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漢)나라 시기의 유교 사상은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지배사 회에 이념적 영향력을 끼치지 못해 불교와 도교 사상의 도전에 직면해 왔다. 이후 수・당(隋・唐)시기에 이르러 비로소 과거 (科舉)제도가 발전하게 되면서 유교의 경세치용(經世致用) 사상 이 정치에 전면적으로 제도화되어 권위가 확립되었다. 이러한 큰 변혁은 서예술과도 깊은 상호작용을 이루게 되었다. 안진경 (顔真卿) 해서는 정연하고 웅장한 스타일과 강직하고 위엄 있는 기백으로 한(漢)나라 시대 동중서(董仲舒)가 주창한 ‘대일통(大 一統)’ 학설과 긴밀히 연결된다. 예를 들면, 현재 전하는 안해 (顏楷)의 진적(真跡)인 <대당중흥송(大唐中興頌)>이다. 본 연구 는 <대당중흥송>를 대상으로 미학적 분석과 철학적 해석의 방 법을 이용하여 그 뒤에 내포된 당나라 유가사상이 서예예술에 미치는 심오한 영향과 형성과정을 깊이 탐구하고자 한다. <대당중흥송>은 자획(字劃)이 단정하고 당당하며 기세가 웅 장하여 유교가 추구하는 중용(中庸)정신과 평화롭고 강직한 미 학 이념과 매우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서예와 전통문 화 가치관의 깊은 융합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 다. 본 연구는 유학 사상이 서예에 미치는 영향과 <대당중흥 송>의 미학적 분석 및 심미적 가치의 세차원 경로를 통해 <대 당중흥송>에서 유학 사상과 서예 예술의 상생(相生) 관계를 탐 구하고자 한다.
        6,300원
        2.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의 16세기는 유교화의 진전이 상당히 발전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지난 1세기 동안 조선에서 유교의 정착을 위해 양반 관료와 사대 부 그리고 유생들이 국왕과 왕실과의 논쟁으로 얻어낸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 의식의 유지와 관련하여 유교 성리학을 정치철학으로 표방하 는 사대부로 대표되는 조선의 지식인들은 국왕과 왕실에서 여전히 고려 의 불교적 관습과 관행을 못마땅하게 여겼던 것이다. 15세기의 유교와 불교의식의 대립은 국왕과 왕실로 대표되는 힘과 유교적 소양을 갖춘 힘 들 간의 간접적 대립양상으로 펼쳐졌으며, 결국 국왕과 왕실이 양보를 하 는 선에서 일단락되는 듯 보인다. 그러나 중종대의 기신재 혁파와 수륙재의 폐지는 형식적으로 이루어졌 으며, 명종대와 선조대에도 계속해서 존속해 가고 있었다. 이것은 성리학 을 공부하는 유생들의 상소에도 불구하고 왕실의 입장에서는 유교적 예 (禮)의 논리를 펼치면서 계속 지속시켜 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16세 기 유・불 의식의 갈등 상황에서 불교계의 입장이 분명하게 기록된 문헌 을 찾을 수는 없다. 그보다는 실제의 의식집 혹은 불교 의례문으로 알려 진 청문(請文)의 존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불교계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 게 된다. 청문이란 오늘날 불교 의식집으로 알려져 있으며, 불(佛)·보살 (菩薩)을 청하는 글이다. 여기에는 청문의 방법과 내용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법식(法式), 의식(儀式)의 절차, 진언(眞言) 등을 수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조7년(1574) 안변 석왕사에서 개판한 목판본을 중심 으로 청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자료를 통해 16세기 유・불 의례 의 갈등에서 불교계는 종국적으로 불보살에 대한 공양(供養)과 조사와 영 가들을 위해서는 영반(靈飯)과 시식(施食)을 반영했다는 것을 살필 수 있 다.
        7,700원
        3.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인의 문학과 철학에 대한 믿음과 우려는 중국 역사와 자연 발생의 결과로 중 국인 심리에 잠재된 무의식이다. 먼저 중국인의 관념에 형성된 것은 유교 철학 사상 으로, 이는 춘추전국시대의 결과였다. 그러나 동한 말기에 접어들어 유교 철학이 당 시 중국인의 정신을 보존하는 힘을 잃어버리면서, 사상 의식 영역에서 심층적인 혁 명이 일어났다. 이에 위진남북조 시기에는 사회적 책임감이 강한 유가적 시인들이 현학과 노장, 불교의 사상을 융합해 그들의 기초 생활 양식에서부터 변화를 추구하 면서 시가 문학을 각성시켜 갔는데, 이처럼 위진남북조 시가 문학은 유교 철학이 무 너진 중국인의 사상 의식을 보완하며 발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6,000원
        5.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西周시대의 天命論을 계승한 孔子의 天命論이 孟子와 荀子를 거 치는 동안 어떻게 계승되고 변천되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특히 천명관의 가역 성과 불가역성에 초점을 두고 孔孟荀의 차이점을 규명했다. 孔子는 仁을 통해 사람의 주체성을 강조했지만, 天命論에서는 여전히 西周시대의 天命觀을 크 게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孔子의 天命論은 국가 차원과 개인 차원 모두 運 命決定論이라 할 수 있다. 孟子는 孔子의 天命論을 대체로 계승했으나, 天命 의 가역성 측면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국가 차원의 天命을 보면, 孔子는 제한적인 조건에서 하늘을 주체로 하는 天命의 가역성을 주장한 반면, 孟子는 사람을 주체로 하는 天命의 가역성을 주장했다. 개인 차원의 天命을 보면, 孔子는 天命의 불가역성을 주장한 반면, 孟子는 사람의 의지와 노력으 로 天命을 바꿀 수 있는 가역성을 주장했다. 苟子는 孔孟의 天命論을 일부 계승한 측면도 있으나, 보다 적극적으로 天命을 바꿀 수 있다고 보았다. 荀子 의 天命論은 역성혁명론을 계승했다는 점에서 孟子의 天命論과 유사성이 있 으며, 가역성을 더 강조했다는 점에서 국가 차원과 개인 차원 모두 運命可能 論으로 볼 수 있다. 다만 天命의 가역성 측면에서 孟子보다 더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천명, 천명론, 천명관, 운명결정론, 운명가능론.
        6,100원
        6.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rehending the prevailing ideals of the body within a specific era requires grasping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social phenomena and the evolution of clothing.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inctive facets of the perception of the Neo-Confucian body as reflected in men’s dres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 examine a comprehensive body of scholarship, literature, and historical records concerning the body and dress. Additionally, we also employ a framework developed by M. Y. Kim, which categorizes the Neo-Confucian body in three ways: as the natural body, the cultural body, and the body as a fully-realized moral subject. Our findings unveil three crucial insights: firstly, guided by Neo-Confucian discourse positing appearance as a manifestation of innate energy (氣), men’s dress was deliberately designed to demarcate stylistic distinctions in women’s dress; secondly, the Chinese gwan (冠) was employed as a tool of self-cultivation (修身) to symbolize the legitimacy of Joseon’s Neo-Confucian governance; and thirdly, sim-ui (深衣), a philosophical emblem of Confucianism extensively represented across through an intensified exploration of historical sources, served as a means to consolidate the political standing of the Neo-Confucian faction. As a consequence of these factors, the attire of noble men conferred upon them both sexual and moral ascendancy as political entities; men’s dress became a visual manifestation of the legitimacy of their power, thus embodying Neo-Confucian ideals.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by applying a discourse analysis approach to Korean dress research and elucidating the factors underlying the development of men’s dress during the Joseon Dynasty.
        4,500원
        8.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ant Hán charac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variants) are a common phenomenon in various types of Hán-Nôm cultural materials, including Confucian documents. This article studies the variants in Confucian works through the case of the book Hồ thượng thư gia lễ/胡尚書家禮/Family rituals by Minister Hồ (printed in 1739). The author chooses this text because of the following factors: First, the content of this work, which might be described as Confucian in nature, is about Confucian rituals; Second, the text printed in 1739 is associated with clearly identified dates of production and chief commissioner, so variants found in this text have historical value; Third, this is a printed text, so its variants must have attained a degree of common usage. On that basis, the objectives of this article are: First, to provide statistics on variants, to classify their structures and to analyze some variation rules of this type of characters; Second, to provide preliminary comments (relying upon the above-mentioned data and analysis) on the flexible use of Hán characters by Vietnamese Confucian scholars in the 18th century.
        8,400원
        1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Local Confucian School(Hyanggyo) architecture, centering around cases investigated through official documents written in the 1910s. In 1910, by the Japanese imperial rule, the regulations on Local Confucian School(Hyanggyo) property were enacted, and the income was paid solely to elementary school education expenses and ancestral rites. Through this process, many Local Confucian School(Hyanggyo) buildings were destroyed while only the space for ritual sacrifices remained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particular, as the land, which was the basis of Local Confucian School's property, was sold for various reasons, the finances gradually deteriorated. In addition, as the architectural acts that Local Confucian School preserves itself are restricted, it loses its original character. This study was of great significance that identified the intention to dispose of Local Confucian School(Hyanggyo) property by Japanese imperialism in the 1910s and clarified the purpose of its disposal.
        4,000원
        1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oung-dang(影堂) is a ritual pavilion where figures of a dedicated person is enshrined. According to literature, establishment of Young-dang architecture is thought to have the affinity with Buddhist tradition in the beginning of its history. A tradition of enshrining figure could be found especially in Buddhism. Until the mid Joseon dynasty, enshrining figure made of wood, clay and bronze was quite often at Young-dang. In Confucian ritual tradition, a pavilion where enshrining ancestor’s sprit tablet called Sadang(祠堂) or Myo(廟). In regarding portrait is a sort of figure, it has to be concerned with Buddhist ritual tradition. For this reaseon, Young-dang started to be distinguished from older aspect of existence in mid Joseon dynasty when the study of Confucian courtesy widely spread. It show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Young-dang architecture from Buddhist tradition to Confucian tradition in J oseon dynasty.
        4,500원
        12.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조선 천주교 신자들의 제사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을 진산사건을 전후해 윤지충과 정약용이 처했던 중국과 조선의 상황과 자신들의 생각을 언급한 1.2차 사료의 분석을 통해 고찰했다. 이를 통해 제사에 대한 이들의 상반된 입장은 천(天)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의 영향을 받았음을 밝히고자 했다. 즉 윤지충은 천주(天主)의 명령은 큰 부모의 명이며 동시에 교회의 명령으로 여겼기 때문에 천주교 제사 금령을 목숨을 걸고 지켰다. 한편 정약용에게 천명은 상제(上帝)의 명이었는데 상제의 명은 인간의 마음에 생기는 도덕을 행동으로 실행함 으로써 따르는 것이었고, 인간 도덕에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가 죽은 부모와 천에게 제사 드리는 것이었으므로 그는 비록 공적으로 천주교를 포기하면서도 제사를 지냈다. 한국에서 제사 문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기독교인이 되는 데 커다란 걸림돌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한국개신교는 제사에 관한 태도를 정하는 데 있어서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를 존중하면서도 기독교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 신학을 확립해 가는 가운데 좀 더 유연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7,000원
        1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근현대의 유・불 효의례 가운데 제사·재의 간소화와 대중화 방안을 살펴보고 효의례 문화를 개선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유교의 제사는 문중의 예법과 가문의 법도를 중요시하며, 불교의 재는 정형화한 법공과 재공으로 이루어져 간단하게 축소・통합하기 어렵다. 게다가 제사의 비용도 그 정성과 무관하지 않아서 제사·재의 합리적 절차나 간소화에 방안은 선뜻 제안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사·재는 본래 정성스러운 마음가짐이 중요하다는 인식의 개선을 위해 온라인 등의 근접매체를 활용하여 바르게 알리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다. 유・불 효의례의 대중화에 관한 두드러진 문제는 대중이 함께 공감하며 동참하는 제사·재 문화의 부재이다. 유교의 제사는 한자사용의 보수적 성향으로 제사의 의미를 전달해 주 지 못한다. 불교의 재도 집전자가 어려운 한문의 일방적인 법식을 베풀며, 그 시간도 오래 소요되어 개선책을 요구한다. 그 가운데 유・불 제 사·재에 관한 불평등과 불균형은 더 심각한데, 유교는 제사준비의 여성 부담감으로 부부간의 갈등과 이혼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획기적인 변화가 어렵다면 여성들의 어려움을 함께 나누거나 따뜻한 말 한마디가 갈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불교의 재도 대부분은 ‘청하는 의식’으로서 대중이 이해할 때까지만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함께 공감하며 동참하도록 그 구조를 과감히 개선해야 한다.
        7,700원
        1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경상우도에 연고를 둔 조선 후기 노론⋅호론계의 재야 유학자인 함인재 정국채가 선보인 사서경학의 세계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정국채가 남긴 문집인 『함인재유고(단)』에 수록된 『논어』⋅『맹자』⋅『대학』⋅『중용』 방면의 기록들을 대상으로 한 검토 작업을 수행하게 되었다. 그 결과 정국 채의 경우 문자 학습과 병행된 가학적 연원에서 출발한 끝에, 차츰 논맹과 용학으로 이뤄진 사서경학의 세계로 진입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런데 정국채가 선보인 사서경학은 정치한 담론들을 결집시킨 경전 해석학의 세계와는 대조를 연출하고 있다. 왜냐하면 정국채가 남긴 사서경학의 경우, 논의 전개가 극히 간략하면서도 일회성 수준에 그친 사례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주자주에 대한 비판적 언술도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본격 적인 경전 해석학과는 분명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함인재유고(단)』에는 『시경』⋅『서경』에 대한 기록이 거의 전무할뿐더러, 여타의 경전들에 대해서도 극히 간략한 기록만이 수록되어 있다. 이에 반해 사서경학 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분량의 언술을 남겼는데, 이는 정국채가 추구했 던 학문세계에서 사서가 차지하는 비중을 간접적으로 확인시켜준다. 특히 정국채는 『중용』에 큰 의미를 부여한 특징이 발견되며, 『논어』⋅『맹자』⋅『대학』의 경우는 그가 착지했던 사상적 입각점이 원시유학이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한편 정국채의 사서경학이 다소 단조로웠던 이면에는, 주자의 경전 해석학에 반기를 들기 어려웠던 노론계 학풍과도 무관하지 않았 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노론 호론계 유자였던 정국채가 선보인 사서 경학의 세계는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가 미미한 향반 계층의 지식인이 이룩한 경학적 수준의 한 실태를 확인시켜주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연구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듯하다. 왜냐하면 기존 한국유학사상사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 추이란, 이미 그 존재가 드러나 잘 알려진 중량감 있는 인물들에 국한된 경향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7,000원
        15.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인의 근로시간은 OECD국가 기준으로 2018년 3위를 차지할 만큼 한국인의 장시간 근로를 한다. 본 연구는 유교적 가치가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에서의 부정적 정서조절과 감정노동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259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유교적 가치가 직무탈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교적 가치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 있어서 부정적 정서조절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직 구성원의 유교적 가치와 부정적 정서조절과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고, 감정노동은 부정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무적, 이론적 함의와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5,800원
        16.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Local Confucian School(Geochanghyanggyo) had served as a government school and left many official documents on the educational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of Local Confucian School(Geochanghyanggyo), which was recorded in official documents, was diverse, and most of them were reconstructed. Construction-works recorded in an official document was drafted in two ways. One was in the same format as the accounting records and the other was written in the diary format by date. The construction cost was mainly financed by selling the land owned. Of course, with the help of the government, they could receive some of the essential timber and expenses for the construction.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educational construction was entrusted by a manager called ‘Chaji(次知)’. Then there were employees called ‘Jeonjik(殿直)’ and ‘Gojik(庫直)’ and they were paid for their work.
        4,000원
        17.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tudied the origin of Myeongnyundang(明倫堂), the common name of the main lecture halls at confucian schools in ancient China. Through an extensive investigation of local chronicles, biographies, decrees and construction essays, it found the first Myeongnyundang were titled on the main hall of a local school in the early Southern Song(南宋) period, and it might become the most popular name due to Zhuxi (朱熹), a famous confucian scholar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In Yuan(元) period, it almost become the fixed name for the main lecture hall at local confucian schools, and even the official government documents began to use it as a common noun since the beginning of Ming(明) dynasty.
        4,300원
        18.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석명』에 수록된 글자 중에서 유가철학적 인식의 특징이 보이는 글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漢朝의 신유학은 정치의 시녀로 전락 하였다는 점과 도가와 법가 등 여러 사상이 혼재되었다는 점 등에서 非儒라고 비판 하기도 한다. 하지만 漢朝의 유학과 사상, 문화 등은 이후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직접적인 문화적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우리는 반드시 다양한 각도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석명』의 字釋은 그 당시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대한 작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석명』의 仁· 誼·禮와 德에 대한 관념, 그리고 선악과 시비에 대한 유희의 해석에는 선진유학의 전통적인 유가철학적 관점과 더불어 동중서의 신유학적 관점도 함께 공존하고 있어서 동중서의 유학관이 유희가 살았던 漢朝 말기까지 널리 퍼져 있었고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5,800원
        1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화가 외국 예술 형태로 중국에 도입한지 백 년을 넘어선 이 단 계에서 우리는 유화를 중국의 관점에서 다시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유화 민족화에서의 유교 미학 특성을 정리하고, 중국 유화가의 작품을 결합하여 유교의 잠재 의식을 분석하였으며, 중국 유화의 민족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술적 정신을 도출하였다. 중국 유화를 민족화의 맥락에서, 중국 유화의 민족화를 위한 가이드로서 유교 미학의 이론적 가치와 의의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5,800원
        20.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남학회 성립 이전에 호남지역에서 상경한 뜻있는 인사들은 주권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국권 회복을 갈망했다. 그러한 열망을 품은 당대 호남의 지식인들은 계몽 단체에 참여 하여 활약하는 동시에 국운 회복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경호남 지식인들은 호남지역의 계몽과 신교육의 진흥을 목적으로 호남학회를 조직하였다. 호남학회를 근거지로 회원들이 모여들기 시작하면서 호남을 기반으로 특정 지향점을 공유하는 지식인 공동 체가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본고는 호남학회 활동시기 참여자들의 공론장 형성 활동을 기술하 고자 하였다. 특히 공론장의 주요 의사소통 행위자로 활약한 이들의 공론 표출 양상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호남학회와 『호남학보』를 중심으로 형성된 지식인 공동 체의 성격과 유학적 관계망을 통한 호남 공론장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근 대전환기 호남의 공론장 연구를 한 단계 더 진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7,7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