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41.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arm-up and cool-down exercises on pain and muscle activation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fter intense exercise.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was caused by the eccentric exercise in the elbow flexor muscle of the non-dominant upper limb. Forty-four subjec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groups: warm-up and cool-down group, only warm-up group, only cool-down group, or control group with no intervention. The level of perceived pain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and electromyographic activation change in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were measured 4 times at the following times: 10 min, 24 hr, 48 hr, and 72 hr after the exercise. The results revealed the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and measurement session (p<.05). The warm-up and cool-down group showed most favorable results with respect to reduced perceived pain level and increased muscle strength in most measurement sessions, and the only warm-up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decreased pain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at 24 hr and 48 hr and more increased muscle activation than the cool-down group at 48 hr (p<.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level and muscle activation between the only cool-down group and control group at all measurement sessions (p>.05).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warm-up exercise performed before an intense exercise had beneficial effects on the symptoms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whereas cool-down exercise performed after the intense exercise did not.
        4,000원
        4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들의 통증파국화, 재활동기와 일상생활활동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통증파국화와 재활동기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1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서울, 경기, 충남 지역의 11개 재활요양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한국형간이정신상태검사 24점 이상인 뇌졸중 환자 122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의학적 특성, 통증파국화척도, 장애인의 재활동기 측정도구, 수정바델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중 113부를 SPSS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피어슨상관분석, 단계별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통증파국화와 일상생활활동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또한 통증파국화는 재활동기의 하위항목 중과제지향적 동기, 의무적 동기 및 무동기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상생활동작과 의무적 동기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통증 파국화는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1%였다. 결론 : 뇌졸중 환자에서 통증파국화가 낮을수록 환자는 재활치료에 대한 내적 동기가 높아지고 일상생활동작에 독립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작업치료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통증관리를 위해 인지적 대처 훈련 및 재활동기 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4,300원
        44.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portance of th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has been increasing in the hospital industry such as health care industry and financial industry. This study investig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like general, occupational and ergonomicall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of physical therapists (PTs). Ergonomic tools of rapid upper limb assessment (RULA) were used for evaluation workload of the tasks. Prevalence of MSDs were 13 PTs (26.0%) for neck, 31 PTs (62.0%) for shoulder, 9 PTs (18.0%) for arm/elbow, 27 PTs (54.0%) for hand/wrist, 28 PTs (56.0%) for back, 14 PTs (28.0%) for leg/foot. The analysis of the rate of the pain intensity showed that 53.5% subjects experience moderate pain and 14.0% subjects experience severe pain. Factors which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height, ergonomically characteristics such as 'Posture Score A' were related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in logistic analysis (p<.05). Among physical therapists, action level of RULA were action level 2 (6.0%), action level 3 (52.0%), action level 4 (42.0%). Physical therapists were estimated one of the highest risk factor i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need of preventive education and program for PTs (physical therapists).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to include both ergonomic and sociopsychological aspects.
        4,200원
        45.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elvic compression belt (PCB) contributes to improving sacroiliac joint stability, and it has been used as an additional therapeutic option for patients with sacroiliac joint pain (SIJP).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muscle activation patterns of the supporting leg was different between asymptomatic subjects and subjects with SIJP during one-leg standing, and how it changes with the PCB. 15 subjects with SIJP and 10 asymptomatic subjec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data (reaction time [RT] and muscle activation)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nal oblique, lumbar multifidius, gluteus maximus and biceps femoris muscles during one-leg standing with and without the PCB. Without the PCB condition, in the SIJP group, the biceps femoris muscle showed the fastest RT among all muscles (p<.05), whereas in the asymptomatic group, the RT of the internal oblique muscle was the most rapid (p<.05). In condition without the PCB, the biceps femoris EMG amplitudes in the SIJP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the asymptomatic group (p<.05).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CB, the RT of the biceps femoris musc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n the SIJP group (p<.05). Moreover, the biceps femoris EMG amplitude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gluteus maximus EMG amplitudes significant increased only in the SIJP group by applying the PCB (p<.05). However, this had no such effect on the gluteus maximus and biceps femoris EMG patterns in the asymptomatic group (p>.05).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applying the PCB to patients with SIJP can be used as a helpful option to modify the activation patterns of the gluteus maximus and biceps femoris muscle.
        4,200원
        46.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물리치료사들의 근골격계질환 유해인자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의 적용이 통증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2010년 5월부터 동년 7월까지 경남 창원에 위치하는 C병원에 근무하는 21명의 작업·물리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유해인자를 Quick Exposure Checklist(QEC)를 통해 확인한 후, 이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을 8주간 적용하였다. 대상자들의 중재 전·후의 통증과 스트레스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각각 사용하였다.결과 : QEC를 통해 작업·물리치료사들의 업무환경은 개선이 필요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중재를 적용 후 중재 전에 비해 VAS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결과가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p<.05). 또한 VAS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통증변화와 직무스트레스변화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작업·물리치료사의 업무환경 분석을 통한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근골격계질환 예방활동이 작업·물리치료사의 통증 및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4,500원
        47.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wo types of stretching extensor carpi radialis on the visual analog scale (VAS), pressure-pain thresholds (PPTs), grip strength (GS), and strength of wrist extensor (SWE)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algia. Sixtee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algia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e conventional stretching group (CS) and the stretching of proximal functional massage group (PFM); the VAS, PPTs, GS, and SW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ver a period of stretching exercises were performed for five minutes per day, five days per week. The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VAS, PPTs, GS, and SWE (pre- and post-test). The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tretching exercises between the CS and PFM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n the PFM group, the PPTs, GS, and SW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VAS decreased (p<.05). In the CS group, the VAS and G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hree-week intervention (p<.05). Pain was decreased and strength (GS and SWE) was increased in the PFM group, compared to the CS group (p<.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FM technique can be applied for decreasing pain and increasing the GS and SWE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algia.
        4,000원
        4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HCI 분야에서 정서 인식은 정서 지능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단계 중의 하나이다.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정서 인식을 시도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기본 정서 이외의 다른 정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료함, 통증, 그리고 놀람의 세 가지 정서 간 자율신경계 반응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자는 217명의 실험참여자(남 96명)들을 대상으로 시/청각 자극을 조합하여 무료함과 놀람 정서를 유발하였고, 혈압기를 이용하여 통증 정서를 유발하였다. 정서 자극이 제시되는 동안 피부전기활동, 피부온도, 심전도와 광혈량도를 측정하였고, 실험참여자들이 경험한 정서 범주와 강도를 정서평가척도 상에 평정하게 하였다. 정서 자극에 대한 평가 결과, 사용된 정서 자극은 평균 92.5%의 적합성과 5.43의 효과성을 보였는데, 이는 각 정서 자극이 해당 정서를 효과적으로 유발한 것을 의미한다. 자율신경계 측정 결과, 피부전기활동, 피부온도, 심박률, 심박률의 저주파수 성분과 평균 혈류량은 안정 상태와 정서 상태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각 정서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 반응은 정서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이론의 확장과 자율신경계 반응 측정 지표를 활용하여 정서를 인식하는 알고리즘 및 인간 정서를 변별하는 컴퓨터 시스템 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이다.
        4,000원
        4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체성감각 수용기의 활성화인 마찰에 의한 통증 입력이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고 둘째, 작업수행 기술 수준에 따른 작업수행 요인 중 하나인 고유수용성 감각의 변화를 규명하는 것 이다. 연구방법 : 실험군으로 1년 간 작업 실습에 참가한 제철 산업 전공 남자 대학생 22명과 대조군으로 일반 남자 대학 생 22명을 선정하였고. 3차원 동작분석 장비 Winarm을 이용하여 주관절 굴곡 신전, 수근관절 굴곡 신전 시 관절 위치 오차를 측정하여 고유수용성 감각 정도를 구하였다. 이 후 빗질을 이용하여 마찰 통증을 발현하였고 고유수 용성 감각을 재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오차의 평균을 산출한 뒤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 주관절 굴곡, 신전과 수근관절 굴곡, 신전 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마찰에 의한 통증 입력 이후 자세 위치 오 차가 증가하였다(p<.05).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세 위치 오차의 전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주관절의 y축 오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p<.05) 다른 변인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체성 감각인 통증의 증가는 위치조절에 필요한 고유수용성 감각 활성을 감소시키고 통증 발현 시 작업수행 기술 수준과는 상관없이 고유수용성감각 감소는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통증 을 감소시키고 고유수용성 감각을 증가시키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5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증은 매우 복합적이고 다양한 수준의 경험으로 주관적이거나 객관적일 수 있다. 침술은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아주 오래된 방법이며, 경락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침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결과들은 수없이 많이 있지만, 그 기능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는 부족한 상태이다. 또한, 실생활에서의 통증 유발 원인과 침술을 통한 통증 억제 또는 치료는 그 차이가 매우 크게 느껴진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을 통해 통증과 침술의 관련성이 밝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급격히 발달하고 있는 뇌영상 기술들(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s, 및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electroencephalograph, magnetoencephalography)을 간략히 살펴보고, 이들을 이용한 통증 및 침술 연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통증과 침술에 관여하는 뇌 영역들을 확인하여, 이 둘의 유사성 및 차이를 비교하고, 뇌영상 기술을 통해 밝혀지는 뇌의 정보처리 과정을 통해 통증과 침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4,000원
        5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ciatic nerve mobilization technique on perceived pain, straight leg raise test (SLR), and strength of knee extensor, location of symptoms (LOS)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22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EG) or the control group (CG), with 11 patients in each group. All patients received a routine physical therapy (hot pack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he mobilization technique of the sciatic nerve was performed for 10 min in the case of the EG subjects. Outcome measurements included the level of the perceived pain, SLR, and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LOS. The measurements were recorded 3 times: before the intervention, after the intervention, and at 1 hour of follow up. The two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with regard to the level of perceived pain, SLR, and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LOS before the test (p>.05). In the case of the EG subjects, all the variables measured after the intervention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ose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p<.05). However, in the case of the CG subjec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only with regard to the level of perceived pain (p<.05). The findings indicate that sciatic nerve mobilization technique exert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rol of subjective symptoms and knee strength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4,000원
        52.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st effective and comprehensibl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resting scapular position (RSP) and pain level (PL) in unilateral shoulder pain (USP). Fifty volunteers with USP were involved in the study. Resting scapular assessments of the patients' pain sides (PS) and non-pain sides (NPS) were evaluated. The assessment tools for RSP are: 1) sternal notch (SN) to coracoid process (CP) distance 2) 3rd thoracic spinous process (T3S) to posterolateral angle of acromion (PLA) distance 3) scapular index 4) 8th thoracic spinous process (T8S) to inferior angle of scapular (IAS) distance 5) supine measurement of pectoralis minor (PM) distance 6) standing PM distance 7) PM index (PMI) and 8) PM pain.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PS and NPS in RSP.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confer a relationship between the PL and RS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1) all the variables between the PS and NPS for RS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and 2) the PMI showed the strongest relationship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SP and PL(p<.05, r=.37).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MI and PL and it is suggested that an assessment tool using PMI to diagnose shoulder pain would be clinically effective.
        4,000원
        53.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scapular taping on muscle activities of the scapular rotators and upper trapezius pain in subjects with upper trapezius pain. Fifteen mal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Yonsei University for this study.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was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Visual analog scale was used for measuring upper trapezius pain. The subjects were asked to maintain shoulder flexion position with holding a 1 kg dumbbell in standing position. Scapular taping was applied over the muscle belly of the upper trapezius and attached parallel with the lower trapezius muscle fibers. For normalization, %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was conducted. Paired t-test was applied to compare the muscle activities of scapular rotator and upper trapezius pai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scapular taping. The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and serratus anterior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ape application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lower trapezius muscle. The level of pain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ape application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apular taping can be used an additional therapy for reducing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pain during shoulder flexion in patient with upper trapezius pain.
        4,000원
        54.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contributing factors,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physical therapists.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80 physical therapists in Gangwon Province. Variables examined included the prevalence of pain sites related to WMSDs; pain intensity; pain pattern; and job stress, which is thought to involve the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insufficient job control;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reward system; and occupational culture. Among physical therapist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commonly affected the low back (30.1%), shoulder (29.3%), and wrist (12.2%). The site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treated medically were the low back (22.8%), shoulder (19.8%), neck (12.7%), and wrist (12.1%). "Repeating the same work constantly" was suggested to be the major cause of the pain. The younger therapist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feel high job stress due to the physical environment (p<.05), job demand (p<.05), and organizational system (p<.01). Women were more likely to feel greater job stress related to job demand, insufficient job control, the organization system, and job rewards. Men were more likely to feel greater job stress related to job insecurity. Weak positive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tress, which is thought to involve the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insufficient job control;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reward system; and occupational culture. Physical therapists appear to be at higher risk of WMSDs because 80.1% of the physical therapists studied experience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To reduce the risk, we need intervention strategies such as preventive education, ergonomically designed medical equipment, a psychosocial approach to work conditions, improved mechanical conditions related to therapeutic patterns, and an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with sufficient personnel and scheduling.
        4,000원
        5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sychsocial factors appea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chronic disability from low back pain. Fear of pain may be more disabling than the pain itself in patients with nonacute low back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gender, age, depression and pain-related fear to pain intensity and disability in nonacute low back pain patients. This was a cross-sectional survey study of eighty four patients who had low back pain for at least 4 weeks. More than moderat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ain intensity, disability, fear-avoidance beliefs and depression.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disability ratings and fear-avoidance beliefs for work activiti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pain intensity, even when controlling for age, gender and pain duration. Also, fear-avoidance beliefs for physical activity, pain intensity, age and depression,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disability, even when controlling for gender and pain dur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sability scores and fear-avoidance beliefs for work activitie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pain intensity. They also suggest that fear-avoidance beliefs for physical activity, pain intensity, age and depression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disability.
        4,000원
        56.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증(pain)은 오늘날 기능장애(impairment)나 능력장애(disability)를 치료하는데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비용 또한 사회에 엄청난 재정적 부담을 주고 있는데, 실제로 노인성질환(Geriatric disease)으로 인해 노인의료비가 급증하여 국민건강보험 재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인의료비의 해결과 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및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통증의 스트레스 정도 및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고 통증과 심신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심리적 변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Melzack과 Wall의 통증이론을 토대로 임상에서 실제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증에 있어 연령은 40~50대(52.3%)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에 의한 스트레스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연령에 따른 심리적 변화에 영향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증의 원인은 교통사고(35.4%)가 가장 많았고, 통증의 기간은 3개월 이상 만성 통증(69.2%)이 많았으며, 통증의 형태는 둔한 통증(dull, 41.5%)이 높아 근육이상으로 인한 통증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통증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변화의 상관관계는 현재의 통증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통증으로 인해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r=0.493).Melzack과 Wall의 Gate-control theory는 지금도 가장 포괄적이고, 통증의 인지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모든 이론과 관련되어 있다. 여러 형태의 통증들은 다양한 정도와 특징을 가진 감정적 고통, 일차적으로 공포, 불안, 분노 및 우울을 동반한다. 그러나 아직은 통증 정동(pain affect)보다는 통증 지각(pain sensation)에 더 관심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증은 심신상관의학(psychosomatic medicine) 차원에서 동통지각과 조절에 중요한 인지적 개입(cognitive interventions)인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환자의 지각이 요구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논문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통증과 심신상관관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5,800원
        57.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many manufacturing occupations, industrial workers reported foot or lower leg problems such as discomfort, pain or orthopedic deform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working conditions upon assembly worker's perception of discomfort and foot pain associated with various body parts. Twenty-three male volunteers performed work in the factory. Ergonomic intervention has been to modify the flooring in an attempt to alleviat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onstrained standing and walking work. The worker's standing conditions consisted of standing on a hard floor while wearing shoe insoles. Questions were asked regarding body discomfort and foot pa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discomfort and foot pain were found when comparing the overall effects of wearing shoe insoles on a hard floor (p<.05). This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shoe insoles reduced body discomfort and foot pain (p<.05).
        4,000원
        58.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musculoskeletal pain sufferers among fitness center users. The investigation us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ith the 797 subjects. On average, the subjects were 30.6 years old, 168.8 cm in height and 65.2 kg in weight. Among them, 423 were male (53.1%) and 374 were female (46.9%). Out of them, 276 suffered from pain, (35.2%). More men felt muscle aches than women (p<.05). In terms of pain, lower back area topped the list with 44.9%, followed by the lower extremities (30.1%), the neck (17.8%) and the upper part of the body (17.8%). Dieters suffered the most from pain (86.2%) while those exercising to build strength suffered the least with 26.8%.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urpose for exercising and the amount of pain suffered (p<.05). By kind of exercise, pain stroke aerobic exercisers disproportionately with 42.4% while it almost steered clear of exercisers for strengthening with 26.9%.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kind of exercise and pain suffered (p<.05). The type of suffering differed by body shape.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overweight people experienced pain than underweight people (p<.05). 32.8% of pain sufferers commented that the pain affects their workout, and on this issu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p>.05). The pain caused more difficulties in do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overweight or obese peoples than underweight peoples (p<.05). More than a third of health club and fitness center users are experiencing musculoskeletal pains. Measures such as professional training or information provision is required to prevent injury or disorder caused by improper exercise.
        4,000원
        5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증은 다른 일반 감각과는 달리 감각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이 있어, 인격, 기대, 암시, 과거 통증경험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나 사회문화적 환경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환자의 주관적인 통증의 호소를 객관화하려는 노력은 여러 통증 치료 의사들한테 많이 시도되어 왔으나 아직도 정확한 객관적인 진단방법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최근에 PET이나 fMRI의 등장은 이러한 면에서 통증에 관한 연구를 하는 학자들에게 커다란 도움을 주고 있고 현재에도 이러한 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많은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뇌는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부위의 뇌 신경활동이 항진되면 이와 함께 그 부위의 국소적 뇌 혈류 및 대사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리적 변화를 이용하여 뇌에 국소적 신경활성화가 생기는 위치를 mapping 할 수 있다. mapping 대상 뇌 기능은 지각, 운동, 기억, 언어 등의 기능에서 출발하여 최근 감정, 정서, 사회적 인식, 도덕적 판단, 의식, 마음까지 조사대상이 넓어지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뇌 기능 영상기법에 대한 내용과 뇌 기능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통증의 평가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4,000원
        60.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컴퓨터 사용시 발생하는 통증 유무 및 그 부위에 대해 알아보고, 컴퓨터 작업 자세 및 환경과 통증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모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컴퓨터 사용 실태에 관한 항목(종류: 데스크 탑, 노트북, 이용 목적, 이용 장소, 이용 시간, 휴식 시간, 통증 정도, 통증 부위 등), 컴퓨터 작업대에 관한 항목(책상, 의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을 포함한 총 3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 작업대에 관한 항목은 Ergonomics Working Group에서 개발한 Creating the ideal computer workstation: A step by step guide의 작업대 평가 부분을 번역, 수정한 것으로 컴퓨터 작업대에 관한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을 유발시키는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거된 설문지는 총 414부였고, 결과분석은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21부의 설문지 결과를 SPS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결과 :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통증을 느끼는 학생이 전체의 80.4%였고, 어깨/목(38.4%), 허리(28.5%), 손/손목(25.9%)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였다. 통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컴퓨터 작업대에 관한 항목은 모니터, 의자, 키보드였고, 통증유무에 대한 컴퓨터 작업자세 및 환경평가점수를 비교한 결과 통증이 있는 경우 컴퓨터 작업대에 관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5).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컴퓨터 작업대 환경이 좋지 않을수록 근골격계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컴퓨터를 빈번하게 다루는 학생 또는 사무직 근로자들에게 근골격계 예방을 위한 적절한 자세에 대한 교육 및 컴퓨터 사용 환경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