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EPS-TOPIK(Employment Permit System-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exam for those who aim to work in Korea under the EPS system, not enough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subject of EPS-TOPIK exam and the official Textbook. In addition, studies on representation of nationality and skin color in textbooks are rare compared to such studies on gender represent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xtbook which hasn't been researched enough, on the matter of representation not only based on gender but also on nationality and skin color. This study analyzes the Textbook quantitatively with the focus on the 20 main characters and qualitatively on the illustrations and texts, and suggests that the Textbook should properly represent its users who intend to work in Korea under the EPS system. Stereotypes based on nationality, preference of so-called ‘Korean’ skin tone and gender inequality should be rejected. The chapter on sexual harrassment in workplace should be revised to go against victim-shaming and to contain helpful contents for sexual harrassment surviv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rt of speech distribution according to proficiency level in 66 Korean textbooks used in major Korean language institutes. Since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with instrumental motiva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t becomes a very important issue to evaluate their Korean proficiency levels measured through the official assessment of Korean Proficiency Test (TOPIK). Language teaching is subject to certain target learners, and it is necessary to proceed along with studies on them by considering the utilization of their research results. With regard to the distribution of different parts of speech throughout the proficiency levels, 593,100 nouns accounted for 47.86% of the total, 267,334 verbs accounted for 21.57%, and 108,593 adjectives accounted for 8.76%. Other than these three major parts of speech, those that modify other elements of a sentence show a comparatively high percentage. Although many parts of the textbooks contain dialogues or conversational sentence examples, the percentage of abbreviated words or exclamation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ken language were not very high.
This paper sought to analyze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final consonants in Korean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ing foreign learners pronunciation. In this paper, the audio materials contained in the elementary textbooks,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1, 2’ were transcribed into Hangul and the frequencies of appearance of phonemes were analyzed using SynKDP ver 1.6.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final consonants out of all phonemes was approximately 14%. Of the final consonants, 88% were shown to be sonorants /m, n, ŋ, I/ and 12% were shown to be obstruents /p˥, t˥, k˥/.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nasal sounds /m, n, ŋ/ was shown to be quite high at approximately 66%. The ratio of obstruents that became nasal sounds by the nasal assimilation, was shown to be approximately 16%. Lateral /l/ sound showed a frequency of 21% and only 1% of them were identified to be the result of the lateralization of obstruents. Meanwhile, approximately 74% of obstruent final consonants involved fortition, and only approximately 26% were pure obstruent final consonants. Finally, cases where the aspiratization occurred after neutralization were found in only 57 words out of 5,577 words in total.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Kim, Hyun-kang. Lee, Yun-jin 2013. Analysis on the elements and properties of the discourse in the main text of Korean textbook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1(1). This paper analyzes the elements and properties of the discourse in the main text of Korean textbooks. The main text conveys ‘discourse knowledge’ that constitutes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on the basis of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discourse rather than on unnatural sentences and conversations constructed only to present vocabulary and grammar. It consists of ‘discourse type’, ‘background knowledge’, ‘language use’, and ‘conversation organizat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found that the main text contains the following properties of discourse. First, the main text whose discourse type students frequently encounter is selected and language befitting that type is used. Second,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discourse is presented. Third, the conversation of the main text is organized with the turn-taking system. The characteristics as a textbook are also taken into account in the main texts that we reviewed. These comprise dealing with limited discourse patterns, regulating language use, and the regular and restricted turn-taking system. The above analysis shows that the main text is constructed utilizing both aspects of education and discour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extbook users in developing instruction and studying strategies and for textbook developers in constructing main texts.
The aim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to develop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it can be said that speakers might communicate their own idea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linguistic context and condition. Surely considering this ability is deeply related with culture, it has been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learning culture. Language is part of a culture, so we have to accept naturally to program the teaching culture as a part of teaching language. Actually, such that thinking is apparently not proper. In other words, we need the education of the incorporating both culture and language. Currently, it has been grow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culture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influenced by the movement of teaching foreign language, as reflecting of that above, most of the textbooks published since 2000 have included the cultural content and materials specially with the emphasis o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fter looking into the situation in teaching language of culture about such that textbook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educational wa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ose facts. To do so, as the aspect of the communication in language teaching,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whether the cultural content in the textbooks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real communicative situations where participants from the different culture and language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effectively. This point of analysis depending on the criteria of the cultural content, the origin of culture, and the cultural activities is to distinguish three parts briefly, the pragmatical part, the area of cultural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of culture.
The textbook is the materials of teaching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is sorted into the unit by the topics. If such units combine with some factors that are involved with the topic organizationally well, the text may be helpful in its own way. Thu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s that have been used in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xt with the regard to both the construction of the unit and organization of such that construc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textbook could promote the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y to express their target language (Korean language) in the real language context or not.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should follow up on these progresses. First of all, (1)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some of the basic concept related to the textbook in chapter 2, (2) chapter 3 suggests other studies which have been done previously (3) chapter 4 presents the framework in the design of units, (4) chapter 5 analyzes the textbook with the framework suggested above. Finally, in chapter 6, this study sets up some components of the units making topics by focusing on the notion of organization.
본고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교재의 듣기 영역에 나타난 성 고정 관념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의 기준을 참고로 외적ž내적 영역에 대해 분석한 결과, 외모 및 직업에서 일부 성 고정관념이 드러났으나, 독백 텍스 트의 유형별 성별 빈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내적 영 역의 경우 독백 텍스트의 성별 발화 주제는 남성 화자의 발화 비중이 높아 비교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담화 유형의 불균형성에서는 전통적인 남녀 의 심리적 특질이 드러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변화의 움직임을 보이는 젠더가 추후 출판될 한국어능력시험 교재가 성 평등한 방향으로 구성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의 쓰기 활동 유형과 쓰기 유형의 소재를 분석하여 다문화 학생들이 학업 수행을 함에 있어서 유용한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쓰기 영역의 소재가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쓰기 성취 기준과 부합하지 않는 부분들이 있었다. 작문 유형은 통제 작문의 비중이 크고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비중이 보다 적게 제시되어 있었으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기’와 ‘문자메시지’, ‘장래희망’과 같은 소재로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부합하는 소재를 제시하여 쓰기를 유도해야 할 것이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상생활의 소재뿐만 아니라 이슈, 화제, 사회 사건 등의 소재도 다루어야 할 것이다.
외국인 노동자의 급증은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장에서 사용되는 교재의 중요성또한 강조되어야 한다. 본고는 외국인 노동자에 집중하여 한국어 어휘를 범주화하고 기존의 어휘 교재를 분 석함으로써 특수 목적 학습자를 위한 기본 어휘 목록을 작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고에서 선정한 기본 어휘 목록에 이어 외국인 노 동자나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 준을 제시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가 증가하면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 한국어 교재 연구는 1990년대 후반 학습자가 증가하면서 그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꾸준하게 연구가 이루어져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학습자가 다양해지면서 한국어 교재 연구 역시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렇게 연구물들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 교재 연구들이 어떠한 흐름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고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그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의 학문적인 성숙도에 관해서 논의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어 교재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앞으로의 교재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어 교재 연구의 동향을 시기별, 유형별, 주제별로 분석하고 향후 이루어질 연구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더 나은 방향으로 한국어 교재 연구가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 논문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학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 나타난 문학 교수-학습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재분석 결과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텍스트 중 문학 텍스트는 극히 일부이며, 장르가 다양하지 않고, 대부분 중급과 고급에 치우쳐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학습 활동의 유형에 주로 어휘 학습과 읽기, 말하기에 한정되어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인의 정서과 주제의식, 문화적 요소는 물론 언어적·기능적 사용 맥락을 보여줄 수 있는 텍스트를 선정해서, 수업의 목표와 학습자 유형, 과제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학습 활동을 조직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출판된 네 종류의 한국어 교재 집필원리를 살펴봄으로써 그 교재들이 의사소통적인 방향으로 집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의 실제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집필원리에 맞는 교재가 설계되었는 지 살펴본 결과 실제 교재는 집필원리에서 추구하는 방향과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집필원리에 맞도록 다음과 같은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제시되는 본문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실생활이나 사회문화적 맥락과 맞닿아 있어야 한다. 본 단원에서 문법 학습이 꼭 상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할 것이고, 또한 구조 중심의 배열 방식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덧붙여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교재 내에 구현되어야 할 것이고 교재는 실제적 자료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 교실에서 진정한 의사소통적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재에 대한 개선작업이 계속되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