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음악사 교과목 수강자의 학업소진이 학습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과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 해 중국 후난성에 소재한 직업 전문대학에서 중국 음악사 교과목을 수강 하는 음악전공 대학생 391명을 통해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5.0 이용하여 경향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분 석, AMOS 24.0를 이용하여 모델 적합도 분석,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음악사 교과목 수강자의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학업소진을 낮추는데 필요 한 교육지원을 구축하는 데에도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5,8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수 민족 음악은 중국 전통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소수 민족 사회 발전 과정에 크나큰 기여를 해 왔다고 할 수가 있다. 소수 민족 음악의 독특하고 심오한 역사 문화 내포는 중국 음악 문화와 역사 발전에 강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음악 예술 분야에서 음악 인류학의 심층적인 발전과 함께 소수 민족 음악과 서양 현대 음악이 통합되고 소수 민족 음악에 대한 전문가와 학자의 연구는 중국에서 소수 민족 음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어 왔다. 선행연구를 보면 대부분 음악 형태학과 민속학 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음악 인류학과 음악사에 대한 연구는 보기 드물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본고는 음악 인류학을 음악사 연구와 결합하여 중국 소수 민족 음악 발전의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소수 민족 음악의 계승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관련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5,500원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세기에 들어서서 베토벤을 바라보는 관점은 예술 음악을 이해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매김해 왔다. 현재 통용 중인 음악사 문헌은 그러한 결과적 베토벤을 소개한다. 하지만 베토벤 상의 형성 과정이나 그것과 결부된 주요 요소들은 자주 간과된다. 본 연구는 베토벤 수용사에 관한 주요 연구물을 중심으로 수용사에 나타난 핵심 관점들을 정리하고, 그것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음악사 문헌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한국의 대학에서 교재로 활용되는 네 개의 음악사 문헌에서는 전반적으로 베토벤 패러다임을 근간으로 하여 베토벤을 소개한다. 하지만 그 역사적 과정이나 관점 도출에 동원된 근거들은 거의 다루지 않고 있다. 이것은 향후 베토벤 수용의 폭과 깊이를 제한하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베토벤 수용의 전개 상황에 대해 보다 근접하여 소개하는 음악사 문헌을 기대한다.
        6,400원
        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루드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의 음악사 문제를 논의로 삼고, 그 현상을 기억이론의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빈악파 그리고 빈 고전주의의 구성원으로 조명 받는 베토벤은 사회적으로 음악적으로 분분한 이견을 초래함에도 여전히 기존의 패러다임에 머물러 있다. 이것을 문화인류학자 알라이다 아스만(Aleida Assmann)의 기억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동시에 사회적, 음악적 관점에서 그 해석을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베토벤 음악은 ‘빈’이라는 특별한 장소의 문화적 기억으로 전승되었고, 빈 귀족사회의 후원과 하이든(Franz Joseph Haydn), 모차르트 (Wolfgang Amadeus Mozart)의 음악 행보가 베토벤을 더욱 18세기 고전과 연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나아가 음악사 서술에서 아스만이 주장한 기능기억과 저장기억의 상보작용이 음악사 서술의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5,800원
        5.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낭만주의 시대라는 스펙트럼 속에 슈만을 전형적 낭만주의자로 각인시켰던 종래의 편 향적인 시각을 극복하는 시도이다. 여기서는 외적인 현실에서 벗어나 음악의 미적 자율성과 예술성 을 극대화한 낭만주의와 함께, 왕정복고시대라는 역사적 이행기에 체념적 내지 현실 참여적 비더마 이어음악 발전에 모두 개입한 이들이 독일 교육시민계급이며 슈만이 이 특정 계급에 속함을 입증한 다. 먼저 교육시민의 형성사와 정치관, 독일혁명기(1848/9) 태도, 취향 등을 해체한 후 그들이 향유 한 음악장르 위주로 비더마이어음악사를 간략히 재구성한다. 다음으로 이 교육시민계급을 분석 틀 로 삼아 슈만의 혈통과 교육 및 성장배경, 정치관과 음악관, 음악 커리어와 작품 집필의 경향 변천, 학계 최대 난제 중 하나인 혁명기와 그 이후 내보인 소위 ‘모호’하다는 태도를 정밀하게 추적한다. 그리하여 교육시민계급 음악가 슈만에게 마치 괴테의 반복투영개념처럼 낭만주의와 특히 참여적 비 더마이어 경향이 정당하게 공존하며 필생의 음악세계를 형성해갔고, 이를 통해 그가 예술성을 극도 로 고양시킨 위대한 음악가임은 물론 독일근대사의 발전과 함께 호흡한 시대지성이었음을 논구해낸 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궁극적으로 음악사학의 정체성을 명실상부한 인문학의 한 분야로 설정하고, 동종 인문학과 연관 사회과학계열 학문들과의 연계·맥락화 속에서 도출 가능했음이 강조된다.
        9,900원
        6.
        2017.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산 안창호 선생이 만드신 애국시가 수십 편에 이른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또 그것이 ‘애국창가’라는 장르의 노래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도 많지 않을 것이다. 더구나 그중에는, 한 시대를 풍미하였고 또 음악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노래가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실을 아는 사람도 별로 없을 것이다. 한국근현대음악사 관련 문헌을 보더라도 안창호 선생이 지으신 애국시(愛國詩)를 가사로 한 애국창가에 관련된 내용은 거의 없다. 심지어는 ‘도산 안창호선생기념사업회’의 홈페이지에도 ‘노래’라는 코너는 있지만 가사만 소개되었을 뿐이고, 도산기념관에서조차 노랫소리를 들을 수 없다. 왜 그럴까…? 이유는 간단하다.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국보급 문화유산과도 같은 선생의 노래를 보존은 고사하고 잃어버렸기 때문에 잊혀진 노래가 되어버리고만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일제(日帝)는 선생뿐만 아니라 선생의 노래마저도 철저히 탄압을 하였다. 노래 부르는 것은 물론 금지를 시켰고 악보를 압수하여 불에 태워 버렸다. 때문에 국내에서는 선생의 이름이 들어가 있는 노래를 부를 수가 없었다. 그런 와중에 몇몇 노래는 다른 사람이름으로, 또 몇몇 노래는 만든 사람의 이름이 없는 가운데 불리기는 했지만, 그 노래(가사)를 만든 사람이 도산 선생이라는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 다. 다행히 최근 들어 여러 학자들의 노력 덕분으로 도산 선생의 작품 또는 도산 선생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애국시’가 수십 편 발굴이 되었다. 그리고 동시에 그 시(詩)를 가사로 하여 만든 애국창가도 수십 편이나 발굴이 되었다. 그 대표적인 예로써, 1914 년 중국 만주에 설립된 민족학교인 광성중학교에서 발행한 『最 新唱歌集附樂典』과 하와이에서 1916년에 발행한『애국창가』 등을 들 수 있다. 그렇지만 『最新唱歌集附樂典』과 『애국창가』에 수록된 악보는, 거의 100년이 지났고 또 구전(口傳)된 것을 악보화하였기 때문에 가사와 음(音)의 정확성이 다소 떨어지며, 필기체로 흘려 쓴 것이 많고, 띄어쓰기가 없고, 악보 표기가 잘못되었거나 안 보이는 부분이 많은 등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곡을 만든 작곡자의 이름을 명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가사에 곡을 붙인 오리지널 곡인지, 기존 곡에 가사를 붙인 것인지, 한국 사람이 만든 곡인지, 서양 사람이 만든 곡인지, 일본 사람 만든 곡인지 알 수 없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도산 선생의 애국시를 가사로 한 애국창가를 국민들에게 보급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은, 악보를 가독성이 있는 현대 악보로 복원하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악보집으로 만들어 보급한다면, 음악회뿐만 아니라 교육용, 연구용 등 많은 용도로 활용이 될 것이고, 근대 관련 영화나 독립운동 관련 다큐멘터리의 배경음악을 만드는데도 활용이 될 것이다. 본고의 1차적 목적은 악보복원에 있다. 그리고 그 곡의 음악적 특징 및 음악사적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하는 또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그 복원한 악보를 바탕으로 음악회 형식으로 재현해 보고자 한다.
        8,100원
        7.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music history, the 18th century is an epoch, in which concepts of distribution and statement of style are a delicate matter. To display this difficult situatio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analyzes three selected music history books that are well known and commonly used in this country. The analysis shows that disagreement among the context of historical interpretations between analyzed books cannot be overlooked.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observed: it is mainly about the history of the (German) instrumental music, while the opera, in particular, the Italian opera seria, which has been also determined as one of the main genres of the century, is neglected. In the next part of the work was the 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investigated based on Carl Dahlhaus’s music-historical theory. It was noted that the basis of the 18th-century music history was laid out around the turn of the 20th-century by the so-called "German Bildungsbürgertum" derived from music historians, while the national sentiment played a significant role. With previous findings, it is tried in the last part of the work, a self-written music history of the 18th-century presented in the outline. In summary, the music history of the 18th-century should be treated more in the narrow context of political, cultural and social issues, as happened so far. This perhaps could be the diversity of historical interpretations, which is generally observed on the area of research discussed here.
        6,300원
        8.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gypten hat wegen seiner eigenen Kulturscha¨tze aus Dreitausend jahrelange Geschichte sta¨ndig die Reisenden und Historiker bezaubert und deren Interesse erweckt. Doch solange das Schrifttum schweigt bis zur Entzifferung der Hieroglyphen,konnte die Geschichte A¨gyptens gar nicht wissenschaftlich wahrgenommen werden Die Rezeption der alta¨gyptischen Musilk in der Musikgeschichtsschreibung war nichtsoviel anders.Von einer wissenschaftlichen A¨gpytologie kann erst seit der Entzifferung der Hieroglyphenschrift durch Jean F. Champollion im Jahre 1822 gesprochen werden.Nach der Entstehung und Ausbreitung der vergleichenden Musikwissenschaft um diese Jahrhunderwende ermo¨glicht die intensive Forschungen u¨ber die a¨gyptische Musik Die Vertiefung der a¨gyptischen Musik ist erst bei Hans Hickmann gelungen.Besonders viel verdanken wir seinen Erforschungen, weil er wa¨hrend seines langja¨hrigen Aufenthalts in A¨gypten die Rekonstruktion der a¨gyptischen Musikkultur durch seine u¨ber 150 vero¨ffentlichen Schiften beitragen hat.Eine musik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 u¨ber die alta¨gyptische Musik bedeutetim engeren Sinne eine musikarcha¨ologische Untersuchung. Musikarcha¨ologie ist eine interdisziplina¨re Forschung, die auf Grundlage der Musikwissenschaft und Archa¨-ologie neue Kenntnisse zu gewinnen sucht. Musikarcha¨ologische Artefakte sind in erster Linie Musikinstrumente oder archa¨ologische Funde, auf denen Musikinstrumente be. deren Auffu¨hrungspraxis dargestellt sind. Als drittes Material sind die schriftlichen Texte zu nennen. Wie sich das Wissen u¨ber alta¨yptische Musik erweitern la¨-Bt,liegt in der Hand der Musikarcha¨logie selbst, die aus der Perspektive der A¨-gyptologie und interdisziplina¨ren Forschung gefo¨rdert werden mu¨Bte.
        6,100원
        9.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gender discrimination against the female musician in the music history>. Many people had believed that women does not have musical talent pointing out the fact that all great musicians were men. The reason might not be what many people think. Musical history tells us that women musician having musical talent hardly had chance to develop and show it. Patriarchism prevailing the society had worked also in musical fields, sometimes more intensively. Patriarchal ideology and social system based on it demand that active, productive, resonable, creative, scientistic, technical characters be reserved to man. In that system, women take only passive, reproductive role. The long music history shows that female musicians had been permitted musical activities on the condition that their musical activities encourage the femininity. For example, women were totally excluded in the field of composition, which is considered as creative domain, and the situation was not different in the instrumental performance requiring high technical expertise. Women musicians were free, or encouraged to play key-board music or harps for that they had to take a female posture during the performance. Even in that case, they were allowed to play in the home, not in public. Exceptionally women vocalists were allowed to sing in public from the beginning of music history.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y were needed for their role restricted often to a prostitute image using body to seduce men. This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musical production and performance had given strong impact on musical education. In a sense, it is reproduced in a exactly similar way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Women had been prohibited from taking musical lesson to become a music professionals. They were only allowed to be trained by means of cultivating their general culture. Under this context, musical education was considered as symbol of wealth. Th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musical history shows clearly that the gender discrimination in music filed is not separated from the paternalistic ideology and many sex-based prohibitions on the societal level. It demonstrates also that the sexual discrimination was reproduced and strengthened in music field. The reason why there were no great female musicians, therefore, have to be searched not in the lack of musical talent of women but in the socially constructed constraints, the patriarchal system.
        7,800원
        10.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1.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8세기 유럽은 프랑스, 영국 그리고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새로운 정치패러 다임이 등장했다. 1701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는 프로이센 왕국을 건설하고 프리드리히 1세 가 되었다. 그리고 그의 뒤를 이어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와 프리드리히 2세는 프로이센을 유럽의 강국으로 만들었다. 베를린 궁정의 음악은 각 왕들의 정치관과 국가의 경제, 그리고 성장기에 경험한 심리적 영향으로 다양하게 변화 발전했다. 그중 음악문화 발전에 크게 공헌 한 사람은 프리드리히 2세였다. 그의 통치아래 프로이센은 최강국으로 성장했고 문화가 크 게 발달하였다. 음악문화 발전을 위해서는 국제정치가 안정되고, 국가 경제가 부흥해야 함을 프로이센의 음악후원의 변화가 잘 보여주고 있다.
        1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악사 쓰기는 해석학적으로 연주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쓰여진 텍스트를 읽어내 어야 한다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컨텍스트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사변론 적 이론의 순환 속에서 실행을 해야 한다는 점도 그렇다. 전통과 재료에 근거한 상상력을 펼 쳐야 하며 결과물이 나름대로의 응집성과 일관성을 가진 형상을 이루어야 한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뿐만 아니라 최종적이고 유일한 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답을 긍정한다 는 점에서도 흡사하다. 뿐만 아니라 타자를 배려하여 대상이 최대한 총체적인 모습으로 드러 나게 해야 한다는 점에서도 닮았다. 이러한 점에서 연주와 연주가 갖는 고유한 문제들은 역 사 쓰기의 여러 문제들을 재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14.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악사 서술에서 베토벤에 대한 포괄적 조명은 20세기 초 이후에 일반화 된다. 본 연구는 20세기 초 대표적 음악사 문헌인 리만의 『베토벤 이후의 음악 역사 (1800-1900)』와 해도우 의 『비엔나 시대』에서 베토벤을 어떻게 조명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문헌에 나 타난 서술 관점 및 방식의 차이점을 정리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리만의 방식은 세기별 구분 에 따른 대가 중심의 연대기적 서술 형태를 보이며, 해도우의 것은 양식적 공통성에 따른 악 파 중심의 해석 방식을 취한다. 따라서 베토벤은 리만에게서 19세기를 이끈 새 시대의 개척 자로 조명되며, 해도우에게서 비엔나 악파의 마지막 대가로 채색된다. 이 두 문헌은 키제베 터가 선보인 음악 발달 관점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세이어 및 그로브의 연구 물을 참조한 해도우의 문헌이 베토벤 음악에 대한 가치 판단에 보다 적극적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