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BSSD (2013/59/EURATOM) requires that NORM involving activities are managed within the same regulatory framework as other practices causing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and a graded approach to regulatory control needs to be applied based on radiation risk. The graded approach is applied to all sources of radiation subject to regulation. However, it should be adopted for industrial activities involving NORM. In the case of the regulatory control of NORM,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s of exemption and clearance plays a key role. Most of the European countries have adopted the new EU BSSD general exemption/clearance levels, 1 Bq/g for U/Th series and 10 Bq/g for K-40. In addition to the general exemption or clearance criteria, some countries have implemented the graded regulatory approach, adopting more restrictive criteria as a specific exemption or clearance based on the risk of 1 mSv/y for workers and 0.01-0.3 mSv/y for public.
Two infamous ant species, red imported fire ant (RIFA, Solenopsis invicta) and tropical fire ant (TFA, S. geminata), originated from South America are invading and harming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mong them, RIFA, known as one of the 100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has been discovered in South Korea; in Busan (Gamman CT) in 2017, and subsequently in Busan (Hutchison CT), Pyongtaek, Incheon and Daegu in 2018. With these relentless introduction of RIFA, South Korea is not safe no more from these ants and faces a risk of settlement. Our research goal is tracing the country origin of invasive populations of RIFA and TFA based on molecular epidemiological approach. We are conducting both microsatellite and genome-wide SNP analyses in order to derive a complementary interpretation. These two methodologies are expected to result in improved resolution in population genetics analysis. Nevertheless, this work needs collaboration of many countries belonging to the range of origin and invasion of RIFA and TFA. We will briefly introduce our research project and progress of collaboration research.
본고는 그동안 일반 문학의 하위 장르로 분류되어 이론적 탐색의 사각 지대에 놓여 있던 청소년 문학 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 전 세계 청소년 문학이 일정한 교섭 속에서 영향 관계에 있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각국 청소년 문학에 대한 논의를 추려 한국 청소년 문학과 비교해 보았다. 독일 청소년 문학은 의도된 청소년 문학으로서 하위 장르의 틀을 갖추고 있다. 영미 청소년 문학은 사실주의적인 접근을 통하여 소수자 담론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일본은 YA문학이라고 하여 경계 허물기 단계에 이르렀다. 이를 통하여 본고는 한국 청소년 문학의 위상을 점검하고 방향성을 모색 하였다. 급성장 추세에 있는 한국 청소년 문학은 ‘청소년을 위하여’ 청소년 주체를 호명하고 ‘지금-여기’를 특화해야 한다. 청소년 문학이 아닌 것을 청소년 문학이라고 묶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 문학의 개념과 범주를 본질에 맞게 구체화할 것을 주장하였다. 한국 청소년 문학은 문학적 모색기에 있다.
1. 두 차례의 오일쇼크(1973년, 1979년)와 세계곡물위기 (2008년)는 상대적으로 천연자원이 풍부하지 못한 국가들에게 위협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량의 약 70% 이상을 수입 에 의존하고 원유의 100%를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식량 및 석유의 가격변동으로 인한 위험에 노출된 정도가 심하였다. 2. 하지만, 위험정도는 국가 간의 부존자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력 수준, 경제변동률 등에 따라 다르게 분석되었다. 3.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이러한 개별 국가가 처한 위험 정 도를 알아보기 위해, 2개 구간(1971-1990년, 1991-2011년)으로 나누어 국가 유형화를 시도함. 유형화를 위해 요인분석, 군집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 본 논문에서는 (1)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식량 자원보다 에 너지 자원의 활용이 많아져 경제변동률이 높은 유형에는 에너 지 자급률이 높은 국가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 국가별 식량 안보수준의 변화는 에너지 안보수준의 변화 에 비해 부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것을알 수 있으 며, (3) 생산력 수준이 낮은 국가들의 식량자급률은 하락하는 방향으로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식량자급률 하락에 따른 식량 자원 분포의 비대칭성 문제와 아울러식량 자원 생산에 있어서의 불균등도 심화 문제를 야기 시킬수 있다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사과는 주요 수출대상국인 대만의 검역 강화에 따라 수출시장에서의 입지가 많이 위축되어 있으며, 수출 대상국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현재 식물방역법상 중국으로 사과수출은 불가능한 상황이지만, 한 중 FTA가 실질적으로 타결되고 한 중 일 FTA가 추진되는 등 한국 제1의 교역 대상국인 중국으로의 한국 사과 수출가능성을 타진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중국인들의 소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과일 소비량은 일정 부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소득 수준향상에 따른 고품질, 고가품 등을 선호하는 중국인들의 특성상 고급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고소득층도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 대지진의 여파 및 중국 내 식품안전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현지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규제 강화 요구 및 중국 내 유기인증제도도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사과의 무역개방에 따른 수출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는 중국을 조사 대상국가로 설정하고 중국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요구 및 선호도 조사를 위해 국가별 유기인증을 활용하였다. 유기인증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중국 소비자의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의 사과 원산지별 유기인증 에 따른 국가별 선호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선택형 실험을 이용하였고, 298명의 북경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항로짓모형을 추정하였다. 모형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한국산 가격, 일본산 가격, 한국산 등급, 일본산 등급, 한국인증, 한국+중국인증, 일본인증, 일본+중국인증, 성별, 연령, 월 평균 가계소득에 대한 계수의 추정치가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일본산 사과의 가격이 높을수록, 한국산 사과의 등급이 높을수록 일본산에 비해 한국산 사과를 선택할 확률이 올라가며, 한국산 사과가 한국인증을 받거나 한국+중국인증 받을 때 일본산에 비해 한국산을 선택할 확률이 증가한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월 평균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일본산과 비교해 보았을 때 한국산 사과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한국산 사과의 가격이 높을수록, 일본산 사과의 등급이 높을수록, 일본산 사과가 일본인증을 받거나 일본+중국인증을 받았을 경우, 여성인 경우에 일본산 사과에 비해 한국산 사과를 선택할 확률은 감소한다. 한국산 가격, 중국산 가격, 한국산 등급, 중국산 등급, 중국인증, 한국인증, 한국+중국인증에 대한 계수의 추정치가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중국산 사과의 가격이 높을수록, 한국산 등급이 높을수록, 한국인증 및 한국+중국인증을 받았을 경우 중국산에 비해 한국산 사과를 선택할 확률이 증가한다. 반대로 한국산 사과의 가격이 높을수록, 중국산 사과의 등급이 높을수록, 중국인증을 받았을 경우 중국산 사과에 비해 한국산 사과를 선택할 확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국가별 유기인증 결합이 각 원산지 국가별 점유율에 미치는 한계효과는 한국산이 한국 유기인증을 받을 경우 한국산 사과의 점유율을 11.9% 증가시키고 일본산의 점유율은 7.2% 감소시킨다. 또한 한국산이 한국과 중국에서 모두 유기인증을 받을 경우 한국산 사과의 점유율은 15.9% 증가하며, 일본산의 점유율은 14.1% 감소시킨다. 한국에서만 유기인증을 받을 경우보다 한국과 중국에서 유기인증을 받을 경우 점유율이 4.0% 더 증가한다. 이는 한국 유기인증뿐 아니라 중국의 유기인증을 동시에 받을 경우 사과수출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유기인증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므로, 중국 유기인증 획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정부는 대중 수출농가들에게 한국과 중국의 유기인증 제도에 대해 홍보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일본산 유기인증뿐 아니라 일본산 사과의 일본+중국 유기인증 획득 시 시장점유율의 증가 폭은 한국산에 비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중국인들이 일본 농식품의 안전성을 더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제고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한류를 홍보 수단으로 적극 활용해 한국 농식품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산 친환경식품 중에서 구매의향이 있는 품목은 과일류, 채소류, 전통가공식품 등의 순으로 나타나, 향후 한국산 사과가 중국 시장에 수출되었을 경우, 잠재적 수요계층이 존재한다는 것을 반영한다. 하지만 한국산 사과의 경우 중국산과의 가격경쟁력 및 일본사 사과와는 품질경쟁력에서 뒤쳐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품질 향상을 위한 기술적 지원 및 유기인증 시스템의 국제적 기준을 고려한 정책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Understanding the richness and complexity of consumers’ memory structures for a country is important for governments, tourist boards, investment promotion agencies, cultural institutes, exporter associations, Ministries of Foreign Affairs and NGOs in order to increase tourism, exports, inward investment, etc. The image of the country is a key asset that, beyond its symbolic value to the pride and confidence of a nation, has an impact on the welfare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Understanding and specifying which levers have a disproportionate effect on generic county evaluations and country image perception is invaluable to both practitioners and academics. Associative network analysis can be helpful to identify the key levers that shape a country’s image. While a number of studies conceptualise brand image from an associative network perspective,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only a few researchers (Henderson, Iacobucci, & Calder 1998; Teichert, & Schöntag 2010) combine this psychological approach with a network analysis perspective applying it at the product brand level. The use of such a combined approach offers certain advantages and more informed insights of image concepts in comparison to a mono-method perspective. This research uses the combined methodology to examine country image associations, and offer new insights on the construct of country image, and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a more customised approach to the country image measures.
최근 서비스 산업이 성장하면서 창업활동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창업활동은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준다는 측면에서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지만 어떤 과정을 통해 경제성장률을 제고시키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융시스템의 발전단계에 따라 창업활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을 고소득 국가군과 중간소득 국가군으로 구분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창업활동은 모든 분석 국가집단에서 경제성장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융시스템의 발전단계를 고려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고소득 국가군에서는 창업활동이 시장 중심 금융시스템의 발달과 연계하여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중간소득 국가군에서는 은행 중심 금융시스템과 상호작용하여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금융시스템의 발전단계와의 상호작용변수의 추정계수는 유의한 음(-)의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창업활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금융시스템의 발전에 의해 오히려 약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존의 금융시스템 외에 창업활동을 지원하는 금융 서비스를 정책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적으로 직접적인 창업자금을 조달하기보다는 시장을 이용한 자본조달 시스템을 강화하는 한편 창업 실패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등의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various aspects of discretionary accruals. We compared the power of Jones Model (JM), Modified Jones Model (MJM) and Performance Matched Model (PMM). Furthermore, we tested whether accruals derived from cash flow approach or balance sheet approach provide better results and we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of country and industry control variables in models. In order to perform these tests, we constructed thirty equations. The data consists of 319 non-financial companies over five years in the GCC region. We used panel data regression models, and testing suggests us to use random effect model as the most suitable one. The results show that PMM has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among models and it is followed by JM and MJM, consecutively. Secondly, results reveal that accruals derived from cash flow approach provide more accurate results. Moreover, country dummies are significant in models with cash flow approach and they lose significance in balance sheet approach. We differentiated industries due to two different classifications: the first group with higher number of industries is more precise compared to the second group with a narrower scope and lower number of industries. The model including both industrial and country-wise dummies scores highest in significa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quantitative standard of a marginal village. For the purpose, the study selected 43 villages with the population of 50 or less, the classification of a marginal village in accordance with advanced research and 47 villages with the population over 50 in Buyeo-gun region. The common reason of occurrence of a marginal village suggested by advanced research is a characteristic of a village or decline and extinction of a village rather than a simple index of population or aging rate. Therefore, the study assumed that decline of functions of the village would be caused by decline a function of communities consisting of the villagers. The study then assumed that the relatively low or 0 number or rate of participants would result in community functions. The study conducted t-test on basis of population and aging rate and an analysis to find the range with relatively larg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mmunities, participants and the rate of the participants, etc.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mmunity function began to decline when the population was less than 60~70 and the aging rate over 75%~85%. As the decline of functions of communities began in population of 70, the critical point was met when the population was 40 or less. With population of 40 or less, the young and the old group communities became extinct or showed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study assumed that decline of functions of a village, a reason of occurrence of a marginal village would be decline of functions of communities, but there was no further analysis on decline or extinction of a village with population of 40 or less. There shall be further studies about whether a village of population of 40 or less is led to decline of a function or extinction of village communitie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country analysis is to examine its current state: economically, politically, legally, and ethically, and look at small and medium Algerian businesses to identify any issues that could hinder economic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growth.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 This is a case study, an analytical approach, which focuses on exploring and analyzing different aspects of Algeria.
Results - Since 2008, the Algerian economy has experienced a relative slowdown due to falling oil and gas prices and the economic recessions of its main trading partners, in particular, European countries. Algeria has still not managed to diversify its economy or establish competitive industrialization at the international level; it has had difficulty shifting from its economic dependence on hydrocarbons. Algerian businesses continue to face obstacles and constraints, penalized in their performance and prevented from success in a dense and competitive global marketplace.
Conclusion - The Algerian economy and Algerian businesses have shown positive performance and growth over the last few decades. However, issues exist that may hinder both business and economic progress in the future.
With the deepening of the reform and opening up, Chinese export structure is getting better step by step. Economic and trade also get a sustained and rapid development and present a trend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marketization and integration. The increase of the foreign commercial enterprise promotes the export of China. The developme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rise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e proportion of intra-industry trade and the deepening of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lso attract widespread atten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 investment and trade. However, it is obviously necessary to do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to accurately assess the positive effects brought by the trad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bout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 to impact China's trade structure is subject to our objective evaluation which is based on China's import and export trade statistics. Therefore,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angle of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status of the export trade in China by comparing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status quo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crude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China's export trade structure optimization, the influence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FDI to our country export trade structure optimization, and based on this, advances the effectiveness of the optimization of the structure of export trade in our country's policy and the suggestion.
It will use the Schmidt hammer law, the supersonic waves speed law and the composition law in the concrete Korean mandolin lump examination law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consequently and proposal of the usual concrete and existing regarding the high-in-tensity concrete the comparison which will be cool it will analyze and compared to accurately the burglar presumption which is the possibility of buy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it will be cool and it proposes.
현재 국내・외 플라워샵의 CI(Corporate Identity) 로고 색채의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플라워 샵의 브랜드화에 필요성을 제안하고 나아가 소비자들에게 좀 더 체계적으로 인식되는 로고 색채를 개발하여 이미지 마케팅을 부각시켜 소자본으로 플라워샵의 매출을 증대시키는데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제안하고자 플라워샵 CI(Corp-orate Identity)로고의 색채를 조사・분석 하였다. 플라워샵의 선정 기준은 현재, 온라인상에서 판매하고 있는 곳을 중심으로 하였고 색채분석 시 광환경은 표준광원(Philips TL-D 90 Graphica Pro. 36W/950)으로 색측기는 X-rite Eye-One Xtreme iO bundle을 사용하였다. 국내는 주도적으로 Red계열의 색상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원색의 가까운 채도가 높은 색채의 보색배색을 많이 사용하였다. 반면 국외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상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채도가 낮은 light, deep톤의 유사배색의 사용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시각적인 브랜드 포지셔닝을 색채요소로 분석한 결과 고채도의 색을 단색이나 유사배색으로 사용한 형태와 저채도의 색을 단색이나 유사배색으로 사용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강점과 약점분석과 국내외 CI로고 색채분석 결과 첫째, 채도가 높은 원색을 사용할 경우 유사배색으로 활용하며 둘째, 채도가 낮을 경우 보색배색으로 활동감을 주며 셋째, 채도가 낮고 유사색 배색은 편안한 이미지로 활용하여 우리나라 환경과 수준에 맞추어 적용한다면 플라워샵을 시각적으로 잘 인지하고 구매촉진을 위한 CI 로고 배색으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