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양하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양하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리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실험을 하기 위해, 양하꽃 추출물 (ZMF)과 양하잎 추출물 (ZML)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acrophage (Raw 264.7)를 이용해 시료의 세포독성 평가와 nitric oxide 저해능을 측정 하였다. ZMF과 ZML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ZMF는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측정 결과 ZML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NO 저해능 측정 결과에 따르면 ZMF는 농도 의존적으로 NO가 저해되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냈다. ZMF의 pro-collagen type-1 합성량은 25 μg/ml에서 110%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MP-1 저해능은 25 μg/ml에서 20%의 활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 ZMF는 주름개선용 화장품 소재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평가 결과, 양하의 생리 활성 효과가 검증되었으므로 천연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Yangha Buds (Zingiber Mioga R)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steamed-rice cake, Sulgidduk, prepared with Yangha Buds juic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measured based on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n Yangha Buds (water extract and juice). Sulgidduk was prepared by adding Yangha buds at concentrations of 0, 1, 2, 3, and 4% of juice. To analyze quality characteristics, proximate composition, color, texture profile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measured. As content of Yangha buds juice increased, L-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a-value and b-value increased (p<0.05). For texture profiles, control group scored higher score for hardness as compared to groups added with Yangha buds juice. Springiness, chewiness, and adhesive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 the sensory evaluation, samples containing 3% Yangha buds juice showed better results for attitud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Yangha buds are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Sulgidduk.
        4,000원
        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therapeutic diet against aging and obesity, using Yangha(Zingiber mioga R.). Befor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diet, we performed cell viability assay, analysis of general composition, macrominerals and antioxidantive activities of Yangha. Based on the findings from analyzing the results, mook using Yangha powder(0~ 20%) was processed, and tested for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values,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result of cell viability assay of myoga, using liver cells, revealed that within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500 ㎍/㎖ to 10, 000 ㎍/㎖, cell survivability increased in line with the concentration rate. Therefore, it will not be harmful to consume it as food. Regarding the normal substance of myoga, the water substance of myoga was 94%, which exceeds that of ginger and tumeric with 89% and 83%, respectively. As for crude protein, fat, carbon hydrates and ash, myoga contained less than the other two, which I think is due to the high water substance. Regarding the minerals, potassium had the highest contents among macrominerals of 234.74 ㎎%. As for the antioxidant test,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hown. As for the production of Yangha mook(Yangha powder levels were 0~ 20%) for quality characteristics, the more of the powder, the less the L, but the greater the a and b values. Also, for the material property, an increased amount of the powder, resulted in chewiness and springiness, but less gumminess in a correlated manne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in relation to the powder. For the sensory test, jelly type ZM5 with 5% powder showed highest overall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ensory test, based on the powder substance, the jelly with 5% powder showed the highest overall score, including preference.
        4,000원
        7.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one density is decreased by disturbance of bone remodelling due to lack of normal weight bearing and muscle contrac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Loss of bone density cause fracture, delays treatment with immobilization, and leads to functional lim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spine in children with spastic quadriplegia and diplegia. Six spastic quadriplegia and 14 spastic diplegia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QDR 4500 X-ray densitometer was used to measure bone density at lumbar spine (L1~L4).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howed lower bone density than that of normal children. Bone density in children with spastic quadriplegia and diplegia was , ,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ne density between children with spastic quadriplegia and diplegi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density relation to motor development level, height, and weight. Further study is needed to find the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loss of bone dens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4,000원
        9.
        202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문물보호국, 수도국 등 부서를 방문하고 관련 시골에 대한 현지 조사를 함으로써 한단(邯鄲) 시 부양하(滏陽河) 연선 현존 고교의 현황을 정리하고 자세히 분석하여 고교 보호 제안을 냈다. 이를 통해 사회 전반의 고교 보호 의식을 제고하였다. 또한, 과학적인 고교 보호 계획을 세움으로써 앞으로 고교 보호 자금의 전면적인 조달과 고교 자원의 종합적인 개발에 도움이 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도시 건설에서 고교 보호 의식을 향상시키며 도시문화 건설에 고교 문화의 힘도 강화시키면 좋겠다.
        10.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주목적은 조양하 유역의 유출응집구조와 에너지소비 양상을 멱함수 법칙분포의 틀 내에서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토사유실에 민감한 우심지역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GIS를 기반으로 대상유역 내 지점별 배수면적과 함께 소류력 및 수류력을 정의하는 지형학적 인자를 추출하여 해당 인자들에 대한 여누가 분포의 도해적 해석과 함께 멱함수 법칙분포의 적합을 수행하였으며 소류력과 수류력의 규모별 특성권역을 기반으로 토양우실 우심지역을 추출하여 보았다. 소류력를 기반으로 한 토사유실 우심지역의 경우 수류력을 기반으로한 결과에 비하여 우심지역의 범위가 매우 좁게 평가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류력이 멱함수 법칙분포를 따르지 않는 규모종속성 지형학적 인자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해당 지형학적 인자는 멱함수 법칙분포의 틀 내에서 자연유역의 에너지 규모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 수류력을 기반으로 제시한 지형학적 인자가 토사유실의 평가를 위해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토사유실 우심지역을 도시해 본 결과 국부경사에 종속적인 사면활동 활성구간에서 발생한 토사가 국부경사와 배수면적에 종속적인 지표유동 활성구간을 통하여 계곡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었다.
        11.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주목적은 조양하 유역의 유출응집구조와 에너지소비 양상을 멱함수 법칙분포의틀 내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GIS를 기반 으로 대상유역 내 지점별 배수면적과 함께 소류력 및 수류력을 정의하는 지형학적 인자를 추출하고 해당 인자들의 여누가 분포에 대한 도해적 해석과 함께 멱함수 법칙분포의 적합을 수행하였다. 주요한 결과로서 세 가지 지형학적 인자들의 여누가 분포는 세 개의 개별적인 거동특성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멱함수 법칙분포 확률밀도함수의 매개변수를 최우도법을 이용하여 추정해 본 결과 배수면적과 수류력은 대표적인 규모를 유한 하게 결정할 수 없는 규모 불변성 지형인자이지만 소류력은 유한한 규모를 갖는 규모 종속성 지형학적 인자로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소류력의 경우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복잡계 거동을 보여 멱함수 법칙분포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우도법을 적용하여 추정한 배수면적의 멱함수 법칙분포 지수는 선행연구에 비하여 큰 수치로서 해당 지수의 추정에 사용된 방법론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류력의 멱함수 법칙분포 지수는 선행연구에 비하여 다소 작은 수치로서 대상유역의 규모에 따른 수로경사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2.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하 (Zinger mioga Rosc.)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생양하 95.3%, 건양하 7.63% 및 분말양하 9.81%이었다. 분말앙하가 조단백 11.21%, 조지방 2.f4%, 회분10.78% 그리고 조섬유 14.47%로 생양하와 건양하보다 함량이 높았다. 양하의 항산화효과는 Rancimat와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유지산화안정도 실험의 결과 분말양하가 4.21 AI로 대조구에 비해 4.6배의 항산화효과가 있었고, DPPH fi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분말양하의 값이 76.61%로 생양하 49.35%,건양하 61.78%에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하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와 GC-MS 분석 · 동정한 결과 총 12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주요향기성분은 테르펜류인 α-pinene, β-pinene, β-phellandrene, 1,4-terpineol, and β-terpinene 등 이었다.
        13.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양하의 인공재배시 지하경의 키기와 피복재료가 주요생육 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하경이 클수록 출현이 빠르고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9월 하순경 개화되었다. 2. 지하경 크기는 12~15cm에서 초장이 크고, 화뢰엽수가 많아 대량번식시킬 때 가장 알맞은 키기로 사료된다. 3. 멀칭은 짚피복이 초장이 크고 엽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고 화뢰수와 화뢰중이 무거워 수량이 증수되었다.
        14.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하(襄荷)를 대양번식(大量繁植) 하고자 경정부위(莖頂部位)의 기내배양(器內培養) 방법(方法)을 확립(確立)하기위하여, 경정부위(莖頂部位)의 생장(生長)에 알맞은 기본부지(基本部地) 및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의 농도(濃度)를 구명(究明)하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양하(襄荷)의 경정부위(莖頂部位)는 치상후(置床後) 10~12주(週) 후(後)에 기관(器官) 분화현상(分化現像)이 나타나서 shoot와 root가 발생(發生)되었다 2. 양하(襄荷)의 경정(莖頂)은 MS기본부지(基本部地)에 치상(置床)한 환경(環境) 비교적(比較的) 생장(生長)이 잘 되었다. 3. 기내(器內)의 Plantlet의 생장(生長)은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 NAA 0.5ppm과 BA 5.0ppm의 혼합(混合)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좋은 경향(傾向)이었다.
        15.
        199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양하의 재배시 재식밀도와 시비량이 주요생육 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초장은 밀식할수록 크고 소식할수록 짧았으며, 엽수와 경수는 소식할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2. m2 당 화경의 수와 중량은 재식주수가 많은 밀식구에서 증가되는 경향으로 10 20cm (50주 / m2 )와 20 20cm(25주/ m2 )가 m2 당 재식밀도수가 많아 수량이 증가되어 알맞는 재식거리로 판단된다. 3. 3요소 시용 (N:P2 O, : K2 O=15:15:15)은 무시용에 비해 초장이 크고 경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고 수량이 증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