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whole crop barley (Hordeum vulgare L.)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chemical fertilizer (CF) and liquid swine manure (LSM) in the paddy field cultiva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five treatments and three replications. The manure fertilizer ratio of five treatments were CF 100% (T1), CF 70% + LSM 30% (T2), CF 50% + LSM 50% (T3), CF 30% + LSM 70% (T4), and LSM 100% (T5) of whole crop barley.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of liquid swine manure was based solely on the nitrogen. Plant length was higher at T1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2, T3, T4 and T5).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otal digestive nutrients (TDN) yield were the highest in T1, whereas the lowest in T5 treatment (p<0.05). Chemical compositions (crude protein, crude fat,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and TD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Ca and Na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at T1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2, T3, T4 and T5). However, Mg and P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1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free sugar content among T2, T3, T4 and T5 treatments, but the chemical fertilizer (T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p<0.01).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liquid swine manure application showed lower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than chemical fertilizer, but higher free sugar conte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whole crop barley, it is considered desirable to mix liquid fertilizer with chemical fertilizer, taking into account the decomposition rate and insufficient components (P, K) of the liquid swine manure.
        4,000원
        2.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orage cutting and baler mixing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fermentation indices,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 crop rice (WCR) haylage. The WCR (“Youngwoo”) was harvested at 48.4% dry matter and ensiled into a 300 kg bale silo with forage cutting (whole crop without cutting vs. 5 cm of cutting length). The WCR forages were ensiled without baler mixing process (CON) or with (MIX). The concentrations of dry matter, crude protein, ether extract, crude ash,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of whole crop rice before ensiling were 48.4, 9.70, 2.57, 6.11, 41.2, and 23.5%, respectively. The forage cutting did not affect the chemical compositions, fermentation indices, microbes, and aerobic stability of WCR haylage (p>0.05). The CON haylages tend to be higher in NDF content (p<0.10). The MIX haylages had lower in lactate (p=0.019), and lactate:acetate ratio (p<0.001). The MIX haylages had higher in lactic acid bacteria (LAB) (p=0.010).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fermentation quality of WCR haylage improved by baler mixing, but had no effects by forage cutting.
        4,000원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홀스타인 착유우에 수입건초 대신 WCRS로 조사료 일부를 대 체 급여하였을 때 산유성적 및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 다. 대조구(C)는 농가 관행 급여방법으로 자가 혼합건초(13kg)와 농후사료(2.6~9.6kg), 오차드그라스 및 버뮤다그라스 건초(1.8kg) 를 급여 하였고, 처리구(T)는 자가 혼합건초(9.6kg)와 농후사료 (2.6~9.6kg) 및 WCRS (2.2kg)를 급여하였다. 건물수량(DMI)을 기준으로 C에 대한 T의 조사료 대체비율은 20% 였다. CP함량은 오차드그라스 및 버뮤다그라스 건초가 각각 11.3 및 8.4%였고, WCRS는 4.6%로, WCRS에서 낮았다. 이는 벼를 수확적기보다 약 30일정도 늦게 수확한 것에 기인하고 있다. DMI는 비유초기, 중기 및 후기에서 각각 T가 C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유량은 비유초기, 중기 및 후기 모두 처리간 유의적 차 이는 없었다(p>0.05). 실험 기간 중 평균유량도 C 및 T가 각각 26.9 및 26.3kg으로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유 지율, 유단백 및 총고형물에서 각 비유기 공히 처리 간에 유의적 인 차이는 없었다(p>0.05). 두당 조수입은 C가 21,141원, T가 21,915원으로 T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유사비는 T가 22.9%로 C의 27.8%보다 낮았다. 이상에서 수입산 건초 대신 WCRS로 20% 대체 급여하여도 산유량 및 유성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 며 수익은 높아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microbial additives and silo density on chemical compositions, fermentation indices,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 crop rice (WCR) silage. The WCR (“Youngwoo”) was harvested at 49.7% dry matter (DM), and ensiled into 500 kg bale silo with two different compaction pressures at 430 kgf (kilogram-force)/cm2 (LOW) and 760 kgf/cm2 (HIGH) densities. All WCR forage were applied distilled water (CON) or mixed inoculants (Lactobacillus brevis 5M2 and Lactobacillus buchneri 6M1) with 1:1 ratio at 1x105 colony forming unit/g (INO). The concentrations of DM, crude protein, ether extract, crude ash,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of whole crop rice before ensiling were 49.7, 9.59, 2.85, 6.74, 39.7, and 21.9%, respectively. Microbial additives and silo density did not affect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WCR silage (p>0.05). The INO silages had lower lactate (p<0.001), but higher propionate (p<0.001). The LOW silages had higher lactate (p=0.004). The INO silages had higher yeast count (p<0.001) and aerobic stability (p<0.001). However, microbial counts and aerobic stability were not affected by silo dens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fermentation quality of WCR silage improved by microbial additives, but no effects by silo density.
        4,000원
        5.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경험하는 정체성의 변화와 감각경험의 특이성을 고찰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예 술치료 공간으로서 메타버스의 가능성을 점검하는 것이다. 최근 메타버스는 오락과 교육, 경제, 정치와 같은 사회문화적 체계를 모방할 뿐 아니라 직접 구성하고 실현하는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메타버스의 정서 소통의 내용이 세밀해지고 범위가 넓어진 만큼 예술표현과 치료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타버스 의 ‘정서적 소통’과 ‘감각적 표현’의 특이성은 원격현전의 존재감, 그리고 상호작용의 소통에서 비롯된다. 원격 경험이란 물리적 자아와 현전적 자아의 일치와 분리의 정서를 동시에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감정 경험에서 도 분리와 일치가 일어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스로 만들어내고 맥락화한 세계를 경험하며 가상공간에서 미 학적 내용은 물질적 경험은 감소한 채 총체감각의 몰입을 추구하는 유희적 상호작용 행위의 반복에 의해 창 조된다. 가상공간은 양가적 개념을 동시에 수용하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의 정서도 양가 적으로 발현되는 특징이 있으며. 사용자 본인의 정서 상태, 심리적 안정성의 상황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 타난다. 메타버스는 양가성의 수용, 현실과의 연계성, 가상 및 물리적 감각경험의 혼합을 통해 분열되고 변형 되는 자아상의 재통합을 가져오는 치료실로 활용될 수 있다.
        4,800원
        6.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이형발효 유산균을 첨가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및 총체보리 사일리지의 저장 기간 동안의 변화에 따른 반추위 발효 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사일리지의 접종 균주는 이형발효 유산균으로 Lactobacillus casei KACC 12413 및 Lactobacillus reuteri KCTC 3594 및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reuteri로 하였다. In vitro 실험의 pH 변화는 LCR 처리구가 높은 경향이었으며, 작물 간의 차이는 WCB사일리지 보다 IRG 사일리지의 pH가 높았다. 총 가스 생산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산균 첨가구가 낮았고, WCB 보다 IRG 사일리지가 높은 수준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는 유산균 첨가구 보다 대조구가 높은 경향이었고, 30일 보다 60일 사일리지가 낮았다. 총 휘발성지방산 생성량은 30일 및 60일 WCB 사일리지의 LC 처리구가 높았다. In situ 실험에서 건물 소화율은 48시간 발효 했을 때 LCR 처리구가 높았고 대조구가 가장 낮았다. 작물 간에 차이는 WCB에 비해 IRG가 8∼10% 더 높았다. NDF 소화율은 LC 처리구 및 LCR 처리구가 높은 경향이었고(p<0.05), ADF 소화율은 LC 처리구 및 LCR처리구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propionate를 생성하는 이형 발효 유산균이 접종된 사일리지는 반추위 내 발효조건을 개선하고 가축의 사일리지 소화율을 증진 시킬 것으로 보이며, 가축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가 향상 될 것으로 여겨진다.
        4,200원
        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중국학을 위해서 언어학이 지향할 역할과 연구 대상에 대해 시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문 분야로서의 중국학은 중국에 관한 학문 정도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유래와 지역 및 연구 대상의 상이함에 따라 중국학은 Sinology와 Chinese Studies란 명칭으로 각기 다르게 불려왔다. 그리고 오늘날 한국의 중국학은 Chinese Studies로 범칭되는데, 학문 체계상 상위 학문 범주로 분류될 수 있는 중국학은 여러 하위 학문 분과의 단순 병합이 아닌 공동의 연구 주제를 갖는 하위 학문 분과 간 유기적인 총체이어야 한다. 그 속에서 언어학은 향후, 중국의 제(諸)현상을 좀 더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등 기타 연구 분과들과 통섭을 도모하며 주제와 사고를 확장해 나가야할 것이다. 예견되는 글로벌언어로서의 중국어가 현 글로벌언어로서의 영어와 위세 상 어떤 지위 관계를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중국학을, 중국에 국한한 중국학이 아닌, 일본, 한국, 인도, 필리핀 등 기타 국가학과의 관계를 고려한 아시아학의 하나로 위치시킬 때 이해 가능 할 것이다.
        5,500원
        10.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런던 익투스 공동체의 사례를 통하여 총체적 선교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행되는 지를 연구해 보았으며 총체적 선교의 실제 적 가능성과 익투스 공동체의 총체적 선교적 특성이 무엇인지 탐구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영혼 구원을 위한 열정적인 전도와 성령의 능력으로 전도하며 구제와 사회 정의 사역을 통하여 가난하고 고통 당하는 이웃을 돌아보고, 미전도 종족 선교와 타문화권 선교를 총체적으로 실행하는 선교가 실제적으로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예수님 과 사도 바울의 전도의 원리는 선포전도(proclamation evangelism - word), 현존전도(presence evangelism - work), 능력전도(power evangelism - wonder) 였다. 총체적 선교는 ‘복음 전도와 사회적인 책임의 통합’하는 선교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하여 익투스 공동체는 예수님과 사도 바울의 전도의 원리에 따라 복음 전도와 사회적 봉사 사역 뿐만 아니라 그 위에 성령의 능력으로 선교하는 ‘능력 선교’가 익투스 공동체의 총체적 선교의 특성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총체적 선교의 모델은 흔하지 않은 경우이다. 익투스 공동체의 선교는 기존의 총체적 선교 패턴에 도전을 주며, 보다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총체적 선교의 발전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8,400원
        1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eed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barley and wheat for the making of chopped whole crop silage substitute for formula feed. As a result, the moisture content of barley and wheat decreased with a late harvest, and barley progressed faster than wheat. The plant height was similar with harvesting time, and the number of spikes decreased with prolonged period after heading. The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of barley harvested at 35 and 40 days after head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30 days after heading and wheat was significantly higher at 40 and 45 days than at 35 day after heading(P<0.05). Crude protein content of barley and wheat were increased with later harvesting time, and crude fiber,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slightly decreas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DF and ADF content of barley decreased with later harvesting time, and those showed similar level in wheat. TDN content of barely was slightly increas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wheat. Comparing the effects of fermentation on feed value of chopped whole crop silage, the approximate compositions were slightly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ermentations resulted in increasing the pH value of barley silage with late harvesting time, but decreasing the lactic acid content(p<0.05). A pH value of wheat silage showed similar level in different harvest time, and lactic acid content was decreased. Consider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ermentation, barley and wheat can be used for making chopped silage of whole crop silage when they were harvested at 35 days and 40~45 days after heading, respectively.
        4,000원
        1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usage of whole crop silage from beef cattle and dairy cow to hogs and chickens. For this purpose, a crushing device was developed to crush whole crop silage. The crushed silage was sealed, and analyzed for its feed value. The silage varieties used for the experiment included Saessal barley and Geumgang wheat. Whole crop barley and wheat were crushed in the crushing system as a whole without separating stems, leaves, grains, etc.. When the crushed whole crop silages (CWCS) were analyzed, full grain, grains above 10 mm in size, grains 5~10 mm in size, and grains below 5 mm in size accounted for, 20%, 4%, 27%, and 49 %, respectively. In order to facilitate the fermentation of CWCS, inoculated some fermenter into each CWCS sample (barley or wheat). As control, another set of sample was not inoculated. Crude protein (CP), ether extract (EE), crude fiber (C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lignin, cellulose content,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and relative feed value (RFV) of fermenter-inoculated Saessal barley were 2.45 %, 1.61%, 8.95%, 16.94%, 9.52%, 1.01%, 8.51%, 81.38%, and 447.5%, respectively. The CP, EE, CF, NDF, ADF, lignin, cellulose content, TDN, and RFV in the other sample of Saessal barley without inoculation of fermenter were 2.57%, 1.62%, 9.61%, 18.25%, 10.13%, 1.10%, 9.04%, 80.90%, and 412.9%, respectively. The CP, EE, CF, NDF, ADF, lignin, cellulose content, TDN, and RFV of fermenter-inoculated Geumgang wheat sample were 2.43%, 1.27%, 10.99%, 19.49%, 11.23%, 1.46%, 9.77%, 80.03%, and 382.6%, respectively. The CP, EE, CF, NDF, ADF, lignin, cellulose content, TDN, RFV of the other set sample of Geumgang wheat sample without the inoculation of fermenter were 2.28%, 1.44%, 10.08%, 18.02%, 10.44%, 1.26%, 9.18%, 80.65%, and 416.9%, respectively. The TDN and RFV content in the fermenter-inoculated Saessal barley were 81.38% and 447.5%, respectively, while the one in the fermenter-inoculated Geumgang wheat were 80.03% and 382.6% respectively. When the feed value of whole crop barley and wheat silage without crushing process was compared to the feed value of whole crop barley and wheat silage made from crushing system, the latter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e former. This could be due to the process of sealing the crushed silage which might have minimized air content between samples and shortened the golden period of fermenta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crushing process might be needed to facilitate ferment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silage when making whole crop silage.
        4,000원
        19.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를 맞이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 속에서 기독교적 대응을 총체적 복음 사역을 중심으로 전개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 것이다. 한국사회는 이제 단일민족이란 특성에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가 있다. 특히 선진국들이 다문화정책에 실패했다고 선언하는 상황 속에서 다문 화사회의 현실적 이해를 분명히 하고 기독교적 대응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그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그 결론은 다문화사회 속에서 기독교적 대응은 총체적 복음사역이 그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문화사회는 긍정적인 면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면도 분명히 있다. 긍정적인 면이라면 해외에 있는 족속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길이 국내에서도 전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슬람 문화의 유입은 매우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슬람 문화는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다문화주의라는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오히려 이슬람 문화 즉 이슬람 종교적 영향이 우리나라에 깊이 자리 잡고 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기독교적 대응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총체적 복음사역으로 다문화사회 속에서 접근한다면 하나의 핵심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총체적 복음 사역은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면서 동시에 다문화 사람들의 아픔과 고통도 함께 치유하고 회복하기 때문이다.
        6,000원
        2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파종방법과 질소시비 수준이 총체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체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된 “남일벼”를 이용하여 직파는 4월 25일, 이앙은 5월 25일에 하였다. 질소시비량은 총 5개 수준(90, 110, 140, 170 및 200 kg/ha)을 두고 수행되었다. 출현일, 출수일 및 내병성은 처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녹색도는 질소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짙어졌다. 초장은 질소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커졌으며 분얼수도 증가되었고 직파보다 이앙구에서 더 많았다. 건물함량은 질소시비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초 및 건물수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늘어났다(p<0.01). 수량은 이앙하는 것이 직파하는 것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1) 직파시는 140 kg/ha, 이앙시에는 170 kg/ha 질소 시비구에서 각각 최고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파종방법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ADF 및 NDF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TDN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 재배시 질소시비량이 높을수록 생초 및 건물수량이 증가되지만 수량과 토양환경을 고려하여 적정 질소시비량은 140 kg/ha가 권장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