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8

        161.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ynthesis of the NiTi shape memory alloy using the thermal explosion mode of the self-propagating high-temperature synthesis has been investigated. The significant fractions of intermetallics phases were found to form at the Ti/Ni powder interface during the heating to the ignition temperature and seemed to influence the relative fraction of phases in the final products. As the heating rate to the igni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the combustion temperature and the fraction of NiTi in the final reaction products were increased. The synthesis reaction under 70 MPa compressive pressure yielded a reaction product with 98% theoretical density.
        4,000원
        162.
        1994.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량의 misch metal과 Zr을 함유한 CuZnAI형상기억 합금의 변태온도에 미치는 열사이클 및 기계적 성질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합금원소 첨가에 따라 결정립에 매우 미세화 되었으며 용체화 처리후 100~350˚C구간에서 경도값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post quench aging과 step quench aging처리한 결과 200˚C와 250˚C에서 최고의 경도값을 나타냈다. Mf온도이하에서 인당시험한 결과 파단강도와 연실율은 결저립이 미세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파단강도는 as quenching처리한 경우보다 post quench aging처리한 경우에 보다더 증가하였다. β-상에서의 시효는 Ms온도를 강하시켰으며 마르텐사이트상에서의 시효는 As 온도를 증가시켰다. post quench aging 에 따른 As의 변화는 β에서의 회복율에 기여하였으며 변태온도 (As-Ms)히스테리시스는 열사이클에 의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200원
        165.
        202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엘리엇은 초기 시에서부터 후기의 시극까지 베르그송의 순수 기억을 사용하여 과거에 잃어버린 자아를 찾았다. 가족 재회에서 엘리엇의 분신인 주인공 해리는 결정론적 시간에 갇혔으나, 베르그송의 순수 기 억의 힘으로 자신과 조상의 원죄를 찾고 자신이 저지른 악을 깨닫고, 죄를 씻는 속죄의 고행을 택한다. 중세의 가톨릭 교리와 신앙을 대표하 는 단테의 신곡에는 죄를 정화하는 연옥과 죄에 대한 벌을 받는 지옥 이 나온다. 죄의 벌로서 지옥의 고통과 연옥의 죄를 씻는 정화의 길은 앵글로 가톨릭을 가진 엘리엇에게는 필수적이며, 해리의 속죄는 엘리엇 이 비비안과 해리가 저지른 악에 대한 벌이며 씻는 행위이다. 앵글로 가톨릭의 속죄는 “엘리엇이 느낀 헤일이 받은 고통은 징벌이며 이런 징 벌은 자신이 받아야 하나 그녀가 받고 있다고 괴로워하며 죄책감”이라 는 고백이다. “엘리엇 자신은 15년 전에 헤일을 사랑하지 못한 이유가 자신은 그 당시에 무엇이 문제인지 몰랐으며 내 눈으로 얼마나 내가 그 녀에게 해악을 끼쳤는지 이제 알게 되었고, 모든 사건에 대하여 나머지 삶은 속죄해야 한다는” 결정은 엘리엇이 가진 죄의식의 증거이다. 엘리 엇이 죄의식을 가진 배경은 악이며,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의 악의 개념은 엘리엇의 악의 개념은 일치한다. “죄는 선을 행하면서 자란다”는 베켓의 고백은 인간의 행위에 선과 악이 섞여 있다는 것이 다. 선한 행위에도 죄가 생기며 악한 행위에도 선이 있기에 인간의 의 지에 의한 행위는 악이다. 앵글로 가톨릭에서 행위는 절대적으로 중요 하며, 엘리엇의 시극에서 속죄의 행위는 그가 앵글로 가톨릭의 교리나 신앙을 가졌다는 증거이다.
        166.
        202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작업기억에서의 인지적 능력에 따른 골프퍼팅의 정확성과 일관성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인지적 수 행능력과 실제수행능력 사이의 기능적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방법: 이전에 골프퍼팅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남자대학생 20명과 여자대학생 10명, 총 30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성된 프로그램(MCM; Movement Cognition Measurement)을 이용하여 참여자들의 골프퍼팅에 대한 작업기억에서의 인지적 수행능력을 먼 저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기준으로 인지적 수행능력이 높은 상위 15명과 상대적으로 낮은 하위 15명으로 집단 을 분류하였다. 모든 참여자들은 1m, 2m 그리고 3m의 거리에서 각각 10회씩, 총 30회의 퍼팅을 수행하였다. 측정 된 데이터는 퍼팅수행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분석하기위해 반경오차와 가변오차 값으로 변환되었다. 아울러, 인지적 수행의 정확성과 퍼팅수행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작업기억에서의 인지적 수행능력이 높은 집단이 낮 은 집단에 비해 실제 퍼팅수행의 정확성과 일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기억에 서의 인지적 수행과 실제 퍼팅수행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기억에 서의 인지적 수행능력이 실제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인지적 수행능력이 좋아질수록 실제수행능 력도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종합해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기억에서의 인지적 능력과 실제 수행 이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기능수행의 향상에 인지적 능력이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67.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시-공간적인 작업기억 과제 수행 시 국가대표, 선수, 비선수의 행동학적 특성과 전전두엽의 뇌 연결성을 파악하여 우수한 경기력을 지닌 선수가 가지는 작업기억 능력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라켓종목 선수 국가대표 선수 12명, 선수 12명, 비선수 12명씩 총 3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 과제는 시-공간적 N-back 과제를 난이도에 따라 1-back, 2-back으로 나눠서 60회씩 3회기 총 180회씩 총 360회를 수행하였고,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근적외선분광분석기(fNIRS)와 반응키를 활용하여 전전두엽의 연결성과 반응시 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과제 수행에서 국가대표가 다른 두 집단보다 반응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전두엽의 연결성에서도 국가대표 집단이 강한 연결성을 나타냈다. 결론: 세계적인 경기력 수준을 가진 국가대표 선수들은 경기와 관련된 인지적 요소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작업기억 능력 또한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168.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orking memory is defined as the mechanisms or processes that allow humans to store information in the face of interference such as processing other information during sentence proces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PBL task performance with EFL university students. Forty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orking memory scores (higher and lower groups). Reading span test has been implemented for working memory task. PBL tasks consist of word, phrase, sentence, and explanation levels. The results show that WM capacit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BL task performance. The correlation analysis of WM scores(storage and processing) and PBL task performance showed different tendency in WM higher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 task types.
        169.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운동선수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작업기억 능력과 전전두엽의 활성화 차이를 밝히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 하여 세계랭킹 10위 안에 있는 국가대표 선수와 경력 5년 미만의 선수 그리고 비선수 각각 12명 씩 총 36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각 연구대상자는 실험 중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해서 전전두엽 활성도가 측정되 는 동시에, 2가지의 공간적 작업기억 과제를 60회씩 총 120회 실시했다. 결과: 반응시간의 차이는 국가대표 선수 들이 나머지 두 집단보다 빠르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제 난이도에 따라서 1-back 과제보다 2-back 과 제에서 세 집단 모두 반응시간이 느리게 나타났다. 전전두엽의 뇌 혈류량의 차이는 1-back에서는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back에서 작업기억과 관련 있는 배외측전전두피질(DLPFC)영역에서 집단 간에 활성화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세계적인 수준의 선수들은 작업기억 능력이 좋으며 이와 동시에 전전두엽 특정 영역의 활 성화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고 엘리트 운동선수의 경우에서만 경기력 수준에 따 른 인지적 능력의 차이가 있음을 보고함으로써,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일치된 결론에 이르지 못했던 운동 능력과 인지 능력의 관련성에 관한 추가적인 해석과 더불어 이를 보완하는 신경학적인 증거까지 제시하고 있다.
        170.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철계-형상기억합금을 통해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 부여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철계-형상기억합금-모르타르 복합체의 합성거동을 평가하였다. 실험 변수로 철계-형상기억합금의 활성화 온도를 100 ~ 190℃까지 30℃ 간격으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철계-형상기억합금의 활성화 온도가 30℃ 증가함에 따라 철계-형상기억합금-모르타르 복합체의 회복응력은 약 30%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활성화 온도가 190℃인 실험체는 모르타르에 균열을 발생시킨다.
        171.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provides a method that can be conveniently and easily to apply the prestressing force to concrete structures incorporating shape memory alloy fibers. For this, discrete shape memory alloy fibers were manufactured to be mixed with cement mortar. Then shape memory effect was generated to evaluate uplift displacements at the mid-span of the mortar beams with increasing fiber volume fractions.
        172.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ape memory materials are widely used in high-tech industries. Although shape memory polymers have been developed, they have a disadvantage, only unidirectional resilience. Shape memory polymers with bi-directional recovery resilience have been actively studied. In this study, a bidirectional shape memory polyurethane was synthesized using poly(ε-caprolactone) diol, methylene dicyclohexyl diisocyanate, and hydroxyethyl acrylate. The first physical curing occurred between hard segments and hydrogen bondings when the solution was dried. The second curing in acrylate groups was performed by UV exposure. A degree of curing was analyzed by infrared spectroscopy. The shape memory properties of 2 step-cured polyurethane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UV curing time.
        17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Scopolamine induces cholinergic dysfunction and oxidative stress, and the impairment of memory function. Therefore, oxidative stress and cholinergic dysfunction are important role of the brain pathology of amnesi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Safflower seed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cholinergic dysfunction on scopolamine-induced amnesic mice. Methods and Results : Mice were orally pretreated with safflower seed (100 ㎎/㎏ body weight) or vehicle for 7 days, and scopolamine (1 ㎎/㎏ body weight)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30 min before the behavior tests such as T-maze and novel objective recognition test on first day. To evaluate learning and memory function, the Morris water maze task was performed for 5 days, consecu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spatial perceptive ability and novel object recogni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preadministration of safflower seed compared with scopolamin-induced control mice in the behavior tests. Consistently, immuno blot revealed the elevated expression of superoxide dismutase 1 in the safflower seed pretreated mice, compared to the control mice. Moreover, protein expression of acetylcholinesterase was decreased in safflower seed pre-treated group. Conclusion : Subsequently, our results suggests that the Safflower seed extract improved memory impairment through inhibition of cholinergic dysfunction and oxidative stress.
        17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experimental results for applicability of Fe-based shape memory alloy(Fe-SMA) as near surface mounted(NSM) reinforcement . Three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a width of 300 mm and a height of 200 mm were fabricated for the study. Reinforcement(Non-Reinforced, Reinforced), Activation(Non-Activation, Activation) were considered as experimental variable. Specimens, which reinforced with Fe-SMA have 50% less deflection then non reinforced specimen on 10kN load. Specimens, which activated Fe-SMA has 38% less additional deflection then non activated specimen in 2 weeks.
        17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RC) beams strengthened with an iron based-shape memory alloys strip(Fe-SMAs) by a near-surface mounted (NSM) method was evaluated. The pre-strained values of 0% and 4% and introduced prestressing force by an activation of a shape memory effect of the Fe-SMA strengthening material were considered as experimental variabl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a large increase in initial stiffness of beams reinforced with 4% pre-strain. On the contrary, The effect of prestressing seems to be insignificant on the yielding and ultimate loads of tensile bars.
        176.
        201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내당능 장애 모델의 학습 및 기억력 장애에 대한 스피룰리나 섭취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당부하 검사(IPGTT)를 통하여 고지방식이를 통한 내당능 장애가 유발되었음을 확인하였고, SP는 HFD 대비 약 20%의 당 내성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 식이로 인지 기능 손상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의 Y-maze 및 Morris water maze 시험을 진행한 결과는 SP에서 CND 대비 학습 및 장·단기기억력 장애가 유의한 수준으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청분석 결과는 스피룰리나 섭취가 일반식이로 전환한 것과 비교하였을 때, HFD 대비 LDLC 감소 및 HTR(HDLC의 비율) 증가를 통한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효과를 나타냈다. 적출된 뇌와 간 조직을 대상으로 SOD 활성, oxidized GSH 함량 및 MDA 함량을 측정한 결과 스피룰리나 섭취가 뇌조직뿐만 아니라 간 조직에서 항산화 활성을 향상시켜 주는 것도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지방 식이를 통한 혈당 상승 및 이로 인한 기억능력 저하에서 스피룰리나 섭취는 CND 수준으로의 개선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피룰리나 섭취는 뇌 기능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콜린성 시스템 손상에도 CND 대비 AChE 활성에 더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피룰리나가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내당능 장애 모델에서 발생될 수 있는 뇌기능 저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항산화 효과 및 AChE 저해효과를 통하여, 비만으로 유도될 수 있는 대사성 인지 장애에 대한 개선 소재로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177.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람 부는 밤의 랩소디」의 공간적 배경이 현실이 아닌 악몽과 같은 꿈속이고 시간적 배경은 하루 중 가장 어두운 시간인 자정 열두 시에서 네 시 사이로 유령이 출몰하는 시간으로 알려진 시간이다. 그곳에 고독과 우울에 사로잡힌 화자가 있었다. 현실을 살아가는 화자의 꿈속에서 그가 기억의 밑바닥을 체험하게 된다는 줄거리는 자체만으로도 악몽과 같은 스토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독자의 관점에서 베르그송의 기억원리를 대입하여 화자의 기억을 해체하고 해결점을 구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가로등이 제시하는 순수기억 속에서 화자는 자신의 부분기억을 발견한다. 그의 기억은 어린 시절부터 있었던 도둑질과 살인이었는데 마치 세상 모든 만물이 그에 대한 기억을 망각한 듯하였다. 하지만 달과 기억의 현현에서 화자는 기억이 소멸된 것이 아니라 영원히 남아있음을 목도하게 된다. 달의 만물을 쓰다듬는 손가락과 가로등의 ‘생명을 준비하라’는 마지막 명령, 열쇠, 층계에 놓인 작은 등불을 통하여 화자에게 희망을 암시한다. 화자의 내면의 ‘칼의 마지막 비틀림’을 통해 모든 죄와 기억이 달의 순수기억으로 깨끗이 정화되어 바뀌는 일련의 기억과정들을 엘리엇은 「랩소디」를 통해 증명한다.
        178.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표면매립공법으로 매립한 철계-형상기억합금으로 보강한 보의 휨 거동을 장기 하중 재하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철계-형상기억 합금 길이대비 2%와 4%의 사전변형 및 형상기억효과 활성화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하중 도입을 실험변수로 설정하였다. 1 tonf의 콘크리트 추를 보 중앙에 거치한 후 6개월간의 보 중앙부의 장기 처짐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철계-형상기억합금으로 보강한 보의 휨 강성이 증대되었으며, 사전변형이 증가할수록 보강재의 강성감소로 인한 처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스트레스 하중 도입에 따른 처짐을 비교했을 때, 프리스트레스 하중을 도입하지 않은 실험체에 비해, 프리스트레스 하중을 도입한 실험체는 약 30%의 처짐 감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79.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response are important features of the brain pathology of Alzheimer's disea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afflower seed. Moreover,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Safflower seed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Methods and Results : First, in order to determine active ingredient contents of safflower seed extract, we were carried out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analyses. As a result, dried safflower seed were found to contain 35.4 ± 0.4 ㎎·GAE/g dry weight and 45.3 ± 7.5 ㎎·NE/g dry weight in boiling water extraction. Also, the major compounds of safflower seed from HPLC analysis were identified as serotonin and serotonin derivatives [N- (p-coumaroyl)serotonin and N-feruloylserotonin].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afflower seed showed IC50 values of 331.4 and 168.2, respectively, against DPPH and ABTS in vitro. Finally, with regard to the memory improvement activity, the administration of Safflower seed extract significantly restored memory impairments induced by scopolamine in the behavior tests such as novel object recognition and Morris water maze test. Conclusion :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the safflower seed extract possess potent memory improvement activity and are also a good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ir memory improvement activity.
        180.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MD의 대중적 도입으로 인해 가상현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런 가상현실에서의 활동 은 현실과는 다른 효과들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어 가상현실과 현실 간 비교 효과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가상현실에서의 교육적 효용성은 여러 연구에서 입증하고 있으나, 아직 특수교육의 경험적 맥락에 그치고 있다. 이 연구는 가상현실의 환경 안에서 교육게임콘텐츠의 기억 습득이 이루어 질 때 나타나는 장기기억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상현실이 아닌 e-러닝 조건과 가상현실조건 e-러닝 두 조건 내에서 학습기억실험을 실시하여 장기기억 감소율의 차이에 대한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가상현실그룹에서 보다 낮은 기억감소율이 나타났다. 또한 배경의 유무에 따라 차이를 확인한 결과 가상환경배경이 제시된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상현실의 가상환경이 장기기억의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