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3

        161.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배추김치를 종자별, 부위별, 저장조건별 유리당, vitamin C, amino acids의 함량을 분석하고 변화 경향을 조사하여 보았으며 vitamin C의 전구물질인 methionine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리당의 경우 core> middle> outward 부위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midrib 부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Vitamin U의 경우55일 배추 outward leaf 부위에
        162.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배지에서 배양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균사체와 균체외 유리아미노산 및 다당류함량을 조사하였다. 배지로는 YM(yeast-malt broth), CP(citrus peel-broth) 및 GT 배지(green tea-broth)를 사용하였으며 , 150rpm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균사체의 수율은 GT, CP 및 YM에서 각각 42.3, 34.2 및 였으며, 균사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탁도는 GT 0.14, CP
        163.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nges of the amino acid content including proline and protein content in response to NaCl treatment were investigated in between the salt-resistant variety CI5309 and salt-susceptible variety IR28 of rice. The amino acid contents such as -aminoapid
        164.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eed quality of soybeans produced from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s. Soybeans from drained-paddy fiel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100 seeds weight and greater in the size of seed length than those from upland fields.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ed width and thickness between upland and paddy fields. In case of Hunter's color value, the lightness (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land soybeans, but the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s were higher in the drained-paddy field soybeans. Seed appearance of drained-paddy field was poor than that of upland field. Soybeans produced from the drained-paddy field showed higher protein content, whereas, lipid and ash contents were higher in the upland field. Soybeans from upland field had lower contents of total amino acids compared to drained-paddy field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palmitic, linoleic, and linolenic, but stearic, oleic, saturated fatty acids (SFA), and unsaturated fatty acids (USF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ybean seeds from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s. Genistein content was higher in the drained-paddy fields, while daidzein and glycitein contents were higher in the upland field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soil condition of drained-paddy field is more favorable to synthesis genistein than daidzein and glycitein.
        165.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쪽파의 잎과 인경, 2,4-D 0.5, 1.0mg/L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된 캘러스로부터 아미노산 분석과 항산화활성 을 분석하였다. 총아미노산 분석의 함량은 자연조건상태의 잎에서는 59.779 mg% 함유하였으나 2,4-D 0.5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캘러스에서는 73.725 mg%를 함유하였으며 그 가운데 Glutamic acid가 26.555 mg%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아미노산 함량에 대한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 비율은 자연조건상태의 인경부분이 39.462 mg%를 함유하였고, 2,4-D 0.5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캘러스에서는 13.072 mg%를 함유하고 있었다.
        166.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미노산은 수정란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배발달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체외배양 단계에 아미노산 첨가에 관한 보고는 많지만, 체외성숙 단계에서의 아미노산 효과와 관련된 보고는 소수이다. 본 실험에서는 먼저 체외성숙 배지에 NEAA와 EAA군들의 첨가 농도가 PB 출현율, 배발달율 그리고 생산된 배반포의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새로운 아미노산원으로 LAH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체외성숙을 위한 난포란은 도축 한우 난소에서 2-8mm의 가시난
        168.
        2002.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terial of Rhodiola sachatinensis collected from an alpine region of the west-northern China. For analysing the effect, 1 used Rhodiola sachatinensis's rhizome and cultivated callus. In EtOAc, BuOH, H2O separation the plant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but not in Hexane.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EtOAc(RC50,35(g), BuOH(RC50, 43(g), H20(RC50, 50(g) fraction and MeOH extract(RC50, 50(g) of the Rhodiola sachatinensis was comparable to that of synthetic antioxidant BHA(RC50, 14(g) and α-Tocopherol(RC50, 12(g). Total amino acid concentration of plant of In nature condition were 18,009ppm, and major components were argi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valine.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on plant of In nature condition was 46.93%. Total amino acid concentration of callus of In vitro condition were 32,435ppm, and major components were valine, histidine, lysine and leucine.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on callus of In vitro condition was 56.07%. was 56.07%.
        169.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초를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하여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신선초의 부위별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 및 식이 섬유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신선초의 가식부를 평균함량으로 보면 수분이 88.43%, 회분은 1.96%, 조지방은 0.16%, 조지방은 2.95%, 조섬유는 1.26%, 총 비타민C는 67mg%로 나타났으나 수분과 조섬유를 제외하고는 줄기보다 잎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유리당 함량은 잎이 줄기보다 1.68배정도 높았으며 유리당의 종류와 함량을 보면 포도당이 평균함량으로 688mg, 과당이 703mg로 대부분 이였으며 서당은 미량 검출되었다. 잎에는 총 유리아미노산이 54.39%로 줄기의 28.07%보다 1.9배 이상 많은 함량을 보였다. 잎과 줄기의 총 구성 아미노산은 각각 1737.41mg%, 319.71mg%로 잎 이 줄기의 5.4배 높게 나타났다. 수용성 식이 섬유(SDF) 함량을 살펴보면, 신선물 기준으로 줄기가 1.00%로 잎의 0.99%보다 0.01% 높게 나타났으며, 불용성 식이 섬유(IDF) 함량 역시 잎의 3.07%보다 줄기가 3.52%로 0.45% 더 높게 나타났다. 신선초의 saponin의 함량은 잎이 535.51mg%로 줄기의 463.09mg%보다 높게 나타났다.
        170.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s of acute anoxia on carbohydrate hydrolytic enzyme activities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in malt were examined. Malts were prepared with barley grains germinated for 7 days which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amylolytic and(1-3,1-4)-β -glucanase activities. α -Amylase and β -amylase activities in malt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anoxia for 5 or 10 h.(1-3,1-4)-β -Glucanase activity, however, decreased about 7 to 10% by anoxia for 5 or 10 h. Alanine and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changed drastically. Alanine contents in malts increased by 2.2- and 2-fold, and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s by 1.4- and 1.9-fold under anoxia for 5 and 10 h, respectively.
        171.
        199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chemical compositions of dried persimmons stored with plastic film at low temperature and the effect of film packaging on dried persimmons during storage. The moisture contents of dried persimmons were 30 to 36% and alcohol contents were 264 to 318 mg/100g and acetaldehyde contents were 25 to 40mg/100g. Total lipid contents of dried persimmon were 626 to 869mg/100g and oleic, palmitic, linolenic, and palmitoleic acid were major fatty acids in total lipids.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rginine, cystine and aspartic acid. From the result of storage experiment, non-packed group was that hardness was high as decreased in moisture content. In case of film packed groups stored at 5, self life was longer than non-packed and packed groups stored at room temperature. But, it need to develop available packing material and storage method.
        172.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단순배양체계내 소 난포란의 성숙에 요구된는 탄수화물 (glucose, lactate와 pyruvate)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GV(germinal vesicle) 단계의 난구세포로 둘러싸인 소 난자를 단백질, 아미노산 및 호르몬이 첨가되지 않은 modified Tyrodes (mT)에서 24시간, 5% CO2 배양기를 이용하여 성숙배양하였다. Glucose 무첨가군 (0-61%)에 비해 5.6mM의 glucose 첨가군 (71
        173.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나무재배시 부산물로 발생되는 구기순을 가공식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위해 품종과 채취시기에 따른 지방산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기순의 일반성분을 품종과 채취시기에 따라 분석한 결과 조지질, 조단백질, 총당 함량은 청양 재래종이 높게 함유되어 있었고, 조단백질, 총당환원당은 6월20일에 가장 높게 함유되었다. 2. 무기성분 함량은 청양재래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P2O5, K2O, CaO, MgO, Cu, Mn 함량이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채취시기별로는 5월10일 체취한 구기순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3.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총 지방산의 50%정도를 차지하였으며, 품종에 따른 지방산 함량의 차이는 없었고, 시기별로는 5월10일에 채취한 구기순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4. 아미노산은 19종이 분리되었고, 그 중 glutamic acid는 10.05%~10.94%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및 lysine순으로 함유되었다. 그리고 아미노산중에서 serine, arginine, methionine, eystine-2, isoleucine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glutamic acid, tryptophane은 채취시기가 빠를수록 함량이 높아 건강식품으로의 개발가능성이 확인되었다.
        174.
        199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발아후 일주일간 생육한 보리 유식물체를 이용하여 혐기처리, 저온처리 및 기계적 상처에 대한 보리 식물체의 반응양상을 유리아미노산과 유리당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혐기적처리에 반응하여 함량의 변화가 뚜렸하게 나타나는 아미노산은 alanine, GABA, glutamic acid였다. Alanlne과 GABA함량은 10시간까지의 혐기처리에 의해 급속히 증가하였으나 glutamic acid 함량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처에 의한 alanine, GABA, glutamic acid반응 양상은 혐기처리와 유사하였으나, 함량변화 정도는 혐기처리에서 보다 훨씬 낮았다. 저온처리에 의하여 지상부와 뿌리 중의 GABA 함량이 증가하였다. 혐기적 처리에 의하여 지상부의 유리당함량이 변화하였으며, glucose나 fructose보다는 sucrose의 함량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177.
        199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 국내 수집 유전자원 80종에 대한 종실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고단백 양질 아미노산 품종육성에 오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최고 28.5%, 최저 17,9%, 평균 24.6%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숙기와 천입중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종피색에서는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았는데 암갈색에 비해 은회색은 1.4% 더 높았다. 3. 들깨 수집 유전자원 80종의 총 필수아미노산은 품종에 따라 최고 44.85%, 최저 36.41%, 평균 40.55% 였으며 일반 아미노산 함량은 최고 60.01%, 최저 47.23%, 평균 55.29%였다. 4. 필수 아미노산 함량과 종피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r=0.3389**) 관계로서 종피색이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5. 들깨에서 필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arginine과 leucine, 가장 적었던 것은 methionine 이었고, 일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e와 asparagine이었다. 6.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lysine, methionine, valine 등의 평균함량은 FAO 권장량 보다 높았다.
        178.
        199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 장려품종과 지방수집재래종 도입종 등을 대상으로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고단백 양질 다수성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유전자원의 단백질 함량은 최저 17.9%에서 최고 28.1%까지 10.2%의 변이폭을 보여 주었고 평균 함량은 23.6%였으며 대부분 21-25% 범위에 분포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단백질 함량이 높은 남지종, 산동종, 은진종 등 7품종을 선발하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유래별로는 전남지역에서 수집된 품종이 가장 높았고 숙기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종파색은 은회색이, 1,000립중은 무거운 대립종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3. 단백질 함량과 임실율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보였고 단백질 함량과 기름함량은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단백질 함량과 1,000 립중간에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4. Micro-kjeldahl법과 비교한 NIR법의 단백질 calibration 정밀도는 0.27%였다. 5. 들깨 95품종을 대상으로 micro-kjeldahl법과 NIR 분석법에 의한 단백질 함량 차이는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으며 표준편차 차이는 0.34%를 보여 주었고, 분석방법간에 고도의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6. 엽실들깨등 4품종의 아미노산 조성은 FAO권장량보다 높아 그 우수성이 인정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에서 총량은 품종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lysine과 methionine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7. 들깨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rginine아었다.
        179.
        199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 품질 개량 육종을 위한 기초조사로써 작물시험장에서 수집 보존하고 있는 참깨 유전자원 품종중 임의로 114품종을 선정하여 생육특성 및 단백질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유래별로 12품종에 대한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종별로 20.6%-30.2%의 변이를 보였으며 평균함량은 24.72%였다. 미국 도입종인 PI158066이 30.2%의 최고치를 보여 고단백질 품종육성을 위한 귀중한 유전자원으로 평가되었다. 2. 품종의 유래별로는 한국재래종이 25.8%로 높았으며 일본 도입종과는 무려 2%의 단백질 함량 차이가 있었다. 3. 초장, 엽색, 화색, 착과습성 및 실방수에 따른 단백질 함량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이나 종파조직이 매끄러운(smooth) 품종들의 함량이 0.8% 정도 높았고 종파색별로는 검은색 > 갈색 > 회색 > 백색순으로 높았다. 4. 참깨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FAO 권장량보다 높아서 그 우수성을 알 수 있었다. 총 마이노산 함량은 도입종인 PI 258372가 25.03%로 가장 높았으며 재래종인 부안종과 삼척종도 높은 편이었다. 5. 필수아미노산 비율은 FAO 권장치 32.3%보다 훨씬 높은 평균 42-58.2% 수준이었으며 다른 작물보다도 높은 편이었다. 6. 재래종인 삼척종은 필수아미노산 비율이 58.2%로 가장 높고 Tyrocin 및 Lysine 함량이 공시품종중 가장 높아 품질 개량 육종의 유망한 자원으로 평가되었다. 7. 육성종중 한섬깨는 Histidine, Valine 및 Lysine 등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아 양질 다수성 품종 육성에의 이용이 기대되었다. 8. 품종의 유래별로도 차이를 보여 한국재래종 > 도입종 > 육성종 순으로 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았으며 특히 재래종은 필수아미노산도 가장 높아 단연 품질의 우수성이 인정되었으며 향후 이들 자원을 이용한 고품질 품종육성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in과 globulin을 증대시킴으로써 종실의 lysine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게 나타났다. 5. 발근력은 육묘일수 연장으로 방임구에서는 점감하였으나 경엽 절제구에서는 점증하였고 hymexazole과 metalaxyl의 혼합제(Tachigarace) 처리에서는 그 효과가 더욱 뚜렷하였다.고 처리간 통계적 유의성(P<.05)이 인정되었다. 7. 산란전기간 동안(21-72주)의 사료섭취양은 백색계에서는 사육밀도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유색계에서는 사육밀도와 수당 급이기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사료섭취양도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처리간의 유의성도 인정되었다. 8. 사료요구율은 백색계에서는 초고밀도(272cm2 /수)에서 2.94로 가장 많았으나 다를 처리구 사이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유색계에서도 306cm2 /수의 고밀도 구에서 2.87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 사이에서는 일정한 경향치가 없었고 통계적 유의차도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란계의 케이지 사육 적정 밀도는 백색계의 경우 초고밀도인 272cm2 /수를 제외한 수당면적 306~453cm2 , 유색계의 경우 수당면적 340~453cm2 일 때 경제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고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가구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8.4%. 79.7% 그리고 80.2%였다. 5. 체중구성요소들의 중상비율간의 상관근도는 계통간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중구성요소중 체중과 상관정도가 높은 부위들은 방혈양, 두부, 각부, 흉부, 퇴경부등이였다. 복부지방(%)은 어느 계종에서나 주로 불가식내장과 높은 유의상관을 보였으나, 가식부위와의 상관정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ctivity of these two me
        180.
        199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 보존품종에 대한 단백질 특성을 조사하여 고단백 유전자원을 선발하고 아미노산 함량의 품종 및 환경변이를 밝혀 고단백 양질 아미노산 조성 품종육성을 위한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시험하였다. 작물시험장에서 수집한 땅콩 164품종의 단백질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5개 지역에서 재배된 9개 장려품종의 아미노산 변이와 분획 단백질의 아미노산 특성 차이를 검토하였다. 1. 공시된 땅콩 164품종의 평균 단백질 함량은 24.5%였으며 최고 28.7%, 최저 19.5%로 9.2%의 변이를 보였다. 2. 초형에 따른 단백질 차이는 적었으며, 립중에 따라서는 소립이 대립중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Spanish type 품종에서 립중에 따른 단백질 차이가 컸다. 3. 품종의 도입지역에 따라서는 대만이나 Philippine 품종들이 단백질 함량이 높았고 국내 육성품종과 일본품종은 낮았다. 4. 단백질 함량과 100립중, 주당협실중 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고, 기름함량과는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5.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필수 아미노산과 반아미노산 총량의 차이가 있었으며 aspartic acid도 품종과 지역간 차이가 인정되었고, arginine, lysine, methionine, glutamic acid, glycine, tyrosine은 지역간 차이가 phenylalanine은 품종차이가 있었다. 6. 땅콩 장려품종에서의 제한 아미노산은 isoleucine, methionine, threonine, arginine, lysine이었다. 7. 단백질 fraction별로 볼 때 아미노산은 prolamins, globulins, glutelins, albumin순으로 많았으며 필수아미노산 비율은 globulins에서 가장 많았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