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2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CISS)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를 통 해 수집된 건강기능식품 관련 위해 사례를 분석하여, 소 비자가 겪는 부작용 및 불만 사항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였 다. 연구 결과, CISS를 통해 수집된 461건의 위해 사례는 주로 중장년층과 어린이·청소년층에서 많이 발생했으며,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부작용은 피부 발진, 복통, 구토와 같은 신체 반응이었다. 특히, 50대와 10대 미만에서 부작 용 발생률이 높아, 이들 연령대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주 의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홍삼, 유산균, 프로폴리 스 등에 대한 부작용 사례가 다수 보고되어, 제품의 판매 량에 영향이 있을 수 있으나, 해당 제품을 섭취하는 소비 자들에 대한 세심한 정보 제공과 주의가 요구됨을 확인하 였다. 부작용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복통, 구토, 두드러기와 같은 피부 및 소화기관 관련 증상이었 으며, 이는 제품 섭취 전에 부패·변질 여부를 확인하는 것 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907 건의 상담사례 중 549건은 안전 문제와 관련되었고, 313 건은 표시·광고와 관련된 불만 사항이었다. 특히, 표시·광고와 관련된 불만은 제품 표시의 불충분함과 광고 내용의 신뢰성 부족에서 기인하였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제품 정 보를 정확히 얻지 못함으로써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해 결책으로 제품 표시와 광고에 대한 규제 강화와 소비자 교육이 필요하다.
        4,000원
        2.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대면 활동 증가로 인해 생활습관이 크게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근거리 작업시간, 수면시간, 스트레스 수준의 변화가 비정시(근시, 원시, 난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2019~2021년도) 조사 중 2020년에 참여한 대상자들 중 만 40세 이상인 성인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단면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안검진을 받은 성인 중 안과 질환이 없는 2,564명을 포함하였다. 굴절 이상은 등가구면굴절력을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 근거리 작업시간이 하루 4시간 이상인 그룹에서 근시 유병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1시간 이하 의 근거리 작업을 수행하는 그룹에서는 원시 유병률이 높았다(p<0.0001). 수면시간이 6~8시간인 그룹에서 근시 유병률이 가장 높았으며, 원시는 6시간 미만 그룹에서 높았다(p=0.0082).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그룹에서 근시 유 병률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근거리 작업시간이 짧은 그룹에서 난시 유병률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p<0.0001), 수면시간과 스트레스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근거리 작업시간 증가가 근시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으며, 수면 패턴과 스트레스 또한 비정시와 연관성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는 COVID-19 팬데믹과 같은 환경적 변 화가 시력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근시 예방 및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4,000원
        3.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의 일상 곳곳이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지만, 노인의 경우 이를 수 용하고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디지털 기기 활용은 정보격 차 더 나아가 건강 격차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였고, 65세 이상 노인 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통해 분석하였다 (N =9,951).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 수준 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았는데, 노인복지서비스 인지가 이 둘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디지털 기기 활용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논의하고, 디지털 기기 활용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6,600원
        4.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인 장애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시민교육으로서의 건강권 교육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이제까지의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이 비장애인을 대상으 로 한 장애체험 위주의 교육이었다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실행연구를 선택함으로써 건강권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장애의 재해석을 기반으로 한 본 건강권 교육 프로그램은 장애에 대한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체험과 성찰을 통해 장애를 새롭게 이해하고 장애인에게 공감하는 역량을 형성하는 데 성공적이었다. 융복합 접근의 교육적 결과는 다학제로 구성된 교육과정과 팀티칭 수업이 장애인의 건 강을 사회모델과 의료모델이라는 이분법이 아닌) 다각도로 이해할 수 있 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었으나, 교수자의 지속적 상호작용을 통해 연계에 좀 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장애인의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다학제간 융복합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 한 장애인의 요구를 수렴하고 전문적인 해결책을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상호작용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100원
        5.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awareness and health impact of respiratory diseases among residents in the exposure area (Banwoldong) and the control area. Additionally, it sought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xposure area and their effects on health.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2021 survey of 20 residents to assess environmental awareness using a 5-point Likert scale. The measurement of indoor particulate matter (PM10, PM2.5), temperature, and humidity was conducted using a direct-reading laser light scattering device, the DT-9881M (SANE Cal. Co., Ltd., Korea). Additionally, a cohor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data (2002~2022) to evaluate the onset of chronic disease, focusing on residency and diagnostic records. Results: In the environmental awareness assessment, wome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awareness than men regarding water pollution (p=0.0039) and soil pollution (p=0.007). Also, the incidence of respiratory diseases and asthm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osure area than in the control area (p<0.0001). Conclusion: This study foun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spiratory diseases in the exposure area compared to the control area. Long-term exposure (≥5 years) to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xposure area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 greater health impact. This suggests a strong link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respiratory diseases. Th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region-specific environmental policies to address pollution-related health disparities.
        4,000원
        6.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otal of 225, 3 weeks old weaned pigs of the Landrace × Yorkshire × Duroc breeds with initial average body weight (BW) of 6.25±0.6 kg were randomly assigned to 3 different treatments based on their BW, with each having 5 replicates. Each replicate contained 15 pigs, resulting in 75 pigs per treatment group. The treatment included a basal diet (CON), CON + allicin and cinnamaldehyde mixture 500 ppm (ALI), CON + Bacillus-based probiotics 500 ppm (PRO) tested for 42 days in a 3-phase feeding program (0–14 as phase 1, days 15–28 as phase 2, and days 29–42 as phase 3). Result shows final BW (6.3%) and average daily gain (9.0%) in the overall phase were higher (p<0.05) in PRO compared with CON. At d 14, the level of Escherichia coli was lower (p<0.05) in ALI (12.0%) and PRO (13.2%) over CON. At days 28 (14.6%) and 42 (12.8%), the level of Escherichia coli was lower (p<0.05) in PRO compared with CON. The level of tumor necrosis factor-α was lower (p<0.05) in PRO over CON (15.0%). Superoxide dismutase (9.2%) and immunoglobulin A (19.4%) were higher (p<0.05) in PRO over CON. We concluded that dietary PRO at 500 ppm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piglets by enhancing their growth performance and health.
        4,500원
        7.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재건축사업에 의하여 이주한 노인을 대상으로 재건축사 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한 외상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요인 간의 관계에서 정주환경 포용성의 완충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재건축구역에 거주했던 186명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ver. 27.0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외상 수준은 높았으며, 정 신건강과 정주환경 포용성은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정신건강에는 외상, 재건축 구역의 거주기간, 사회적 포용성, 재건축사업 정책의 신뢰 정도가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외상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포용성과 공간적 포용성은 각각 완충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건축사업에 의 하여 이주한 노인이 외상에서 벗어나 양호한 정신건강을 회복하여 의욕 하는 삶을 향유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재건축사업과 관련한 법· 제도의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여 이주한 노인의 건강권 및 주거권을 보장 하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7,000원
        8.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lationships of water and dietary fiber intake with various health-related factors using data from the 2016~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 total of 8,419 adults aged 19~49 yea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1) sufficient intake of both water and fiber (Type 1) (n=2,235), (2) water deficiency with sufficient fiber (Type 2) (n=1,470), (3) fiber deficiency with sufficient water (Type 3) (n=1,031), and (4) deficiency in both water and fiber (Type 4) (n=3,683). General characteristics, body composition, health behaviors, dietary habits, nutrient and food intake, and dietary quality were compared. Type 4 had more female (p=0.028), older adults (p<0.001), and higher socioeconomic status (p<0.001) than Type 1. Type 1 consumed breakfast more frequently (p<0.001). Nutrition label recognition, usage of nutrition label, and all nutrient intakes were the highest in Type 1 but the lowest in Type 4. Type 1 also had better dietary variety score and nutritional qualit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dequate water and fiber intake for balanced nutrition and suggest that targeted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especially for male and low-income groups with insufficient intake.
        4,000원
        9.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breakfast habits, mental health, and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among 9,549 adolescents from father-headed and mother-headed families, using raw data from the 2017~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the total participants, 44.6% came from father-headed families, while 55.4% were from mother-headed families. Single-parent adolescents showed the highest likelihood of eating breakfast every day of the week (24.5%), but they also had a significant tendency to skip breakfast entirely (24.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eakfast frequency between those from father-headed and mother-headed families. The perception of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adolescents from the two types of families, although subjective health status did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oys. Depressive experiences were notably higher in adolescents from mother-headed families (33.0%) compared to those from father-headed families (30.8%). Additionally,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adolescents from mother-headed families (24.2% and 32.1%, respectively) than in those from father-headed families (21.1% and 26.5%,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tailored nutrition and health guidance programs for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to support the role of the absent parent.
        4,000원
        10.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health of bivalves using intersexuality. We analyzed purplish bifurcate mussel Mytilisepta virgata (n = 67, shell height 37.1±8.3 mm),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n = 288, shell length 28.6±4.2 mm) collected from coastal water near Yeosu, Korea. The sex ratio (female:male) of M. virgata and R. philippinarum were 1:1.5 and 1:0.8, respectively, and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llection area. The total intersexuality of M. virgata was 20.9%. The intersexuality in female (33.3%) was higher than in male (12.5%), and the regional intersexuality was 72.7% in Sogyeongdo, 20.0% in Oesamdo and 5.6% in Jungsamdo with the highest in Sogyeongdo. The total intersexuality of R. philippinarum was 11.8%. The intersexuality in female (17.5%) was higher than in male (4.7%), and regional intersexuality was 20.0% in Neungchodo, 13.0% in Dokdo, 2.8% in Samdo, 5.9% in Orando, 19.6% in Oesamdo with the highest in Neungchodo. The incidence of intersexuality according to distance from cities and ports each sampling area showed no clear tendency. Intersex specimens were showed histological structure changes of digestive gland, such as digestive tubule disruption and necrosis of epithelial cells, accumulation of eosinophilic granules in lumen of tubule, necrosis of connective tissue.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the histological structure of the digestive gland but also intersexuality should be used as important biomarker for toxicity assessment of pollutants.
        4,000원
        1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impact of stroke, particularly post-stroke depression, anxiety, and cognitive impairment, while emphasizing the need for early intervention and personalized care to improve long-term outcomes for survivors. It explores the prevalence of these conditions, which are often underrecognized, and the varying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strategies such as pharmacological treatments, psychotherapy, and multidisciplinary rehabilit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neurological damage significantly affects mental health, complicating recovery, but highlight that early, individualized care plans tailored to patient needs can improve outcomes. The review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mental health support into stroke rehabilitation to enhance recovery and calls for future research to address gaps in mental health care within these frameworks, advocating for a holistic,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better support stroke survivors and their families.
        5,200원
        1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ming disorder, also referred to as game addiction, has garnered increasing clinical attention and was officially recogniz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 2018. Previously categorized alongside behavioral addictions such as gambling, gaming disorder shares key characteristics, including compulsive engagement and persistent behavior despite adverse consequences. Psychological risk factors include high impulsivity,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tress, often exacerbating mental health issues like depression and anxiety. Despite its global recognition, research on gaming disorder in Korean adults remains limited, leaving a gap in understanding how individuals exhibit traits associated with the disorder.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psychological traits of high-risk individuals for game disorder in Korea and compare them with low-risk individuals. Findings revealed that high-risk individuals are more prone to addictive behaviors such as internet addiction, binge eating, pathological gambling, and nicotine dependence, though not alcohol addiction. They were also characterized by higher impulsivity, lower self-control, and poorer emotion regulation, particularly a reduced use of cognitive reappraisal strategy. Furthermore, high-risk individuals reported elevated levels of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These findings highlight potential risk factors for gaming disorder in adult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targeted screening tools and earl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t-risk individuals.
        4,800원
        1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terest in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fter the addition of cardiac rehabilitation as a benefit item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2017. However, few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characterized cardiac rehabilitation in Korea. Objects: To assess the national epidemiological data on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Korea from 2017 to 2023. Methods: This study analyzed MM453, a prescription code for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database. The data reviewed included the total number of cases per year and the number of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prescriptions per 100,000 people, along with sex and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undergoing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Results: The number of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prescriptions in Korea increased from 4,443 in 2017 to 15,646 in 2023 (252.1% increase in 7 years). The incidence per 100,000 person-years rose from 8.64 in 2017 to 30.22 in 2023. The number of males undergoing therapy increased from 3,183 (incidence: 12.35) in 2017 to 11,276 (incidence: 43.53) in 2023. The number of females undergoing therapy increased from 1,260 (incidence: 4.91) in 2017 to 4,370 (incidence: 16.89) in 2023. The highest number of patients undergoing therapy from 2017 to 2023 was observed in the 60s age group (patients: 4,747, incidence: 9.17), followed by the 70s, 50s, and > 80s age groups. Conclusion: From 2017 to 2023, the number of patients undergoing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Korea increased consistently. The therapy is approximately 2.6 times more common in males than that in females and is predominantly administered to individuals in their 60s, followed by those in their 70s, 50s, and 80s and above.
        4,000원
        1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To examine published qualitative studies that can inform occupational therapists about potential intervention targets to improve health outcomes in homeless communities. Methods: A search was conducted for pertinent studies in the following databases: PubMed, Ovid, and CINAHL.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guidelines were followed to extract relevant data. Only research published after 2011 in English-language peer-reviewed journals was included. Twelve of the 1,162 identified articles satisfied the requirements for inclusion. Results: Individuals experiencing homelessness had higher levels of food insecurity, mental health conditions, and inadequate management of chronic conditions than those with a stable residence, all of which were successfully treated through occupational therapy. Conclusion: The scope of practi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allows for holistic treatment approaches to address the biopsychosocial health of homeless individuals at all levels of need and suggests that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initiatives are appropriate to address occupational justice for this population
        5,800원
        1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 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이 우울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 석하고 신체매력지각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 소재 폐경기 여성 25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델, bootstrapping기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폐경기 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은 우울과 통계적 유 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건강과는 정적(+) 영향을 보였다. 둘째, 폐경기 여성의 신체매력지 각은 우울과 통계적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건강과는 정적(+) 영향을 보였다. 셋째, 폐 경기 여성의 외모관리행동과 우울,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신체매력지각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폐경기 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을 통하여 변화된 자신의 긍정적 신체매력지각이 우울과 정 신건강에 더욱 강화된 영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모관리행동으로 폐경기 여성의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극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중재변수로서의 타 당성을 제고하였다는 측면에 의의가 있다.
        4,800원
        1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역별 경제지표와 개인의 주관적 건강 및 체력상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22년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과 국민생활체육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역내총생산(GRDP), 1인당 지역내총생산 (GRDP), 경제활동참가율, 경제성장률 등의 경제지표가 주관적 건강 및 체력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인당 GRDP가 중위 수 이상인 지역에서 주관적 건강 상태와 체력 상태를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경제활동참가율과 경제성장률이 높은 지역 에서도 건강 및 체력 평가를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활동참가율이 주관적 건강 및 체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으며, 경제성장률 또한 주민들의 건강과 체력상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지역 간 경제적 격차는 주민들의 건강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장기 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수립 및 적극적인 행정적 대응이 필요 함을 시사한다.
        6,300원
        1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구호활동에 대한 재난피해자들의 인식과 정신건강 (PTSD, 우울증, 불안장애) 간의 관계와 이들 관계에 대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다층모형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재난 트라우마로 인한 효과를 보정 한 후에도 구호활동에 대한 재난피해자들의 인식, 특히 금전적 지원이나 도움 분배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불만, 갈등, 공정성 문제들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구호활동의 적절성, 공정성, 효과성에 대한 재난피 해자들의 주관적 평가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조 절효과를 검증 결과, 정신건강에 대한 구호서비스 만족과 지원과정에 대 한 불만의 영향이 지각된 사회적지지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 들 결과는 재난피해자들이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과 대처 능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따라 심리적 안정과 회복이 촉진되거나 방해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호 단체와 정책 입안자가 재난피 해자의 사회적 상황에 맞는 지원 메커니즘을 맞춤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5,700원
        1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을 정신건강상 태에 따라 유형화하였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외로움 과 사회적 고립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신건강 상태(우울증 및 자살 생각)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 다. 분석결과, 전체 응답자의 47.5%가 외로움을 느끼고 있으며, 특히 30 대와 40대에서 외로움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1인가구의 외로움 과 사회적 고립이 다인가구에 비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남성의 사 회적 고립 비율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의 관 계에서 정신건강상태에 따른 분석결과, '외로움군', '고립군', '외로움우울 군', '고립우울군'으로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성인의 외로움과 사 회적 고립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각 유형 에 따른 맞춤형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 연구는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에 대한 정신건강상태에 따른 유형화 연구로 기존연구에서 대상을 1인 가구와 청년에서 확대되어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 에서 의미가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성인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유 형에 맞춤형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6,300원
        20.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an integrated indoor air quality index (IAQI) algorithm aimed at enhancing the efficiency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n diverse indoor environments. The proposed IAQI accounts for the combined effects of multiple pollutants, offering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han traditional concentrationbased methods. Findings from four exposure scenarios and probabilistic health risk assessments indicate that the IAQI can be tailored to reflect occupant characteristics and space usage, thereby providing improved protection for sensitive populations, such as newborns. The application of occupant-specific criteria led to reductions in pollutant concentrations and associated health risks compared to conventional standards. Furthermore, the IAQI incorporates correction factors and weighted adjustments, facilitating robust risk assessments in complex multi-pollutant contexts. By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single-pollutant management, this approach supports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strategies for indoor air quality control. The proposed algorithm holds significant potential for practical applications i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nd policymaking.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validating its effectiveness across a wider range of indoor environment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