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2.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one for the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contents of Korean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ginsenosides. It is known that perfect segregation of ginsenoside Rg and Re is not easy, but in this study almost perfect segregation can be possible by the control of concentration between acetonitrile and water. Among Korean ginseng, ginseng powdered tea and red ginseng powdered tea, the highest ginsenosides content of sum of each 7 kind o ginsenoside was found in red ginseng powdered tae as 23,211μg per 1g/dw The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powdered tea was lower than red ginseng powdered tea as 15,217μg per 1g/dw Total ginsenoside content in the root of ginseng was 29,268μg per 1/dw Each amount of ginsenoside contained in ginseng root was in the order of Rb1, Rg1, and Rc. It was shown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constitutional element of ginsenosides in ginseng powdered tea and ginseng root.
        4,000원
        7.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contents of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 Rh2 and Rg3 using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in wild cultured-Root in wild ginseng. For selective increase in contents of Rg3 and Rh2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n ultra high extraction was applied at 500MPa for 20 min which was followed by steaming process at 90℃ for 12 hr. It was revealed that contents of ginsenosides, Rb1, Rb2, Rc and Rd, were decreased with the complex process described above, whereas contents of ginsenoside Rh2 and Rg3 were increased up to 4.918 mg/g and 6.115 mg/g, respectively. In addition, concentration of benzo[α]pyrene in extracts of the cultured wild ginseng roots treated by the complex process was 0.64 ppm but it was 0.78 ppm when it was treated with the steaming process. From the results,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s, Rh2 and Rg3, are converted from Rb1, Rb2, Rc, and Rd which are easily broken down by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This results indicate that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can selectively increase in contents of Rg3 and Rh2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nd this process might enhance the utilization and value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8.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5 년근의 인삼에서 차광시설의 재배위치에 따른 사포닌의 함량 차이를 검정하였다. 재식 위치별 전행 (1~2행) 에서 연풍과 재래종 주근의 총 사포닌 단위함량은 각각 15.01 mg/g, 21.79 mg/g, 지근은 각각 35.93 mg/g, 43.32 mg/g, 세근은 각각 87.85 mg/g, 105.51 mg/g이었다. 중행 (3~5행) 에서 연풍과 재래종 주근의 총 사포닌 단위함량은 각각 18.73 mg/g, 23.19 mg/g, 지근은 각각 44.92 mg/g, 43.50 mg/g, 세근은 각각 92.97 mg/g, 110.70 mg/g이었다. 후행 (6~7행) 에서 연풍과 재래종 주근의 총 사포닌 단위함량은 각각 21.88 mg/g, 26.68 mg/g, 지근은 각각 38.41 mg/g, 44.89 mg/g, 세근은 각각 101.03 mg/g, 107.06 mg/g이었다. 재배위치에 따른 연풍과 재래종의 주근, 지근 및 세근의 총 사포닌과 주요 사포닌 함량의 차이는 연풍의 주근을 제외하고 모든 부위에서 크지 않았다. PD/PT 비율은 전행 인삼은 중행과 후행에 비하여 낮았으며 뿌리의 부위별로도 차이가 컸다.
        9.
        198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 종자의 발육시기별 종자 및 배유의 크기, 사포닌, 유리당 그리고 지방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크기(길이, 폭, 두께) 생장은 개화후 35 일경에, 배유의 크기 생장은 개화후 50일경에 완료되었으나 장육을 제거하지 않은 종자의 무게는 개화후 65일까지 감소되었다. 2. 총사포닌 및 ginsenosides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되었다. 3. Glucose, maltose 및 fructose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되었으나 sucrose 함량은 경과일수에 따라 증가되었다. 4 Palmitic 산의 함량은 개화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경향이었으나 oleic, linoleic 및 stearic산은 경과일수에 따라 증가되었다.
        10.
        198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종자의 열매송이를 원이라 가정하고 그 원의 반지름을 3등분한 원을 각각 작도하여 1차원의 부분을 중앙부, 2차원의 부분을 중간부, 3차원의 부분을 외부라 구분하고 각 부위에 착생한 종자의 크기 및 ginsenoside, 유리당, 지방산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1. 100입의 종자중과 배유중은 열매송이의 외부나 중간부에 착생한 종자에 비해 중앙부에 착생한 종자에서 현저히 작았다. 2. 1입과의 종자가 2입과의 종자에 비해 소립이었고, 1입과의 착생비율은 열매송이의 외부나 중간부에 비해 중앙부에서 증가되었다. 3. 종자내의 주요 ginsenoside 는 Re, Rb1 , Rb2 ,Rd 였고, 종자의 착생위치별는 Rb2 와 총사포닌 함량은 중앙부쪽에 착생한 종자일수록 감소했으나 Rd 함량은 오히려 증가되었다. 4. 종자내의 주요유리당은 sucrose, glucose 였고, 종자의 착생위치별로 보면 sucrose 는 열매송이의 중앙부쪽에 착생한 종자일수록 그 함량이 점점 감소되었다. 5. 종자내의 주요지방산은 oleic 산과 linoleic 산이었고, palmitic 산과 linolenic산의 함량은 종자의 착생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