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2

        16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fluence of aging on the flavor precursors and volatile compounds of top round beef was studied. The concentrations of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creatine, dipeptides, and volatile compounds were measured after top round from Hanwoo was aged at 4℃ for 21 days. The amount of free amino acids in top round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ging period. There was no effect of aging on the concentrations of adenosine monophosphate or inosine in top round. The inosine monophosphate content of top round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while the hypoxanthine content in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creatine, carnosine, and anserine in top round were not influenced by aging. In total, 24 volatile compound were identified in aged, cooked top round. Of these, the quantities of aldehydes (propanal, pentanal, hexanal, heptanal, octanal, and nonanal), hydrocarbons (pentane and octane), 2-butanone, ethyl acetate, and pyridines (4-ethynyl-pyridine and 4-acetyl-pyridin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ging. We conclude that the flavor of top round can be improved by aging.
        4,000원
        16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우 사육두수는 한우 암소의 번식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결정된다. 한우 암소의 번식 여부 는 산지가격에 대한 기대가격에 따라 결정된다. 이 논문은 한우 암소 번식농가의 의사결정 행위를 분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네 가지 기대모형이론을 적용하여 어느 모형이 보다 적합한 모형인지를 비교하였 다. 산지가격에 대한 기대가격을 형성함에 있어서 순수기대모형, 적응적기대모형, 부분조정모형, 합리적 기대모형 등 네 가지 모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이들 네 가지 기대모형을 근거로 실제 암소도축과 송 아지공급함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한우 암소 번식농가의 의사결정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적응적기대 모형이나 부분조정모형보다는 순수기대모형이나 합리적기대모형으로 잘 설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모형 전체의 적합도에서는 합리적기대모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 까지 6년간 경남지방 도축장에서 도축한 한우 63,388두에 대한 도 축성적 자료를 근거로 하여 한우의 경락단가 결정에서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등지방 두께, 등심단면적, 도체중 및 근내지방도가 경락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소 제곱 평균법으로 SAS @9.3 Package/P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 요인에 대한 분산분석 즉, 유의성 검정 결과 조사한 형질에 대해 성, 도축계절, 도축년도의 효 과에 대해 고도의 유의성(p<0.01)을 나타내었다. 표현형 상관에서 모든 형질간의 정의상관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경락단가에 대해서는 근내지방도가 가장 높은 0.70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총 가격 에서는 경락단가를 제외한 도체형질 중에서 도체중이 0.74로 가장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요인 별 기여도 분석에서 경락단가에 대한 근내지방도의 기여도는 95.4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가격에 서도 근내지방도가 52.5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도체중이 44.31%로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한우의 경락단가, 총가격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를 산출해낼 수 있었다. 한 우의 경락단가를 높이기 위해서는 근내지방도 위주의 개량이 적합하고 총가격을 위해서는 도체중까지 고려한 개량 및 사양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통해 경락단가와 총가격 의 기여도를 고려하여 가장 높은 수익을 얻도록 전략적으로 출하시기를 선택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 고자 하며 각 형질들의 환경요인에 따른 분산분석결과를 통해 한우농가 수입증대를 위한 한우 개량 방 향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4,000원
        16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n and group size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Forty-eight beef steers, all 15 months of age, were used in this study, and were assigned to 3 groups: control (4/35.28 ㎡), treatment 1 (8/70.56 ㎡), and treatment 2 (12/105.84 ㎡). In additi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every 2 days in each month using CCTV cameras. Each behavior of the treatment group was observ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p<0.05) than the corresponding behavior of the control group in summer, especially feeding behavior. In ad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Locomotion was observed for a significantly longer duration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treatment groups (p<0.05), and resting was observed for slightly longer in the treat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Fighting behavior, related to social status, was observ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treatment groups (p<0.05). In winter, feeding behavior was observed for a significantly longer duration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treatment groups (p<0.05) On comparing the behavior of Hanwoo steers during different seasons, we found that the steers showed more resting behavior during summer and more feeding behavior and movement during winter.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depend on the pen and group size, based on the higher frequency of fighting, rubbing, and scratching observed in the treat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depend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s shown by the seasonal differences in behavior. Under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stress, Hanwoo steers showed increased lying down, drinking and grooming behavior to counter this str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management practices for animal welfare and producticon of cattle in both growing and fattening periods.
        4,000원
        16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rearing spaces on growth performances, behavioral traits, and blood parameters i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heifers and steers. Th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measured to assess the growth performance. A total of 54 Hanwoo heifers and steers at 18 months old, were housed separately in groups of 2, 3 or 4 heads in a pen (32 m2) for nine months. In the case of the heifers, the growth performances were significantly (p<0.05) improved by increasing the 2 head group size with the exception of the 18 month old heifers. However, among the steers the growth performance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p<0.05) after 18 months of age, by increasing the 3 heads group size. In addition, the heifers in groups of 2 heads spent less time standing and more time lying down or walking, and also had a significantly (p<0.05) lower frequency of self-grooming, scratching, and fighting. These findings are similar to the results obtained for steers housed in 2 or 3 heads per group. The steers housed in 2, 3 heads groups spent more time feeding and consequently had a significantly (p<0.05) lower frequency of pair-wise grooming and Leaning. The heifers and steers housed in groups of 4 heads showed lowest red blood cell counts, but highest cortisol conten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t p<0.05. The heifers in groups of 2 heads had the highest hemoglobin concentrations (p<0.05). On the other hand, white blood cell count was found to be the lowest in groups of 2 steer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t p<0.05. We conclude that a large rearing space improved growth performance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blood parameters in Hanwoo heifers and steers. In the future, this data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welfare of rearing Hanwoo cattle.
        4,000원
        16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 시 예상되는 고온기를 대비하여 고온 및 사료 에너지 급여 수준이 한우 번식우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고온 스트레스 시 한우 번식우의 영양소 요구량을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은 한우 번식우 4두(평균체중 491±85.6kg)를 공시하였고, 시험구는 고온 및 사료 에너지 급여 수준에 따라 4 시험구(한국가축사양표준 한우 번식우 유지요구량 TDN의 100%(대조구), 고온 처리 및 TDN 100%(T100), TDN 115%(T115), TDN 130%(T130))로 나누어 개체별 대사케이지에 4×4 Latin square design으로 배치하여, 각 period당 21일씩 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구는 온도 24℃, 습도 60%(온습도지수(THI)=71.46), 나머지 3개 처리구는 온도 30℃, 습도 70%(THI=81.38)로 설정하였다. 외관상 건물소화율은 대조구와 T100구가 각각 81.64와 81.39%로 T115(78.23%), T130구(78.15%)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대조구 대비 혈중 thyroxine, glucose 및 BUN 함량은 T100구에서 수치적 감소가 나타났으나 T115 및 T130구에서 다시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고온처리구의 일당증체량을 기준으로 한우 번식우 유지를 위한 TDN 요구량 산정식 (Y=0.2097X+111.2428)을 도출하였고, 이는 지구온난화(고온기) 시 유지를 위한 한우 번식우 TDN 요구량은 현재 한국가축사양표준에서 제시된 요구량 대비, 11.24%를 증량 급여해야 함을 의미한다.
        4,200원
        167.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능력검정체계에 이용되는 선발형질에 따른 부분육 중량 및 수율의 간접선발반응을 파 악하고 부분육 형질을 선발형질로 포함하였을 경우 선호부위의 유전적 개량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ZPLAN+를 이용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1996년도부터 2013년까지 농협 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 도 축산연구센터,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육종농가에서 당·후대 검정한 한우 수 소 및 거세우 총 10,351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후보 및 보증씨수소 선발가중치와 동일조건 하에서 등심단면적의 가중치를 각각 1, 3, 6으로 하였을 때 등심수율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은 각각 0.222%, 0.282%, 0.328%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현재 선발가중치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분육 형질 을 선발형질로 포함하여 등심수율에만 가중치를 주었을 경우 갈비, 채끝수율은 등심수율과 함께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심수율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또한 안심, 등심, 채끝 등 의 선호부위에 8가지의 경우의 수(가중치: 1 또는 2)로 그룹별 가중치를 주었을 경우, 가중치가 각각 2:2:2인 그룹에서 선호부위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선호되는 부위의 생산량 증대 를 위해서는 이들 부위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한우의 선발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4,900원
        16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ysophospholipid (LPLs, LIPIDOL™)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Hanwoo heifers. A feeding trial was performed for 120 days until slaughter using a herd of 24 Hanwoo heifers. Eight heifers were assigned to each of 3 experimental groups (control, 0.3% LIPIDOL™ and 0.5% LIPIDOL™).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Significantly improved nutrient digestibility was found in the LIPIDOL™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No significant effect by LIPIDO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was observed (p>0.05). However, interestingly, greater carcass weight was detected in the treatment of LIPIDOL™ where less daily gain was found. Although not a significant effect, greatly decreased back-fat thickness and increased loin area were detected in the treatment of LIPIDOL™. In meat characteristics, LIPIDOL™ increased intramuscular fat and tendernes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inclusion of LIPIDOL™ in the diet of Hanwoo heifers can improve carcass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by increasing the carcass index and the meat quality index.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a level of 0.3% might be more efficient than 0.5% with regard to economic effectiveness.
        4,000원
        16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리나라 전통한우인 칡소, 흑우, 백우의 생시, 이 유시, 12개월령, 18개월령, 24개월령의 체중과, 체형형질을 비 교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축은 농촌진흥청 국립축 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에서 2011~2014 년도 까지 사육된 칡소 10두, 흑우 15두, 백우 7두를 이용하였다. 개월령별 체중 변화를 살펴보면, 생시 ~ 12개월령 체중은 흑 우가 가장 높았고 칡소는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고, 18개월 령 ~ 24개월령 에서는 백우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칡소가 가 장 낮게 조사되었다. 전통한우 24개월령 체형형질 측정치가 암소는 같은 개월령 의 황우와 비슷하게 추정되었지만, 수소는 26개월령 황우 거 세우와 비교하여 큰 차이로 낮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황우 수소의 개량효과를 시사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암소의 번식관련 형질인 고장, 좌골폭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면, 칡소는 체중, 체장, 요각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흑우는 체고, 십자부고, 요각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백우는 모든 형질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소의 강건 성관련 형질인 흉위, 흉폭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칡소는 체장, 고장, 요각폭, 곤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흑우는 체중, 십자부고, 고장, 요각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백 우는 좌골폭을 제외한 모든 체형형질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 였다. 이러한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체중 및 체형형질의 중요 한 간접선발 지표로 암소는 요각폭, 수소는 고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적으로 칡소, 흑우, 백우에 대해 우리 고유유전자원으로 서의 보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향후 이들의 산업적 이용을 고 려할 때 무엇보다도 개체 수 확보가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 학계, 연구계 및 산업계가 연계된 체계적이고 다 양한 연구와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개량방향 및 목표설정 등 이 먼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7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lculating break-even price of calf produc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reproductive efficiency. To determine the price, we need data from reproduction records including number of claves weaned, number of cows exposed for breeding, and annual cash coast per cow, and average weaning or market weight of claves sold and retained. Unfortunately, the data were not available in Korea native cow (Hanwoo).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nd the price, we collected calving interval from about 60,000 cows for last 10 years and estimated reproductive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was increased 4.3% and pregnancy rate was decreased about 1.4∼2.8% year-on-year. Increases in growth rates of number of cow and semen per calf supported the low reproductive performance. Finally, break-even price was calculated using estimated percent calf crop and demonstrated that growth rate of break-even price is larger than that of annual cash per cow, suggesting cow-calf profitability and financial efficiency in Korea native cow (Hanwoo) is getting worse.
        4,000원
        17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practical Hanwoo (Korean native cattle) improvement system through the combining of embryo transfer technology and confirming individual Hanwoo oocyte culture system and to investigate that correlation of Hanwoo carcass classification (intramuscular marbling) and oocyte donor for blastocyst production in vitro. In case of Hanwoo, the carcass meat quality grades were divided to grade 1⁺⁺, 1⁺, 1, 2, and 3 depends on fat distribution of longest muscle cross-sectional surface. As results, the numbers of follicular oocytes collected from individual fundamentally-registered Hanwoo yielded 1⁺⁺, 1⁺, 1, 2 and 3 meat quality were 9.5, 9.4, 8.5, 8.8 and 8.8 per ovary, respectively. The numbers of retrieval oocyte from follic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ttle yield 1⁺⁺, 1⁺ meat quality than in the cattle yield 1, 2 and 3 meat quality (p<0.05).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were 18.2, 21.3, 29.4, 30.9, and 31.5% in the cattle yield 1⁺⁺, 1⁺, 1, 2 and 3 meat quality of after in vitro maturation, respectively.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attle yield 1⁺⁺ and 1⁺ meat quality than in the cattle yield 1, 2 and 3 meat quality (p<0.05). In order to evaluate embryos quality, TUNNEL assay was conducted for each meat quality grade using blastocyst stage embryo on day 8. The results showed that apoptosis cell number was higher tendency in the cattle yield 1⁺⁺and 1⁺ meat quality (81 and 79, respectively) than in the cattle yield 1, 2 and 3 meat quality (51, 48 and 50,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ach group. After embryo transfer, the conception rate of recipient was 53.5 (23 out of 43), 52.1 (38 out of 73) and 58.0% (58 out of 100) in the meat quality of 1, 1+ and 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p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ttle yield 1 meat quality than in the cattle yield 1⁺⁺, 1⁺ , 2, and 3 meat quality (p<0.05). In summa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confirming Hanwoo individual oocyte culture system and embryo transfer technology can make good use of the genetic resources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of Hanwoo. Relevance of the meat quality grade and reproductive ability of carcasses of Hanwoo will b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effective means for the associated research with obesity and reproduction.
        4,000원
        172.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맥섬석과 한약제재 첨가급여가 한우거세우의 비육능력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생후 13개월령의 거세한우 40두(4처리×5두×2반복)를 공시하여 사료용 첨가제로 1일 사료급여량의 0.5∼1.0% 수준으로 26개월령까지 시험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C(무첨가), T1구(맥섬석 0.5% 첨가), T2구(한약제재 0.5% 첨가), T3구(맥섬석 0.5%+한약제재 0.5% 첨가)로 구분하였다. 증체량의 경우 비육전기때 T1구(226.2kg)가, 비육후기 때는 T3구(162.1kg)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혈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T3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도체중은 T3구(439.00kg) > T2(425.80kg) > T1(420.50kg) > Control(413.00kg) 순으로 낮아졌다. 배최장근 단면적은 T3구가 107.00㎠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고(p<0.05), 도체등급에서 육질등급은 T2구와 T3구가 공히 3.25로서 크게 높았다(p<0.05). 한편 등심육의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 함량이 48.55∼50.90%로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불포화지방산은 T3구(57.94%)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거세한우에게 각각 맥섬석과 한방제재를 혼합하여 첨가급여하면 도체등급, 관능검사 및 불포화지방산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5,100원
        17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jor limiting factor of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n many farms is the failure to detect estrus in a timely and accurate manner. The estrus detection for Hanwoo cows (Bos taurus coreanea) is generally performed by the visual observation which is estimated at about 40% detection rate only. This recurring problem among farmers has motivated the development of various estrus detection aids. The mounting event duration threshold, standing heat event frequency threshold, estrus detection algorithm and so on, are necessarily needed in order to detect the estrus of Hanwoo cows accurately when using some automatic devices. However, they are not yet investigated for Hanwoo cow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mounting event duration threshold and standing heat event frequency threshold more specifically for Hanwoo breed by discriminating the duration of standing heat mounting from shorter duration spurious mountings which routinely occur in cattle herds. One hundred and fifty Hanwoo cows with an age between 2 to 5 years were used in this study. Cows that were expected to come into estrus within 3day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compartment for the estrus group (EG). The heated cows were video recorded for about 24 hours until after post estrus. The results showed that Hanwoo cows can be considered on estrus when it stand immobile during mounted by any other cow in more than or equal to 3.15s and 3.22s in chest-tail head mount (CTM) and head-above back mount (HBM) and that occurs consecutively at least three times within 876.4s interval. The algorithm was also developed using the thresholds of the mount duration, mount interval and consecutive occurrence number.
        4,000원
        17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space allowance on the productivity, behavior, and blood properties of Hanwoo in order to achieve the status of advanced country for the animal husbandry in accordance with global trends, and with the target of animal welfare production through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nimal husbandry. Fattening cows (352kg) of an average of 43 months in age and with growing steers (225kg) aged six months were tested with two replications upon categorizing the animals into control group (8m2/heads) and treatment group (4m2/heads). Feeding was executed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in the Hanwoo feeding management. The growth performances (BW, ADG, and FCR)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ow fattening as space allowance was narrower.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growing steer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lying and walk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p<0.05), while standing was found significantly higher (p<0.01) in the treatment group. The lying dur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ttening cows. Meanwhile, walking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p<0.01) in the control group among fattening cows whereas standing du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treatment group. As for properties of blood component, the cortisol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treatment group for the fattened cows. The experiment results imply that the space of 8 m2 / head would be adequate in the production of fattening cows and growing steers based on growth performance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blood component, and considering the space allowance per head in the pen. The results c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welfare type Hanwoo production system in the future.
        4,000원
        17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nge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quality grade 2 produced by dry aging, and compared the quality of dry-aged strip loin with that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quality grade 1+. Hanwoo strip loins with quality grade 1+ (SL1) and 2 (SL2) after a day of slaughter and dry-aged strip loin (DSL2) aged for 21 days at 2℃ with 85% humidity were obtained from local markets.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cooking loss, lipid oxidation, instrumental color (CIE L*, a* and b* value)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strip loins were measured. DSL2 contained low moisture and high protein contents compared with SL2, and low fat, high protein, and high ash contents compared with SL1 (p<0.05). The pH and cooking loss were higher and lower, respectively, in DSL2 compared to SL2 (p<0.05). SL1 had a higher pH than DSL2 (p<0.05). However, the cooking loss was not different between SL1 and DSL2. The TBARS value was the highest in DSL2 and the lowest in SL2 (p<0.05). DSL2 had higher L* and b* value compared with SL2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L*, a* and b* values between DSL2 and SL1. Sensory properties such as the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acceptability of DSL2 were higher than those of SL2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all sensory properties between DSL2 and SL1. According to the results, dry aging can improve the nutritional and sensorial quality of strip loin with quality grade 2 to quality comparable to quality grade 1+.
        4,000원
        176.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에 적합한 생균제를 개발하고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비육한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로부터 cellulase, xylanase 활성이 우수하면서 Asp. flavu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발하여 Bacillus subtilis CS21로 명명하고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사료용 생균제로 사용하였다. 사양시험은 13개월령 비육한우 20두를 공시하여 29-30개월령까지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성장단계(육성기, 비육전기, 비육후기)에 따라 배합비를 조절한 TMR 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30%의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가 첨가된 TMR 사료(30% F-SMS TMR)를 급여한 처리구로 나누어 수용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총 증체량과 일당 사료섭취량은 대조구보다 30% F-SMS TMR 급여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육질등급에서는 대조구와 30% F-SMS TMR 급여구 모두 1등급 이상 출현율이 100%를 나타내었으나 육량등급의 A등급 출현율은 대조구(57%)가 30% F-SMS TMR 급여구(41.67%)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C등급 출현율은 대조구(0%)보다 30% F-SMS TMR 첨가구(25%)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발효공정을 거쳐 기호성과 저장성이 개선된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는 육질등급에서는 대조구와 비슷하였지만 증체량은 대조구보다 30% F-SMS TMR 급여구가 높은 반면 육량등급의 A등급 출현율은 낮고 C등급 출현율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므로 육량등급을 높일 수 있도록 배합사료 조성비를 개선한다면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는 비육한우의 대체사료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료비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7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wanted sex progeny of genetically confined White Hanwoo (albinism) with preselected sex sperm. One bull of White Hanwoo was chosen for semen donor and X sperm was sorted by MoFlo XDP cell sorter. To compare the pregnancy and birth rates, KPN straw was used as control, total number of unsorted sperm was 20×106/straw. Sexed X frozen semen with 2×106 cells or 4×106 cells per straw were in seminated twice on Hanwoo heifers. The abnormality of the sexed X semen was 24.9 ± 7.31% and distal reflex abnormality of mid piec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11.7%) compared with that of KPN 768 (5.6%).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pregnancy and birth rates between 2×106 cells or 4×106 cells of X-sperm but KPN se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 pregnancy rates of KPN 768, 2×106 cells and 4×106 cells X-sperm of White Hanwoo cattle were 85.0%, 26.3% and 50%. The birth rates were 80.0%, 15.8% and 21.4%, respectively. The female offspring rates of KPN 768, 2×106 cells and 4×106 cells X-sperm of White Hanwoo cattle were 43.8%, 100% and 100%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ex sorted White Hanwoo could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wanted progeny with 2×106 cells/straw for AI.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alf production, the sperm number of sex sorted semen will be optimized for sex selection of White Hanwoo progeny.
        4,000원
        178.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TMR 사료의 물리적유효섬유소(peNDF) 함량의 차이가 한우 비육거세우의 생산성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TMR 사료내 적정 조사료가치 평가를 위해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26개월령의 한우 거세우 12마리이고, 물리적유효 NDF (peNDF) 함량이 높은 처리구(High군)과 낮은 처리구(Low군)의 2개 군을 이용하여 출하시까지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비육후기용 TMR 사료는 물리성 처리를 위해 배합시간을 3분(High)과, 25분(Low)으로 처리하였다. 실험동물은 출하한 후 축산물 품질평가원에서 도체평가를 하였다. 실험기간 중 체중증가(P<0.05) 및 일당증체량은 High 구에서 높았으며,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도체중 역시 High 구가 414.60±34.28kg으로 Low 구의 377.80±11.97kg 보다 높게 나타났다. 육질등급은 High 구가 평균 1+ 등급이었던 것에 비해 Low구는 평균 1++ 등급으로 오히려 육질 등급은 Low 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igh 구는 채식량과 체내 이용성에 영향을 미쳐 체중 증가와 일당 증체량 및 도체중의 증가를 가져와 생산성은 증가되었으나 등지방두께의 증가 및 육질 등급에서는 다소 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한우 거세 비육우에 있어서도 사료 내의 물리적 유효 섬유 함량은 가축생산성과 도체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적정 함량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79.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TMR 사료의 물리적유효섬유소(peNDF) 함량 의 차이가 한우 비육거세우의 생산성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TMR 사료내 적정 조사료가치 평가를 위 해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26개월령의 한우 거세우 12마 리이고, 물리적유효 NDF (peNDF) 함량이 높은 처리구 (High군)과 낮은 처리구(Low군)의 2개 군을 이용하여 출하 시까지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비육후기용 TMR 사료는 물리성 처리를 위해 배합시간을 3분(High)과, 25분(Low)으로 처리하였다. 실험동물은 출하한 후 축산물 품질평가원에서 도체평가를 하였다. 실험기간 중 체중증가 (P<0.05) 및 일당증체량은 High 구에서 높았으며,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도체중 역시 High 구가 414.60±34.28 kg으로 Low 구의 377.80±11.97 kg 보다 높게 나타났다. 육 질등급은 High 구가 평균 1+ 등급이었던 것에 비해 Low 구는 평균 1++ 등급으로 오히려 육질 등급은 Low 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igh 구는 채식량과 체내 이용성에 영향을 미쳐 체중 증가와 일당 증체량 및 도체중의 증가를 가져와 생산성은 증가되었으나 등지방두께의 증가 및 육질 등급에서는 다소 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 라서 한우 거세 비육우에 있어서도 사료 내의 물리적 유효 섬유 함량은 가축생산성과 도체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적정 함량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4,000원
        18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우 보증씨수소 KPN 493, 586, 614, 632, 666을 암소에게 인공 수정하여 생산된 자손 축 총 60두(5처리×12두씩/처리구당)에 대한 육질의 이화학적 특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등심 면적 및 근내지방도는 KPN 586 자손축이 가장 우수하였으며(p<0.05), 육질의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처리구 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특히 풍미와 육색의 황색도(b값)가 KPN 493이 가장 좋았다(p<0.05). 지방산중 올레인산은 KPN 493은 가장 높았다(p<0.05). 또한 각 형질별 상관관계에서, 도체중과 등심 단면적, 등심 단면적과 근내지방도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1), 보수력은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 (P<0.01). 또한 연도는 다즙성과 정(+)의 상관관계, 풍미는 다즙성, 연도 간에 정(+)의 상관관계, C18:1n9과 C20:1n9와 불포화 지방산 간에는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