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3.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대한 해양사고의 위험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예방하기 위하여 준해양사고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하인리히의 법칙을 이론적 배경으로 들 수 있다. 부산항 VTS의 관제구역에서는 2019.1.1. ~ 2019.12.31.까지 11건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였으며, 같은 기간 24건의 VTS 관점 준해양사고가 보고되었다. 하인리히의 법칙에 따르면 보고된 24건 사례 이외에 더 많은 잠재적인 위험 상황이 있을 것 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부산항VTS 관제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준해양사고 24건의 분석을 통해 VTS 관점 준해양사고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잠재적인 위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3일간 교통조사를 실시하였다. 3일간 교통조사 실시 결과 216건의 잠재적 위험 상황을 확인했으며, 1년으로 환산하면 약 26,280건으로 분석된다. 설문조사를 통한 준해양사고 발생의 중요 한 원인인 ‘VHF 통신 피드백 누락’ 등의 조건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감안하더라도 관제구역 내 많은 잠재적인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VTS 관점의 준해양사고 보고제도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4,000원
        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어 말하기 교재의 사자성어를 살펴보고 사자성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 하여 사자성어 선정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서론을, 2장에서는 두 종류의 말하기 교재에 출현한 사자성어를 조사한 후 중국어 코퍼스를 활용하여 사용빈도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학습하는 사자성어의 수와 사용빈도의 차이가 매우 컸다. 3장에서는 중국 인을 대상으로 자주 사용하는 성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코퍼스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용 사자성어 선정 기준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재 편찬 및 중국어 교육, 특히 어휘 교육의 사자성어 교육 방안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5,200원
        6.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심지 내 미세먼지 저감 식재를 위한 식물 소재 선정 시에는 식물의 흡착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의 잎 모양, 질감, 수피의 형태 등 형태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식물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연구는 식물의 흡착 기능보다 흡수 기능에 대한 연구가, 실외식물보다 실내식물인 관엽식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 특히, 미세먼지 저감 수종 선정 기준이 구체적이지 않아 미세먼지 저감 식재를 위한 식물 소재 선정 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퍼지다기준 의사결정법(Fuzzy MCDM)을 활용하여 미세먼지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8가지 지표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도심 내 미세먼지 저감 식재를 위한 수종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세먼지 관련 분야 전공자와 미세먼지 관련 연구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분석 결과, 미세먼지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 항목 중 잎 면적과 수종의 종류가 가장 높은 순위를 나타냈다. 그리고 잎 표면의 거칠기, 수고, 성장 속도, 잎의 복잡성, 잎 가장자리 형태, 수피 특징 순서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잎 표면이 거친 수종을 선정할 경우에는 잎에 털이 있고, 광택이 나며, 왁스층이 있는 수종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것이 좋다. 잎의 형태를 고려할 경우, 단일 잎보다 3종 혹은 2종 잎과 손바닥 형태의 잎을 선정하고,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한 모양보다는 톱니 모양의 잎을 선별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잎의 표면에 흡착되는 표면적 비율을 높아지게 할 필요가 있다. 수피의 특성을 고려할 경우에는 피목이나 무늬종보다는 코르크층이 있고 껍질이탈이나 갈라짐이 관찰되거나, 앞으로 관찰될 가능성이 높은 수종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도심 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식재계획 시 식물의 미세먼지 흡착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의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식물 소재 선정 기준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도심지 내 수목 식재 계획을 위한 수종 선정 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8.
        2017.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rrent seismic design provisions such as ASCE 7-10 provide criteria for selecting ground motions for conducting response history analysis. This study is the sequel of a companion paper (I – Ground Motion Selection) for assessment of the ASCE 7-10 criteria. To assess of the ASCE 7-10 criteria, nonlinear response history analyses of twelve single degree of freedom (SDF) systems and one multi-degree of freedom (MDF) system are conduc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target seismic demands for SDF can be predicted using the mean seismic demands over seven and ten ground motions selected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 within an error of 30% and 20%, respectively
        4,000원
        9.
        2017.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estimating the seismic demand of buildings, most seismic design provisions permit conducting linear and nonlinear response history analysis. In order to obtain reliable results from response history analyses, a proper selection of input ground motions is required. In this study, an accurate algorithm for selecting and scaling ground motions is proposed, which satisfies the ASCE 7-10 criteria. In the proposed algorithm, a desired number of ground motions are sequentially scaled and selected from a ground motion library without iterations.
        4,000원
        11.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은 2010년까지 사업대상지점만을 선정하여 개선사업을 진행하였지만, 2011 년부터 지점뿐만 아니라 구간을 선정하여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업대상구간을 선 정하는 방법이 명확하지 않은 문제가 있어 사업대상구간 선정 시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방부 도로와 같이 교차로가 많지 않은 구간의 사업대상구간 선정은 비교적 수월하지만, 도시부 도로의 교차로가 많은 구간에서는 정량적인 기준을 통해 어떤 구간을 어떻게 선정하여야 하는지 명확한 기준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가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도시부 도로에서의 사고 잦은 곳 사업대 상구간을 정량적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교통사고 DB는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을 통해 2012년 발생한 사고 DB를 수집하였 다. 대상구간은 서울시 동작구, 경기도 안양시, 전주시 완산구 13개 축을 선정하여 교통사고 건수 및 심각 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통사고 잦은 구간을 선정하는 2가지 대안을 제시하였고, 대표성, 구간 선 정 편리성, 범용성, 시스템 적용성 측면에서 대안별 장단점을 분석하여, 최적안을 도출하였다.
        12.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scribes a reasonable planning method for water meter replacement which can minimize the metering under-registration for an increasement of revenue water. The increment analysis of real water usage was used to establish a replacement plan. The meter replacement database collected from K City was used as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e database included 964 connections of domestic and non-domestic consumers that had their meter replaced by aging at 2011.The result showed that the corelation between unregistered water volume and water meter age was lower than commonly expected where the current criteria of replacement is only water meter age(8 years) excluding the meters older than 13 years. And in the analysis result of water usage for 8 years, the total amount and increment of water us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nregistered water volume. However the relation was different tendency as a total volume and slope of increment. In case of total water volume was larger than 10,000 , larger than 7,000 and increment of 0.0 ~ -0.3, larger than 6,000 and increment more than -0.3 were analysed to need a replacement because of metering under-registration.
        4,000원
        1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술제휴 동기의 주요 이론적 배경인 거래비용이론(TCE)과 자원준거이론(RBV)의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거버넌스, 성과에 대한 설명력을 분석하였다. 기술제휴의 동기인 TCE와 RBV의 통합 분석 관점에서 기술제휴의 각 단계, 즉 기술 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거버넌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국내 하이테크(High-Tech) 기업의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 시 TCE 관점과 RBV 관점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버넌스 유형 선택에는 TCE 관점이 보다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제휴의 성과에는 TCE 관점과 RBV 관점 모두 관계가 있지만 RBV 관점의 설명력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제휴 각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양 이론의 세부 변수를 제시하고,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과 시사점 및 한계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7,000원
        1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선진국은 개발도상국의 REDD+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매년 200억불을 목표로 기금을 조성하고 있고, 한국 역시 탄소배출권 확보 및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하여 적극적으로 REDD+ 사업을 추진중이다. 한국의 REDD+ 협력 대상국을 선정하기 위해 대상 국가 선정 기준을 온실가스 감축잠재력 및 양자 협력 여부로 설정하고, 지구산림자원평가서(FAO, 2010)를 활용하여 REDD+ 협력 대상국으로 고려할 후보 38개 국가를 선정하였다. 온실가스 감축잠재력을 추정하기 위해서 산림이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산림률과 산림전용의 정도를 나타내는 산림전용률을 산출하였다. 기준치를 정할 때, 산림률은 2000 ~ 2010년간 대상 국가들의 연평균 산림률인 42%를 기준으로 하여 산림률이 높은 국가와 낮은 국가로 구분하였고, 산림전용률은 2000 ~ 2010년간 대상 국가들의 연평균 산림전용률인 0.2%를 기준으로 산림전용률이 높은 국가와 낮은 국가로 구분하였다. 보완적으로 산림청과 양자협력 체결 여부와 한국이 주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제산림기구인 AFoCO 회원국 가입 여부를 고려하여 한국의 REDD+ 협력 대상국을 선정하였다. 본 선정기준에 따라 인도네시아,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가 한국의 REDD+ 1차 협력대상국으로, 브라질, 콩고민주공화국, 파푸아 뉴기니가 2차 협력 대상국으로 선정되었다. 결론적으로 REDD+ 협력 국가 대상국을 동남아시아에만 국한하지 않고 온실가스 감축잠재력이 높은 아프리카와 중남미로 확장시킬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4,000원
        20.
        201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심지층 처분장 부지선정 시에 고려되는 요소를 지질, 수리지질, 지화학 등으로 분류하고 그 첫 번째 단계로 지질분야의 세부 항목을 지형, 토양층, 암종, 구조지질, 역학적 안정성, 지질학적사건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항목에 대한 국외 기준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지선정요소(Siting factor)에 대한 기준(Criteria)은 각 국가의 처한 지질환경에 따라 다른 조건혹은 값을 제시하고 있다. 화산 및 지진활동이 빈번한 일본에서는 이에 대한 기준을 상대적으로 자세히 기술하고 있으며, 빙하작용이 예상되는 스웨덴에서는 빙하작용에 의한 지반 융기·침식에 대한 영향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 결과는 향후 국내의 심지층 처분장 부지선정 기준 수립시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