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ships are exposed to noise and vibration for a long time in seas isolated from land, the stress of workers is high, requiring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 In addition, the health of crew members on fishing vessels, unlike commercial ships, carrying out fishing activities is closely related to fishing performance. However, considering that most of IMO's guidelines apply to merchant ships, provisions should be made for vibration in accommodation areas of fishing vessels. Accordingly, this study, applying the revised ISO 20283-5:2016 standard and through experiment, investigated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ccommodation area for each operating conditions of a 1000-ton trawler fishing vessel.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and the full-ahead mode, the vibration was highest in the engine control room (4.17mm/s) while the acceptable standard was satisfied sufficiently in all conditions. Application of the merchant vessel vibration standard to fishing vessel is expect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fishing vessel crew members.
        4,000원
        2.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한국어판 Eating Assessment Tool-10(K-EAT-10) 연하장애 선별 검사를 활용하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연하장애 유병률 및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 경기도 내 일개 보건소에 내소하는 정상 인지 수준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 89명을 K-EAT-10과 연하장애 설문지를 통해 연하장애 증상을 평가하였다. K-EAT-10로 유병률을 확인하였으며, K-EAT-10 3점을 기준으로 연하장애 정상군과 위험군을 나누어 두 그룹 간 차이 및 특성을 Mann-Whitney U로 분석하 였다. 결과 : K-EAT-10 총점 3점 이상의 연하장애 유병률은 24.7%(22명)이었다. 연하장애 증상이 있다고 자각하는 대상자 12명 중 7명은 실제로 연하장애 위험군에 속하였다. 정상군과 위험군 사이에는 연하장 애 증상 및 심리적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K-EAT-10 항목 별로는 먹을 때 사레 걸림, 목에 음식물이 걸린 느낌, 알약 삼킬 때의 어려움이 주요한 증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일반 노화 과정의 연하장애 증상이 없거나 문제를 호소하지 않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도 내재되어 있는 연하장애 증상 확인을 위한 선제적 검사와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지역사회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연하장애에 대한 관심을 갖고 그에 맞는 종합적인 관리 및 중재를 통한 질 향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4,600원
        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낙상과 관련된 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과 주거환경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과 일반적 및 건강 관련 특성, 주거환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변수의 결측치를 제외한 9,411명의 자료 를 활용하였다. 노인의 낙상 여부에 따른 일반적 및 주거환경, 건강 관련 변수들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한 노인은 585명(6.2%), 낙상을 경험하지 않은 노인 8,826명(93.8%)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연령은 65~74세가 6,069명(64.49%)으로 여성이 59.78%에 해당하였다. 낙 상과 가장 큰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주택 종류 중 기타 3.91배(95% CI: 1.85, 8.27)로 나타났으며 배 우자가 없을 때 2.30배(95% CI: 1.37, 3.85), 일한 경험은 있으나 현재 일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2.13배(95% CI: 1.49, 3.0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낙상 위험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대상자 분류 및 선정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900원
        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판 일본 개호식품(UDF; Universal Design Food) 12종 제품의 서울시 노인 복지시설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고령자 41명을 대상으로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고 제품의 물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12종 제품은 다양한 재료와 물성 특성에 따라 분류한 UDF 1단계의 파우치형태 대두 혼합절임, 통조림형태 돼지고기 생강 조림, 레토르트형태 데미글 라스 소스 햄버거, UDF 2단계 즉석밥형태 히카리밥, 레토르트형태 호박그라탕, 전골 스키야키를 선정하였으며, UDF 3단계는 마이크로웨이브용 고기감자조림 무스와 가자미 니코고리조림, 떠먹는 과일 디저트 복숭아 젤리, 레토르트형 태 부드러운밥, 최종적으로 UDF 4단계는 튜브형태인 복숭아 요구르트 젤리와 파우치형 액상제품인 포크카레스튜를 선정하였다. 시료별 관능적 특성 중 물성 평가항목은 UDF 단계별로 강도평가가 동일한 강도수준을 나타내었다. 경도 는 UDF1인 돼지고기 생강조림이 255750 N/m2, 데미글라스소스 햄버거 81300 N/m2, 대두혼합절임 76433.12 N/m2로 가장 높게나왔다. 점성은 측정 가능한 2종의 시료 포크카레스튜 1908cp, 복숭아 요구르트맛 젤리 4710cp로 나타나 물 성 특성은 시료 고유의 특성에 따른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 및 기계적 물성 특성간의 관계를 파악하기위해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PLSR) 분석을 실시한 결과 PLS1상에서 UDF1인 제품이 관능특성 중 딱딱한 정도와 씹힘성 같이 분 포하였고, 이는 기계적 물성특성인 경도, 씹힘성, 검성과도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UDF2, UDF3의 단계로 높아지면 관능특성은 경도와 씹힘성, 잔존성과는 상관관계가 적었으며 오히려 탄성과 응집성, 점착성과 높은 상관관 계를 나타냈다.
        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전남지역 거주 노인의 나안시력, 청력, 근시와 원시 분포 및 청력손실의 정도를 측정하여 유의수준 .05 미만에서 연령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시력과 청력 검사 결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2013년 5~10월에 걸쳐서 평균 나이 73.75±7.00세의 노인 67명을 대상으로 ○○대학교 안경광 학과와 언어치료청각학과 임상 센터에 내원하였거나 노인복지관의 방문 봉사활동을 통해 시력과 청력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시력 및 청력검사 결과, 비교적 나이가 적은 연령군(74세 이하)보다 나이가 많은 연령군(75세 이상)이 나안시력과 청력이 더 나쁜 결과를 보였으며 연령대별 차이를 나타냈다. 굴절이상도는 전체적으로 원시안이 근시안보다 많았으며,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청력손실의 정도가 더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 및 청력의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시력과 청력의 상관은 낮으나 유의미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p< .05). 결 론: 시력이나 청력과 같은 노인의 말초기관 기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약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청력과 시력의 상관성은 그다지 높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다양한 노인의 시력 및 청력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늘어나는 노인 인구의 복지를 위한 기초자료가 마련되길 바란다.
        4,000원
        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대규모 수변공간 개발이 진행된 여주시는 관광객이 유발하는 지역환경 변화에 대한 주민의 혼란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역주민과 방문객 그룹사이의 조화를 고려한 수변공간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즉, 수변공간의 개발에 있어 지역주민이 허용할 수 있는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현재 조성된 수변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여주시 지역주민의 거주특성에 따른 수변공간에 대한 허용가능한 개발 형태 차이를 알아보고 허용가능한 개발 형태와 수변공간에 대한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변수는 '여주군 지역 주민의 거주특성', '허용가능한 변화한계 요인', '수변공간에 대한 만족도' 이며 여주시 주민을 대상으로 수집된 240부의 설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여주시민의 거주특성에 따른 허용가능한 수변공간 형태의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허용가능한 수변공간 형태 요인 중 수변공간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여주시민의 거주특성 중 고향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라 허용가능한 수변공간 개발 형태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허용가능한 수변공간 형태요인 중 '활동중심개발'이 수변공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수변공간 개발 시행 시, 수변공간에 대한 지역주민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주민의 고향여부, 거주지역에 따라 '활동중심개발'이 고려 되어야 할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주민과 방문객 및 지역환경을 모두 고려한 지속가능한 수변공간 개발을 위한 전략적 대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spersion conditions of exhaust gas emitted from the ship stack are varied due to the state of sea surface, ship velocity and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 etc. In the certain circumstances, the exhaust gas flowing backward phenomena is appeared due to the shape of vessel structure. The negative pressure layers can appear at the rear part of deck house and cause the exhaust gas flowing backward phenomena. In this study, 1:100 scale model ship was manufactured and tested in the large wind tunnel test center to ensure the exhaust gas flow patterns.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the greatest pressure point was x/H=1.55 at zone 6 and Case 2 was a relatively high wind pressure distribution.
        4,000원
        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치매노인 증상과 보호자의 부담감에 따른 방문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방문작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4월 5일부터 5월 15일까지 서울에 위치한 치매지원센터 5곳을 방문하여 외래 치료를 받고 있는 치매노인의 주 보호자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중 89부를 대상으로 SPSS 17.0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 검증,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결과 : 치매노인의 중증도에 따라서는 환경수정, 여가활동 요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문제행동에 따라서는 여가활동, 보호자교육 요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1). 치매노인의 인지수준에 따라서는 환경수정, 일상생활 요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보호자 부담감에 따라서는 일상생활, 문제행동 요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1). 결론 : 치매노인의 특성과 보호자의 부담정도에 따라서 방문작업치료 요구도에 차이가 있었다. 치매노인의 중증도가 중등도 일 때, 인지수준은 목적지향적 학습단계(4.0~4.8) 일 때, 문제행동이 심할수록 요구도가 높았으며, 보호자 부담감은 중등도일 때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고려한 방문작업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4,300원
        11.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due to economic growth, living environment has been convenient and comfortable and so human activities were decreased. Consequently energy consumption was also decreased. Also the habit of food intake has been changed and the tendency of obesity has been increased.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alysis of obesity index of residents in six metropolitan cities. According to analysis of Rohrer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regionally between men and women in metropolitan cities. Through analysis of Drop Valu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regionally between men and women in metropolitan cities on circumferences of chest, waist and buttock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in manufacturing and design of uniforms and equipments for safet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