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2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인지기반 작업수행(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중재에 대한 조건, 형태 및 효과에 대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4년부터 2023년까지의 PubMed, CINAHL, EMBASE, SCOPUS, Web of Science와 한국학술 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에 게재된 문헌을 대상으로 체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검색어는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OR CO-OP) AND (Stroke OR Cerebrovascular accident)이며, 총 164편 중 선정 및 배제기준에 따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CO-OP 중재를 시행한 실험 문헌 9편을 최종 선택하여 문헌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한 문헌 중 무작위 대조실험 연구는 6편(66.67%)으로 질적 수준이 비교적 높았다. 대상자는 뇌졸중 후 1~6개월이 가장 많았으며, 선별조건으로는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상자가 선택한 중재 활동 영역으로는 기본적 일상생활활동(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이 가장 많았으며, 중재기간은 4주 또는 7주, 10회기, 각 주당 3회 미만이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었다. 모든 문헌에서 작업수행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상지기능 및 건강 상태 같은 다른 영역의 효과를 제시하고 있었다. 종속변인 평가도구는 주로 작업수행 관련이 나타났으며, 그중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과 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CO-OP 중재를 적용한 뇌졸중 환자의 특성, 선별조건, 중재 활동, 중재 효과 및 형태, 종속변인 평가도구 및 실험연구의 근거 수준을 확인하였고, 이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CO-OP 중재의 연구와 교육 방향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900원
        2.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 사회성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문헌을 고찰하고 중재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2012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 10년간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검색을 위한 데이터베 이스로는 PubMed, CINAHL, SCIENCE ON, ERIC을 사용하였고 Google Scholar에서 논문을 추가로 수기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국내의 경우 “발달장애” OR “자폐스펙트럼장애” OR “지적장애” OR “아스퍼거” AND “가상현실” OR “증강현실” AND “사회성”을 사용하였고, 국외의 경우 “Developmental disability” OR “Autism spectrum disorder” OR “Intellectual disability” OR “Asperger’s” AND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OR “Social”을 사용하였다. 검색된 문헌은 PICO (Patients, Intervention, Control, Outcome) 양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VR 기반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은 주로 자폐스펙트럼 및 아스퍼거 장애 그룹에 적용되고 있었다. 적용 대상의 연령은 아동기에서 성인기까지 다양하였고,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또래 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이 주된 훈련 목표였고 성인기는 면접 및 직장생활 기술이 주된 훈련 목적이었다. VR 기반 사회성 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의 감정인식, 의사소통 기술, 직업기술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VR 기반의 사회성 중재 프로그램은 가상현실 내 다양한 치료 맥락을 설정할 수 있고 체계적으로 치료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임상적 장점이 있다. 향후 다양한 진단 군의 특성을 반영한 VR 기반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이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5,700원
        3.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ward head posture (FHP) is a musculoskeletal disorder that causes neck pain. Several exercise interventions have been used in South Korea to improve craniovertebral angle (CVA) and relieve neck pain. There has been no domestic literature review study over the past 5 years that has investigated trends and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methods for CVA with neck pain. This domestic literature review aimed to evaluate the trends and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s on CVA and neck pain in persons with FHP. A review of domestic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n or English language between 2018 and 2022 was performed.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on Google Scholar and Korea Citation Index by using the following keywords: “exercise,” “exercise therapy,” “exercise program,”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pain.” Ten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ll of the studies showed positive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programs that included exercises. Notably, four of these studie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mong the 10 studies, nine measured visual analogue scale or numerical rating scale scores and reported significant reductions in pain following interventions, including exercise programs. Five of these stud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urthermore, six studies that used neck disability index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ymptoms after implement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included exercis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is domestic literature review provides consistent evidence to support the application of various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CVA and relieve neck pain from FHP.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review the effects of various exercise interventions on FHP reported not only in domestic but also in international literature.
        4,000원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중재 방법 중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재 유형 및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분석 대상 논문 추출은 PubMed, Embas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BPia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검색 기간은 2013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설정했다. 검색어는 (“elderly” OR “older” OR “old adult” OR “age”) AND (“health promotion” OR “health improve”) AND (“living alone” OR “live alone”) AND “intervention”으로 하였다. 결과: 최종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은 무작위 배정 연구 4편, 실험-대조군 연구 2편이었다. 총 6편의 건강증진 중재의 유형은 가정 방문 2편, 전화와 가정 방문 병행한 연구 2편, 전화 1편, 기관 방문 1편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정 방문 중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악력을 제외한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에 대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독거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중재는 가정 방문 중재 유형이 건강관리 교육, 운동 및 인지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중재 유형보다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독거노인의 건강증진 측면에서 관련 중재 이점을 인식하고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 마련과 적용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4,800원
        5.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고립 중재를 살펴보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2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SCOPUS, Web of Scienc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CINAHL을 데이터베이스로 이용하여 검색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social isolation” AND (“older” OR “elder” OR “aged” OR “geriatric”) AND (“living alone” OR “live alone”) AND “intervention” 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5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결과: 선정된 5편의 연구 중 4편의 연구에서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중재를 제공하였고, 나머지 1편의 경우 컴퓨터 기반 중재를 제공하였다. 중재를 시행한 결과,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도 사회적 지지, 환경적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기술적 소양, 웰빙, 그리고 사람과 공공 사회 보장에 대한 신뢰 향상의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고립을 호소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중재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는 작업치료 현장에서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 중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6.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시행한 시간 관련 중재의 효과와 임상 적용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Bpia,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및 CINAHL을 통해서 ‘장애’, ‘시간관리’, ‘시간보조도구’, ‘중재’, ‘프로그램’, ‘작업치료’를 검색하였다. 해당 문헌들은 PRISMA-2020에 따라 체계적인 검토를 수행하였 고, PEDro를 통하여 연구의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최종 선정 기준에 부합한 연구는 총 9편이었다. 결과: 선정된 9편의 시간 관련 중재 중 시간기술훈련과 시간보조도구를 혼합하여 사용한 논문은 4편(44.5%), 시간보조도구는 3편(33.3%), 시간기술훈련은 2편(22.2%)이었다. 시간 관련 중재를 적용한 결과 시간기술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인지 및 일상생활 기능, 작업 수행도 및 만족도, 심리 사회적 요인의 향상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간 관련 중재가 클라이언트의 시간 처리 능력 및 일상생활 수행 및 삶의 질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추후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다양한 시간 관련 중재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800원
        7.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DIR/FLOORTIME 중재의 효과, 종속변수 및 프로토콜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Excrepta Media Database, MEDLINE 및 Google Scholar를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는 체계적 연구 및 메타 분석 흐름도를 위한 선호도 항목에 따라 선택되었다. 최종적으로 11개의 연구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고, 선택된 연구들은 Arbesman 등(2008)이 제시한 증거 기반 연구의 질적 수준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결과: 4편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Level I에 해당된 것으로 미루어보아 DIR/FLOORTIME에 대한 근거 수준이 높은 편이었다. DIR/FLOORTIME 중재의 종속변수는 의사소통 및 정서, 부모 스트레스, 자폐성 중증도, 감각처리, 발달 이정표, 인지, 언어, 놀이 순이었으며 모든 연구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DIR/FLOORTIME 중재기법의 적용애 대한 문헌들을 연구하였으며, 향후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DIR/FLOORTIME 중재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과 프로토콜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5,100원
        9.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의 온라인 활용에서 부모의 적극적 중재,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기회, 그리고 자기조절 등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 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2월 26일부터 3월 12 일까지 2주 동안 인스타그램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응답한 469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SPSS와 Smart PL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적극적 중 재는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기회, 자기조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는 온라인 기회, 자기조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자기조절은 온라인 기회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적극적 중재와 온라인 기회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자기조절의 경로가 매 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부모 중재와 온라인 기회 관계에 있어 디지털 리터러시와 청소년의 자기조절 능력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 펴본 것이다.
        6,100원
        10.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몰입형 가상현실과 비몰입형 가상현실 두 가지 형태의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뇌졸중 발병 후 6개월 이상인 편마비 환자 3명이었다. 연구설계는 단일대상실험연 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인 AB 디자인과 교차 연구설계(alternating design)를 사용하였 다. 중재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상지기능 평가는 Box and Block Test와 Fugl-Myer Assessment를 사 용하였고, 연구진행은 기초선 4회, 중재 기간 16회를 포함하여 총 20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시 각적 그래프와 2SD 구간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는 비몰입형과 몰입형 가상현실 중재법 모두 기초선과 비교하여 Box and Block Test, Fugl-Myer Assessment 점수가 확연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비몰입형 가상현실 중재와 몰입형 가상현 실 중재 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몰입형 가상현실을 이용한 중재가 비몰입형 가상현실을 이용한 중재와 같이 만성 뇌졸중 대상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만성 뇌졸중 대상자들의 상지기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임상현장에서 가상현실 중재와 연구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 라 사료된다.
        4,500원
        11.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방암수술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지만 환자의 수술부위 통증, 상지근육의 변 화나 불균형 등의 체형변화뿐 아니라 재발에 대한 두려움, 자아존중감 저하와 우 울, 불안, 분노,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 증상마저 유발할 수 있다. 그래서 유방암환 자를 위한 심신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프로그램의 1~3회기에는 단 축되거나 긴장된 부위의 자각훈련과 호흡훈련으로 구성되는 경견완부위 통증유발 점 스트레칭 요가체위가 실시된다. 4~8회기에는 통증유발점의 긴장부위를 자각하 는 훈련과 체형유지를 위한 주요근육을 강화하는 요가체위가 실시된다. 유도된 심 상 프로그램의 1~3회기에는 호흡과 신체자각, 심장박동소리듣기, 빛 명상이 실시 되고, 4~7회기에는 통증부위 빛 명상이 심화되며, 마지막 8회기는 임종명상으로 마무리된다. 유방암환자의 몸통 및 상지근육의 변화와 그에 동반되는 통증을 경감 시킬 수 있는 요가와 유도된 심상법으로 구성되는 자연치유요가 심신중재 프로그 램 개발을 위한 본 논문의 사례연구는 고유수용감각 훈련과 내수용감각 훈련을 설계하는 데 유용하다. 유방암수술을 받고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환자의 목과 어깨통증은 경감되었고 근육 밸런스는 회복되었으며 수술 후 방사선치료 등을 받으 며 느낀 공포와 불안감은 감소되었고 삶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죽음에 대한 인식 도 변했다.
        6,600원
        12.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청소년 특발성 척추측만증 보존적 중재법이 Cobb's angle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RISS(학술연구정 보서비스)에서 청소년 척추측만증, 특발성, 중재법을 핵심키워드로 검색하여 메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KCI등재후보지 이상 학술지만 선별하였으며, 참가자의 연 령 및 중재방법 등을 고려하여 총 11개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총 23개의 보존적 중재법은 크게 능동적 운동치료, 수동적 치료, 복합치료, 보조기로 나뉘었으며 신 뢰도95%에 해당하는 중재법은 능동적 운동치료 5가지와 보조기 1가지였다. 이는 능동적 운동치료의 형태의 보존적 중재법이 청소년 특발성 척추측만증 Cobb's angle변화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500원
        13.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secure digital platform (SDP) can provide B2B marketers with confidence to use communications technology (CT) and engage in information sharing that facilitates resource utilization. Interlinked digital platforms constitute the company’s ecosystem and barriers in the form of a lack of skills and knowledge in relation to governance and compliance can be overcome through organizational intervention that is external to an individual’s capability of control. A framework for an SDP was developed by utilizing network theory and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and analysed (n=207) using SEM, AMOS. Organizational intervention through an SDP can help B2B marketers to increase the organization’s resource capability through improved interaction. It can also help individuals to become pro-actively compliant and be less at risk from various threats (e.g., fake news) as the organization provides a safer digital environment.
        14.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에 대한 메타인지중재 효과를 연구한 무작위 임상대조군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중재 내용을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최신의 근거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검색 엔진으로 PubMed, Excerpta Medica Database(EMBASE), Cumulated Index in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CINAHL),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한국교육학술정보원(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사용하여 2015년 1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출판된 국내ㆍ외 문헌 을 검색하였다. PRISMA checklist에 따라 문헌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7편의 문헌을 분석하였고, PICOS 방식을 사용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은 PEDro scale을 사용하여 연구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 였다. 결과 : 검색된 611편의 문헌 중 7편(n = 347)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고, 연구의 질적 수준은 7편 모두 ‘좋음’ 이었다. 집행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및 참여 평가에서 중재 이후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중재는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Error-Based Learning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후천적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메타인지중재 연구들 중, 잘 설계된 무작위임상대조 군연구를 선정하고 분석하여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연구의 근거수준을 높였다는 점에서 임상적인 의 미가 있다. 그러므로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를 다루기 위한 메타인지중재를 제공하는 과정 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700원
        15.
        202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자폐성 장애로 진단받은 만 5세의 남아 2명, 만 4세의 남아 1명으로 총 3명의 자 폐성 장애 유아로 단일대상연구방법 중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 장소는 유아가 다니는 통합 어린이집 내 치료실이었으며 참여한 유아의 능력과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유아별 상황이야기 를 제작하여 중재하였다. 전체 연구는 기초선, 중재, 유지의 세 단계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기초선에서 는 거의 나타나지 않던 사회적 행동이 상황이야기 중재를 실시하며 점차 변화되어 긍정적 증가가 있었으 며 그 변화는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황이야기 중재가 사회 적으로 행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자폐성 장애 유아의 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효과적 인 중재임을 시사한다.
        7,700원
        1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otal hip replacement (THR) is performed in patients with femur fractures and osteoarthritis. THR patients have balance problems even after surger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vibration stimulation interventions for balance in THR patients.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vibration stimulation intervention on the balance and gait of THR patien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ethods: 44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vibration stimulation group (VSG) and a non-vibration stimulation group (N-VSG). Seven study subjects dropped out, and 37 completed the study. Timed up and go (TUG) and Berg balance scale (BBS) were used for balance assessment, and 10-meter walk (10MW) was used for gait assessment.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 groups in balance (BBS, TUG) and gait (10MW) between the VSG and the N-VSG.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any variable. Conclusion: The VSG improved the balance and gait of THR patients without any difference from the N-VSG. However, VSG showed a higher effect size than N-VSG.
        4,000원
        18.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스노즐렌(다감각환경) 중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EBSCOhost, Embase, PubMED, KISS, RISS 데이터베이스에서 2021년 12월까지 게재된 모 든 문헌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13편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종속변수 및 중재효과, 사용된 평가도구, 스노즐렌 중재 제공의 형태 등을 제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모든 연구는 국외에서 진행된 실험연구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약 35.8 세였다. 스노즐렌 중재 대상자는 지적장애인이 가장 많았으며, 다수의 연구에서 대상자의 도전행동과 관 련된 종속변인을 설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13개의 연구 중 한 가지 이상의 영역에서 스노즐렌 중재의 긍정적인 영향을 보고한 연구는 총 10개(76.2%)로 대부분의 연구에서 중재의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 으며, 효과는 주로 행동관찰법을 사용하여 평가했다. 스노즐렌 제공의 평균 시간은 약 30분으로 개별 중 재로 진행된 연구가 주를 이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스노즐렌 중재가 성인 발달장애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적절한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판단의 근거로 사용되거나 관련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200원
        19.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provid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a future program by analyzing studies on diabetes programs from 2000 to 2020. Among the studies wi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selected studies included ones that provided intervention to patients with diabetes and ones that contained descriptive statistics. Sixteen studies were sele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homogeneity of the data coding meta-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in the diabetes program combined estimate was 0.398 (95% CI: 0.268, 0.425, p=0.000).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fasting blood glucose (-0.616) and glycated hemoglobin (-0.442) showed median effect sizes, but the effect of fasting blood gluco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study design, non-randomized control trials (NRCTs) (-0.543) was more effective than randomized control trials (RCTs) (0.719). Among, the counseling and self-management program (-3.241) showed a very large effect size. Furthermore, the cognitive-behavioral (-0.828) and self-management (-0.482) programs were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fasting blood glucose. A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anagement increases, further studies based on RCT should be actively performed, and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diabetes intervention plans need to be established.
        4,200원
        20.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all over the world. AAI is an umbrella term describing various forms of human-animal teams in formal human service, such as animal-assisted activity (AAA), animal-assisted therapy (AAT), and animal-assisted education (AAE). Animals commonly used as partners in AAI are dogs, cats, horses, guinea pigs, farm animals, and dolphins. Research on various topics within the field of AAI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over the past decade, but AAI approaches are still struggling to establish credibility as a complementary therapy method for a range of med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scrutinize the research literature related to AAI. Most studies have shown that AAI can have multiple outcomes, including soci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ones, in a wide range of settings. However, studies have not yet examined whether these effects carry over into other contexts. Moreover, study samples have tended to be small, non-representative, heterogeneous, and conducted without control groups. Further research is, thus, necessary to explore the sustainability and long-term benefits of AAI in a variety of settings and for different populations. Also, there is a need for specific guidelines for the welfare of therapy animals, as well as possible directions for standardized professional competencies.
        5,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