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일랜드의 부활절봉기를 소재로 한 예이츠의 시 작품들을 신역사주의 비평을 적용하여 읽기를 목표로 한다. 연구자는 부활절 시편에 대한 기존 연구를 토대로 하여 당시 아일랜드의 정치 현실에 대한 시인의 복합적, 다층적인 입장 에 대한 분석을 모색한다. 예이츠의 부활절봉기 시편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대체적으로 문화 민족주의 운동, 사회적 이슈에 대한 계층 간의 갈등, 영국의 지배로부터 독립을 꾀하는 탈식민주의 등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경향을 적극 수용하면서도 이들 연구들에서 당시 특정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다소 부족한 점을 맥락 연구를 통해 보충하고자 한다. 이러한 보충을 위해 신 역사주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참조하여, 당대의 문화 상황을 통해 예이츠의 문화민족주의의 방향성을 이해하고 시의 감상을 확장하고자 한다. 그리고 당대의 역사적 문화적 상황이 예이츠의 부활절 시들과 연관되고 수용되는 방식을 상세히 연구하고자 한다.
        4,600원
        2.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베리어(Nancy Newton Verrier)의 『원초적 상처』(The Primal Wound)를 중심으로 한 입양학적 논의를 분석의 틀로 삼아 드포(Daniel Defoe)의 『록사나』(Roxana)에 나타난 버려진 아이 수잔(Susan)의 유기와 입양, 그리고 죽음에 투영된 개인적 트라우마의 상흔을 읽는다. 트라우마와 입양학적 관점을 통해 살펴보면 수잔은 생모로부터의 분리와 그에 따른 트라우마 기억(traumatic memory)으로 고통받는 희생자이다. 수잔의 죽음과 그의 유령은 입양인의 트라우마와 생모와의 재회가 무산됨으로 인한 재유기(reabandonment)와 이로 인한 상실(loss)을 재현한다. 한편 예이츠의 「1916년 부활절」 (“Easter 1916”)는 부활절 봉기가 가져온 충격이 집단적 트라우마로 형성되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 예이츠는 과격한 민족주의자 개개인이 죽음을 선택한 것에 대해서는 비판하면서 동시에 국가를 위한 그들의 영웅적인 행동에 대해 동정적 인 반응을 보임으로써 상반된 감정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에게 「1916년 부활절」 은 한편의 집단 애가로서 혁명가들의 비극적 죽음 이후 살아남은 자들의 집단적 트라우마를 “끔찍한 아름다움”으로 서술한다.
        4,900원
        3.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추모와 기억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예이츠의 “1916년 부활절 봉기”를 분석한다. 기억과 망각, 기념과 반기념이라는 대립적 개념의 긴장을 통해 희생자들에 대한 예이츠의 양가적이고 분열적인 욕망을 읽어낸다.
        4,500원
        4.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워즈워스와 예이츠는 프랑스혁명과 부활절봉기를 겪으면서 각각 새로운 공화국의 설립과 아일랜드의 독립을 꿈꾼다. 하지만 이들 역사적 사건이 불러온 폭력과 유혈사태는 두 시인이 이전에 가졌던 시각을 변화시킨다. 이들은 양가적 감정에 사로잡혀 본인의 판단에 대해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하면서 분열된 자아의 양상을 보인다. 워즈워스와 예이츠는 혼란스러운 역사적 사건을 마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각각 자연과 언어로 회귀하지만 양가적 감정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한다. 두 시인은 프랑스혁명과 부활절봉기의 빛과 그림자 사이를 끊임없이 오가며 환희와 슬픔, 긍정과 부정, 희망과 두려움을 동시에 시로 표현한다.
        4,800원
        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이른바 예이츠의 정치적 작품의 성격을 규명하고 한다. 통상 정치적이라고 해석되는 예이츠의 시 몇 편과 희곡 한 작품을 읽으면서 정말 그런 지 검토하고자 한다. 그러나 사실 예이츠는 일부 비평가들이 정치시, 정치극이라는 작품을 그렇게 여기지 않은 것 같다. 필자는 이 작품들이 정치적이지도 비정치적이지도 않으며, 그의 사상과 철학체계의 일부분으로 여겨져야 하고 또한 전작품의 구조에 한 부분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접근이 받아들여지면, 그의 복잡한 작품세계와 더욱이 많은 평론가들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작가 예이츠를 보다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4,900원
        6.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1916년의 부활절 봉기 이후에 쓰인 극작품 2편을 읽는다. 이 두 희곡은 그의 시에서 “모든 게 변했네”라는 주장을 수정하고 대신 혁명 후의 현재 의 상흔의 끈질김을 극화한다. 􋺷꿈꾸는 해골􋺸에서는 한 젊은이가 부활절봉기에 가담했 다가 아일랜드서해안에서 경찰에 쫓기면서 디아뮤드와 데보길라의 혼을 마주하고, 그 들의 반역으로 로마의 침공을 받고 아일랜드가 식민지화 되었다고 말한다. 􋺷캘버리􋺸 (1920년에 쓰였지만 그의 생전에 공연되지 않았다)는 비정통적인 그리스도 수난극으 로 예수가 성금요일에 지신의 수난을 다시 꿈꾸는 것을 극화한 것이다. 여기서 예수는 자신을 십자가에 못 박은 로마 군인 세 명, 유다, 나사로와 마주친다. 비록 부활절봉 기위와 직접적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이 극은 어떤 의미에서 부활절이 재연한 수난에 대한 강한 반어적인 비난으로 읽힌다.
        6,000원
        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마스크 이론은 아일랜드의 역사의 중요한 순간, 즉, 1916년 봉 기가 있었던 해에 반대적 국가관이 뿌리를 내린다. 부활절 봉기는 그의 산문 친절하 고 고요한 달 에서 예이츠의 내적 상반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역사적으로 부가적 맥락 으로 나타나게 하며, 부활절 봉기 당시에 그레고리 여사, 모드 곤, 그리고 다른 인사 들과의 서신교환은 그의 마스크 이론의 등장을 시험하고 강화시키는데 기여한다. 친 절하고 고요한 달 는 신비주의 이미지를 자주 언급하여 허버트 레빈이 말하는 신비주 의 용어 “집단의식” 즉 인간령 혹은 세계령이라는 것을 구상한다. 그러나 이 산문이 출간되는 해에, 예이츠의 내적 상반의 필요성의 문제가 그의 서신에 수사적으로 나타 나는데, 여기서 예이츠는 일련의 사건들과 관련자들을 만나면서 자신을 극복하고 그가 가졌던 고정 관념들이나 선입견을 초월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집단의식은, 예이츠 에게는, 최종적이 아니라면 항상, 증명된 관점인 것이다.
        4,900원
        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시 「1916년 부활절」은 많이 연구되고 논문도 많이 쓰여 졌다. 그러나 사실 내용과 연관된 시의 형식은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즉, 시의 외적인 것, 즉 정치적인 것들, 사회문제들이라든지, 심리적인 것들까지 주된 관심사였다. “지독한 아름다움”의 역동적 힘으로서의 시는 논외였다. 그러나 예이츠는 형식을 통한 의미 만들기에 많은 관심을 쏟았다. 그렇다면, 의미로서의 시 형식을 읽어내야 할 시기가 되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이 시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 보다 충만하게 음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필자는 「1916년 부활절」이 역설의 시학에서 나온 것을 본다. 즉, 인간, 언어의 역설적 본성에서 나온 것이다. 필자는 이 시의 “지독한 아름다음”을 느끼고 생각하는데 초점을 맞추었고, 결과적으로 예이츠는 그가 평생 추구한 형식의 완벽한 앱스트랙션을 통해서 자신의 의도를 감춤으로써 자신의 소망처럼 20세기 최고의 다층적 의미의 서정적 엘레지를 만들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5,100원
        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분열된 아일랜드의 통합을 바랐다. 아일랜드가 종교와 종족, 문화를 아우르는 하나의 공동체가 될 수 있다고 믿었으며, 공동체 내에서 아일랜드의 분열된 계층과 문화를 통합하면서도 고유한 특징을 간직하기를 바랐다. 이러한 바람은 1916년에 발생한 부활절 봉기를 겪으며 확실해지고, 더욱 간절해졌다. 예이츠는 그러한 자기 생각을 「1916 부활절」시에 담았다. 시에 드러난 예이츠의 민족 공동체에 대한 생각은 스피노자의 공동체 개념과 만나 그 의미가 명확해진다.
        6,100원
        1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가 「1916년 부활절」(“Easter 1916”)에 묘사한 부활절 민중봉기와 김남주가 오월시에 제시한 5·18민중항쟁은 국가의 독립에 대한 열망과 민주화에 대한 민중의 꿈이 외세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밖으로 분출된 진정한 민중의 항쟁이다. 부활절 민중봉기와 5·18민중항쟁은 서로 다른 문화와 정체성을 가진 민중이 자신들의 희망과 삶의 터전을 지키고 미래의 세대에게 자신들의 삶의 애환을 상속시키지 않고 종지부를 찍기 위하여 형제애의 정신으로 자신의 소중한 목숨을 희생하는 숭고한 영웅적 행위를 하여 결과적으로 국가의 독립을 성취하고 진정한 민주주의를 구현한 역사적인 사건이다. 이러한 민중은 바로 예이츠의 ‘존재의 통합’을 구현한 사람들이며, 참다운 ‘귀족’이다.
        7,700원
        1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1913년 9월」에서 중산층의 물질중시와 현실안주를 비난하면서, “낭만적 아일랜드”가 사라진 상황을 안타까워한다. 영웅적인 투사들은 목숨을 걸고 싸우다가 죽었지만, 그는 새로운 아일랜드 창조에 중산층과 강경한 민족주의자들을 오히려 방해요인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낭만적 영웅심’이 사라지게 한 현 상황에 자신도 자유로울 수 없음을 인식하면서, 화자인 예이츠의 분열된 혼란스러움이 재현된다. 「1916년 부활절」에서도 부활절봉기에 대한 화자의 유동적인 마음이 잘 나타는데, 봉기에 수반된 폭력에 대한 찬사라기보다는 폭력에 대한 의구심을 드러낸 양가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들에서 재현된 예이츠의 입장과 태도는 고정되거나 미결정의 상태로 끊임없이 출렁이는 이중성을 드러낸다.
        8,100원
        1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mewhat comically-described everyday lives before the Rising have no direct connection with the event itself. Behind the images from superficial meetings with sham courtesy of characters follow violent associations of death implying diverse layers of change in the realms of history, politics, Irishness and individual lives. Yeats enumerate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revolutionary leaders in order to hint these characteristics alone can’t transfigure historical realities. He shows us that those acquaintances whom he occasionally came across before the uprising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heroic act. On the other hand, he also reveals that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upheaval are the very simple everyday relationship. Above all, “Easter 1916” solves well the problem how a piece of poem acquires an impartial public voice out of secular opinions. This work is not embellished with symbolic abstruseness and therefore can be paraphrased into a comparatively easy prose writing. However, even its format change, if at all, doesn't quell its life force. The poet effectively evades a direct interpretation of the Rising that can help change the fate of the nation and so, he reconstructs the symbolic significance and context of the event into a literary masterpiece. In its form, the use of refrain emphasizing change shows directness and simplicity to conclude the verse. Moreover, Yeats frankly confesses that he was wrong in judging the victims’ heroic capability in the political aspect, but he doesn't make them appear pathetic poetic personae. The poem extols the heroic acts of the dead in the compressed verse and at the same time reproaches their decision to cast away their own precious lives. The refrain implies changes in the world caused by the Rising, political shifts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closely linked with independence and colonial management, and the severance of lives of people with whom the poet meet routinely everyday. That is to say, it refers to the myth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leaders before Irish people’s eyes as well as to the historical fact that British authority made them into corpses. ‘Change’ in the refrain evokes not only the tragic death of leaders in the uprising but the significance obtained through their death as well. In this context, a completeness of change out of the glorious sacrifice is also inferred. Thus, ‘change’ indicates the tragic stasis the leaders gained through the victimization of their own lives and reveals a poetic movement from this world to eternity. The poem sublimates the leaders as national icons permanently nesting in the bosom of their compatriots even though they lost their worldly lives. In this way, Yeats elegizes the victims by blending all the matters of history, politics and the nation together into a commemorative poem. This stream of thoughts triggered by the national tragedy creates a pivotal group elegy connoting deep insight into the universal death.
        5,800원
        14.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 B. Yeats in his whole life suffers from his introvert or passive self that hesitates to take action. In his agony, he creates his anti-self that boldly expresses his instinctive rage, and the anti-self is concretely established as a “fiery mask” in his poems. However, not oppressing the introvert and passive self completely, the fiery mask frequently conflicts and clashes with the passive self.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how the fiery mask conflicts with the passive self in his “September 1913” and “Easter 1916,” and how in “Crazy Jane Talks with the Bishop,” the fiery mask overcomes such a discord represented in the two previous poems. In the first poem, the poet is indignant at political Irish nationalists who are unable to appreciate the true valuable arts. Attacking the political nationalists through the fiery mask, however the poet reveals his hidden self that hangs back from taking action. In the second poem, such hidden self under the fiery mask becomes undisguised,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fiery mask and the passive self is exacerbated and maximized. Such conflict is dissolved through a female mask, crazy Jane in the third poem. Usually, mad woman’s angry voice makes a strong impact on society even though she does not take a proper act from asocial responsibility of her rage such as revenge. Therefore, the fiery mask of crazy Jane makes the poet escape from his duty to take action resulting in the 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the fiery mask and the passive self. Ironically, Yeats’s ideal anti-self is completed in the mad female mask, crazy Jane, not in the courageous male mask.
        6,400원
        1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ad “Easter 1916,” one of W. B. Yeats's best-known political poems, in terms of its representation of women and the related politics of sexuality. In the second stanza of the poem where the poet describes four rebels of the Easter Rising, he shows Countess Constance Markievicz. the woman whom Yeats knew so well from his childhood in Sligo. Besides her, the writer of this paper proposes the possibility of reading other two woman images in the poem: Maud Gonne and Cathleen ni Houlihan. By discussing these described or suggested images of women, this paper tries to show that they represent the "terrible beauty" which the poet says the rebels of the Easter Rising have generated.The first woman this paper chooses for discussion is Countess Markievicz. The poet describes her mainly as a woman whose "voice grew shrill" because of her spending "nights in argument," and then compares her present shrill voice with the "sweet" voice she had when she was "young and beautiful."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nt of the poet's emphasis on Countess Markievicz's "shrill" voice, the present writer reads one passage from Yeats's journal, where he regards "the shrillness" of voices of "the political class in Ireland" as the result of "the cultivation of hatred as one energy of their movement." In another similar passage, Yeats relates this hatred to "the sexual abstinence, so common among young men and women in Ireland." Based on this reading of Yeats's prose passages, this paper concludes that Countess Markievicz's shrill voice reveals her hatred and her negative attitude to sexual matters. The next part of the paper deals with two women characters, Maud Gonne and Cathleen ni Houlihan. Although she does not appear in the poem, Maud Gonne is suggested in the poem by her similarity to Countess Markievicz and by the poet's mentioning of her husband John MacBride. To support the presence and importance of Maud Gonne in the poem, the writer of this paper briefly reads two poems of Yeats--"A Prayer for My Daughter" and "Among School Children"--where he describes her in a very similar way to the description of Countess Markievicz in "Easter 1916." Another woman, Cathleen ni Houlihan, is also suggested in the poem, because, in terms of symbolic images, she seems to have led the rebels to the battlefield of the rising. This paper reads Yeats's play Cathleen ni Houlihan to show that she also can be understood in this poem in a negative way: she symbolizes the hatred and its resultant sexual abstinence of the rebels. In this way, like Countess Markievicz and Maud Gonne, she can represent the "terrible beauty" of the Easter Rising. Lastly, this paper considers another image of woman which appears in the last and fourth stanza, where the poet ends the poem by naming the rebels "As a mother names her child / Where sleep at last has come / On limbs that had run wild." The writer of the paper thinks that the poet needs this image of mother to mitigate his critique of the rebels which he has done in the third stanza, especially by using the image of stone. By becoming a real mother himself, unlike another "terrible" mother of Ireland, Cathleen ni Houlihan, the poet can arrive at a reconciled and balanced position, and accept the rebels in their contradictory and tragic state.
        6,700원
        18.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19.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905년에 발행된 「부활쥬일례」를 고찰함으로써 ‘찬송’, ‘성경본문’, ‘문답’을 중심으로 예전전통과 교훈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은 기독교의 핵심적 복음이며, 그리스도인들은 매년 부활주일에 주님의 부활을 기념한다. 이 부활절 예배에 관한 독특한 사료는 그리스도인들이 부활절에 어떻게 하나님을 예배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주는 가장 고전적인 지침서이다. 한국교회는 이 소중한 문헌이 담고 있는 예전적 유산과 교훈을 후세대 그리스도인들에게 전수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제2장에서는 ‘찬송’, ‘성경본문’, ‘문답’ 사이의 상호 유기적(有機的)인 밀접한 관련성에 대해 다루었다. 제3장에서는 ‘문답’을 중심으로 문답의 각 항목에 내재된 함축적인 의미들을 분석하였으며 이 분석 작업을 위해 ‘히스토리에’와 ‘게시히테’의 양면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교훈들을 고찰하였다. 제4장에서는 의미심장한 예전적 개념들을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부활절 예배를 위한 네 가지의 유익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부연하여, 이 연구가 향후 ‘신앙교육을 위한 문답식 토론회’, ‘공동체 신앙의 회복’, ‘주일성수’, ‘예배갱신의 방향’, ‘절기예배의 개혁적 패러다임’, 교파별 부활절 예배 비교연구‘ 등과 같은 예전적 실천분야 탐구로 확장되어지기를 기대해본다.
        20.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전례꽃 작가와 전례꽃꽂이 연구회에 발표 된 부활절 꽃작품 70점에 대한 형태의 상징성, 재료, 색채, 질감을 조사 분석하였다. 부활절 꽃작품의 형태의 상징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 알형태의 새 생명 탄생이 28점으로 가장 많았으며, 무덤에서의 부활이 14점으로 그 다음 많았다. 식물소재로는 나팔나리가 41점으로 가장 많았으며, 비 식물소재로는 달걀과 병아리가 각각 21점으로 많았다. 색채를 보면 흰색이 38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노랑색을 21점 사용하였다. 질감은 부드럽다, 포근하다가 각 31점으로 가장 많았으며 따뜻하다 21점, 유연하다 19점으로 많았다. 이와 같이 부활절 꽃작품을 분석한 결과 알의 형태, 병아리, 새순을 통해 새 생명의 탄생을 표현하였으며 참신하고 우아한 흰 나팔나리와 따뜻하고 유연한 노랑개나리로 부활의 기쁨과 영광을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