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6

        14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 GAP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서부경남에 소재한 딸기 농장 세 곳을 선정하여 딸기의 재배단계에서의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 화학적(중금속) 및 물리적(이물)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먼저 작물, 재배환경, 개인위생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한 결과, 위생지표세균인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경우 재배환경에서 최대 7.3 및 5.6 log CFU/g, 개인위생에서 6.3 및 5.4 log CFU/hand or 100 cm2, 잎에서 5.3 및 4.7 log CFU/leaf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Bacillus cereus가 토양에서 최대 6.1 log CFU/g, Staphylococuus aureus가 작업자 손에서 5.4 log CFU/hand로 검출되어 이들 병원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 또한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중낙하균의 경우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 (Cd, Pb, Cu, Cr, Zn, Ni, Hg 및 As)은 모두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물리적 위해요소는 유리조각, 캔 등의 일반쓰레기나 경작지 폐기물 등으로 확인되었다.
        4,300원
        142.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global trades and protection of agro-ecosystem in importing and exporting countries against quarantine pest, quarantine and pre-shipment(QPS) fumigation in perishable commodites like strawberry is critical in terms of quality maintenance of fumigated commodites. Currently, there are limited use of MB fumigation on fruits and vegetables due to low temperature storage and phytotoxic effect or damage in postharvest qualities in many commodites. In this paper, efficacy and quality accessment of methyl bromide(MB) alternatives, ethyl formate and phosphine gas are presented for export strawberry. Efficacy of phosphine gas and ethyl formate are described in terms of concentration × time (CT) products to Frankliniella occidentalis, Aphis gossypii and Myzus persicae.
        143.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ime-zone of pollinating activity according to numbers of Apis mellifera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Maehyang var.) houses was together from 9A.M. to 4P.M., and the peak times of pollinating activity were between 11A.M and 1P.M.. The effects on pollinating activity according to numbers of A .mellifera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 houses were ordered 5bee combs(11,000heads), 4bee combs(8,800heads) and 3bee combs(6,600heads). The rate of workers lost in A. mellifera hives with 5bee combs and 4bee combs during the strawberry cultivating period were lower than that of 3bee combs. The rates of fruit set by pollinating activity according to numbers of A.mellifera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 houses were same level with 99%. The fruit qualities; No. of seeds, sugar content and rate of normal fruit set were same level, but fruit weight was ordered 5bee combs in 16.9g, 4bee combs in 16.4g and 3bee combs in 15.6g. The rate of marketable fruit of 4bee combs and 5bee combs were 5% to 9% higher than that of 3bee combs, respectively.
        144.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 ‘설향’ 품종의 화방별 착과순서에 따른 과중 및 당도의 변화를 조사하여 각 화방별로 착과량 조절 기준의 타당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1화방은 2, 3화방에 비하여 착과수, 과중, 당도, 대과성 과실의 비율이 높았다. 동일 화방 내에서도 상위 과실은 하위에 착과된 과실보다 과중이 증가하였고 당도도 높았다. 과실의 과중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증가하여 과중과 당도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설향 품종의 각 화방별 적정 착과수는 1화방 9∼10개, 2화방 6개, 3화방 4개, 4화방 3개 정도 착과시키는 것이 상품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4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품종인 '매향' 및 '설향'을 대상으로 비가림 포트 육묘 시 자묘 적엽에 따른 묘소질과 개화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딸기 연결 포트에 자묘 받기를 완료한 후 7월 하순부터 정식 전까지 10일 간격으로 4~5회에 걸쳐 완전히 전개된 엽을 기준으로 2매, 3매, 4매를 남기고 적엽하였고 대조구로 무적엽구를 두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적엽의 강도가 강할수록 엽병장이 감소하여 자묘의 도장을 억제시킬 수 있었다. 관부 외경은 적엽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관부 내경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차 근수는 3매 또는 4매 적엽 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체중, 엽면적은 적엽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근중은 일부 3매 또는 4매 적엽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엽은 지하부에 비해서 지상부의 생육을 억제하여 증산량 감소에 의한 정식 후 활착이 보다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엽록소 함량의 경우 적엽의 강도가 강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적엽 시 체내 질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 서 저온 단일 조건에서의 화아분화를 촉진하고 포장내 균일한 개화를 유도하였다. 상품과 수량은 3매 적엽 처리구에서 무적엽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다.
        4,000원
        14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ime-zone of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numbers released of Apis mellifera in the strawberry(Janghui var.) houses was together from 9A.M. to 4P. M., and the peak time of pollinating activity was 1P.M.. The effects on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s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 houses were ordered 5bee combs(11,000heads), 3bee combs(6,600heads) and 4bee combs(8,800heads). The rate of workers lost in A. mellifera hives with 5bee combs during the strawberry cultivating period were lower than those of 3bee combs and 4bee combs. The rates of fruit set by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s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 houses were same level with over 98%. The fruit qualities; number of seeds, sugar content and rate of normal fruit set were same level, but fruit weights was recorded 5bee combs with 40.8g, and 4bee combs and 3bee combs were showed with 37.8g. The marketing income of 5bee combs was 8% higher than that of 4bee combs and of 3bee combs, respectively.
        147.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 묘의 크라운 크기가 정식 후 식물체 생육 및 과실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묘 크기의 기준은 크라운 직경의 크기로 하여 3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A등급 묘는 9.0 mm이상, B등급 묘 8.0∼8.9 mm, C등급 묘 8.0 mm이하로 하였다. 정식기 묘의 크라운 크기가 클수록 정식 후 뿌리 활착 및 식물체 생육이 좋았고, 개화기도 빨랐다. 정화방 첫 꽃 개화기는 A등급 묘가 B등급, C등급 묘에 비해 10일, 평균 개화기는 2∼3일 정도 빨랐다. A등급 묘의 1주당 4월까지 누적수량은 481 g, B등급 445 g, C등급 422 g 으로서, 크라운 직경이 가장 큰 A등급 묘는 B등급, C등급 묘에 비해 각각 8.1%, 13.9% 증수되었고, 2월까지의 초기수량은 A등급 묘가 B, C등급 묘에 비해 각각 23.3%, 39.1% 많았다.
        4,000원
        14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ime-zone of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numbers released of Apis mellifera in the strawberry(Seolhyang var.) houses was together from 9A.M. to 4P. M., and the peak time of pollinating activity was 11A.M.. The effects on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at the strawberry houses were ordered 5bee combs(11,000heads), 4bee combs (8,800heads) and 3bee combs (6,600heads). The rate of workers lost in A. mellifera hives with 5bee combs and 4bee combs during the strawberry cultivating period were lower than that of 3bee combs. The rates of fruit set by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at the strawberry houses were same level with over 98%. The fruit qualities; No. of seeds, sugar content and rate of normal fruit set were same level, but fruit weights were ordered 5bee combs in 37.2g, 4bee combs in 35.6g and 3bee combs in 32.6g. The marketing incomes of 4bee combs and 5bee combs were 9% to 13% higher than that of 3bee combs, respectively.
        149.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sign and develop an ergonomic equipment for strawberry sorting and packing in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s. Potential risk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ssociated with farm workers performing strawberry sor
        4,000원
        15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의 수경재배에서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을 이용하여 배지의 지하부 온도를 관리할 수 있는 가온시스템을 개발하고, 가온튜브내 물의 온도가 25℃ 일 때 배지 4종류(왕겨, 펄라이트, 왕겨 80%+피트모스20%, 펄라이트80%+피트모스20%), 멀칭 2종류(멀칭무, 멀칭)의 처리구별로 온실기온 3수준(5, 10, 15℃)에 따른 배지 내 온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다선식 기온튜브의 제어성능은 3선식이 설정온도 도달성이 30분이며 제어된 온도폭 ±1℃로서 가장 좋은 것으로 니타났다. 배지의 종류별로는 펄라이트 80%의 배지보다 왕겨 80%의 배지가, 멀칭 유무 별로는 멀칭한 경우에서 배지온도가 안정되는 시간이 180분으로 빠르게 나타났다. 왕겨 배지, 멀칭, 온실내 기온 5℃ 일 경우 배지온 모델에서 온도상수 a는 -0.1458, b는 -0.1088로 나타났으며, 개발된 모델을 이용할 경우 저온기에서 온실내 기온에 따라 배지내 온도상승을 예측할 수 있다.
        4,000원
        15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의 수경재배에서 증발냉각방식을 이용하여 배지의 지하부 온도를 관리할 수 있는 냉각시스템을 개발하고 고온기 온실내 기온에 따른 배지내 온도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다공질 필름 덕트법, 배지 상면 기습부직포 멀칭법, 투수부직포 재배조 표면 증발법의 3가지 냉각시스템에 대하여 배지냉각특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투수부직포 재배조 표면 증발법의 경우 온실내 기온 35℃인 배지표면의 온도와 상대습도 50%일 때 재배조 표변의 부직포의 온도는 27℃로 니타났으며, 뿌리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배지내 온도는 28~30℃ 정도로 나타나 외기온에 비하여 5~7℃ 정도로 기장 크게 강하되었다. 따라서, 투수부직포 재배조 표면 증발법이 가장 효율적인 배지냉각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152.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rawberry powder was incorporated into Baikseolgi by substituting the non-glutinous rice flour in the range of 0-8%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on-glutinous rice flour and the effects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pH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higher amount of strawberry powder in the formulation whereas titratable acidity showed a reverse trend (p<0.05). Moisture content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strawberry. Lightness (L*-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higher strawberry powder concentration, indicating that the color of Baikseolgi became dark as also indicated by the visual observation. Redness (a*-value) and yellowness (b*-value), on the other hand,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substitution of strawberry powders up to 8% (p<0.05). Increases in strawberry powder concentration up to 8% in the Baikseolgi form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tensities of sensory color, flavor, and taste attributes; on the other hand, the intensities of sensory moistness and chewines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Results from the consumer test revealed that control received the highest acceptability scores in all attributes but 4% sample also obtained the competitive scores. Finall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several very highly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means used to access physicochemical, sensory properties, and consumer preferences.
        4,000원
        153.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esne, is one of the important horticultural crops cultivated in greenhouses. Tetranychus urticae is one of major strawberry pests, and Neoseiulus californicus and Phytoseiulus persimilis have been used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control of T. urticae. The interactions between T. urticae and N. californicus and between T. urticae and P. persimilis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their control efficiency for T. urticae on a spatially-structured strawberry leaf disc area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on different treatments. The experimental arena was an array of leaf discs (3 cm diameter) placed upside down on a water-saturated cotton pad in an aluminum pan (17.4 x 21.5 cm). Twenty leaf discs (4 x 5) were placed adjacent each other for allowing dispersal of T. urticae and its predatory mites. The temperature conditions were 20, 25, and 30°C and there were six different treatments. The overall population densities of T. urticae were influenced by temperature (20, 25, and 30°C) in N. californicus treatment. In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 P.persimilis was more effective than N. californicus to control T. uritcae. Two predator systems were better than one predator systems to suppress the population density of T. urticae at 25°C. Som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understand the spatial association of T. urticae and its predatory mites in greenhouse crops and fields.
        15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국내육성 딸기 품종인 '매향' 및 '설향'의 관비재배 시 질소와 칼리의 비종이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체 생육 중 생체중 및 건물중은 두 품종 공히 요소 + 황산가리 혹은 유안(황산암모늄) + 황산가리 처리에서 높았으며 기타 초장, 엽수, 엽장, 엽폭, 관부직경 등은 처리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딸기의 수량 역시 생육과 같은 경향으로 특히 '설향'에서 요소 + 황산가리와 유안 + 황산가리 처리에서 수량이 높았다. '매향'에서도 같은 경향이었으나 처리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과실의 품질을 나타내는 당도, 경도 비타민C 등은 처리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험 종료 후 토양분석을 한 결과 토양의 EC는 요소 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반대로 유안 처리에서는 크게 높아졌는데 이는 금후 시험에서 식물체에 염류농도 장해를 일으킬만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딸기 관비재배 시 생육, 수량, 토양 EC 농도, 비료의 용해도 등을 고려하였을 시 질소질 비료로는 요소가 칼리질 비료로는 황산가리가 적합한 것으로 추천되었다.
        4,000원
        155.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당도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딸기의 당도판정에 보다 적합한 조명장치를 설계하기 위해 조명의 영향을 구명하고, 딸기의 당도예측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명방법에 따른 당도 예측 성능을 비교한 결과 4개의 램프로 시료를 직접 조명하는 경우 rSEP= 0.603, SEP = 0.502oBx으로 나타났으며, 광 화이버로 빛을 유인하여 국부적으로 시료에 점 조명한 경우(광 화이버 3개 사용)에는 rSEP= 0.715, SEP = 0.433oBx으로서 후자가 더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램프 반사면의 금 코팅 유무에 따른 당도판정 성능시험을 실시한 결과 금 코팅된 할로겐램프를 사용한 경우 rSEP= 0.837, SEP = 0.510oBx으로서 그렇지 않은 경우의 rSEP= 0.756, SEP = 0.580oBx보다 양호한 결과가 나타나 금 코팅에 대한 당도판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딸기 당도판정을 위한 최적 회귀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PLSR과 PCR을 이용하였다. 전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rSEP= 0.860, SEP=0.498oBx로 양호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가장 좋은 결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최적의 조명상태에서 측정된 스펙트럼 데이터에 OSC 전처리를 한 경우 rSEP=0.891, SEP = 0.443oBx, LV=14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PCR을 이용한 당도 예측은 전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rSEP= 0.845, SEP = 0.520oBx, LV=17으로서 DT 전처리에서의 rSEP= 0.845, SEP = 0.521oBx, LV=17보다 오히려 높게 나타나 전처리에 따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56.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장의 품질 및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능성 부재료인 딸기 퓌레를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한 후 숙성 기간동안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pH는 숙성초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숙성 60일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정산도는 숙성초기 증가하다가 60일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딸기 퓌레의 함량이 높을수록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분활성도는 숙성 60일째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이후 다소 증가하였다.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숙성기간 중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식염의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색지표인 L*, a*, b*값은 일부 b*값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숙성기간 중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효모는 담금 직후부터 숙성 30일까지 1.2-4.9×106 CFU/g에서 1.6-5.1×106 CFU/g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숙성 30일부터 6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여 숙성 90일째 1.1-5.9×107 CFU/g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처리군별로 살펴보면 마찬가지로 숙성초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딸기 퓌레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효모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딸기 퓌레의 첨가가 고추장의 숙성 중 물리화학적 품질특성뿐만 아니라 미생물 생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57.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 분말의 대체량을 0-6%로 달리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을 측정하고 각 특성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딸기 분말 대체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죽의 pH와 쿠키의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반죽의 수분함량은 딸기 분말의 대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평균 수분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딸기 분말의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다(p<0.05). 퍼짐성 지수 역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한편 상관분석결과 딸기 분말 대체수준은 모든 물리화학적 품질특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반죽의 수분함량과 퍼짐성 지수 사이에 양의 유의적 상관관계가 관측되었다(p<0.05).
        4,000원
        15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 배양액의 NO3-N와 NH4-N의 비율을 달리하여 '장희(章姬)' 딸기의 생육, 수량 및 과실의 품질, 그리고 양이온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NO3-N와 NH4-N의 비율은 5.5:0, 4.0:1.5, 3.0:2.5me·L-1로 조절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배양액내의 NH4-N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pH가 낮았으며, EC는 전 실험기간 동안 0.8~1.0dS·m-1로 4월 이후에 5.5:0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약간 낮았으나 그 외에는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NO3-N:NH4-N를 3.0:2.5로 NH4-N의 비율을 높여도 양이온의 흡수에 길항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딸기의 엽병장과 엽폭은 NO3-N의 단독 처리구 보다 NO3-N:NH4-N이 4.0:1.5와 3.0:2.5인 처리구에서 더 길어졌다. NO3-N:NH4-N이 4.0:1.5와 3.0:2.5 처리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과장, 과경, 과중, 당도는 NO3-N와 NH4-N비율 차이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주당 과실 수량은 NO3-N:NH4-N 4.0:1.5의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나머지 두 처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 기간 동안 이상과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4,000원
        15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 재배용 온실 내 재배 벤치에서 생산량을 높이기 위하여 벤치 주위에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경우 환기 등에 의한 풍속으로 인하여 작물 주변의 적정가스 농도가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를 보존시키고자 벤치 주변에 방풍막을 설치하는 방안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온실 내 벤치와 방풍막을 2차원 CFD 시뮬레이션으로 모델링하고 온실 내 공기의 풍속과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구현하여 보존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통하여 설계한 온실의 환경조건에서의 적정한 방풍막 설치 높이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 구현한 온실 내 풍속조건은 0.5, 1.0, 1.5 m/s이고, 방풍막의 높이는 미설치, 0.15, 0.30 m이고, 각 조건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설계상의 편의와 시뮬레이션의 간소화를 위하여 벤치위의 작물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반적인 온실 내의 풍속 조건은 1.0 m/s로, 시뮬레이션 결과 이 때 벤치 위에서의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는 방풍막 미설치 시 420 ppm, 방풍막 설치 높이 0.15 m일 때 580 ppm, 0.30 m일 때 653 ppm으로 나타났다 딸기의 최대 생산량을 위한 적정 생육 이산화탄소 농도가 600~800ppm 정도인 것을 고려하여, 이와 같은 환경조건에서의 방풍막의 설치 높이는 0.30m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이산화탄소 공급조건, 작물의 배치 등의 조건변화에 따른 상황에서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방풍막의 설치가 온실 내에 시비한 이산화탄소를 작물 주변에 머무르게 하는 효과가 상당함을 알 수 있었으며, 설계한 환경조건에서 작물별로 적정한 수준의 이산화탄소량이 공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CFD 기술이 이용될 수가 있음을 보였다.
        4,200원
        16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매향' 등 6품종을 대상으로 유기재배 방법으로 촉성 및 반촉성 작형에서 재배하여 생육, 수량, 과실 품질 및 병해충 발생 양상 등을 조사하여 유기농 재배에 적합한 딸기 품종을 선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년에 걸친 시험 결과 두작형 모두에서 '설향'의 수확량이 타품종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높았다. '설향'의 재배기간 전체 평균 당도는 12.0˚Bx로 타품종과 비교하여 낮은 경향이었으며 특히 고온기에 당도저하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촉성 재배의 주요 출하시기인 2월 하순까지는 타품종과 비슷한 당도 변화를 보였다. '설향'의 경도는 평균 279g/Φ5mm로서 기존 촉성재배 대비 품종인 '아키히메'보다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산도는 '매향'(0.69%)에서 가장 높았다. 촉성 재배시 '선홍'에서 생체중 및 근중이 타 품종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엽면적은 '설향'이 유의성있게 높았다. 반촉성재배시 품종간 생육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병해충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설향'의 잿빛곰팡이병 발병도가 높게 나타났다. 재배 및 육묘기 모두 '설향'이 흰가루병에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목화진딧물 발생량도 타품종과 비교하여 낮은 경향이었다. 점박이응애 발생량은 '레드펄'에서 낮은 밀도를 보였다. 전체적인 생육 및 병해충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설향'이 촉성 유기 재배에 가장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되었으며 반촉성 재배시에는 고온기 '설향'의 경도 및 당도가 저하되어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