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살리실산은 식물의 생장 및 발달, 항산화 방어기작, 광합성 작용 그리고 생물적 및 비생물적 스트레스 조건에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살리실산 경엽처리가 고추의 생육, 광합성 특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 하고자 하였다. 광합성 특성 측정결과 광합성 속도, 기공전도 도 및 증산 속도가 증가하였고, 3회차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세포내 MDA와 H2O2 함량은 살리실산 3회차 처리에서 현저 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PX, CAT, POD 및 SOD 활 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무처리 대비 최대 247, 318, 55 및 54% 증가하였다. 고추의 생육 특성은 무처리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품 수량은 15%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살리실산의 경엽처리는 고추 의 광합성 특성과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진시켜 고온・건조 스트 레스에 의한 피해 경감에 긍정적 효과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암기조생’ 감귤 과실의 표면온도와 일사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일소가 유발되는 과실 표면온도를 예측 하고 일소 발생을 경감시키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온 이 31℃일 때 30분 간격으로 5분 미세살수와 1% 탄산칼슘, 4% 카올린 용액을 10일 간격으로 3회 엽면살포하여 일소과 발생과 과실 품질을 조사하였다. 과실 표면온도는 일사량과 R = 0.788(p < 0.01)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한 낮에는 기온보다 최고 16℃가 높았다. 과실 표면온도를 추정 하는 회귀식 y = 0.099 × (대기온도) + 0.018 × (일사량) + 20.779(R = 0.687, p < 0.01)을 도출하였다. 30분 간격으로 5 분 미세살수시 수관 내부 온도가 무처리보다 5.1℃ 낮았다. 일 소과 발생률은 미세살수구가 2.1%로 무처리구보다 2배 이상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냈으나, 과실 품질은 처리 간에 비슷하였다. 햇빛을 반사하거나 미세살수를 실시하여 과실 표면온도를 낮추면 일소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4,000원
        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글루탐산은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아미노산의 전구체이며, 저온 보호 물질로 이어지는 생합성 경로를 자극하여 저온 피해를 줄이는 생물자극제 중 하나이 다. 본 연구에서는 저온 스트레스 조건에서 글루탐산 엽면 처 리가 배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글루탐산 2가지 엽면 시비 농도(0 및 10mg·L-1)와 3가지 주/야간 온도 수준(11/-1 °C extremely low, E; 16/4°C moderately low, M; 21/9°C optimal, O)을 결합하여 6개의 처리가 수행되었다. 글루탐산 의 엽면 처리는 정식 후 10일에 1회 살포하고, 글루탐산 처리 직후 온도 처리는 최대 4일 동안 실시하였다. 처리 4일 후, ABA, PA, DPA 및 ABA-GE 함량은 M 처리에서 Glu 0 처리 보다 Glu 10 처리에서 함량이 더 높았다. Glucose 함량은 E 및 Glu 10 처리에서 가장 높은 반면(52.1mg·100g-1 dry weight), fructose 함량은 O 및 Glu 0 처리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 (134.6mg·100g-1 dry weight). GLP, GBS, 4MGBS, GNBS 및 GNS 함량은 E 및 Glu 10 처리에서 모든 처리 중 가장 높았 다(0.72, 2.05, 1.67, 9.40 및 0.85μmol·g-1 dry weight). 처리 2일 후 E 및 Glu 10 처리의 PA와 DPA함량에서 급격한 변화 를 확인하였고, 몇몇 개별 glucosinolate 함량(GLP, GBS, 4MGBS, GNBS 및 GNS)은 저온과 글루탐산 처리에 따라 유 의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ructose는 glucose 대신 fructan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처리 4일후 E와 M처리에서 O 처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저온과 글루탐산 엽면 처리에 따른 PA, DPA, glucose, fructose 및 개별 glucosinolate 물질들의 변이를 확 인하였지만, 저온과 글루탐산의 효과에 관한 명확한 상관관계를 평가할 수는 없었다. 배추과 작물은 호냉성 채소로서 저 온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대부분 내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고온기 파프리카 재배에서 CaCl2 엽면 살포에 의한 배꼽썩음과 발생과 경감 효과를 알아보고자 과실 크기에 따른 살포 시기, 횟수 및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CaCl2(Ca 0.4%) 엽면 살포는 6월 3일 부터 7월 1일 까지 방아다리 위 4-9 마디의 착과 과실과 잎에 식물체 1주당 350mL/ 회를 처리하였다. CaCl2를 7일 간격으로 4주간 엽면 살포 후 수확한 파프리카의 Ca 함량은 배꼽썩음과 과실의 과폭 11- 20mm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pedicel > stem-end > middle, blossom-end 순으로 낮아졌다. 정상과 과실의 Ca 함량은 과폭 31-40mm 처리에서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배꼽썩음과와 비교할 때 78% 높았다. 과폭 21mm 이상의 과실 middle과 blossom-end 부위 Ca 함량은 정상과에서는 19.8%-28.8% 였으며, 배꼽썩음과에서는 15.7%-18.5%였다. 과폭 31- 40mm 처리에서 배꼽썩음과 발생율은 60%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과폭 크기별 엽면 살포 처리에 따른 파프리카 과중은 차이가 없었으며, 상품과율은 21-30mm 크기에서 가 장 높았고, 당도는 과폭 11-30mm 처리에서 높았다. 과폭 21 -30mm 파프리카에 7일 동안 CaCl2를 3회 엽면 살포하였을 때 세포벽 결합(cell wall-bound, CWB) Ca 함량은 가장 높았고, 배꼽썩음과 발생율은 6.3%로 가장 낮았다. CaCl2 엽면 살포 처리 10일 후 파프리카의 CWB Ca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에서 2.9배-3.5배 증가하였다. 하루 중 1회 시간을 달리하여 CaCl2 엽면 살포하였을 때, 7일째 엽소현상이 오전 9시 30분 처리에서 부터 오후 17시 처리 까지 관찰되었고, proline 함량은 처리 시간이 늦어질수록 증가되었다. 따라서 파프리카 여름재배시 배꼽썩음과 발생 경감을 위한 CaCl2 엽면 살포 방법은 과폭 21-30mm인 시기에 3일 간격으로 2회 -3회, 오전 8시 이전에 살포 하는 것이 적합하리라 본다.
        4,000원
        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umic acid (HA) is known to consist of various kinds of polymeric organics, their detailed structures can vary depend on sample sources such as organic manure, composts, peat, and lignite brown coal, and largely exists in grassland soils. HA possesses diverse positive effects that not only increase plant growth but also improve soil fertility. Recently, we have manufactured a co-polymeric product of catechol and vanillic acid (CAVA) synthesized artificially, and found that CAVA as a HA mimic increases seed germination and salt tolerance in Arabidopsi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HA or CAVA affects to seedling growth in alfalfa. Foliar application of HA or CAVA increased alfalfa seedling growth including aerial and in root parts. HA or CAVA dramatically enhanced size of leaf and root, whereas HA significantly displayed higher bioactivity than CAVA. Taken together, CAVA acts like as a HA mimic in alfalfa that could apply as an alternation supplement to enhance plant growth and productivity.
        4,000원
        6.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괘대재배를 한 ‘풍수’, ‘황금배’, ‘신고’, 그리고 ‘감천배’의 관행구와 무대재배를 한 과실에 TiO2나 Kaolin를 엽면처리 하였을 때 과실품질과 흑성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1. 관행재배구는 TiO2나 Kaolin 보다 평균과중은 증가하였지만, 수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총 과실생산량은 감소되었다.2. 관행재배구에서의 ‘풍수’와 ‘감천배’의 당도는 TiO2나Kaolin 처리구 보다 높았다.3. ‘황금배’와 ‘감천배’의 과실 경도는 TiO2 처리시 가장 높았으며 Kaolin처리시도 다소 증가시켰다. ‘풍수’와 ‘신고’는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4. 과피색은 관행재배구에서 가장 밝은 색도를 보였다.5. TiO2와 Kaolin 처리는 품종에 상관없이 총 폴리페놀 함량을 증가시켰다.6. 엽의 흑성병 발생 억제율은 관행재배구가 ‘풍수’, ‘황금배’,‘신고’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감천배’는 TiO2 처리로 100% 억제되었다.
        4,000원
        8.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준고냉지 안개초 가을~초겨울 절화 작형에서 장일 (일장연장, 광중단) 단독처리 및 GA3 병행처리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뿌리활력과 광합 성속도는 장일처리로 높아졌고, GA3 병행처리로 더 증 가되었다. 광중단 처리에서 출뢰가 무처리보다 11일 촉 진되었으며, 출뢰한 분지수가 주당 4.9개로 가장 많았 고 로제트 발생률도 무처리에 비해 50% 억제되어 절 화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장일과 GA3 병행처리가 로제 트 발생 억제에 상승적으로 작용하지는 못했다.
        4,000원
        9.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 토마토 과실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칼륨 엽면처리 농도 및 시기를 분석한 결과, 0.5% 칼륨 엽면처리구에서 과중이 200~400g인 상품과 비율이 75.5%로 대조구에 비해 29.5%증가하였다. 처리시기는 착과기가 가장 좋았는데, 착과기에 0.5% 칼륨를 엽면처리하면 상품과 비율이 대조구에 비해 5.9% 증가하였고 상품수량은 10% 증가하였다.
        4,000원
        1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마토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glycine betaine의 엽면처리 효과를 분석한 결과, 초장이나 건물중 등의 생육이 대조구인 증류수 처리에 비해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25mM glycine betaine 처리가 가장 좋았다. 저온스트레스 하에서 삼투조절 역할을 하는 가용성 당과 proline의 축적량이 증류수 처리에 비해 glycine betaine처리에서 낮은 경향을 보여 외부에서 엽면 처리한 glycine betaine이 삼투조절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수용성 단백질과 유리 아미노산의 축적 양상에서도 잘 반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glycine betaine의 엽면 처리는 저온기 시설 토마토 재배 시 야간 저온장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1.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미노산 엽면 시비가 멜론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처리 시기는 본엽 1매 전개시(Ll)와 2매 전개시(L2)로 나누었고, 아미노산 농도는 무처리구, 10, 20, 30 mg . L-1로 설정하였다. Ll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은 아미노산 처리구에서 높았다. 초장은 3차 조사시에 Ll-3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2에서 3차 조사시 생체중은 L2-30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초장은 2차와 3차 조사시 L2-30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1본엽의 염장과 엽폭의 경우, Ll의 3차 조사시 처리 효과가 나타났다. L2에서 염장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엽폭은 3차 조사시에 아미노산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2본엽의 염장과 엽폭은 Ll의 2차와 3차 조사시에 아미노산 처리구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L2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제7본엽의 염장과 엽폭은 시비 및 조사 시기에 관계없이 처리간에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 제1본엽이 전개된 후 아미노산의 농도를 20mg. L-1 이상, 회수를 3회 이상 엽면살포 하거나, 제2본엽이 전개된 후 아미노산을 시비할 경우에는 아미노산 농도를 30 mg . L-1으로 설정하고 회수를 2회 이상 시비한다면 생육이 향상된 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3.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and leaf thinning for improvement of fruit coloration and quality is one of the most labor-consuming works in Korean apple cultivation. The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whether foliar application of two chelate compounds (Cu-EDTA, Fe-EDTA) could defoliate effectively ‘Hongro’/M.9 apple leaves and enhance fruit coloration and quality. At 30 days before harvest, foliar spray with two chelate compounds defoliated significantly the apple leaves. Chelate treatments did not affect the leaf chlorophyll content. High concentration of chelates decreased drastically photosynthetic rate of true leaves, and then it stayed in low levels, whereas low levels of chelates reduced sharply the photosynthetic rate but it was gradually restored over time. Cu-EDTA regardless of its concentration triggered higher defoliation compared to Fe-EDTA. Consequently, higher defoliation improved light interception of fruits and accumulated more anthocyanin. Particularly, Cu-EDTA could target mainly fruit cluster leaves which affect directly light interception of the fruits, i.e. more selective defoliants compared to Fe-EDTA. However, 3% Cu-EDTA rather defoliated excessively, accompanying with reduction of fruit weight and soluble solids.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1% Cu-EDTA which defoliates properly the fruit cluster leaves could improve coloration and quality of ‘Hongro’/M.9 apple fruits.
        1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Foliar fertilizer materials are used in the field of ginseng farming to enhance the growth of ginseng. The law for ginseng industry prohibits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 as a material for growing ginseng, but in recent years, various organic materials derived from natural materials have been produced and used in farming si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liar fertilizer on the growth and soil properties of ginseng during continuous use. Methods and Results : For the test materials, native seedlings were used and the amino acid solution, liquid silicate, microbial liquid and fermentation enzyme were treated from 2 to 5– year-old ginseng after transplantation. The test plots were carried out to 3 repetitions by randomized block design. The area of one plot was 3.24 ㎡. The treatments were foliar application three times at intervals of 10 days from the late of May when leaf development was completed. The chemical properties of each foliar fertilizer pH was the highest at 9.63 for liquid silicate and lowest at 5.85 for amino acids. Ammonium nitrate had the highest amino acid content (56 ㎎/ℓ). Phosphorus was the highest with 113.7 ㎎/ℓ of fermentation enzyme. As a result of foliar fertilization for 4-years up to 5-years of ginseng, the pH was similar in soil chemical properties. EC and nitrate nitrogen contents tended to be higher in foliar application than in non-treatment. In the photosynthesis of ginseng, fermentation enzyme and microbial treatment tended to be high. Thickness of ginseng leaf was the thickest in microbial treatment. Microbial treatment was the highest in the underground part.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also affect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to inhibit the growth of ginseng. Conclusion : The treatments of the foliar fertilizer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no treatment on the growth of ginseng. Among the foliar fertilizers distributed on the market, those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can be used in ginseng cultivation.
        15.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content of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fatty acids and organic acids in perilla leaves. (1) As compared to the controlled with Ammonium sulfate fertilizer, the yield of Perilla frutescens leaves increased by 7.3% and 12.8% of biomass at 2000 and 1000 times liquid respectively, but decreased by 7.6% at 500 times. The lipid and protein contents of perilla leaves were higher than those of Portunus trituberculatus liquid at 1000 times. The average contents of minerals (mg/100g) were as follows; K (638.4) > Ca (561.6) > P (145.4) > Mg (133.5) > Fe (36.2) > Zn (1.9) > Mn (1.6) > Na (1.4 mg).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olled with P. trituberculatus liquid was relatively low. (2) The fat-soluble vitamin E content of P. frutescens leaves was 3.4, 3.9, 3.3, and 3.9 mg in the controlled with liquid by 500, and 1000, 2000 times respectively; Vitamin A contents were 6.4, 8.9, 10.9, and 8.5 mg respectively, which was more than twice as much as the corresponding vitamin E content. The water soluble vitamin C contents were 177.9, 172.6, 195.2, and 163.5 mg respectively. (3) Amino acid contents of P. frutescens leaves in 100 g of fresh weight were 3821.7 mg in the controlled with Ammonium sulfate fertilizer and 3918.8, 4054.0, and 4005.4 mg in the controlled with P. trituberculatus liquid at 2,000, 1000, 500 times respectively. Amino acid contents of each controlled group with P. trituberculatus liquid above were as small as 2.5~6.1%, and these contents of amino acid were as follows: Glutaminic acid > Aspartic acid > Leucine > Arginine > Phenylalanine. In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microorganism and a variety of amino acid fertilizer to supplement the study on new manufacturing.
        16.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rietal variation of Se concentration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lenium foliar applications on the productivity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whole-crop barleys. Se fertilizer was foliar applied at five levels(0, 50, 100, 200, 400 ppm) and two forms (sodium selenite and sodium selenate solution) at stem elongation stage, the middle of April. Cultivar effects on whole-plant Se contents were small and not significant. Regardless treatments, there were no remarkable effects on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of whole crop barleys. Se contents of plant was higher in selenate application by 3~10 times than selenite. In selenate treatments, as Se levels were raised from 50 ppm to 400ppm the Se contents were increased from 331ppb to 3433ppb and Se cont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ate of Se application levels. Selenium(Se) is an essential nutritional trace element, which is needed for growth and reproduction in all living animals. But the line between the requirement and harmfulness of Se is narrow since selenium is a highly toxic element. The level of Se in feeds of plant varies depending on plant species, growing season and soil which the plants grow on. Because of low concentration of Se in domestic soils, the selenium availability to plants is limited a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feed with selenium. Generally organic Se is less toxic and more efficiently utilized than inorganic Se. Under the condition that antibiotics use in feed are prohibited, selenium enriched whole-crop barley can be one way to improve animal health.
        17.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improve cultivation technuque of C. lanceolata, natural ABA was treated with foliar application periodically during differenctitation of node. The higher is concentration and the earier its foliar application was, the shoter plant height was. Especially, when 10mg;.L-1 of ABA was treated at differentiated stage of 3rd node, plant height was inhibited to 60% of control. But leaf length, leaf width, and number of branches have no significant differnence in comparison wiht control. The fresh weight of subterranean part was similar to control independent of treat-time in the case of 10mg;.L-1. When 1,5 and 10mg;.L-1 of ABA were treated at initial differentiated node stage, plant height inhibited to 20~30% of control, but subterranean part was similar to control. All treatement showed slight antitumor activity by the P388 cytotoxic screening test.
        18.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원도 평창에서 송어 양식후 배출되는 냉수를 이용하여 고추냉이를 재배하면서 계절 및 생육기간에 따른 근경의 allyINCS 함량 변화를 조사하고 화학비료의 엽면시비에 따른 allyINCS의 함량증가를 꾀하여 품질을 높이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육초기부터 생육후기인 이듬해 3월 개화기까지 생육기간의 경과에 따라 근경의 allyINCS 함량은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개화말기인 5월경에는 급격히 저하되었다. 2. 요소 1% 수용액 엽면시비는 대체로 생육을 촉진시켜 근경중을 증가시키거나 allyINCS 함량 증가에는 효과가 없었다. 3. 황산염을 함유한 비료(황산암모늄, 황산칼륨)의 엽면시비는 근경중과 근경의 allyINCS함량을 증가시켰는데 , 황산암모늄보다 황산칼륨 처리가 근경중 및 근경의 allyINCS 함량 증가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황산 칼륨처리로 근경중이 44%, allyINCS 함량이 38% 증가 되었다. 4. 요소 1%와 황산암모늄 1% 수용액의 혼합처리는 고농도로 인하여 생육장애를 보여 근경중은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나 근경의 allyINCS 함량은 47% 증가되었다.
        19.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더덕의 재배기술 개선을 목적으로 Uniconazol 및 Paclobutrazol을 더덕의 생장기별로 엽면산포(葉面散布)를 행했다. Uniconazol 및 Paclobutrazol 처리는 처리시기에 관계 없이 농도가 높을수록 초장은 억제되었으며 엽면적(葉面積)의 감소를 나타냈다. Uniconazol 처리에 의한 지하부의 형질은 3절(節) 분화시의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와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12절 분화시의 10mg liter1 와 100mg liter1 농도처리에서는 대조구보다 생체중(生體重)이 각각 64%, 100%의 증가를 보였다. 세포독성(細胞毒性) Screening의 결과는 대조구 및 6절 분화시 10mg liter1 처리구에서만 활성을 나타했다. Paclobutrazol 처리에 의한 지하부의 생체중(生體重)은 3절(節) 분화시의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와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12절 분화시의 10mg liter1 농도처리에 의해 조금의 증가를 보였다. 세포독성(細胞毒性) Screening의 결과는 대조구 및 모든 처리구에서 약한 활성치를 나타냈다.
        20.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붕소의 엽면살포에 따른 참깨의 생육, 수량 및 여러 형질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평휴, 휴고(15cm) 처리별로 구분하고, 붕소의 농도를 무살포, 0.2%, 0.4%별로 주경 11절기에 각각 전엽면에 살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붕소 살포에 의한 엽면적의 증가는 평휴, 휴고 15cm모두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5절엽과 11절엽에서 증가 효과를 나타냈고, 경태는 평휴에서만이 붕소 엽면살포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지상부 건경엽중은 붕소 엽면살포에 의하여 평휴, 휴고 15cm 모두 증가효과를 가져왔다. 2. 주당 꼬투리수는 평휴에서만이 붕소 엽면살포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1,000립중은 평휴 처리시 중단부위 이하의 꼬투리에서 붕소살포농도와 비례적으로 무거워진 경향이었으나, 휴고 15cm에서는 0.2% 농도에서 만이 증가경향을 나타냈다. 3. 종실중은 평휴, 휴고 15cm 처리 모두 붕소 살포농도가 증가할수록 건경엽중, 주당 꼬투리수, 1,000립중 등의 증가로 증수되었고, 이 경향은 평휴에서 현저하였다. 4. 붕소 엽면살포 효과를 절위별 꼬투리내 종실중비로서 보면 상단부위의 종실중은 평휴보다 휴고 15cm에서 7%가 무거워진 경향이었고, 붕소 엽면살포에 의한 종실중 증가와 유관한 형질들은 평휴 처리시 엽면적, 경태, 주당 꼬투리수 및 중단부 이하의 천립중 등이었고, 휴고 15cm 처리시는 건경엽중 뿐이었다. 5. 붕소 엽면살포에 의한 여러 형질들 간의 상호관계를 보면 평휴에서 경태는 엽면적 및 하단부위의 천립중과 그리고 엽면적은 주당 꼬투리수, 건물중 및 중단부 이하의 천립중 등과, 건물중은 중단부 이하의 천립중과 유관하였으나, 평휴 15cm는 엽면적과 주당 꼬투리수 간에 비례적인 상호관계가 있을 뿐이었다.서 높았으며, 두처리 모두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나, 무경운재배에 비하여 경운재배에서는 시일의 경과에 따라서도 차이가 크지 않았고 함량도 낮았다. 6. 양이온함량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