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y leaf spot caused by Stemphylium spp., is a major disease of tomatoes, and it threatens its cultivation worldwide, especially in warm and humid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23 tomato germplasm conserved at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to select the resources resistant to the gray leaf spot pathogen strain previously isolated in Korea, using a bioassay and genotypic analysis of the resistance gene (Sm). Two weeks after inoculation with Stemphylium lycopersici, the disease index (rated on a scale of 0-4) of gray leaf spot was assessed in detached tomato leaves. The results showed that 22 resources were resistant, with a disease index of 0-1. Additionally, 65 genetic resources were found to be moderately resistant, with a disease index between 1.0 and 2.0. Subsequently, Hybridization Probe Melting (HPM) analysis of the 22 resistant genetic resources confirmed the genotype of the gray leaf spot resistance gene (Sm). Among them, 20 genetic resources showed a homozygous resistant genotype. The resources selected in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the breeding of new tomato varieties resistant to gray leaf spot and may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genotypic analysis studies.
        4,000원
        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which consisted of two independent studies (laboratory and greenhouse), was carried out to project the hypothesis fungi-spray scheduling for leaf mold and gray leaf spot in tomato, as well 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leaf wet dur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fungicides against these diseases. In the first experiment, tomato leaves were infected with 1 × 104 conidia·mL-1 and put in a dew chamber for 0 to 18 hours at 10 to 25°C (Fulvia fulva) and 10 to 30°C (Stemphylium lycopersici). In farm study, tomato plants were treated for 240 hours with diluted (1,000 times) 30% trimidazole, 50% polyoxin B, and 40% iminoctadine tris (Belkut) for protection of leaf mold, and 10% etridiazole + 55% thiophanate-methyl (Gajiran), and 15% tribasic copper sulfate (Sebinna) for protection of gray leaf spot. In laboratory test, leaf condensation on the leaves of tomato plants were emerged after 9 hrs. of incubation. In conclusion, the incidence degree of leaf mold and gray leaf spot disease on tomato plants shows that it is very closely related to formation of leaf condensation, therefore the incidence of leaf mold was greater at 20 and 15°C, while 25 and 20°C enhanced the incidence of gray leaf spot. The incidence of leaf mold and gray leaf spot developed 20 days after inoculation, and the latency period was estimated to be 14‒15 days. Trihumin fungicide had the maximum effectiveness up to 168 hours of fungicides at 12 hours of wet duration in leaf mold, whereas Gajiran fungicide had the highest control (93%) against gray leaf spot up to 144 hours. All the chemicals showed an around 30‒50% decrease in effectiveness after 240 hours of treatment. The model predictions in present study could be help in timely, effective and ecofriendly management of leaf mold disease in tomato.
        4,000원
        3.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ernaria alternata는 전세계적으로 상추(Lactuca sativa L.)에 점무늬병(Alternaria leaf spot)을 일으켜 작물의 수량을 감소시키고 품질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상추 점무늬병에 대한 공식적인 보고가 없고 방제를 위한 약제도 등록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는 강원도 지역의 로메인상추 재배지를 조사하고 점무늬병에 걸린 로메인상추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였다. 18S rR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와 RNA polymerase II subunit 2(RPB2)영역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분리한 병원균이 A. alternata임을 확인하였고, 로메인상추에 병원균을 재접종하여 해당 병원균이 점무늬병의 원인 병원균임을 확인하였다. A. alternata의 화학적 방제를 위해 mancozeb, boscalid, benomyl, difenoconazole, azoxystrobin, fludioxonil 성분의 살균제를 선발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10 μg/ml의 농도에서 fludioxonil이 약 98%의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보여주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difenoconazole, boscalid, azoxystrobin, benomyl, mancozeb가 10μg/ml 의 농도에서 각각 약 85%, 58%, 42%, 12%, 7% 순으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상추 점무늬병과 그 원인균을 보고한다.
        4,000원
        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horticultural crop. This study reports a new pathogen of brown leaf spot disease in kiwifruit. Brown leaf spot symptoms were observed on the leaves of cv. Redvita in Jeju, South Korea. The leaf spot diseases appeared as extensive, angular, brown, yellow, white or fused color spots on the leaves. Fungi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Fusarium tricinctum (Corda) Sacc.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tests were conducted with mycelium and the conidia inoculation. The pathogen was re-isolated from the artificially developed symptoms, and identified as F. tricinctum as Koch’s postulates were confirmed.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brown leaf spot caused by F. tricinctum on kiwifruit.
        4,000원
        5.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ircular leaf spot(CLS) disease causes considerable economic damage to persimmon(Diospyros kaki) in South Korea. Mycosphaerella nawae ascospores are the primary inoculum for CLS epidemic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easonal fluctuation of spore release and its relationship to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spore trapping. We evaluated the seasonal pattern of released M. nawae ascospores in South Korea. During three persimmon growing seasons(2010 to 2012), we recorded the release of ascospores in two regions, Jinju and Gimhae, which are major producing regions of sweet persimmon in South Korea. The release of CLS ascospores was from the first week of May to the end of July. The maximum release of spores was observed in late June. A computer model used accumulated degree days to simulate ascospore release. The overall mean accumulated degree days, from 01 May to 50% ascospore release for the observed data(1174℃ day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edicted value of 1144℃ days.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predicted and observed release percentages for the sampling perio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zero.
        4,000원
        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은 포도 캠벨얼리의 광폭 비가림 설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광폭비가림은 비가림의 폭이 기존의 표준 비가림보다 30 cm 넓게 구성되어 있다. 비가림처리는 모두 대기온도보다 2~3oC 높게 나타났고 광 폭비가림하에서 일 평균온도는 0.5~1oC 정도표준 비가림 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대습도는 대기습도보다 15~20% 낮게 나타났으며 연차간 차이를 보였다. Pseudocecospora vitis 에 의해 발생하는 포도 갈색무늬병의 발생은 2012 년에는 광폭비가림이 표준비가림 보다 55.6% 적게 나타 났고 2013년에는 17.2% 적게 나타났다. 포도는 2년에 걸쳐 수확하였고 당함량, 산함량, 과립중, 과립크기 등 과실품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2012년에는 처리간 차이가 명확하지 않았으나 2013년에는 광폭비가림이 당함량이 0.4o Bx 높았고 산함량은 0.8%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광폭 비가림의 적용이 갈색무늬병의 발생 정도를 낮추고, 과실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4,000원
        8.
        200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멕시코와 네팔에서 수집한 고추 유전자원 50점과 이병성 및 저항성 대조품종에 Stemphylium solani와 S. lycopersici 의 혼합접종으로 흰별무늬병(gray leaf spot)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고, 살균제를 살포하여 회복시킨 다음 다시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를 접종하여 더뎅이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더뎅이병에는 KC866, KC872, KC902, KC905이 이미 알려진 KC43, KC47, KC220, KC319, KC320, KC380 등과 함께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더뎅이병, bacterial spot)에는 KC897이 이미 저항성으로 보고된 KC177(PI163192)보다 발병이 적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네팔에서 도입된 KC889, KC896, KC898이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4,000원
        9.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9년도에는 KC47KCB14, KC220KC268 조합의 및 여교배 집단과 KC47-1KC263(AC2258), KC47-1KCB13-2-1, KC47-1KCB13-4-2 조합의 집단에 대하여 잎점무늬병과 역병을 차례로 접종, 복합저항성 개체를 선발하여 차세대를 육성하였다. 2000년도에는 같은 조합의 및 세대에 대하여 잎점무늬병과 역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여 복합 저항성인 개체로부터 차세대 종자를 확보하였다. 선발세대의 경과에 따라 두 가지 병에 대한 저항성에서 현저한 진전이 관찰되었다.
        4,000원
        10.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in the numbers of air-borne spores of Alternaria mali causing the Alternaria leaf spot of apple were investigated in apple orchards, by monitoring their AM- toxin(host-specific toxin) producing ability. Most of the air-borne Alternaria in apple orchards were not AM-toxin producers. In culture, only about 2% of Alternaria isolates from a commercially managed apple orchards produced the toxin that was highly toxic only to susceptible leaves.
        3,000원
        11.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품종별(品種別)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과 잎의 모용(毛茸) 발생정도(發生程度)를 조사(調査)하고 사과나무 잎의 부위별(部位別) A. mali의 침입정도(浸入程度)와 모용(毛茸)이 병원균(病原菌)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mali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사과나무 품종(品種)의 분포(分布)는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1% 이상(以上)되는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을 조사(調査)한 82품종(品種) 중(中) 15개품종(個品種)(18.3%) 이었으며 주요(主要) 품종(品種)은 나리탄, 인도(印度), 왕령(王令), 스라크림숀, 스카이스파, 아오리 3호 등(等)이었고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 이하(以下)되는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51개품종(個品種)(62.2%)이었는데 주요품종(主要品種)은 홍옥(紅玉), 무쓰, 모리쓰, 조나골드, 쓰가루, 가라, 골덴, 후지, 스파어리브레이즈 등(等)이었으며, 주요품종(主要品種)들의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보다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에서 많았다. 이병성품종군중(罹病性品種群中)에서 이병엽율(罹病葉率)이 6월(月)에 20%, 이상(以上)되어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와인삽, 아오리 3호, 스카이스파, 왕령(王令) 등(等)과 6월(月)에는 5% 이상(以上) 되었다가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라리단, 스타크림숀, 인도(印度) 등(等)으로 구분(區分)되었다. 품종별(品種別) 잎에 모용발생정도(毛茸發生程度)는 이병성(罹病性) 품종군(品種群)에서 보다 저항성품종군(抵抗性品種群)에서 대체(大體)로 많았고 동일(同一) 품종(品種)잎에서 모용무제거부위(毛茸無除去部位)보다 모용제거부위(毛茸除去部位)에서 감염율(感染率)이 높은 것으로 보아 잎의 모용(毛茸)은 품종(品種) 저항성(抵抗性) 요인(要因)으로 추정(推定)되었으며 A. mali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은 잎의 표면(表面)보다 이면(裏面)에서 용이(容易)하였다.
        4,000원
        12.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 잎속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에 대(對)한 Ca 화합물(化合物)의 균사생육억제(菌絲生育抑制) 효과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품종별(品種別) 피해엽율(被害葉率)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이 84.8%, 중도저항성품종(中度抵抗性品種)이 8.1%,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0.5%이었고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품종별(品種別) 발병율(發病率)과 잎의 무기성분(無機成分) 관계(關係)에서 CaO 함량(含量)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보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에서 많았으며 7, 8월(月)의 발병율(發病率) 및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와 상관계수(相關係數)(r)가 각각(各各) -0.551, -0.585, -0.485로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어 Ca가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저항성(抵抗性)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으나 T-N, 는 품종간(品種間)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은 배지(培地)의 pH가 정도(程度)에서도 생육(生育)이 가능(可能)하였으며 CaO는 균사생육(菌絲生育) 저지(沮止) 효과가 있었다.
        4,000원
        13.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 점무늬낙엽병(斑點落葉病)의 초발(初發)과 초발후의 병진전을 예찰하기 위하여 기상요인중에서 적산온도(積算)와 강우빈도를 사용하여 예찰할 수 있는 경험적 모델이 3년간의 포장시험으로 작성되었다. 사과의 생육기간중 4월 20일부터 7월말까지 기상요인을 측정, 분석하었고 이들 기상요인들이 모델작성의 변량(變量)으로써 사용되었다. 하루의 평균온도에서 를 뺀 온도가 적산되어(CDP) 대기온도와 점무늬낙엽병초발과의 관계를 알기위한 한 모수(母數)로서 사용되었다. 병의 초발에 필요한 CDP는 약 160으로서 이 수치는 초발에 필요한 CDP의 하한(下限)온도로 사용되었다. 160 CDP가 도달된 후에는 강우 빈도가 초발을 결정하는 요인이었으며 적어도 4번의 강우가 초발에 필요하였다. 초발후의 병진전은 대체로 강우 빈도가 누적되는 모양과 유사하였다. 병진전의 일반 미분(微分)방정식모델 dx/dt=xr(1-x)에서 산출된 3개년의 병진전 직선의 명백한 감염속도(r)는 강우빈도의 누적율(Rc)과 1차(직선)기능으로서 직선방정식 r=1.06Rc-0.11()에서 직접 추정이 가능하였다. 일정시간(t)후의 발병정도(x)는 미분방정식 모델에서 유도된 지수(指數)방정식 에서 예측될 수 있는데 이때의 는 초발시발병정도 와 은 강우빈도 누적률 Rc의 모수(母數)이다. Alternaria mali 분생포자의 공기증밀도의 매일의 누적치와 병진전과는 통계상 유의적인 1차관계(linear relationship)가 있었는데 공기중 분생포자 밀도의 누적치를 독립변량으로 사용하여 병진전을 예측하였을때 예측의 정확도는 로서 비교적 낮았다.량의 차이를 보인다. 6. 쐐기필터의 각도가 클수록 주변선량이 증가하여 패기필터의 각도가 60일때에는 개방조사면에 비하여 약 2배 정도로 주변 선량이 증가한다.었으며, 간장의 충혈, 중심성 괴사 및 모세관 확장증도 관찰되었다. 그리고 sodium bicarbonate와 생리적 식염수를 병행투여한 군과 우라늄을 투여하고 30분이 지나서 dithiothreitol를 투여한 군에서는 우라늄 단독투여군에 비해 높은 방호효과가 관찰되었으나 다른 실험군에서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라늄의 체내오염시에는 sodium bicarbonate와 생리적 식염수를 가능한 빨리 병행투여하거나 dithiothreitol을 체내오염후 30분이 지나서 투여하는 방법이 우라늄오염에 대한 제염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우라늄에 의한 인체장해를 유의하게 경감시켜줄 것으로 사료되었다.내의 어떤 부위와도 관계가 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것이 QNB가 NMS보다 높은 최대 결합능력 을 나타낼 이유이다. (b) 두 종류의 다른 제제에서 우리는 같은 양상의 결과를 관찰하었기에 결점이 많은 homogenates 제제보다는 intact cell aggregates 제제를 수용체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실험모형(experiment model)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가 38.8%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l9세(歲)이후가 25.2%로서 전체 장수자의 64.0%가 16세이상에서 초경(初經)이 나타났으며, 폐경년령(閉經年齡)은 세(歲)가 36
        4,000원
        14.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9년 7월 경남 김해에서 딸기 성강 16호의 잎에 흑갈색 내지 암갈색 병반을 형성하는 병해를 발견, 그 병원균을 분리 검토한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미기록병해인 Alternaria alternate (Fr.) Keissler로 동정되었으며 본병을 검은무늬병이라 명명하였다. 본균의 분생포자의 형태는 배지간에 차가 심하였으며 C.M.A.에서 평균 , beak의 길이는 으로서 자연감염된 딸기잎상에서 형성된 것 보다 짧았다. 딸기 49품종에 접종한 결과 성강 16호와 Robinson이 고도감수성이였으며 Catskill, Cyclone, Northwest, Merton princes, Juspa, 및 대학 1호 등의 품종에도 발병을 볼 수 있었으나 31 품종은 전연 발병되지 않았다. 10종(14품종)에 접종한 결과 해바라기, 겹해바라기, 및 멕시코 해바라기에만 심하게 발병되었다.
        4,000원
        15.
        198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종 살균제를 다년간 사용한 사과원과 전연 사용하지 않았는 사과원에서 채취한 반점낙엽병 이병엽 원반에 각살균제를 처리한 후 Alternaria mali의 분생포자 형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제 사용여부와는 관계없이 양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에서 공히 Rovral은 그 권장농도 및 보다 저농도와 고농도에서 가장 높은 포자형성억제효과를 보였다. Antracol, Dithane M-45, 및 Dikar는 각각 그 권장농도 , 및 그리고 보다 고농도에서 양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의 포자형성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나, 보다 저농도에서는 의 포자를 형성시켰다. 각종 살균제를 사용한 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에서 Polyoxin 및 Difolatan은 태자형성억제효과가 낮아서 대조구의 에 비하여 의 포자를 형성시했으나,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았는 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에서는 비교적 높은 포자형성억제효과를 보였다. Captan, Dakonil, 및 Spat의 포자형성억제효과는 상기한 살균제보다 낮았으며, Bayleton은 사과반점낙엽병균의 포자형성억제효과가 거의 없었고, Benlate는 오히려 그 포자형성을 촉진시켰다.
        4,000원
        16.
        197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수도품종통일에 발생하는 갈색엽고병 유사증상을 발견하여 그 병반에서 병원균을 분리하여 그 형태를 조사하였으며 분생포자, 병반상에 형성하는 자남, 자남포자의 기재를 타연구자를의 문헌과 비교한 결과, 이는 일본에서도 보고된 바 있는 갈색엽고병임이 확인되었으며 병원균이 Fusarium nivale로 동정되었다. 또한 포장조건하에서는 본병은 다질소구에서 그 발생이 현저히 많았음을 관찰하였고, 본균의 생육적온은 였다.
        3,000원
        17.
        196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포도갈반병의 방제에는 Fermate(72)구와 Fermate(36)구가 가장 효과가 좋았는데 Fermate(36)구는 약값이 적게 들고 과방에 오염이 적으므로 더 유리하다. 2. Fermate 다음으로 Bordeaux액도 유효했는데, Bordeaux액에 황산아연을 첨가한 구는 Bordeaux 액구보다 약값이 더 들었으나 약해는 적었다. 3. 유기수은제(phenol-p-sulfuric acid-mercuric acetate)구는 효과가 좋지 않았다.
        3,000원
        1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new disease-resistant cultivar of Rehmannia glutinosa, it is essential to screen plants based on resistance to their disease. But until now, we have relied on visual inspection for selection of disease-resistant cultivar.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efficient and reliable screening system and test the resistance to leaf spot disease in R. glutinosa cultivars developed until now. Methods and Results : We have tested 11 R. glutinosa cultivars developed so far. Rootstock of R. glutinosa were sown in 20 × 20 ㎝ plastic square port and grown in green house at 25 ± 5℃ for four months and then cutting leaves were inoculated with Phoma sp. HCRD 17103 by spraying spore suspention of fungus at concentration of 1 × 107 spore/㎖. The inoculated leaves were incubated in a dew chamber at 25℃ for 48h and then transferred to glass house (25 ± 5℃, RH 80% ≥ ). After 3 - 5 days when the most susceptible cultivar had lesion area over 40%, disease severity of the cultivars was investigated on a scale of 0 - 9 (0 = healthy, 1 = 0 - 1%, 3 = 1.1 - 10%, 5 = 10.1 - 20%, 7 = 20.1 - 40%, 9 = 40.1% over). The degree of resistanc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ease index (0 and 1 = resistant, 3 = moderately resistant, 5, 7 and 9 = susceptible). As a result of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above criteria, the disease index of cultivar Gogang, Dagang, Segang, Yeongang, Wongang, and Dahwang was 1, cultivar Togang, Daegyung, Jiwhang 1 and Goryeo was 3, cultivar Hwanggang was 9, respectively.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six cultivars such as Gogang, Dagang, Segang, Yeongang, Wongang, and Dahwang were resistant, four cultivar such as Togang, Daegyung, Jiwhang 1 and Goryeo were moderately resistant, and only one cultivar Hwanggang was susceptible to the leaf spot disease by Phoma sp. This experiment used only leaves and we plan to use whole plants in the future to see more accurate resistance response.
        1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olygonati rhizoma is used for medicine using rhizome of Polygonatum sibiricum Redoute belonging to Liliacea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chemical for leaf spot disease control of P. sibiricum Redoute. Methods and Results : In order to select proper chemical for leaf spot disease control of P. sibiricum Redoute, Alternaria sp. was isolated from leave of P. sibiricum Redoute and pathogenicity was verified. Control value was checked after application on leaves for 3 times in 6-years-old field in Geumsan and 5-years-old field in Jaecheon. Chemicals were applied in June and July for 3 times totally without any other chemicals application. At 10 days after final chemical application, 20 plants were checked for infected leaf ratio on 20 leaves placed in middle and upper point of stem. In Geumsan, control value was higher as 88.3% in Pyraclostrobin, 86.1% in Polyoxin B, 84.4% in Pyribencarb, 82.2% in Iminoctadine tris (albesilate). In Jaecheon, control value was higher as 88.1% in Pyraclostrobin, 87.1% in Pyraclostrobin, 86.3% in Pyribencarb, 83.0% in Iminoctadine tris (albesilate).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on chemical selection for leaf spot disease control of P. sibiricum Redoute was as follows. Pyraclostrobin, Polyoxin B, Pyribencarb, and Iminoctadine tris (albesilate) showed excellent control value with over 80% and no damages. Above chemicals were considered excellent as chemicals for leaf spot disease in P. sibiricum Redoute.
        2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ape cultivar “Campbell Early” account for 70% of table grape in Korea and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is one of a major disease in greenhouse and field grown area during late summer season in both of organic and conventional grape farm. Leaf spot disease can cause lowing of sugar content in fruit and vine growth and very difficult to control especially in organic field. Photosynthesis ability and chemical components are compared between leaf spot disease infected leaves with degree of necrotic area. With increase of disease necrotic area, CO2 differential value, water use efficiency and CO2 assimilation and respiration ratio are decreased proportionally and on the other hand, stomatal conductance value is not affected by disease necrotic area. Chlorophyll contents are also decreased by 50% in heavily infected leaves and imply decrease of chlorophyll contents is a major source of photosynthesis ability decline. With increase of disease necrotic area in leaves, total nitrogen and phosphate contents are decreased and on the other side, total carbon,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are increased. From this research, we can infer that not only chemical control program is important in control of leaf spot disease but also fertilizing program is significant especially in organic agronomical control of fungal disease in grape cultivar “Campbell Early”.
        1 2