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0

        161.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外籍人士表示,學漢語最大的困難莫過於漢字(趙金銘,2006)。學漢字必須一個一個地學,一個一個地記。周健、尉萬傳(2004)提出漢字學習三種現象:1. 漢字學習與漢語學習的正相關顯著,漢字學得好的學生往往也是漢語成績好的;2.儘管反復書寫練習是留學生普遍認同的策略,但優秀學生更多地採用音義符歸納策略或整字策略。3.女生成績優於男生,日韓等漢字學習圈學生優於非漢字圈國家學生。 本研究試從教學語言方面探討。研究員曾在香港兩所幼兒園,分別以英語及粵語為主要的教學語言進行識字教學的研究。本文將探討這兩所幼兒園的非華語學童識字能力的表現。 
        162.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Chinese character can be described by a set of characteristics, including stroke number, orthographic structure (e.g. ‘記’ has a horizontal structure vs. ‘隻’ has a vertical structure), symmetry (e.g. ‘開’ has a symmetrical orientation vs. ‘劉’ has a asymmetrical orientation), number of multiple‐character words it is included as a morpheme (e.g. ‘角’ appears in the words ‘角色’, ‘角逐’, ‘角落’ etc.), whether or not it is a phonetic (e.g. ‘交’ and ‘跤’ have the same pronunciation) ort radical, number of neighbors, frequency of appearance in a certain character corpus, and frequency of usage by children in composition etc.. It was accepted since Wang’s work that a character with certain characteristics should, or can, be taught earlier than other character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an elementary school graduate should learn about 2700 characters. Although the characters and when they should be taught to the children were published in 2008, the ground work of this line of research was conducted by Wang (1930), Hu (1935) and others in the 1930s according to Ai (1955). As far as we know, there was not any research that systematically studied Chinese characters’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and use the research results as a basis to select the characters for children to learn.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pertinent to these characteristics for a set of characters, and to find a guiding principle for the decision that whether or not a character should be taught in elementary school and which grade it could be taugh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the information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for about 6000 characters were collected using two methods. The first was to collect information relevant to this research from literature. For example, the frequency of a character used in newspaper was obtained from Academia Sinica Balanced Corpus of Modern Chinese, and the frequency of a character’s usage in children books was from the Characters Used in Children Books Research Report. The second method to collect the information was to compute or conduct studies by the researchers of this research. The software C‐CAT was used to compute a character’s stroke number, orthographic structure, role as phonetic and radical, number of neighbors etc.. The writings of 2911 school children in composition classes were collected. The number of different characters used by the children, and the total frequency that a character used by them, and the earliest grade that a character was used were collected.  Finally, in order to make the information useful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character should be taught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grou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sked to provide their opinions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the characteristics discussed above in selecting characters for children to learn. Based on this research’s results, the researchers selected a group of characters which could be taught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suggested when was the earliest grade that they could be taught.  The characters will be available online at the following website: http://crl.psy.ntu.edu.tw/. 
        163.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本文搜集了国内对日汉字教学研究的汉语文本材料,通过筛选、分类和归纳,对这些研究成果进行综述,从而初步了解当前对日汉字教学研究的发展状况,并试图对今后的发展做出展望。本文认为,自80 年代至今这三十年中,对日汉字教学研究取得了诸多重要成果,意义重大。对外汉字教学研究中涉及对日教学的内容逐渐增多,专门研究文章不断发表。对日汉字教学研究角度更为广泛,涉及汉字差异对比、学生偏误分析、教材、教法等多个方面。在今后的研究中,对日字音、字义的教学, 以及日、韩学生的差异状况,仍是需要学者们持续关注的内容,或可考虑在研究重点上予以关照。随着研究成果不断充实和教学经验持续丰富,对日汉字教学研究将获得更加长远的的发展。
        164.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本文中的“漢字字位”專指記錄漢語單音節語素的漢字形體單位。從古代漢語單音節詞佔優勢,到現代漢語語言單位的“雙元共治”,有必要將漢字的音、義從“漢字字位”的討論中剝離出去,使得漢字字位成為單純的漢字形體概念。“漢字字位”概念的提出具有優勢,首先“漢字字位”符合“字位”(grapheme)這一概念的通常理解。“漢字字位”作為抽象的文字學單位,體現了漢字作為記錄漢語書寫符號系統的本質屬性;其次從漢字構形學角度,“漢字字位”、“漢字字位變體”與“形位”、“形位變體”相呼應,構成組合層級關係;再次“漢字字位”概念的使用,使不同漢字字位變體在共時平面內擁有平等的地位,從理論上打破地域與語言文字政策的壁壘,有助於漢字優化的討論。 
        165.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香港教育當局自上世紀九十年代起開始積極推動資訊科技學習,然而電子學習是否會影響小學生執筆書寫漢字的表現?電子學習與執筆書寫二者之間有何利弊一直沒有受到學者的關注。是次研究以兩所小學四班小五學生合共80人為研究對象,透過錄影及分析學生在書寫上下結構、左右結構、全包圍結構、半包圍結構等字的表現,測量比較電子學習班和控制組學生書寫漢字的筆順習慣和錯字的情況有何不同。研究數據包括學生默書、作文、工作紙等課業的文本分析,並配合書寫漢字小測試及訪談等形式,以期分析電子學習對香港小學生書寫漢字的影響。 
        166.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香港的學生使用漢字時,時常出現錯別字。非華語學生更出現錯字多於別字的現象,這更令人慘不忍睹。 在坊間,我們可以找到一些適合華人學生參考的錯別字書籍或網頁。可惜非華語學生到十年前才開始對中文有點好感,又是少數族群,相關的資訊卻非常懸殊。 筆者對錯別字素有興趣,希望就自己近五年以來從事非華語學生中文學習計劃的工作,按自己的教學經驗;SSP導師提供的學生作品、教學材料;相關的教材等,嘗試分析非華語學生出現錯別字的原因,繼而找出方法改善之。這些原因也有可能發生在國際學校或主流學校學生身上,僅此作為參考。譬如字體問題,無論是教師所寫的字,或是電腦提供的字體,相比華人學生,更要講求端正、標準(楷書比較好),否則一錯再錯。
        167.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根據研究者的華語教學經驗,各程度學習者在漢字書寫上所產生的偏誤類型各有不同,在綜合語言課程的教學現場中,教學者針對漢字書寫的教學,常礙於時間關係,不是簡單帶過,便是集中在六書演變、漢字筆畫及筆順方面。為讓入門階段的學習者更易學習,近來也有許多字源解說的書籍供學生參考,然多集中於象形、指示文字,較適合零、初級的學習者。對進入中高級後字詞量急遽增加的學習者來說,能區別漢字各部件的異同,能記住漢字的個別特徵,進而在書寫時不產生混淆或代換現象,是學習上的一大需求。本文針對教學中蒐集的語料進行偏誤分析,後以部件教學為原則訂出教學策略,並於實際教學後,對比學習者的學習成效,做為未來綜合語言課程的教學參考。
        168.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越南接壤中国并曾受其直接统治达千年之久(111 BC – 939 AD),中国文化对越南影响巨大。其中汉字的传播及其影响十分重要,在较长的时间内,还是越南政府与民间的主要文字,是用来深入地了解儒家、道家、佛教,接受地区的精华,建设政府的制度,创造大越文化特色的工具。17 世纪,国语字出现,慢慢地替代汉字的地位。如今在越南现代社会中认汉字、通汉文的人越来越少。汉字的使用可以分成民间圈与学术圈两部分。其中民间圈包含书法、对联等越南传统习俗;而学术圈指的是研究者、教师与学习者对汉字的学习和使用。近年来在越南汉语、汉字日益增热。越南的汉语教育难题之一便是汉字的教学,据目前情况,激发学习者对汉字的兴趣,提高其汉字学习效率是关键所在。
        169.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汉字字形记忆是中文初学者(特别是非汉字文化圈的学习者)必然面对的难题。目前,研究影响汉字字形记忆的文献还不足以指导教学实践。本研究即试图探讨在电脑多媒体辅助教学的情境中,不同的信息输入(如,真人读音和笔画顺序动画)对汉字字形记忆的影响。100 名在美国学习汉语的大学生参与了本实验。被试以班级为单位据所用电脑生词卡种类分四组:无读音无笔顺,有读音无笔顺,无读音有笔顺,以及有读音有笔顺。统计分析结果:有读音无笔顺组的学生对汉字的字形记忆成绩最理想,有读音有笔顺组的学生对汉字的字形记忆成绩最低。本研究试用双重编码理论 (Dual Coding Theory, 参见Paivio, 1986; Clark & Paivio, 1991) 讨论并解释了实验结果,并对多媒体在汉字教学中的作用进行了新的探讨。
        170.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在第二語言教學領域裡,學習者在文字上的讀寫習得行動,不僅是一種讀寫能力企求的表徵,更是對於所處在地文化語境的社會參與。本研究的目的,即在於從社會語言學的觀點,探討台灣移民華語教學裡的漢字讀寫習得規劃現象。資料來源始自2008年蒐集至今的30多個移民華語班民族誌紀錄;資料分析的重點,在於檢視這些因跨國婚姻徙居至台灣的移民,在漢字習得需求趨向上的共通性。研究結果發現,識讀漢字是移民華語習得的起點,而非傳統的先聽說、後讀寫教學認知。因此研究者最後認為,台灣的移民華語漢字讀寫習得,在本質上,不僅是一種社群本位的第二語言讀寫習得;亦是從識字能力、認同理解、集體參與,進而自我培力的社會讀寫行動。
        171.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部件是漢字的直接構成成份,對部件的認識,特別是部件構字的規則,是漢字教學十分重要而且基礎的教學內容知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大量實證研究結果顯示,培養學生對部件的覺識,大大提高學生漢字學習的成效。然而,漢字如何分拆為部件,其間有何準則?以「業」字為例,有學者分拆為「业」、「羊」、「ハ」(<http://glyph.iso10646hk.net/ccs/ccs.jsp?lang=zh_TW>),但另有學者卻分拆為「业」、「䒑」、「未」(<http://xiaoxue.iis.sinica.edu.tw/ccdb>)。這些差異,反映了漢字部件研究仍有尚待釐清之處,例如,這類分拆有異的漢字有多少?為何有拆分差異?現時的漢字部件拆分研究的理論,能否解釋、評價,乃至判斷這些差異?更重要者,我們能否比較不同學者對漢字部件的拆分,整理出漢字如何分拆為部件,其間有何準則?有多少準則?這些準則之間有何關係並構成怎樣的系統?本文選取香港教育局《小學學習字詞表》第一學習階段(小一至小三)的1775 字為研究對象,比較以下四個港台兩地學術網上漢字平台的部件分拆結果,以見不同學者對該1775 字漢字部件分拆的一致性與差異性:1. 四個港台兩地學術網上漢字平台對《小學學習字詞表》第一學習階段(小一至小三)的1775 字的部件分拆,分拆一致的字有1520 字,差異者255 字;2. 根據以上第一研究問題所見的一致性與差異性,我們整理出漢字部分拆共八項準則 (Maxim),這些準則分別屬「積極準則」(positive Maxims of Chinese Component Analysis) 與「消極準則」,前者指出如何分拆漢字和部件,後者指出何時不直繼續分拆,並據此解釋 255 字分拆有異的原因; 3. 根據以上第二研究問題所見,我們可以整理出《小學學習字詞表》第一學習階段 (小一至小三)的1775 字由哪些基礎部件構成,以及這些部件的結構、層次、成字與否、中層還是基礎部件,有無表音或表意功能、構字能力等構形屬性的 分布。本研究提出「漢字部件分拆準則」(Maxims of Chinese Component Analysis, MCA) 的 概念,並以此概念進一步完善漢字部件理論,研究結果亦有助學者理解不同部件分拆方法和結果。
        172.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本文首先將漢字學領域中的相關學科,透過圖表,呈現彼此之關係;更綜觀當前社會發展方向,發現若干與文字有關之領域,並非傳統「文字學」或「現代漢字學」所能涵括,例如:一、透過現代科技,將古文字形進行數位化,俾能在電腦上呈現、儲存、修改、打印、交換。二、將《說文解字》等傳統研究資料進行信息化,以查尋文字各種屬性,提升研究效率。三、古今漢字綜合查尋,除字形外,尚包括讀音、解釋,以及構詞、成語、筆順等。四、蒐集古今漢字,經由音義比對,析出異體字,以備未來擴大編碼之用。五、比較兩岸及日本現行漢字,並與韓國、越南歷史漢字作比較研究。六、當前學習中文的外國人士日益增多,學習漢字者已不限於母語為漢語的學生,漢字教學方法必須重新調整,或採用多媒體生字卡、漢字筆順動畫、多功能電子辭典等。製作此類漢字教學的輔助工具,必須以文字知識與電腦科技相結合。基於上述種種工作,本文論述「應用文字學」推廣之必要性,並將近年日受重視之「漢字教學」問題,歸入文字應用研究範圍之中。 其次,本文指出有關文字的應用研究,以「形聲字聲符兼表字義」、「現代形聲字的聲符表音率」、「漢字教學」等三個問題最具關鍵性,而三者皆以「形聲字」為核心。從研究上說,形聲字總量、聲符數量、聲符之衍生、聲符兼義比率、聲符之表音率等,皆為亟需解決之問題;從教學上說,漢字以形聲結構數量最多,若能知曉何字聲符兼義,能掌握形聲字讀音的變化,教學時即可舉一反三。然而,由於聲符總數超過1300組,此等龐大整理工作,應由大型教學或研究機構負責,或透過合作研究模式,方有成功之可能。因此,本文以形聲字聲符兼表字義之研究為例,闡述其方法與歷程,盼望為學界之後續研究提供參考。
        173.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一、《說文解字》的析字方法不是“六書” 1、“六書”是古代小學漢字教學的幾個實用知識點,本身不是學術系統或學術理論。 2、“六書”在《說文解字》的多個層面上有所體現,但跟形體結構分析沒有總體對應關係。  二、《說文解字》的析字方法是“構件分析法” 1、《說文解字》作為一部學術著作,以形體結構分析為中心,有自己貫徹始終的一套析字方法,就是“構件分析法”。 2、構件分析法包括“構件功能分析”“構件同形分析”“構件變異分析”三種情況。 3、《說文解字》沒有歸納漢字的結構類型。王寧教授建立漢字構形學,按照構件的功能組合歸納出漢字結構的基本類型,揭示了許慎“構件分析”的思想。  三、許慎析字方法在漢字教學中的應用 1、無論是古代漢字還是現代漢字,無論是繁體漢字還是簡化漢字,都可以運用“構件分析法”進行分析。 2、基礎教育階段,分析漢字重在功能理據的認知和形體異同的辨識,不必糾纏分類和歸類。類型系統屬於學術層面。 3、運用“構件分析法”需要注意的幾個問題:(1)扣緊字形,據形分析;(2)突出功能,據詞分析;(3)符合邏輯,客觀分析;(4)關照系統,聯類分析;(5)注意發展,歷時分析。
        174.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어오고 있는 書法( 중국은 書法, 한국은 書藝, 일본은 書道)예술을 한문교육의 차원에서 재조명하여 그 심미 적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동아시아 한자는 황하문명의 긴 역사를 바탕으 로 다양한 상상력과 창의력이 동원된 문자였다. 우리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에서 는 아주 오래전부터 서법의 예술이 다양하게 발달해 오고 있었다. 이 서법예술 속 에는 다양한 미적 상상력과 창의력이 함의되어 있다. 한자교육은 단순히 識字 교 육 범위를 넘어 동아시아 한자문화의 편린들을 심미적으로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교육할 필요가 있다. 우리 한자문화권의 서법의 역사 속에는 한문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 한 심미적 교육요소들이 무진장으로 함의 되어 있다. 고대 서법예술의 심미적 교 육은 학습자들의 인성을 순화하게하고, 창의력과 상상력을 제공하며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문화를 창도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영역임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서법예술의 심미적인 교육은 학생들의 심성을 순화시키고 다양한 상상력과 창의 력을 개발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한문교육의 일환으로 동양의 고대서법의 미학을 심미적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이 서법의 미학을 어떻게 공부하게 하여 어떻게 심미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가에 대하여 그 목표와 내용, 그리고 그 방법과 평가로 나누어 모색해 보았다. 동아시아 고대서법의 심미적 교육을 통하여 동양의 고대문화 를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하며 문자의 기원과 발달을 생생하게 체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성과 상상력을 마음껏 발휘 시키며 나아가서 서법의 수련을 통하여 심성수양과 인격의 완성까지 추구하게 할 수 있다. 고대서법에 대한 심미적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고대서법 자료를 심미적 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고대서법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 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며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고대서법의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문화의 이해와 소통에 기여하려는 선구자적인 태도를 지니게도 할 수 있다. 한문교육의 다양한 방법의 추구로 한문교과의 심미적 교육의 위상을 제고하는 새 지평이 열리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7,800원
        175.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의 구조 분석 중 육서와 편방, 부건의 구체적 함의와 상호 관계 등의 문제 는 항상 한자의 이론 연구와 교육 실천에 있어서 어려운 문제였다. 필자는 어떠한 구조 분석법이라도 모두가 상상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육서와 편방, 부건의 출현 이 한자의 변천 과정 중 몇 차례 있었던 대변화의 시기와 맞물려 있다고 생각하여, 이 문제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한자 발전의 각 도에서 이 세 가지 용어의 기원과 발전 맥락을 분석하고, 이와 함께 이 세 가지가 내포하고 있는 함의와 관계에 대해 정리하였다
        5,200원
        176.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대외한자교육의 상황과 그 속에 존재하는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외 한자교육은 이제 바닥을 벗어나 교육의 효율성을 증가시켜야 하며, 이 때 한자구 형학의 이론과 방법은 외래 학습자의 상황별 채택과 다양화, 즉 현대 과학정보기 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중국으로 온 학생들에게 한자의 형태와 구조의 의도, 구건 조합의 방식과 고금자의의 동이(同異) 등을 체감하게 하고 이를 통해 대외한자교육의 좋은 모범으로서 새로운 교육모델과 교육 방법을 제시해 줄 것으 로 생각한다. 동시에 한자와 중국어 어휘의 의미, 한자와 중국 문화의 밀접한 관계 를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5,200원
        177.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0년 11월부터 유럽 4개국 5개 고등교육기관 10여명의 중국어교육관련 연구 자들은 매우 중요한 새로운 임무를 부여 받았다. 유럽언어공동기준(CEFR: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을 기초로 한 유럽중 국어공동기준이었다. 중국어는 자모문자가 아니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 연구 는 말하기와 쓰기로 분류하여 설계가 고려되었고, 각 등급에 따라 대응되는 “언어 능력표현”에 말하기-듣기 활동 관련 동사 어휘표와 읽기-쓰기 활동과 관련된 한 자표를 제작하였다. 更科学地把口语和文字区分开来, 以便更有效地发展学习者的语言能力。 본 문에서는 중국어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을 분리하여 강조함으로써 중국 어 교사가 더욱 체계적이며, 더욱 과학적으로 말하기와 문자를 분리하여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론을 체계화하였으며, 이로써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발전시키는데 효과적으로 구성하였다.
        4,300원
        178.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에서 비화교이면서 중국어를 배우는 유아의 숫자는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유치원에서 중국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에게는 이들만을 위한 특별한 교 재, 교학법, 평가방법 등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는 유아들의 학습 요구에 부응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종합 고효율 한자교육법”의 교육과정과 제2언어 학습이론, 홍콩 유아들의 구어(언어)발달 과정의 결과를 참고하고, 비화교 유아들 의 학습 요구와 어려움 등을 함께 고려하여 1셋트의 중국어 한자교육 교육과정과 교재, 교수-학습방법을 설계하였다. 이 교육과정과 교재, 교육 방법의 효과를 인증받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 적으로 비화교 학생만을 교육하는 유치원과 공동으로 교육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 연구에는 저학년과 고학년을 합쳐 모두 35명의 유치원생이 참여하였고, 여기에 그들의 원 중국어 교사 2인도 참가하였다. 모든 유아들은 학습 전 평가와 중간 평 가, 학습 후의 평가를 거쳤으며, 평가 항목으로는 “그림을 보고 글자 고르기”, “글 자를 보고 그림 고르기”, “글자를 보고 읽기”, “마음 속에 생각하는 글자 말하기”, “자유롭게 한자 써 보기” 등을 설계하여 한자의 형음의와 한자 쓰기 능력을 평가 하였다. 이외에도 유아들이 쉽게 망각하는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따로 저학년반 유아들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본 연구가 마무리 된 후 1년 후에 다시 추적연구 를 진행하였다.(학습 후 평가 2와 3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데이터(평균률 증가률과 대응 견본의 조사)를 통해 저학년반과 고학년반 유아들의 “그림을 보고 한자 고르기”와 “한자를 보고 음 읽기”에서 가장 현저한 효과를 보였으며, 다른 두 가지 평가항목에서 조금의 진전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이 교육과정이 유아들의 중국어 듣기와 말하기, 한자를 인식하는 능력에 효율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자 쓰기 방면에 있어서, 두 반의 학생 들 모두 대부분 혼자 한자의 단어를 써서 자기의 의사를 표현하고 있었는데, 이는 이 연구가 유아들의 한자 쓰기 능력을 표현하는데 초보적인 발전에 작용을 하였 음을 보여준다. 실험이 종료된 후 1년 후에 실시한 저학년 반 유아들의 3번째 평가를 통해 우리 는 그들의 한자 능력이 여전히 유효함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는 이 교육과정과 교재가 유아들이 쉽게 망각한다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려 주었다. 더욱이 여러 방면의 평가 지수를 보면 그들의 평가 점수가 고학년 반의 학생들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이 결과는 본 계획이 한자 교육과 한자를 인식하고 읽는데 있어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준다는 것 이외에도, 유 아들의 기억력을 지속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유아들이 어릴수록 한자학습의 효과가 더욱 높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10,100원
        179.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외한자교육은 근래 들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나, 대외 한자교육과 연구 중 에는 아직도 “대외 한자교육의 목적”이 분명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대외 한자교 육은 일정 정도의 맹목성과 피동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문은 대외 한자 교육의 목적을 4가지 방면으로 설명하였다. (1)중국어의 상용 어휘 교육과 결합되 어, 학습자로 하여금 일정 수량의 한자를 학습하게 함으로써 한자를 정확히 사용 함으로써 중국어의 구어와 문어 사용에 적용하게 한다. (2)한자의 구형적 특성을 이해하여 한자가 기록하고 있는 음이나 자의의 규칙을 이해하도록 한다. (3)정확 한 한자관과 스스로 한자를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형성한다. (4)한자의 학습을 통해 한자의 형태 변화와 그 구형적 특성이 중국 사회의 오랜 역사 정보와 중국 한민족의 사물 인식과 사유 방식 등의 문화 요소를 이어 받아 생성된 것임을 이해 하고, 문화 교류의 능력을 함께 배양한다. 본문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위에 서 제시한 “대외 한자 교육의 목적”을 이론화하는 근거를 논하였다.
        4,900원
        180.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웨덴 룬드대학은 중국어 교육의 주요 기지이며, 중문과 전공의 초급 단계 학 생들은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10년이 넘게 『初級漢語』라는 자신들이 편찬한 교 재를 사용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스웨덴어와 중국어를 서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계에 따르면, 『漢語水準詞彙與漢字等級大綱』의 갑급 단어와 비교해 본 결 과, 약 41%의 갑급 단어가 『初級漢語』에 보이지 않는다. 『初級漢語』의 단어가 이렇게 된 이유는 한자의 출현 순서에 따라 본문의 내용을 따라갈 뿐, 『漢語水準詞彙與漢字等級大綱』의 단어 등급과 한자 등급을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외에 도 전문적인 한자과목이 개설되지 않았기 때문에 학생들은 한자의 규칙을 학습하 는데 매우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생들의 중국어 능력을 향상시키 는데 일정 정도의 어려움이 있다. 본고는 비한자문화권 초급 단계 학생들에게 어휘와 한자를 교육하는 방법을 제 시함으로써, 향후 비한자문화권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어휘와 한자 교육에 대해 토의하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