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3

        161.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ocessed meta-analysis to test if the effects of laser therapy and mobilization techniques are evidence-based practice for treating tennis elbow. By researching and collect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ennis elbow, we inquired into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each treatment methods on pain, grip strength, and ROM. A total of 10 international and domestic articles on the treatments of tennis elbow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ncluding 7 articles on the effect of laser therapy and 3 on mobilization techniques.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all 7 of the articles on laser therapy and 1 of the mobilization technique were double-blinded and randomized the subjects, and all of the 10 studies were designed in a high quality research, using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ies on laser therapy showed in term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4 out of 7 did not decrease pain after therapy, and 3 out of 5 did not increase grip strength after therapy. In the studies on the effects of mobilization technique, both the 2 studies significantly increased grip strength after therapy. For other studies which measured ROM and tension, the mobilization therapy increased ROM significantly, and decreased tension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shown in a diverse form in terms of the effects of different therapy techniques. This is related to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tools for assessments and diagnoses. Further qualitative studies on the evidence-based practice and researches on tennis elbow are needed.
        5,100원
        163.
        199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분자 전해질의 화학구조가 감습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C1~ C12의 알킬,benzy1, 2,2-diethoxy dthy1기가 치환된 메타크릴계 4차 암모늄 단량체들을 합성하였다. 이들의 감습용액을 0.15mm간격의 빗살 모양의 금전극이 인쇄된 알루미나 기판에 마이크로 주사기로 도포하여 광중합 후 상대습도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포된 막의 두께가 증가하면 임피던스는 감소하고, 치환기의 탄소 길이가 증가할수록 임피던스는 증가하였다. C6~ C8의 알킬기를 가지는 고분자 전해질의 감습특성은 30-90% RH 범위에서 18MΩ-5KΩ의 직선적인 임피던스 변화를 보였다. 또한 임피던스는 온도 의존성을 보여주며 온도가 증가하면 임피던스가 감소하며 온도 의존성 계수는 -0,45% RH/˚C이다. 히스테리시스는 ±2%RH이내이며, 33%-85% RH 사이에서의 응답 속도는 약 35sec이었다.
        4,000원
        164.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의 전반적인 효과성을 메타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출간된 29편의 연구를 바탕으로 총 218개의 개별효과크기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연구대상, 연구기간, 집단크기, 연구 영역 및 세부 하위영역에 따라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활용한 논문은 “CMC”, “컴퓨터 매개 학습”이라는 검색어를 사용하여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및 구글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CMC”를 활용한 영어학습은 전체적으로 중간 크기의 효과를 나타내어(ES=.69)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정의적 영역의 효과크기(ES=.71)가 인지적 영역의 효과크기(ES=.69)보다 약간 더 높았다. 특히, CMC 기반 영어수업은 어휘 및 문법(ES=.87)과 쓰기(ES=.81)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한편, 정의적 영역의 태도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나(ES=.92), 학습전략 영역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또한, CMC는 중·고등학생보다 대학생과 초등학생에게, 중간 기간(5주-11주) 과 장기간(12주 이상)일 때, 그리고 소집단일 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영어교육에서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나 플랫폼 및 SNS 기기들이 활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감안하여 수업을 설계한다면 보다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165.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을 논하고 있는 『대학』을 통해서 역량 중심의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의정심(誠意正心)’ 개념을 올바로 이해하고, 교육의 사태에서 실천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대하여, 첫째, 수기(修己)의 과정에서‘성의정심(誠意正心)’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삼강령과 성의정심의 관련에서 볼 때 『대학』이 인성교육에 주는 시사는 무엇인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주희와 다산의 견해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격물치지론이 팔조목에 대한 인식론적 수준에서의 해명이라면 성의정심론은 삼강령의 신민(新民)과의 관련에서 정(情)의 작용까지 포괄하여, 심(心)의 뜻을 보다 구체적이며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성의정심은 마음의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인성(人性)’은 경(敬)에 상응하는 성의와 정심의 교섭 작용을 통해서 이해 될 때 비로소 교육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인성은 말과 행동으로 외부에 표현되기 이전의 ‘미발(未 發)’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미발시 함양에서 인성의 교육적 측면이 부각된다. 이 글에서, 인성교육의 목적은 자아의 실현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수기(修己)하는 것과 다른 것이 아니라는 점, 그리고 경(敬)을 거점으로 지(知)와 행(行)이 병행될 때에 삶을 통해 만나게 되는 부단한 노력의 산물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바이다.
        166.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골프선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심리기술훈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메타분석연구이다. 방법: 심리기술훈련의 특성상 개별 선수에 대한 심층 분석이 먼저 이루어지고, 그 결과에 따라 훈련요소와 절차가 결정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심리기술훈련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은 단일사례연구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된 심리기술훈련 단일사례연구 총 10편에 포함된 10명의 골프선수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분석대상 논문의 연구방법 및 훈련요소에 관한 일반적인 특성을 개관하였으며, 연구의 중재효과를 비중복비율(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oint; PND)로 계산하여 전체효과크기를 산정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특성(성별, 나이, 소속, 경력), 독립변인의 특성(훈련기간 및 훈련횟수), 종속변인의 특성(심리기술, 자기관리, 경기력)을 분석틀로 설정하고 각 변인별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골프선수에게 실시된 심리기술훈련 중재가 가지는 전체효과크기는 78.87%로 나타났으며, 참여자의 특성 별로 효과 크기를 비교했을 때 여성인 경우, 나이가 어린 경우, 경력이 짧은 경우, 프로보다는 아마추어나 학생인 경우 효과 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독립변인의 특성인 훈련기간과 훈련횟수는 그 기간이 길고 횟수가 많을수록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종속변인별 효과크기는 경기력, 심리기술, 자기관리행동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 대로 골프선수에게 심리기술훈련을 실시하거나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심리기술훈련 설계에 있어서 선수들의 발달단계와 훈련기간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임을 보여준다. 또한 더욱 정교한 심리기술훈련 방법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훈련요소별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167.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교사전문성 개발 활동의 효과를 종합하고, 기관중심 및 교사중심 전 문성 개발 활동 간의 효과크기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 및 박사학 위논문 총 14편(k=66)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전문성 개발 활동 효과의 평균 크기는 0.669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기관중심 교사전문성 개발 활 동(0.673)에 비해 교사중심(1.084)의 평균적 효과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셋째, 효과 크기 연구들 간에는 상당한 이질성이 존재했으며, 전문성 개발 활동 주제 영역(활동 밀도)이 이질성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전문성 개발 활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해 질 필요가 있다. 둘째, 단발적이고 단기적인 기관중심 연수보다는 장기적 으로 운영될 수 있는 교사중심 전문성 개발 활동이 효과적인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마지 막으로 교사중심 전문성 개발 활동 중 최근 부각되는 전문적학습공동체에 대한 효과성 분석 연구 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운영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168.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형태초점 기법 적용 연구들을 메타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암시적 형태초점 기법과 명시적 형태초점 기법의 효과성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형태초점 기법의 적용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59개의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는 학습자 나이, 처치 기간 및 기능, 어휘, 문법의 종속변인별로 구분하여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암시적 형태초점 기법의 경우 0.612, 명시적 형태초점 기법의 경우 0.634의 효과크기를 보이며, 두 지도 방법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 나이 및 처치 기간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명시적 형태초점 기법을 활용한 문법 지도는 언어 기능 지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69.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메타카올린을 혼입한 초속경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압축, 휨, 부착강도, 수밀성,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탄산화 깊이 및 동결융해 저항성에 미치는 폴리머-결합재비 및 메타카올린 첨가량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초속경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휨, 압축 및 부착강도는 폴리머-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폴리머-결합재비에 관계없이, 초속경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강도는 메타카올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메타카올린 첨가량 5%에서 최고 값을 나타내었다. 초속경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흡수율, 탄산화 깊이 및 염화물이온 침투저항성은 폴리머-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속경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의 개선은 폴리머 에멀젼의 혼입에 의해 시멘트 수화물과 골재간의 접착성이 개선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170.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초․중등 대상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효 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연구 목표는 첫째, ‘초․중등 대상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를 분석한다.’ 둘째, ‘범주형 변인별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연속형 변인별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다.’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다문화 교육’, ‘다문화 프로그램’, ‘다문화 효과’를 키워드로 하여 논문을 검색하였고, 2차에 걸친 자료 수집 과정과 대상 논문에 대한 질적 분류 결과 학위논문 30편, 학술지 논문 6편, 총 36편의 논문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총 효과 크기는 .816으로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으며, 이를 비중복 백분위 지수(U3)로 변환한 결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는 79퍼센타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다문화 교육을 시행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약 29% 높다는 것이다. 하위그룹분석 을 실시한 결과, 비교과 영역보다 교과 영역의 효과가, 중등보다 초등교육의 효과가, 언어 적 프로그램보다 비언어적 프로그램의 효과가, 개인․심리적 변인보다 다문화적 변인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가운데 프로그램 내용(교과/비교과)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의 평균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 또한, meta-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집단크기와 교육 기간은 효과 크기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
        171.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기존의 메타인지 연구들을 고찰하여, 운동선수 메타인지의 이론적 구성개념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 메타인지의 정의와 구성개념이라는 주제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메타인지의 정의와 흐름에 따른 구성개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어 메타인지 기능의 하위요인으로 영역적 관점, 학습과 문제해결, 측정방법과 기능의 등을 알아보았다.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의 심리학 분야에서 제시한 메타인지 구조와 운동학습의 구조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운동선수 메타인지의 구성개념을 탐색하였다. 결론: 운동선수의 메타인지는 Schraw, Dennison(1994)의 지식과 통제라는 이론적 구조를 바탕으로 선언적, 절차적, 조건적 지식과 계획, 모니터링, 평가 등의 체계로 구성하였다.
        172.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 산업이 성숙기를 거치면서, 게임의 정체성 자체를 게임의 고유한 양식을 통해서 고찰하는 이른바 ‘게임에 대한 게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디 게임과 아트 게임으로 분류되는 게임 장르를 중심으로 ‘메타 게임’의 정의와 특징, 게임사적 의의를 도출했다. 먼저 메타 게임은 게임의 고유한 매직 서클의 경계를 해체하기 위해 게임의 인공성을 강화한다. 또한 게임의 고유한 특성인 절차성을 게임 플레이를 통해서 형식적으로 제시한다. 세부적으로 메타 게임은 매체를 둘러싼 외부 콘텍스트를 게임의 요소로 활용하며, 게임 공간의 근원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 ‘미로’ 메타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나아가 메타 게임은 게임 특유의 상호텍스트성을 강조하면서 게임 세계 내에서 환상성과 현실성이 공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메타 게임을 통해 게임은 하나의 독립적인 표현 예술이자 실험적인 콘텐츠가 될 수 있는 동시에, 정형성과 관습성을 넘어서서 대안적 매체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메타적으로 제시한다.
        173.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이후 국내에서 그 중요성에 대해 새롭게 논의하게 된 봉사 학습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종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선행 연구 중 실험연구 21편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학습이 학생 발달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어느 수준인가? 둘째, 범주형 변인에 따른 봉사학습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셋째, 연속형 변인에 따른 봉사학습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학습의 전체 효과크기는 0.688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매우 크다고 해석될 수 있다. 둘째,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지논문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봉사학습은 인지적 영역, 심동적 영역, 학업성취도, 정의적 영역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 장애 여부에 따라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지적 장애, 일반 순으로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봉사학습의 네 단계(준비, 실행, 반성, 시연) 준수 여부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면, 준수한 경우, 준수하지 않은 경우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여섯째, 메타회귀분석 결과 봉사학습의 운영기간이 길수록, 프로그램 총 운영횟수가 많을수록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과 관련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174.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에게 국내의 플립러닝 연구를 통합하여 플립러닝 설계 및 실행시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플립러닝 연구 95편을 선정하였고, CMA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립러닝 설계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처치기간은 10주일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토론시간은 25분-30분일 때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립러닝 적용시 숙제가 부여될 때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전 동영상은 교사가 직접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보다 기존의 동영상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수업 시 사전학습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영상시간, 사전학습을 하지 않았을 경우 대안 제시유무,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 제공유무, 학습자 수준에 따른 활동 제공유무, 심화, 보충학습 제공유무, 오리엔테이션 제공유무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설계 및 실행할 때 고려해야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175.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urometer and the proctor penetration resistance tester, which is considered to be efficient in determining the setting time in a simple portability for soil and concrete utilizing organic lime (H) and Goto lime (G), i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portable hardness meter, the durometer and the proctor penetration resistance test perio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durometer will be useful for the measurement of setting time and the time limit.
        176.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ducted to evaluate work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rapid-setting concrete containing metakaolin. The experimental variable selected was the rate of cement replacement with metakaolin at 0, 5, 10, and 15 percent.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compared with the control specimens with no replacement rate, the work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with 5% of cement replaced with metakaolin were comparable to those of control specimens at 4hours; however, at 72 hour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with the same replacement rate was larger than the strength of the control specimens by 4.1%, while no increase in strength was observed at higher replacement rates, implying that the optimum replacement rate of cement with metakaolin is 5%.
        17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with a proctor penetration resistance tester is analyzed for the purpose of judging the setting time of concrete by the convenient portability of the durometer which is a rubber hardness meter.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 of the tilt of the durometer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proctor penetration resistance tester.
        178.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운동중독이 개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 분석을 위해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학술지 30편과 학위논문 24편의 논문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서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중독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나타났다(ES=.252(.268)). 둘째, 운동중독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감정적 애착(ES=.409), 금단증세(ES=.247), 운동욕구(ES=.245), 갈등(ES=.065)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중독은 심리적 행복감(ES=.311)과 여가만족(ES=.311)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삶의 질(ES=.165)과 생활만족(ES=.127)에는 비교적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넷째, 운동중독은 조절변인(남성비율, 출판년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운동중독의 부정적 효과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행동 통제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179.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흰 쥐모델에서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 투 여그룹(LJF-HE-L, LJF-HE-M, LJF-HE-H)에서 염증길이와 위액량이 control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위액량의 유의적인 감소효과로 위 산분비가 억제되어 공격인자 작용이 약해지는 원인과 펩신 의 활성도를 낮추는 원인으로 인하여 위염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 의 위산 분비 억제 기능은 gastrin 및 histamine에 의해 발현 되는 CCK-2r와 H2r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gastrin 및 histamine에 의한 위산 생성 단계를 조절하여, proton pump 인 H+/K+ ATPase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키며, 그 결과로 인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그리고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은 점액을 증가시켜 위 점막을 보호하는 PGE2의 함량을 높여, 위 점막 보호 기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더불어 염증성 cytokine인 TNF-α와 IL-1β의 생성을 낮춰주어 염증 매개반응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 (LJF-HE)이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80.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lti-objective optimization coupled with GA-ANN Metamodeling Method and NSGAⅡ was implemented to optimize TMD installed on 10 story structure under El Centro earthquake. Layer number and nodes of ANN were optimized by use of genetic algorithm and NSGA-Ⅱalgorithm was applied to solve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blem prepared by GA-ANN metamodel. It is found that the GA-ANN multi-objective optimized damper improved frequency responses and root mean square displacements of the structure without TMD by 34.7% and 76.4% under El Centro earthquake,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