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1.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bainitic steels are fabricated by controlling the contents of vanadium and boron. High vanadium steel has a lot of carbides and nitrides, and so, during the cooling process, acicular ferrite is well formed. Carbides and nitrides develop fine grains by inhibiting grain growth. As a result, the low temperature Charpy absorbed energy of high vanadium steel is higher than that of low vanadium steel. In boron added steel, boron segregates at the prior austenite grain boundary, so that acicular ferrite formation occurs well during the cooling process. However, the granular bainite packet size of the boron added steel is larger than that of high vanadium steel because boron cannot effectively suppress grain growth. Therefore, the low temperature Charpy absorbed energy of the boron added steel is lower than that of the low vanadium steel. HAZ (heat affected zone) microstructure formation affects not only vanadium and boron but also the prior austenite grain size. In the HAZ specimen having large prior austenite grain size, acicular ferrite is formed inside the austenite, and granular bainite, bainitic ferrite, and martensite are also formed in a complex, resulting in a mixed acicular ferrite region with a high volume fr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HAZ specimen having small prior austenite grain size, the volume fraction of the mixed acicular ferrite region is low because granular bainite and bainitic ferrite are coarse due to the large number of prior austenite grain boundaries.
        4,200원
        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oron-doped amorphous carbon (BDAC) thin films with a regular 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catalytic activity were synthesized in a hot filament chemical vapor deposition device using a mixture of CH4 and H2 as a gas source and B2O3 as a boron source and then oxidized in air at 380–470 °C for 15–75 m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aman spectroscop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electrochemical test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BDAC catalysts. It was concluded that the BDAC catalyst oxidized at 450 °C for 45 min showed the best ORR catalytic activity in alkaline medium. The oxygen reduction potential and the transfer electron number n, respectively, are − 0.286 V versus Ag/AgCl and 3.24 from the rotating disk electrode experiments. The treated carbon film has better methanol resistance and stability than the commercial Pt/C catalyst.
        4,000원
        3.
        2018.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boron-doped diamond(BDD) electrode is attractive for many electrochemical applications due to its distinctive properties: an extremely wide potential window in aqueous and non-aqueous electrolytes, a very low and stable background current and a high resistance to surface fouling. An Ar gas mixture of H2, CH4 and trimethylboron (TMB, 0.1 % C3H9B in H2) is used in a hot filament chemical vapor deposition(HFCVD) reactor. The effect of argon addition on quality, structure and electrochemical property is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X-ray diffraction(XRD) and cyclic voltammetry(CV). In this study, BDD electrodes are manufactured using different Ar/CH4 ratios (Ar/CH4 = 0, 1, 2 and 4).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iamond grain size decreases with increasing Ar/CH4 ratios. On the other hand, the samples with an Ar/CH4 ratio above 5 fail to produce a BDD electrode. In addition, the BDD electrodes manufactured by introducing different Ar/CH4 ratios result in the most inclined to (111) preferential growth when the Ar/CH4 ratio is 2. It is also noted that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BDD electrode improve with the process of adding argon.
        4,000원
        4.
        2018.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phene is an interesting material because it has remarkable properties, such as high intrinsic carrier mobility, good thermal conductivity, large specific surface area, high transparency, and high Young’s modulus values. It is produced by mechanical and chemical exfolia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and epitaxial growth. In particular, large-area and uniform single- and few-layer growth of graphene is possible using transition metals via a thermal CVD process. In this study, we utilize polystyrene and boron oxide, which are a carbon precursor and a doping source, respectively, for synthesis of pristine graphene and boron doped graphene. We confirm the graphene grown by the polystyrene and the boron oxide by the optical microscope and the Raman spectra. Raman spectra of boron doped graphene is shifted to the right compared with pristine graphene and the crystal quality of boron doped graphene is recovered when the synthesis time is 15 min. Sheet resistance decreases from approximately 2000 Ω/sq to 300Ω/sq with an increasing synthesis time for the boron doped graphene.
        4,000원
        5.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approach was applied to synthesize amorphous boron nanopowders in argon atmospheres.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 thermally induced combustion wave in the B2O3 + α Mg system(α = 1.0-8.0) in an argon atmospheres. In this study, the exothermic nature of the B2O3-Mg reaction was investigated using thermodynamic calculation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calculation data and the SHS products consisting of crystalline boron and other compounds were obtained starting with a different initial molar ratio of Mg. It was found that the B2O3 and Mg reaction system produced a high combustion temperature with a rapid combustion reaction. In order to regulate the combustion reaction, NaCl, Na2B4O7 and H3BO3 additives were investigated as diluents. In an experimental study, it was found that all diluents effectively stabilized the reaction regime. The final product of the B2O3 + α Mg system with 0.5 mole Na2B4O7 was identified to be amorphous boron nano-powders(< 100 nm).
        4,000원
        6.
        2015.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tanium has many special characteristics such as specific high strength, low elastic modulus, excellent corrosion and oxidation resistance, etc. Beta titanium alloys, because of their good formability and strength, are used for jet engines, and as turbine blades in the automobile and aerospace industries. Low cost beta titanium alloys were developed to take economic advantage of the use of low-cost beta stabilizers such as Mo, Fe, and Cr. Generally, adding a trace of boron leads to grain refinement in casted titanium alloys due to the pinning effect of the TiB phases. This study analyzed and evaluated the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fter plastic deformation and heat treatment in boron-modified Ti-2Al-9.2Mo-2Fe alloy. The results indicate that a trace of boron addition made grains finer; this refinement effect was found to be maintained after subsequent processes such as hot forging and solution treatment. This can effectively reduce the number of required manufacturing process steps and lead to savings in the overall cost as well as low-cost beta elements.
        4,000원
        7.
        201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ardenability of boron steel specimens with different molybdenum and chromium contents was investigated using dilatometry and microstructural observations, and then was quantitatively measured at a critical cooling rate corresponding to 90 % martensite hardness obtained from a hardness distribution plotted as a function of cooling rate. Based on the results, the effect of an austenitizing temperature on the hardenability and tensile properties was discussed in terms of segregation and precipitation behavior of boron atoms at austenite grain boundaries. The molybdenum addition completely suppressed the formation of pro-eutectoid ferrite even at the slowest cooling rate of 0.2 oC/s, while the chromium addition did at the cooling rates above 3 oC/s. On the other hand, the hardenability of the molybdenum-added boron steel specimens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austenitizing temperature. This is associated with the preferred precipitation of boron atoms since a considerable number of boron atoms could be concentrated along austenite grain boundaries by a non-equilibrium segregation mechanism. The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results showed that boron atoms were mostly segregated at austenite grain boundaries without noticeable precipitation at higher austenitization temperatures, while they formed as precipitates at lower austenitization temperatures, particularly in the molybdenum-added boron steel specimens.
        4,000원
        8.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tungsten (W) addition on the hardenability of low-carbon boron steels was investigated using dilatometry, microstructural observations and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The hardenability was discussed with respect to transformation behaviour aspects depending on the segregation and precipitation of boron at austenite grain boundaries. A critical cooling rate producing a hardness corresponding to 90 % martensite structure was measured from a hardness distribution plot, and was used as a criterion to estimate hardenability at faster cooling rates. In the low-carbon boron steel, the addition of 0.50 wt.% W was comparable to that of 0.20 wt.% molybdenum in terms of critical cooling rate, indicating hardenability at faster cooling rates. However, the addition of 0.50 wt.% W was not more effective than the addition of .0.20 wt.% molybdenum at slower cooling rates. The addition of 0.20 wt.% molybdenum completely suppressed the formation of eutectoid ferrite even at the slow cooling rate of 0.2˚C/s, while the addition of 0.50 wt.% W did not, even at the cooling rate of 1.0˚C/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alloying elements on the hardenability of low-carbon boron steels can be differently evaluated according to cooling rate.
        4,000원
        9.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때죽나무의 발근 향상을 위한 IBA와 붕소의 적정 농도, 침지시간, 그리고 붕소와 IBA의 혼용처리 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때죽나무 반숙지삽수의 발근율과 발근수는 IBA 7,000mg·L-1 순간침지, IBA 100mg·L-1+boron 20mg·L-1 과 IBA 100mg·L-1+boron 60mg·L-1 혼용처리에서 향상되었으며 발근율, 발근수 그리고 생체중은 IBA단 일처리보다 붕소와 IBA의 혼용처리에서 높았다. IBA 단일처리에서 적정 농도는 100mg ·L-1과 200mg·L-1 사이였으며, 적정 침지시간은 3시간 이었다. 이에 저농 도의 IBA와 붕소의 혼용처리는 IBA 7,000mg ·L-1의 고농도처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미량요소 붕소(B)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상, 뿌리/근류 형성, 수량성, 양분의 함량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다량 및 미량요소 시비를 동일하게 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처리: 1) ; 0.0, 2) ; 0.2, 3) ; 2.0. 4) ; 6.0, 5) ; 15.0me B/pot로 glasshouse에서 pot시험으로 수행하였다. I보
        4,000원
        11.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미량요소 붕소(B)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상, 뿌리/근류 형성, 수량성, 영양성분/무기양분의 함량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다양 및 미량요소 시비를 동일하게 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처리: 1) ; 0.0, 2) ; 0.2, 3) ; 2.0. 4) ; 6.0, 5) B; 15.0me B/pot로 glasshouse에서 시험으로 수행하였다.
        4,000원
        12.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미량요소 붕소(B)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가시적 생육상, 뿌리/근류 형성, 수량성, 영양성분/무기양분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다양 및 미량요소 시비를 동일하게 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처리: 1) ; 0.0, 2) ; 0.2, 3); 2.0. 4) ; 6.0, 5) ; 15.0me B/pot로 하였으며, glasshouse에서 pot시험으로
        4,000원
        13.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붕소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생육, 개화, 뿌리/근류 형성, 수량, 양양성분/무기양분 및 초종간 경합지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및 다른 미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시비량을 달리한 시비처리를 하였다. 붕소 처리수준은 1) ; 0.0, 2) ; 0.2, 3) ;2.0, 4) ;6.0, 5) ;6.0, 5);15.0me B/po
        4,000원
        15.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붕소가 포함된 다성분계 규산염 용융체의 원자 구조를 규명하는 것은 화산의 분화 양상을 포함 한 다양한 지구화학적 과정의 원자 단위 기작을 밝히는데 중요하다. 붕소를 포함한 소듐 알루미노규 산염 용융체의 붕소 및 알루미늄 주위의 원자 환경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수용액과 핵폐기물 유리 (nuclear waste glasses)의 반응도(reactivity)에 대한 미시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붕소가 포함된 비정질 물질의 원자 구조 규명에 가장 적합한 고상 핵자기 공명 분광분석(solid-state nuclear magnetic resonance, solid-state NMR)을 이용하여 붕소의 함량이 비정질 소듐 보레이트(Na2O-B2O3)와 붕소를 포함한 다성분계 규산염 용융체[말린코아이트(malinkoite, NaBSiO4)와 네펠린(nepheline, NaAlSiO4)의 유사 이원계]의 원자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비정질 소듐 보레이트의 11B MAS NMR 스펙트럼을 통해 붕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배위수가 3인 붕소([3]B)가 증가한다는 것 이 확인되었다. 비정질 말린코아이트와 네펠린의 유사 이원계의 11B MAS NMR 스펙트럼을 통해 XMa [= NaBSiO4/(NaBSiO4 + NaAlSiO4)]가 증가함에 따라 배위수가 4인 붕소([4]B)는 증가하는 반면 [3]B는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다성분계 용융체의 27Al MAS NMR 실험 결과, 모든 조성의 용융체에서 배위수가 4인 알루미늄([4]Al) 피크가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펠린 용융체에 붕소가 첨가되었을 때 [4]Al 피크의 폭이 크게 감소하였고, 이는 붕소의 첨가가 네펠린 용융체 내의 알루미늄 주위의 구조 적⋅위상학적 무질서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지시한다. 붕소를 포함한 이원계 및 다성분계 비정질 물 질의 11B MAS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시뮬레이션을 하여 붕소의 함량에 따른 붕소 원자 환경의 상 대적인 존재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이 결과는 붕소가 포함된 비정질 물질의 거시적 성질 변화 에 대한 미시적 기작의 근원을 제시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16.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Boron (B) is an essential element required for the growth of plant. It has a narrow range of optimal concentration from minimum to maximum thresholds than other micro-elem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o the influence of B excess concentrations on physiological disorder of leaf, growth and mineral concentration of ginseng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physiological disorder diagnose. Methods and Results : The ginseng cultivar ‘Gumpoong’ was cultivated by hydroponic system for 2 months. The toxicity symptoms which ginseng leaves were curved downwardly and induced to chlorosis after beginning to dry the edge appeared on leaves more than 30 ppm compared to the control(3 ppm). The growth of ginseng was more decreased with higher B concentration. Mn uptake was also decreased as B concentration increased. It was found that B excess hindered the growth of ginseng and was reversely related to Mn uptake. Conclusions : More than B 30 ppm can negatively affect growth and mineral uptake. Consequently, B excess can occur physiological disorder of ginseng.
        18.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붕소의 엽면살포에 따른 참깨의 생육, 수량 및 여러 형질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평휴, 휴고(15cm) 처리별로 구분하고, 붕소의 농도를 무살포, 0.2%, 0.4%별로 주경 11절기에 각각 전엽면에 살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붕소 살포에 의한 엽면적의 증가는 평휴, 휴고 15cm모두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5절엽과 11절엽에서 증가 효과를 나타냈고, 경태는 평휴에서만이 붕소 엽면살포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지상부 건경엽중은 붕소 엽면살포에 의하여 평휴, 휴고 15cm 모두 증가효과를 가져왔다. 2. 주당 꼬투리수는 평휴에서만이 붕소 엽면살포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1,000립중은 평휴 처리시 중단부위 이하의 꼬투리에서 붕소살포농도와 비례적으로 무거워진 경향이었으나, 휴고 15cm에서는 0.2% 농도에서 만이 증가경향을 나타냈다. 3. 종실중은 평휴, 휴고 15cm 처리 모두 붕소 살포농도가 증가할수록 건경엽중, 주당 꼬투리수, 1,000립중 등의 증가로 증수되었고, 이 경향은 평휴에서 현저하였다. 4. 붕소 엽면살포 효과를 절위별 꼬투리내 종실중비로서 보면 상단부위의 종실중은 평휴보다 휴고 15cm에서 7%가 무거워진 경향이었고, 붕소 엽면살포에 의한 종실중 증가와 유관한 형질들은 평휴 처리시 엽면적, 경태, 주당 꼬투리수 및 중단부 이하의 천립중 등이었고, 휴고 15cm 처리시는 건경엽중 뿐이었다. 5. 붕소 엽면살포에 의한 여러 형질들 간의 상호관계를 보면 평휴에서 경태는 엽면적 및 하단부위의 천립중과 그리고 엽면적은 주당 꼬투리수, 건물중 및 중단부 이하의 천립중 등과, 건물중은 중단부 이하의 천립중과 유관하였으나, 평휴 15cm는 엽면적과 주당 꼬투리수 간에 비례적인 상호관계가 있을 뿐이었다.서 높았으며, 두처리 모두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나, 무경운재배에 비하여 경운재배에서는 시일의 경과에 따라서도 차이가 크지 않았고 함량도 낮았다. 6. 양이온함량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19.
        199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주요 염기영양소인 B, Zn 및 Mg의 복합시용에 의하여 건경중을 증가시켰고 특히 B 및 Mg 시용은 상단부위의 건경중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2. 건경중 및 삭수는 종실중 증가에 크게 기여하였고 특히 건경중은 하·중단부위의 종실중과 주당 삭수에 영향한 바 있고 하단 및 상단부위의 삭수는 종실중과 밀접한 상호관계를 가졌다. 3. B+Mg의 복합시용은 주당삭수증가에 효과적이었다. 4. 염기영양소의 시용효과는 무처리에 비하여 Mg+B가 21%, B+Zn+Mg가 17%, B단용이 12% 순으로 종실중증가를 가져왔다.
        20.
        198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의 냉해 경감을 위하여 인산 및 붕소의 시용효과를 구명코저 인산을 10a당 10, 20kg, 붕소를 0, 3, 5, 10, 20, 30kg을 분벽기, 유수형성기 및 감수분열기에 시용하고 유수형성기 이후부터 15-18℃ 로 냉수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붕소의 시용량이 많아질수록 시용후 3일경부터 염색이 황변하며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생육후기에는 염색이 암갈색으로 착색되고 엽선단의 양록이 말리며 고사되었다. 한편 조립의 선단부에도 암갈색으로 착색되었다. 2. 엽록소 함량은 분벽기와 유수형성기에 10a당 5, 10kg의 붕소 시용구에서 높았으며 감수분열기 처리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 광합성능력과 붕소시용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분벽기 시용구에서는 붕소량이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한편 엽록소 함량이 증가되어도 이에 비례하여 광합성능력은 별로 증대되지 않았다. 4. 근활력은 대체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붕소처리구가 다소높았다. 특히 분벽기에 10a당 3, 5, 10kg의 붕소처리구에서 높았다. 5. 붕소처리에 의한 출수촉진효과는 붕소의 시용시기가 빠를수록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고 붕소수준간에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붕소를 10a당 3, 5, 10kg 시용구에서 3-7일의 촉진효과를 보였다. 6. 붕소처리는 등숙에 영향을 미쳐 인산수준 및 처리시기에 관계없이 붕소를 10a당 3, 5, 10kg 시용한 구에서 약간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