특성으로 개화기는 5월 24 일이며 채종모구의 화경수는 4개, 화경장은 115 cm, 화구폭 은 86 mm이며 웅성불임 발현율은 100%로 안정적이다.
        144.
        2013.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e red onion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teamed rice cake, Seolgiddok, with 3%, 6%, 9% and 12% of the red onion powder weight in control.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trol with 0% red onion was 43.74% and it steadi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powder (12%) resulting to the lowest at 37.02% for the cake. The springi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of the cak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powder content, while the hardness and cohesiveness increased together with the increase in powder content. The Hunter color value L in the chromaticity of the cak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powder content. The a value of the control was 2.18 and was redder with the increase in powder content, while the b value significantly increased together with the increase in powder content.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cake such as color, flavor, taste and softness and chewiness increased along with increase in powder content. The overall taste was judged to be the best for the sample with the 9% added powder.
        145.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entral composite design along wit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applied to improve the fermentation process in onion (Allium cepa) wine production. The effects of different fermentation parameters (time, temperature, and initial sugar conten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with respect to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wine. The maximum score for the alcoholic content was obtained at 29.27℃ fermentation temperature, 103.43 h fermentation time, and 27.52 °Brix initial sugar content. The maximum score for overall palatability was obtained at 39.27℃ fermentation temperature, 57.28 h fermentation time, and 22.14 °Brix initial sugar content.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were 0.9620 and 0.9060 for alcoholic content and overall palatability, respectively. The ranges of the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28~32℃, 80~90 hr, and 20~25 °Brix) were obtained by superimposing the response surfaces with regard to the alcoholic content and overall palatability of onion wine.
        146.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의 웅성불임을 이용한 고랭지 지역 재배에 적합한 장일형 일대잡종 품종, ‘대관황’을 2007년 고령지농업연구센터에서 육성하였다. ‘대관황’은 ‘만추황’의 웅성불임친을 모친으로, ‘NIHA-5001’을 부친으로 하여 2001년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교배 후 ‘고시가-1호’로 명명 후 2003년에 생산력검정 예비시험을 거쳐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생산력 검정 본시험을 고랭지 3개 지역에서 실시하였다. ‘대관황’의 초형은 직립이며 숙기는 중만생형이다. ‘대관황’의 구중은 시판품종인 ‘히구마’와 비슷하며 구형은 원형이며 구피색은 황갈색으로 ‘히구마’ 보다 저장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대관황’은 ‘히구마’에 비해 가용성 고형분이 높고, 건물중은 비슷하여 저장성이 뛰어나 고랭지 지역 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고랭지지역은 해발 600 m부터 800 m의 다양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다양한 환경 변이가 있으므로 대면적 재배 전 지역적응성을 검토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147.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양파 채종재배 할 경우 차광망설치와 온실천창 개폐, 환기 조건이 양파 채종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6701’과 ‘6704’는 채종 방법에 따른 온실 온도의 차이에 대한 채종량은 10시경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나 시간이 지날수록 상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701’은 채종방법에 따른 온실 습도의 차이에 대한 채종량은 14시까지의 습도에 따라 고위정상관을 이루며 대부부분 상관이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6701’과 ‘6704’는 채종방법에 따른 온실 광도의 차이에 대한 채종량은 대부분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파를 채종 할 경우에는 습도 관리가 영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148.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healthy foods or natural preservatives with garlic (Allium sativum L.), ginger (Zingiber officinale R.) and onion (Allium cepa L.). The polyphenol contents of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analyzed, and they were tested for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SOD-lik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lity (NSA).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tested against four kinds of pathogenic bacteria (L. monocytogenes, S. aureus, E. coli O157:H7, and Sal. typhimurium). The yields of the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28.2, 24.3 and 38.3 percent, and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1,254, 1,523 and 412 mg/100 mL, respectively. The EDAs of the garlic and ginger juice ranged from 95 to 98 percent and over 90 percent in the 40 percent diluted solution. Their SOD-like activities were 64 and 67 percent, repectively. Onion juice had lower activities in EDAs and SOD-like activity than those of garlic and ginger juice. The NSAs of the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56.5, 52.4 and 50.2 percent, respectively. The garlic juice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ur kinds of pathogenic bacteria (L. monocytogenes, S. aureus, E. coli O157:H7 and Sal. typhimurium) and the highest such activity against Sal. typhimurium. From al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t can be concluded that garlic, ginger, onion can be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s and can help develope healthy foods because of their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bundunt polyphenols.
        149.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lecular genetic markers have been widely used as powerful tools for analyzing the genome. In particular, SSR markers have practical applications in breeding systems because they can be used in high-throughput analyses for genetic mapping, heritable diversity testing, purity analysis, and marker-assisted selection. Currently, due to technical advances in DNA sequencing, large sequence databases are available for large-scale SSR mining and marker development. Here, we describe an automated method, the SSR Finder program, for SSR discovery in the onion sequence database, and primer design for amplifying the detected SSRs. A total of 1,049 SSR primers were obtained for genetic purity testing, and 100 SSR sets were analyzed in 14 bulb onion breeding lines using clustering analysis. A total of 20 selected markers from screening of all 1,049 SSR primers, were finally applied for genetic purity testing in three breeding lines, NW1, NW9, and NW10. The initial tests showed that 15%, 71%, and 97% of individuals within NW1, NW9, and NW10, respectively, were genetically homogeneous. These markers produced using the SSR Finder will be useful for investigating the genetic purity of onion breeding lines.
        15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새로 육성된 연황색 구피색을 가진 양파계통들(‘Y-3’, ‘Y-8’)에 대해 양파의 식미와 관련된 화학성분을 석하여 기존 재배품종들과 차이점을 구명하고 관련 특성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양파 육종 소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황색 계통들은 다른 품종들에 비해 가용성 고형물 함량(SSC)과 유리당인 frucose, glucose, sucrose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SSC 함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성분들 간의 상관분석결과 SSC는 양파의 단맛에 영향을 미치는 당 성분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확기의 지표가 되는 도복기도 SSC, fructose, glucose, sucrose 농도와 정의 상관을 보였다. 새로 육성된 연황색 계통들은 육종재료의 변이를 확대와 교배모본으로 활용 함으로서 새로운 형질을 가진 품종육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식미와 관련된 성분들의 상관관계를 구명 함으로서 육종소재 선발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151.
        2012.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dehydrated onions with steaming and heating. Sliced onions were treated as follows: steaming time (X1, 5∼25 min); drying temperature (X2, 55∼70℃) and drying time (X3, 4∼20 hr). All the variables were modelled and analyzed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coefficients (R2) of the water content and water activity model induced from RSM were 0.9514 (p〈0.01) and 0.9455 (p〈0.01), respectively. The water content and water activity were affected by the drying temperature and time. The R2 on the models of Hunter's L, a, b values were 0.9419 (p〈0.05), 0.8818 (p〈0.01) and 0.9360 (p〈0.01), respectively. Hunter's L, a, b values were affected by the drying temperature and time, but Hunter's b value was not affected by the steaming time. In addition, the R2 on the models of overall palatability was 0.8867 (p〈0.05). The maximum palatability response was 5.92 when the steaming time was 13.14 min, the drying temperature was 63.11℃ and the drying time was 14.49 hr.
        152.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실을 이용한 상온 저장시설의 실용화 가능성을 예측해보고 '창녕대고'와 '터보' 양파의 저장성을 비교해 보고자 3개월간 저온과 상온조건에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중량 감소율은 저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저온저장시 3개월 후 약 2% 정도 감소하였고 상온저장의 경우 약 4% 감소를 나타내었다. 저장 전후의 경도를 비교한 결과 저장 조건 및 품종 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수확직후의 경도에 비해 3개월 저장 후 경도가 두 품종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파 외피의 착색정도를 나타내는 Hunter a 값은 두 품종 모두 상온저장한 양파가 저온저장 처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상온저장한 양파의 외피가 건조되면서 착색된 것으로 사료된다. Hunter L 값은 저장조건에 관계없이 저장일수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패율은 상온저장시 창녕대고에 비해 터보 품종이 7.8%로 현저히 낮았으며, 저온 저장시 두 품종 모두 2% 미만의 부패율을 나타났다. 따라서 온실을 이용하여 상온저장 할 경우 저장 가능기간으로는 3개월 이내가 적당할 것으로 예측되며 저장성이 강한 품종을 이용할 경우 저장기간을 더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53.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oxidant substance in black onion was identified. The assays that use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 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s showed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black onion methanol extract had a higher level of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an the other fractions. Two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purified and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via column chromatographies of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using the guided DPPH radical-scavenging assay.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3,4-dihydroxybenzoic acid (1) and quercetin (2) based on mass spectro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The isolated compounds showed a high level of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Compound 2 had a higher level of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an 1.
        154.
        201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양파를 ethanol, methanol 및 물로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비교 검토함으로서 흑양파 추출물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제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흑양파 물 추출물이 28.56%로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도 13.5 mg/g로 가장 많았다. MTT assay 이용한 Raw 264.7의 세포독성에서 물 추출물이 가장 양호한 세포보호 효과를 보였다. 흑양파 ethanol 추출물과 물
        156.
        201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의 매운 맛과 냄새를 감소시켜 섭취가 용이하도록 흑양파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제조조건을 선발하기 위해서 숙성온도, 양파 크기, 그리고 양파 외부의 처리방법을 다르게 하여 흑양파를 제조하고, 각각의 흑양파 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평가함으로서 흑양파를 새로운 식품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흑양파 제조의 기초자료를 조사하였다. 온도에 따른 흑양파 제조효과에서 온도 증가에 따라 갈변효과가 증가하였다. 양파의 크기별은 100 g의 작은 양파와
        157.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명'은 양파와 파간의 종간교잡을 이용하여 육성된 품종으로 추파용 비가림하우스 재배에 적합하며 주요 품종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초형은 외대파형이며 엽색은 파에 비해 다소 진하며 위경기부에 안토시아닌이 착색되며 비대가 약하게 일어난다. 2. 수량구성요소인 초장, 위경장, 위경너비가 크고 주당 생체중은 302 g으로 다수성 형질을 가지고 있다. 3. 파밤나방, 노균병, 녹병, 흑반병에 저항성이 있다. 4. 수량은 13,128 kg/10a로 '금장'에 비
        158.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ulb storability of eight red and ten yellow onion (Allium cepa L.) cultivars grown primarily in Korea was evaluated. During storage, sprouting occurred earlier in red cultivars than in yellow cultivars. In addition, the ratio of sprouted to unsprouted bulbs increased more rapidly in red cultivars than in yellow cultivars. However, not all yellow cultivars had strong storabilities. Bulb storability of three yellow cultivars was as poor as that of red cultivars, suggesting only a slight possibility of a pleiotropic effect of color and bulb storability. Meanwhile, F3 lines of a red cultivar selected based on stronger storabilities showed intermediate storabilities between those of the red and yellow cultivars, implying that strong storability could be obtained by successive selection. In contrast, F1 hybrids from crosses between yellow and red breeding lines showed poor storability compared with the yellow cultivars, indicating that poor storability may be dominant over strong storability.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or and other traits that potentially affect storability, such as fresh and dry weight, water content, and firmness of bulbs, were evalu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trait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colors, although the water content of yellow cultivars and the dry weight of red cultivar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bulb storability and other traits, including weight, water content, and firmness, also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is study, no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between bulb color, storability, and other traits. However, based on these results, red cultivars with stronger storabilities could be developed through successive selection of bulbs with stronger storabilities.
        159.
        201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농축액이 흰쥐 동물모델에서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고지방식이가 혼합된 식이만 공급된 동물군을 대조군, 고지방 식이와 함께 양파 농축액 중 양파만 제거된 농축액만 공급된 동물군을 위약군, 그리고 고지방 식이와 양파 농축액을 함께 공급된 동물군을 농도에 따라 저농도군, 중농도군, 고농도군으로 8마리씩 5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시작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 주 혈
        160.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30002’는 웅성불임계통으로 초형은 반개장형, 구색은 황갈색이며 도복기는 5월 6일로 비교적 도복기가 빠른 조생계통이다. 초장은 43 cm, 엽수는 7매이며 엽초경과 엽초장은 각각 15.5 cm, 18 cm이다. 구중은 283 g으로 대구형이며 구형지수는 93으로 고구형 계통이다. 저장성은 중간정도이나 내한성이 강한 특성이 있다. 채종 특성으로 채종 모구의 개화기는 5월 24일이며 화경수는 3개로 비교적 적고 화구폭은 90 mm이며 100% 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