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4

        182.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지역의 외식실태 중 음식점과 음식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교 식품영양과 재학생의 친지 중에서 부산시내에 거주하거나 직장을 가진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의 남녀 56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은 성별과 연령별로 구분하였으며, 연령은 의식수준과 시대적 동질성 등을 감안하여 대학생 이하의 응답자는 학교별로 구분하고 성인들은 10살 단위로 구분하여 조사한 다음 생활환경과 소득수준에 따라 초등생, 중학생 및 고교생을 묶어서 학생층으로, 대학생과 20대를 묶어서 청년층으로, 30대 이상의 장년층을 묶어서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학생층과 청년층을 묶어서 젊은이로 하였다. 설문 내용은 음식점을 선호하거나 싫어하는 이유와 일반인이 자주 먹는 메뉴중 69종을 선택하여 먹어보지 않은 음식, 좋아하는 음식 및 싫어하는 음식의 종류와 그에 대한 이유 등을 알아봤으며, 각 설문에 대한 선택은 문항에 따라 2∼3개씩 선택하게 하여 응답자의 부담을 덜어 주었다. 1. 음식점을 좋아하는 주요한 요인은 "맛이 있어서", "분위기가 좋아서", "가격이 싸서" 순이 였고 싫어하는 이유는 "맛이 없어서", "비위생적이어서", "종업원이 불친절해서" 순이었다. 2. 응답자의 30%가 먹어보지 않은 메뉴의 종류는 남자가 6종인데 비해 여자는 9종이였으며, 초등생 15종, 중학생과 고교생이 13종(이상 학생층), 대학생이 6종, 20대가 4종(이상 청년층), 30대가 2종, 그리고 40대와 50대 이상(이상 장년층)이 3종으로 여자와 나이가 어릴수록 그 종류가 많았다. 3. 부산시민이 좋아하는 메뉴는 전체적으로 "생선회", "피자", "불고기" 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전통음식을 여자와 젊은이(학생층과 청년층)는 패스트 푸드를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적으로 싫어하는 메뉴는 "보신탕", "곱창전골" "꼬리곰탕"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패스트 푸드를 여자와 젊은이들은 보신식품을 더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음식을 선호하는 주요한 이유는 "맛이 있어서", "그냥 좋아서", "영양이 풍부해서" 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영양이 풍부해서", 여자와 젊은이들에서는 "외래음식이어서" 비율이 높았다. 6. 음식을 싫어하는 주요한 이유는 "맛이 없어서", "혐오식품이어서", "체질상 거부하여서" 순이었으며, 남자와 장년층은 "외래음식이어서", 여자와 젊은층은 "혐오식품이어서"비율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음식점과 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200원
        183.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 of this study were twofold, namely, to study on (1) effect of using ultrasound therapy for curing warts (2) any relation between a cure for warts and onset of warts, as well as subject age. Our subjects, composed of 22 people from age 12 to 49, were assigned 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 experimented for 8 session on 12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using ultrasound therapy to observe any morphological change in the warts or disappearance of a pain. However, we did not cure warts in the other group,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Ultrasound therapy has an effect on curing warts. (2) Neither condition, onset of warts or subject age, had no influence on a cure for warts.
        4,000원
        184.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서해안 격열비열도 근해산 문치가자미의 연령과 성장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2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매월 정기채집한 256개체의 이석을 연령형질로서 사용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이석의 투명대와 불투명대는 년 1회 형성되었으며 투명대 형성시기는 7월이고 불투명대 형성 시기는 2월에서 4월로 이는 산란종기(2월)와 일치함을 보였다. 연령별 체장 (LT)과 연령(t)을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적용하여 수컷은 Lt=313.7[1-exp{-0.4342(t+0.9017)}, 암컷은, Lt=458.1[1-exp{-0.2368(t+0.1934)}과 같은 관계식을 구하였다. 또한 암컷과 수컷의 성장속도는 2세까지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세어 이상에서는 암컷이 수컷보다 월등히 빠름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의 최고령어는 암수 각각 5세와 6세였다.
        4,000원
        185.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and compare the balance ability at different conditions in normal 20 to 29 years old on unstable platform, KAT 2000(Breg, Inc., Vista, CA. 1994). Static and dynamic BI(balance index) were measured 3psi and 5psi surface conditions. Static tests were done on right and left leg separately, then both legs together with the feet apart 20cm with the eyes opened and closed. Dynamic tests were done on both legs together with apart 20cm with the eyes opened. A dynamic test was performed in which the subject moved platform in a circular manner to chase a moving object on a computer screen. Seventy healthy students(average 21.6 years, male, female) were tested. In this study applied the paired t-test and correlation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result.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mean static balance index of the Rt leg was on 3psi surface condition with the eyes opened, and that of the Lt leg was . 2) The mean static balance index of the Rt leg was on 5psi surface condition with the eyes opened, and that of the Lt leg was . 3) The mea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dex of both legs were , on 3psi with the eyes opened, and , on 5psi respectively. 4) The mean static balance index of the Rt leg was on 3psi surface condition with the eyes closed, and that of the Lt leg was . 5) The mean static balance index of the Rt leg was on 5psi surface condition with the eyes closed, and that of the Lt leg was . 6) The mean static balance index of both legs was on 3psi surface condition with the eyes closed, and that of the 5psi was . 7) The balance index on 3psi surface cond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5psi (p<0.05, p<0.01). 8) The balance index with the eyes clos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yes opened (p<0.05). 9) The balance index on the left le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right leg (p<0.05, p<0.01). 10)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tatic balance index and dynamic balance index. 11) Therewas no correlation between weight or height and balance index.
        4,200원
        188.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a new qualitative base for educating and evaluating patients by comparing a 60 or over age group with a 20-30 age group when rising from supine to erect stance. Sixty normal adults were devided into 60 or over and 20-30 aged groups. Each persons was asked to standing from the supine position. This process was recorded by two video cameras. The results was classified into the three existing movement categories. And then they were analyzed by percent rate.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group had its own different and special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physical therapists need to select the best motor patterns according to age in teaching functional tasks such as rising from supine to erect stance.
        4,800원
        189.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2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군산항을 기지로 한 소형어선이 한국서해안 격열비열도 근해에서 어획한 돌가자미를 매월 약 20마리씩 정기적으로 채집한 총 248마리의 연령과 성장에 관하여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석의 투명대가 형성되는 시기는 1~2월이고 불투명대가 형성된 시기는 11월이었다. 2. 이석반경(R)과 체장(SL)과의 사이에는 자웅별로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하였다. Male SL=84.1R super (1.01) (r super (2) = 0.74) Female SL=80.1R super (1.07) (r super(2) =0.76) 3. 전장(TL)과 체장(SL)과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하였다. Male TL=1.15SL+9.6(r super (2)=0.99) Female TL=1.14SL+10.0(r super(2)=0.99) 4. 연령별 체장(Lt)과 연령(t)을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구하였다. Male Lt=313.7(1-exp{-0.463(t+0.0704)}] Female Lt=478.6[1-exp{-0.286(t-0.1619)}]
        4,000원
        190.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강한 남녀노인 244명을 대상으로 영양소섭취 실태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남자노인들은 여자노인들에 비해 사회경제상태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사회경제상태는 남자노인의 영양소 섭취에는 큰 영향을 미치치 않았으나. 여자노인은 단백질과 칼슘, 철분, 나이아신 및 섬유소의 섭취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어 사회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이들의 섭취가 많았다. 영양소 섭취실태는 열량의 경우 남자노인이 평균 1, 528 kcal, 여자노인이 1, 292 kcal로 각각 권장량의 평균 79.1%와 65.5%를 차지하여 권장량에 부족되게 섭취하고 있었다. 권장량의 2/3이하로 섭취하여 문제가 되는 영양소는 남자노인은 칼슘과 비타민 A로 나타났으며 여자노인은 칼슘, 비타민 A 및 riboflavin로 여자노인들이 남자노인들 보다 식사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연령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의 변화는 남녀노인에서 악간 다른 양상을 보여서 남자노인들은 75∼79세 까지는 섭취량이 어느 정도 유지되다가 80세 이후에 영양 섭취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여자노인은 이러한 섭취량의 감소현상이 더 빨리 나타나서 75∼79세의 나이 단계부터 영양소 섭취량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났다. 노인들의 영양소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쳐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저하되었으며, 남자노인의 경우는 신장이 여자노인의 경우는 사회경제상태와 체중, BMI가 영양소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191.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시민의 외식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부산직할시에 거주하거나 직장을 가진 국민학교 4학년 이상의 남녀 464명을 대상으로 외식성향(때, 동기, 자주 가는 음식점의 종류, 비용, 선호도 등)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외식은 점심 때보다 저녁에 더 많이 하며, 외식을 하는 동기는 가족끼리 외출을 하였을 때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모임이 있을 때와 친구를 만났을 때 순이었다. 점심 때 자주 가는 음식점으는 분식집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중국집과 한식집 순이였으며, 저녁 때는 한식집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갈비집과 중국집 순으로 점심 때와는 차이가 있었다. 외식비로 지출하는 1인당 비용은 점심 때는 전체의 71.88%의 사람들이 4, 000원 이하의 음식을 먹는데 비해 저녁에는 54%이상이 5천윈 이상을 지출하여 점심 때보다 저녁 때의 외식비가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한번 갔던 음식점에 다시 가는 이유로는 음식맛이 좋기 때문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위생적이기 때문과 음식가격이 싸기 때문 순이였으며, 다시 가지 않는 이유로는 역시 음식 맛이 없기 때문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비위생적과 가격이 비싸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연령과 성별 뿐만 아니라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200원
        195.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6년 5월부터 1988년 4월까지 정기 채집한 545 개체와 정점 채집한 525개체등 합계 1,070개체의 이석을 적출하여 연령 형질로서 사용했다. 이석 연근의 투명대와 불투명대의 관찰 결과, 투명대 형성개시시기는 5월이며, 불투명대 개시시기는 1월이었다. 투명대와 불투명대는 년1회 형성되므로 투명대 외연을 연령표시로서 이용했다. 이석 반경과 표준체장의 관계식으로부터 각륜 형성시의 체장을 역산했다. Lee 현상은 보이지 않았으며, 이석반경과 표준체장은 곡선개계를 나타냈다. 각 연령 형성시의 계산체장은 이용하여 von Bertalanffy 성장식을 다음과 같이 구했다. Male ;Lt=376.9{1-exp[-0.303(t-0.202)]} Female ;Lt=255.7{1-exp[-0.505(t-0.149)]} 여기서, Lt는 표준체장(mm)이고, t는 연령이다.
        4,000원
        197.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surveyed the preference for the regional food and food choices according to Region, Age, Sex. The subjects were 943 residing in Seoul and Cheon Nam region. The summarized result are as follows; The survey about the preference for the regional food showed that subjects in Cheon Nam has higher preference for the Cheon Nam food and subjects in Seoul for the Seoul food respectively. The most subjects marked very high preference scores about familiar food. The preference for the regional food and food choices were effected by main growth region. Subjects brought up in Cheon Nam like Cheon Nam food especially fresh raw fishes(WHOI) and fermented fishes(CHOT GAL) more than those brought up in Seoul, although both of them reside in Seoul now. But they were brought up in Cheon Nam, subjects residing in Cheon Nam or Seoul now showed no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Cheon Nam food. Subjects in Cheon Nam showed higher preperence for fresh raw fishes(WHOI), fermented fishes(CHOT GAL), especially in older men.
        4,000원
        198.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ge specific characteristics in Korean diet and their changes were analyzed with the demand model including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by age group as independent vasiables Urban household budget data, 773 household data in 1977 and 947 household data in 1983, was applied to the demand model. A series of F-test was carried out to set up the age groups by food item.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od consumption patterns are remarkably different between 0-13 years old age generation and over 40 years old generation. The 0-13 years old generation reveals higher preference for milk, wheat product, fruit and milk and lower preference for rice and vegetable than any other age generation. This characteristics of the childhood diet has been formed In the generation born after 1970's and thus will be reserved as their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over 40 years old age group prefers rice and fish to fruit, milk and wheat product.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over 40 years old age group maintains the traditional Korean diet pattern. 2. The preference for fish is low. in 20-30 years old age group than in any other age group and wheat product is Preferred highest in 6-13 years old age group of all age groups. Meanwhile the most remarkable change In food consumption pattern is shown in meats and vegetables. Namely in 30 40 years old age group the preference for meat has increased substantially and that vegetable has decreased to a great extent. 3. The declining per capita consumption of rice spreads like a wave to higher age. groups, but over 40 years old age group b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decreasing rate of rice consumption. In order to restrain the declining rice consumption a special integrated food policy is required to induce rice consumption in less 30 years old generation.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