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5

        16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가지 서로 다른 소재(대나무, 목재, 피탄, 석탄)로 제조된 10가지 활성탄에 대해서, 30% 알코올모델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6가지 휘발성화합물(isoamyl alcohol, hexanal, furfural, ethyl lactate, ethyl octanoate, 2-phenyl ethanol)의 흡착효율을 평가하였다. 이들 6가지 휘발성화합물은 알코올음료에서 종종 발견되며,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숙취의 원인이 될 뿐만이 아니라 위스키나 보드카와 같은 술에서 이취의 원인물질이 되기도 한다. 6가지 휘발성화합물이 용해되어 있는 30% 알코올모델용액 200 mL에 0.2 g의 활성탄을 넣고 16시간 일정한 속도로 교반한 후에 처리된 용액을 2가지 시료처리방법(direct liquid injection and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 GC분석을 수행하여 활성탄의 제거효율을 구하였다. 활성탄의 제거효율은 휘발성화합물의 종류와 활성탄제조의 소재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ethy octanoate, 2-phenyl ethanol, hexanal에 대한 제거율은 34-100%로 높은 편이나, isoamyl alcohol, ethyl lactate, furfural의 제거율은 5-13%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활성탄의 종류에 따른 제거율은 대나무활성탄인 A가 isoamly alcohol, hexanal, ethyl lactate, furfural 등 대부분의 휘발성화합물에 대해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 < 0.05), 특히 알코올음료에서 숙취와 이취물질이며 fusel oil의 주성분인 isoamyl alcohol, aldehydes(hexanal, furfural), 2-phenyl ethanol에 대한 흡착효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62.
        201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xposure of chemicals from the working environment of nail shops and determine health-related symptoms from the nail shop workers by self-reporting questionnaire. A total of 54 nail shop workers from 15 different locations were asked to conduct a survey concerning their working environment. VOCs (including toluene and nine other substances) and aldehyde(including formaldehyde and four other substances) detected. We stud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concentr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the self-reported symptoms of nail shop worker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neck pain and substances such as 2- propanol, benzene, toluene, n-buthylacetate, ethylbenzene, and xylene (p<0.01). Furthermore, symptoms in the nose irritation, neck irritation and recurrent cough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enzene (p<0.05), whereas, toluen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neck irritation and symptoms such as coughs and fatigue (p<0.05).
        4,300원
        16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푸른 곰팡이병은 그린몰드(green mold)가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버섯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생하 며 균사 생장 시 균상에 발생하여 버섯균의 균사생장을 방해 하거나 기생하여 사멸시키며, 버섯 수확기에 병 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섯 병해의 주범인 그린몰드(green mold)의 생장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 기계 화합물이 첨가된 수목추출물과 시판 항균제품에 위한 그린몰드 생장 억제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T. aggressivum에 대한 유기계혼합제제는 1000 ppm에서 125 ppm과 비교하였을 때 5배 높은 53%의 항균력이 나타났고 시판 항균 제품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 atroviride에 대하여 유기계혼 합제제는 250 ppm 농도에서 30%이상의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났고, 1000 ppm에서 66%의 항균활성을 나타냈 으며 시판 항균제품은 63 ppm에서 80%, 125 ppm에서 83%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 harzianum에 대하여 유기계혼합제제는 1000 ppm 농도에서 56%이상의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났고 63 ppm 과 125 ppm 농도에서 19%로 최소저해농도는 63 ppm이라고 판단되었으며 시판 항균제품의 항균활성은 250 ppm부터 1000 ppm 까지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지만 125 ppm에서는 항균활성이 81%으로 나타났다. T. koningii에 대하여 유기계혼합제제는 500 ppm 농도에서 Trichoderma 5종 균주 중 가장 높은 43%의 항균활 성을 나타냈으며 1000 ppm에서 68%의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시판 항균제품의 항균활성은 T. harzianum과 마 찬가지로 250 ppm부터 1000 ppm 까지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지만 63 ppm에서 항균활성이 90% 로 나타 났다. T. viride에 대하여 유기계혼합제제는 63 ppm 농도에서 13.0%, 1000 ppm농도에서 82%의 항균활성이 나타났 고 250 ppm에서부터 항균활성이 30%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시판 항균제품의 항균활성은 모든 농도에서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richoderma 5종 균주에 대하여 시판 항균 제품은 모든 농도에서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유기계혼합제 제의 항균활성은 1000 ppm에서 53% - 82%로 가장 효과가 좋다고 판단되며 항균제제로서 산업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16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succinic acid and 1,4-butanediol was kinetically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nontoxic organometallic compound catalyst(ESCAT-100E) at 150-190℃. The reaction rates measured by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from the reaction vessel. The Esterific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under the first order conditions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of reactants, respectively. The overall reaction order was 2nd. The linear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apparent reaction rate constant and reciprocal absolute temperature. By the Arrhenius plot the activation energy have been calculated as 376.13 kJ/mol under nontoxic organometallic compound catalyst and also apparent reaction rate constant, k' was found to obey first kinetics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of catalyst.
        4,000원
        16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arried out this experiment to observe an electrochemical properties for LB films of alkyl compounds by the cyclic voltammetry. Alkyl bromides was deposited by using the Langmuir- Blodgett method on the ITO glass. We measured to an electrochemical measurement by using cyclic voltammetry with a three-electrode system(an Ag/AgCl reference electrode, a platinum wire counter electrode and LB film-coated ITO working electrode) in 0.5, 1.0, 1.5 and 2.0 N NaClO4 solution. A measuring range was reduced from initial potential to -1350 mV, continuously oxidized to 1650 mV. The scan rate were 100 mV/s. As a result, an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LB films of alkyl bromides appeared irreversible process caused by only the oxidation current from the cyclic voltammogram. The diffusivity(D) effect of LB films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alkyl compounds amount.
        4,000원
        16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odor intensity and dilution factor using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which is suggested in the Standard method of Odor Compounds, by measuring odor intensity and dilution factor for 4 types of sulfur compounds. For the measurement, 13 panel members were selected through a panel test, and odor intensity and dilution factor by substance produced from the selected panel were estimated. The estimation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odor intensity with dilution factor for the 4 sulfur compounds can be reasonably expressed by the equation [I = AㆍLog D+0.5].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ggested to be used as a base data for research on measures to improve the regulation standards for complex odor concentration at a boundary site in operation, as well as a correlation between odor intensity, concentration and dilution factor for the designated odor substan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4,000원
        16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characteristics of the carbonyl compounds at electronic industrial complex including residential area in Gumi. Also, the spatial analysis was applied to estimate spatial distribution of carbonyl compounds in study area. A total of 196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7 to December 2007 by 2,4-DNPH cartridge and 5 carbonyl compounds such as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yl aldehyde, iso-valeraldehyde, and n-valeraldehyde were analyzed by HPLC. In this study, acetaldehyde showed average concentration was highest among carbonyl compounds during the sampling period. Average concentrations of carbonyl compound were similar between industrial complex and residential area and/or industrial area showed slightly higher than residential area.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regional sources of pollution of each compound estimated by IDW spatial analysis method for spatial interpolation.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stimate odor compounds and to identify sources and apportion the ambient odor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odor control strategies and manage odor problem in industrial complex area.
        4,000원
        17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품종 ‘미소’ 느타리버섯에 대한 성양식에서의 불화합성 체계를 이해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이 실험결과 자실체로부터 채취한 단포자의 교배를 통해 신품종 ‘미소’ 느타리버섯이 자웅이체성이고 4극성 교배양식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꺽쇠연결이 없는 분리된 담자포자는 단핵균사로 판단되었고, 이러한 단핵균사간 화합, 불화합성 여부는 빠른 생육과 활력있는 발달형태를 통해 어느 정도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하였으며 두 단핵 균사체의 대치배양 후에 형성되는 꺽쇠연결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명확히 확인되었다. 예외적으로 교배가 화합성인 경우 형성되는 이핵 균사체가 대치배양의 한쪽 가장자리에서만 꺽쇠연결이 발견되는 일방향 이핵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 실험결과로부터 4극성 교배에 있어서 A1A2B1B2의 이핵 균사체로부터 발생하는 네 가지 유전자 형태, 즉 A1B1, A1B2, A2B1, 그리고 A2B2가 화합성테스트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선발된 나머지의 단핵 균사체의 교배형은 Tester 계통을 이용하였다.
        4,000원
        17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Illicium verum fruit-derived materials against adults of Dermanyssus gallinae were examined using the direct contact application method. Based on laboratory tests, an acaricidal constituent of I. verum fruit was determined because of its potent activit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urrently used acaricides such as dichlorvos, diazinon, and carbaryl. The acaricidal principle of I. verum fruit was identified as (E)-anethole using a GC-MS. Its acaricidal activity was compared with those of 12 compounds having a similar chemical moiety. Based on the LD50 values,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or-(–)-neomenthol were the strongest (0.01 ㎎/㎠]) and (E)-anethole, (+)-or-(–)-menthol, (±)-isoborneol, (–)-menthone, and (1S)-endo-(–)-borneol showed similar results (0.02 ㎎/㎠), and (1R)-(+)-camphor and (+)-menthone also gave good activities (0.03 and 0.04 ㎎/㎠,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showed more toxic acaricidal activities than diazinon and carbaryl, 0.05 and > 0.2 ㎎/㎠, respectively, but were not comparable to that of dichlorvos with 0.0002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 verum fruit-derived materials and tested compounds descried as poultry red mites-control agents could be useful for managing field populations of D. gallinae.
        4,000원
        173.
        2009.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udies on the indoor air quality inside newly producted vehicle have made mainly mention of the concentrations for indoor air pollutants or of subjective symptoms, such as irritated eyes and nose, headache and dizziness. That is, there has been no report about how poor indoor air quality inside newly producted vehicle affects vehicle drivers. We measured the indoor air pollutants inside newly producted vehicle and evaluated the neurobehavioral performance of drivers, using a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 (color word vigilance), between a newly producted and a 11-year-old vehicle. Inside the newly producted vehicle, the formaldehyde concentration with closed window was 19.1㎍/m3. The concentration of VOCs with closed window was 3.9㎍/m3 for benzene, 316.7㎍/m3 for toluene, 20.5㎍/m3 for ethylbenzene, 47.7㎍/m3 for m,p-xylene, 15.1㎍/m3 for o-xylene, and 15.3㎍/m3 for styrene. The neurobehavioral performance of drivers inside newly producted vehicle with the computerized neurobehavioral test was 11.05% lower than that for those inside 11-year-old control vehic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or indoor air quality inside newly producted vehicle affects the neurobehavioral performance of driver and a proper evalu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inside newly producted vehicle is required into the health effects of pollutants with objective tool, in addition to the level of pollution.
        4,300원
        17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의 병해 중에서 가장 방제가 어렵고 버섯의 발생 및 수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푸른 곰팡이병은 그린몰드 (green mold)가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표고, 느 타리, 양송이, 팽이 등 버섯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생된다. 현재 버섯 재배농가에서는 버섯균사생장 기간 동안에 푸 른 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버섯배지 살균 전에 균상표면에 벤레이트, 판마쉬, 스포르곤수화제를 1000 ppm 농도로 살포하는 것이 최대의 방제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섯 병해의 주범인 그린몰드(green mold)의 생장을 제어하 기 위하여 1000 ppm 농도로 조제된수목추출물과 시판 유기 계 화합물에 의한 그린몰드 생장 억제력을 비교 평가 하였다. Trichoderma 5종 균주에 대한 유기계혼합제제의 항균활 성은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높 게 나타났고, 열수추출물보다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첨가량 이 높을수록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T. aggressivum 에서는 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이 34.7% 로 나타났지만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 에 따라 항균활성은 46% - 53% 수준으로 높아졌다. T. atroviride 에서는 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이 35.7%로 나타 났으며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항 균활성은 55% - 66%로 나타났다. T. harzianum 에서 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이 34.9%로 나타났고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43% - 56%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 koningii 는 열수추출물에서 31%의 항균활성을 나타냈 으며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항균 활성은 63% - 68%로 나타냈다. T. viride는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 라 30% - 82%의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Trichoderma 5종 균주 중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17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침엽수재 목분으로부터 유래된 열수추출물로부터 그린 몰드(Trichoderma 류)의 생장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탐색하 기 위하여 낙엽송 및 미송톱밥의 열수추출물을 획득하고 이 들을 다시 n-hexane 용해부, methylene chloride 용해부, ethyl acetate 용해부, water 용해부로 분리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용해부의 그린몰드 항균활성을 검토하고 자 Malt agar 배지에 용해부를 혼합하고, 그린몰드 5종(T. aggressivum, T. atroviride, T. harzianum, T. koningii, T. viride )을 각각 접종하여 생장시켜 그린몰드 억제 성능을 평 가하였다. 낙엽송 열수추출물의 각 용해부를 Trichoderma 5종 균주 에 대하여 적용 하였을 때 균사의 생장은 각각 다르게 나타 났다. 특히 water 용해부는 T. atroviride 및 T. viride 에 대 하여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n-Hexane 용해부는 Trichoderma 5종 균주 모두에 대하 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때 항균활성은 70% - 80%였다. T. viride를 제외하고는 ethyl acetate 용해부가 n-hexane 용해부 다음으로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미송 열수추출물로부터의 각 용해부를 Trichoderma 5 종 균주에 대하여 적용 하였을 때 균사의 생장은 각각 다르 게 나타났다. 특히 water 용해부는 T. atroviride 및 T. viride 에 대하여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못 하였다. n-Hexane 용해부는 Trichoderma 5종 균주 모두 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때 항균활 성은 T. aggressivum 에서 69%, T. atroviride 에서 71%, T. harzianum 에서 62%, T. koningii 에서 76%, T. viride에서 82%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Ethyl acetate 용해부가 n-hexane 용해부 다음으로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17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mi-automatic cryogenic-preconcentrator is constructed with time controlling function in preconcentration and desorption stage. GC-FPD and cryogenic-preconcentrator were to analyze gaseous sulfur compounds (hydrogen sulfide, methanethiol, dimethyl sulfide, and dimethyl disulfide) in ppbv leve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ffer reliable methods for sulfur gas analysis in all procedures (keeping, concentration, desorption, and detection). The cryo-concentrator was able to concentrate 4 L gas sample of 40 % relative humidity. The recovery rate of the system was in the range of 92~100 % at 30 seconds of pre-heating time, and method detection limits were shown up 0.16~0.20 ng which is able to quantify 1 ppbv level with 0.5 L gas sample. The storage time of 5 ppbv sample in polyethylene bag led to serious loss (e.g; H₂S: loss of 30% after storage 3 days). It was estimated that the analytical bias was affected more sensitively by storage time after sampling than by cryo-injection procedures in the analysis of hydrogen sulfide and methanethiol.
        4,000원
        17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 alcohol) (PVA)을 주쇄부(base polymer)로 하여 화학적 가교를 실시하기 위하여 Poly(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 (PSSA-MA)를 첨가하고, 실리카와 술폰산기를 함유한 3-(trihydroxysilyl)-1-propanesulfonic acid (THS-PSA)의 함량변화와 열 가교온도 변화를 통하여 직접 메탄을 연료전지(DMFC)에 적용하기 위한 고분자 전해질 막 소재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제조된 막을 Nafion 115와 함께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함수율, 열 중량 분석(TGA), 이온교환용량, 이온전도도 및 메탄올 투과도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THS-PSA의 함량과 열 가교 온도변화에 따라서 메탄올 투과도가 10 -6에서 10 -8 cm 2 /s로 감소된 결과를 얻었으며, 이온전도도는 10 -3에서 10 -2 S·cm -1으로 향상되어 Nafion 115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180.
        2008.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r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in hospitals and to compare concentrations of VOCsin hospital with public facilities. Mean concentraton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TVOCs) in hospital was 103.97±87.39㎍/m3, that was lower than guideline of KMOE.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VOCs in hospital was 19.07±13.47㎍/m3 for Toluene. The distribution of VOCs in hospitals was log-normal distribution. As the result of Monte carlo simulation, the distribution of VOCs in hospitals was log-normal distribution with the exception of Toluene with normal distribution.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