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에 주목받는 정동적 노동의 이윤 공유 에 대한 연구들이 한국사회에 적용 가능한지를 확인하고자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정동적 노동의 이윤 공유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논의에 소극적 입장을 가지는 한국사회의 경향들을 고찰하였다. 이 경향 들은, 1950~60년대 냉전 시기의 적색공포에서 형성된 ‘반공 자유화 경 향’, 1970~80년대 산업화·민주화 시기의 측정가능한 노동 중시로부터 형 성된 ‘노동 신성화 경향’, 1990~2000년대 외환위기 시기의 무한경쟁에서 형성된 ‘승자 독식화 경향’이다. 물론 한국사회 전구성원들이 이러한 경 향들에 매몰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이러한 경향들만이 정동적 노동의 이윤 공유를 거부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이 경향들은 정동적 노동의 이윤 공유를 거부하는 대표적 요인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이 경향들 에 대한 고찰을 통해, 사회적·자연적 부의 공유와 사회구성원들의 권리와 복지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로에서 자유 주차된 공유형 자전거 및 전동킥보드를 수용하기 위한 혼합형 주차구획 설계방안을 제시하는 것 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현장조사를 통해 공유형 자전거 및 전동킥보드의 주차비율을 도출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공유형 자전거 및 전동킥보드의 주차단위구획을 도출한다. 주차단위구획의 배치에 따른 기하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혼합형 주차구획 설계공식 을 도출한다. 혼합형 주차구획 설계 공식을 이용하여 주차구획 설계 사례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차실태 현장 조사를 통해 공유형 자전거 및 전동킥보드의 주차비율을 도출하였다. 혼합형 주차구획 설계공식 도출을 위한 주차단위구획의 규격을 도출하였다. 공유형 자전거 및 전동킥보드의 주차비율을 반영한 혼합형 주차구획 설계공식을 도출하였다. 공유형 자전거 및 전동킥보 드의 주차각도 유형별로 혼합형 주차구획 설계공식 적용 사례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유주차 방식의 공유형 자 전거 및 전동킥보드로 인한 보행 방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공간/면에 대한 이용자 중심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공간/면에 대한 설계요소를 도출한다. 둘째, 주차공간/면 설 계요소 조합을 통해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공간/면에 대한 설계대안을 도출한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해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이용 자를 대상으로 주차공간/면 설계대안에 대한 선호의식 데이터를 수집한다. 마지막으로 선호도 분석을 통해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이용 자가 선호하는 설계요소를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공간/면에 대한 설계요소로 주차면, 주 차각도 및 방향, 주차방법을 도출하였다.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공간/면 설계요소를 바탕으로 16개의 설계대안을 도출하였다. 공유 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공간/면 설계대안에 대한 이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이용자의 특성 및 이용행태별로 선호하는 설계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공간/면 설계대안에 대한 기 준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최근 몇 년간 서울시 내 공유 전동 킥보드의 도입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불법 주·정차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었다. 서 울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조례를 개정하여 불법 주·정차된 킥보드를 견인하고 있으나, 불법 주정차 신고 건수는 여전히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견인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제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전동킥보드 불법 주·정차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동킥보드 견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동 킥보드가 불법 주·정 차된 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자고 한다. 이에 따라, 서울시 각 행정동별 전동킥보드 불법 주·정차 견인 건수를 바탕으로 Moran's I 분석을 수행하여 공간적 자기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High-High(HH), Low-Low(LL), High-Low(HL), Low-High(LH)로 구분된 네 가지 유 형의 패턴이 서울시 내에 분포하는 양상을 파악하고, 각 구역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해당 문제의 사전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분야의 교육은 이 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실용적 기술과 혁신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 현장 환경에 대비하여 학습자들을 준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 중 하나 로 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다른 맥락으로 적용하는 학습전이 가 강조된다. 이에 본 연구는 능동적 학습 참여, 고차원적 사고, 실무 능 력을 배양할 수 있는 플립러닝 교수법을 활용하여 다차원 학습자 수업참 여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지식공유태도와 학습자 효능감의 효과에 대한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K대학 응용화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첫째, 정서적, 행동적 참여는 학습전이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동적 수업참여와 학습전이 간의 관계에서 지식공유태도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 막으로 학습자 효능감은 인지와 정서적 수업참여와 학습전이 간의 관계 에 대해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자 수업참여는 지식공유태도를 통해 학습전이가 되는 것으로 알 수 있으며, 학습자 효 능감이 학습자 수업참여와 학습전이 간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URPOSES : This study presents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arking capacity of shared e-scooter parking spaces using the dimensions of the clearance spaces of sidewalks.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continuity angle of the parking unit placement is derived. Second, the parameters of the sidewalk clearance lengths are derived. Third,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arking capacity of shared e-scooter parking spaces is derived. Finally, we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parking capacity calculation formula to actual sidewalk clearance spaces. METHODS :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 formula for the discontinuity angle of parking unit placement was derived using the sidewalk clearance widths and the geometric structure of parking units. Formulas for the parameters of the sidewalk clearance lengths were derived using the sidewalk clearance lengths and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parking units. A formula for parking capacity calculation was derived using the formula for the parameters of the sidewalk clearance lengths and the discontinuity angle.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the parking capacity calculation formula to actual sidewalk clearance spaces are presented.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sted as follows: The discontinuity angle for the placement of standard shared e-scooter parking units was derived. Additionally, a formula for the sidewalk clearance lengths was derived. Moreover,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arking capacity of shared e-scooter parking spaces based on sidewalk clearance lengths and widths was derived. Finally,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the parking capacity calculation formula to actual sidewalk clearance spaces are presented. CONCLUSIONS : A formula for calculation of the parking capacity of shared e-scooter parking spaces using the dimensions of the clearance space of sidewalks was derived and proposed. The parking capacity calculation formula present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sign of parking spaces to accommodate dockless shared e-scooters on sidewalks. Furthermore, it can also contribute to accommodating other types of dockless mobility. Future research can focus on designing parking spaces that consider the parking demands for shared e-scooters.
PURPOSES : This study explores the preference of shared autonomous vehicle service in an underground dedicated environment. METHODS : A stated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 choice behaviors on autonomous vehicle service competing with existing modes. Multinomial logit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explanatory variables from the surveyed data. The model was estimated with alternative specific parameters rather than generic parameters. The value of time was also estimated using the parameters of the mode choice model.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avel cost had the highest sensitiv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lowest to private cars. We also found that the value of the in-vehicle travel time was highest for private cars, lowest for public transportation, and intermediate for SAVs, suggesting that SAVs could serve as a premium public transport option. Additionally, the out-vehicle time coefficient was higher for public transportation compared to that for SAVs, indicating that users are more willing to tolerate longer out-vehicle times for SAVs due to their high-speed service compared to that of public transportation. CONCLUSIONS : This study presents a direction for policy regarding the adoption of shared autonomous vehicle services by considering the attributes that are valued by users of each mode.
PURPOSES : This study presents an application plan for parking spaces for shared e-scooters using the clearance widths of sidewalks. The detailed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ly, to present appropriate spaces for installing parking lots for shared E-scooters. Secondly, to derive the specifications of parking unit spaces for shared E-scooters. Thirdly, to derive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arking angle of shared E-scooters. Lastly, to provide examples of calculating the parking angle using the derived formula. METHODS :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ppropriate locations for installing parking spaces for shared E-scooters on sidewalks were proposed. We also investigated design factor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o derive the specifications of parking unit spaces for shared E-scooters, and utilized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clearance widths of sidewalks to derive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arking angle. Finally, we provide examples of calculating the parking angle for shared E-scooters using the derived formula.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proposed clearance widths of sidewalks as appropriate spaces for installing parking spaces for shared E-scooters. Next, we derived the specifications of parking unit spaces for shared E-scooters consider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pecifications of shared E-scooters, and clearance dimensions. Moreover, we derived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arking angle of shared E-scooters considering clearance widths of sidewalks. Finally, we presented examples of calculating the parking angle for shared E-scooter parking unit spaces based on clearance widths of sidewalks. CONCLUSIONS : It was concluded that the application for parking spaces for shared e-scooters using the clearance widths of sidewalks was presented. We derived the standard and compact specifications of parking unit spaces for shared E-scooters, and provided foundational data for estimating the parking capacity using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arking angle of shared E-scooters.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clude presenting case studies of estimating parking capacity using the parking angle of shared E-scooters.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로의 완충공간에 설치할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구획을 합리적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구획 설계를 위해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구획의 주차형식별 규격과 주차용량을 산정하는 공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 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보행로 완충공간의 수직길이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 차구획의 수직길이에 대한 제약조건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보행로 완충공간의 수평길이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구획의 수평길이에 대한 제약조건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행로 완충 공간의 수직길이에 대한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구획의 주차형식별 규격을 바탕으로 주차구획 설계공식을 도출하였다. 보행로 완충 공간의 수평길이에 대한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구획의 용량을 바탕으로 주차구획 설계공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행로의 완충공간에 설치할 공유형 개인이동장치 주차구획에 대해 최적의 주차형식과 주차용량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공유리더십 동향 을 살펴보고 향후 리더십 연구 발전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등재된 논문을 검색어에 공유리더십, Shared Leadership으로 검색된 810개의 결과물 중 연구목적에 맞는 111개를 선정하였 다. 선정된 논문은 연도별, 학술 단체별, 연구 대상별, 주제어별, 연구 방법별 그 리고 기타별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도별 분석 결과는 2007년 한 편을 시작으로 해마다 꾸준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코로나 시점인 2019년부터는 급속한 연구의 증가를 보였다. 둘째, 학술단체 분석 결과는 경영 관련 학회가 45편, 교육관련 학회가 22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 상자에 대한 분석 결과는 인적 대상이 39%, 물적 대상이 36%, 기타가 28%로 나타났다. 넷째, 주제어별 분석 결과는 조직관련 주제어가 60회, 팀관련 주제어 가 59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방법별 분석 결과는 질적 연구 1편, 양적 연구 110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유리더십과 함께 연구되어진 리 더십을 분석한 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이 4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리더십 분야에서 다루어진 공유리더십을 주제로 연구의 전반적 흐름을 살펴보 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심도 깊은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PURPOSES :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improper parking behaviors in a perspective of personal mobility users. Detailed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ly, exogenous and endogenous latent variables were set. Secondly,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onstructed. Hypothesis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established. Then model’s goodness of fit was analyzed and following the result model was modified. Lastly, factors affecting improper personal mobility parking behavior was found out. METHODS :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exogenous and endogenous latent variables were set. Correlation between latent variables and their observed variables was defined to build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model hypothesis was established. In order to collect data, survey was conducted on personal mobility users. Model’s goodness fit was verified and the model was modified. Lastly 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improper personal mobility parking behavior path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 Based on literature review, based on 6 of latent variabl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made. Survey was conducted on 341 participants who has used personal mobility at least once based on Likert 5-point scale. Out of 341 responses 22 responses considered as careless responses were remov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it turned out that ‘ease of transfer’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per parking of personal mobility meanwhile ‘convenience’ and ‘road condition’ had a negative effect. CONCLUSIONS :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ximity and accessibility to the transfer facility could be important when installing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as improper parking behavior of personal mobility users could be affected by ease of transfer to other traffic mode. Also, interval of parking lots, location and its road condi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make it convenient for users to find parking lot and to encourage them to use it more often.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eneficiaries of car-sharing that can utilize autonomous car-sharing services when they are introduced.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The first step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car usage by region and rental time using t-Ttest. The second step was to analyze the beneficiaries of autonomous car-sharing services if they are introduced. The beneficiaries were derived using parking time and survey data. RESULTS : Car-sharing behavior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usage characteristics by region and rental period. However, the distance traveled per trip for short trips was similar. When the autonomous car sharing service with free return and rental is introduced, 31% (Jeju) to 38% (Daejeon) of short-term renters and 50 to 52% of long-term renters are expected to benefit. CONCLUSIONS : When introducing autonomous car-sharing servi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hared car strateg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ar-sharing use by region and rental period. In particular, in Jeju Island, where the rental time is relatively longer than Daejeon, the introduction of autonomous car-sharing services will contribute to reducing the cost of shared vehicles in terms of cost.
PURPOSES : This study is to analyze preference of shared personal mobility(shared e-scooter or shared bike) parking lot. The detailed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ttributes and attribute levels of shared personal mobility are developed. Based on combined attributes and attribute levels several profiles were composed. Preference data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is collected through survey. Preference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was analyzed using conjoint analysis. METHODS :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attributes and attribute levels that might affect behavior or intention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were developed. Several profiles that contain combined attributes and attribute levels were created in a fractional factorial design. In order to collect preference data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online survey were proceeded.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rk preference point between point 1 and point 10. Lastly, preference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was analyzed using conjoint analysis. RESULTS : Based on literature review, 5 attributes for conjoint analysis were set.(Distance between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and destination, Space for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Location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Type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Interval of shared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With the combination of 5 attributes and their levels, 16 random profiles were made. Online survey was proceeded with 300 participants who have used shared personal mobility. Using conjoint analysis utility and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has been calculated. As a result, the preference got higher when distance between parking lot and destination and intervals of parking lots are short. In addition racks are tended to be preferred and it seems to be more profer to install parking lot on buffer zone of pedestrian road instead of adjacent to private building. CONCLUSIONS : It could be important to install personal mobility parking lot considering preference of parking lot attributes in order to encourage users to use the proper parking lot instead of parking anywhere.
본 연구에서는 공유리더십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를 살펴보고, 아울러 심리적 주인의식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에이전틱·커뮤널 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다양한 산업에 재직하고 있는 직장인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 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213명의 유효한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공유리더십과 심리적 웰 빙 간의 직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으로 분석하였으며, 에이전틱·커뮤널 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순 기울기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유리더십은 심리적 웰빙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 공유리더십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은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심리적 주인의식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에서 에이전틱·커뮤널 성향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커뮤널 성향은 심리적 주인의식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한 반면, 에이전틱 성향은 심리적 주인의식과 심리적 웰빙 간의 정(+)적 관계를 강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공유리더십은 구성원들 간 협력과 상호작용을 촉진해서 개인의 성장과 발전 에 공헌하는 심리적 웰빙을 향상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공유리더십이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유리더십 효과성의 심리적 메커니즘 변인으로 심리적 주인의식 을 검증함으로써 각 변인들의 연구영역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아울러 기존에 심리적 주인의식과 심 리적 웰빙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개인성향(에이전틱, 커뮤널)의 새로운 변인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dustrial complexes are areas where manufacturing companies are integrated, and logistics between tenant companies play a very important role, but idle resources can occur depending on the situation if each company operates independently.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reduce overall logistics costs and increase corporate productivity by looking at ways to share and utilize logistics resources such as warehouses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to efficiently utilize logistics resources in industrial complexes and implementing a logistics sharing platform that can share these idle resourc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survey on the logistics status of manufacturing companies in Ulsan-Mipo Industrial Complex, based on this analysis, the necessity of logistics resource types and utilization of industrial complex resident companies, and based on this, a service model for logistics resource sharing was studied.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logistics system to derive improvements and to derive optimal measures to utilize information on shared idle resource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haring and utilizing idle resources to optimize logistics resources in industrial complexe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ing logistics costs and increasing logistics efficiency of tenant companies.
Big data technology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corporate and public sectors, diverse system platforms are built and operated due to the needs of users, but efficiency is low because they are built from an individual service perspective rather than an integrated service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shared information platform, the integration plan, and integration performance of the shared information system platform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guidelines for the integration of shared information system platforms by the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